KR101403374B1 - 금속재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금속재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374B1
KR101403374B1 KR1020130081502A KR20130081502A KR101403374B1 KR 101403374 B1 KR101403374 B1 KR 101403374B1 KR 1020130081502 A KR1020130081502 A KR 1020130081502A KR 20130081502 A KR20130081502 A KR 20130081502A KR 101403374 B1 KR101403374 B1 KR 101403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let
fluid pipe
gas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광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광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광금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08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fixed with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Abstract

내부에 액체 또는 기체를 이송시키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제1유체관(P) 상에 금속재로 형성된 제3유체관(P")을 서로 이어 연결할 수 있는 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제1유체관(P)으로부터 내부에 액체 또는 기체를 유입하고, 다수의 입출구(1) 상에 형성된 나사산(2)과 맞물려 체결되게 나사부(11)를 구비하며, 제1유체관(P)의 나사산(2) 외경을 감싸는 이중단턱(25)을 구비하고, 내부에 패킹(22)을 이중으로 삽설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유입구(10); 상기 유입구(10)의 내측에 입출구(1)가 체결하여 맞닿아 액체 또는 기체의 누수를 방지하게 패킹(21)을 구비하는 단턱(20); 및 상기 유입구(10)와 연통되어 유입된 액체 또는 기체를 제3유체관(P")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3유체관(P")을 고정하는 배출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속재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Pipe joint}
본 발명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관을 구리합금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사용을 최소함과 동시에 음용수 배관의 법적요인을 충족 하면서도 배관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절감 시키며 제조비용을 하락하여 소비자의 지출을 줄이고, 금속재로 형성되어 음용수배관에서 용출되는 녹물이나 청수현상을 방지하며, 형태를 제작하는 금형의 형성이 단순함과 동시에 금속재의 나사산으로 체결되므로 견고한 결속력을 제공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 및 가정에는 각 층마다 물이나 가스 등을 공급할 수 있도록 유체관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배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유체관은 주로 물의 이송을 위한 상, 하수관이나 기름과 같은 유압 라인 등과 같은 유체의 이송이나 가스 등과 같은 기체 및 분말과 같은 각종 원료의 이송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유체관 상에 또 다른 유체관을 서로 연결하여 원하는 위치에 액체 및 기체 등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유체관은 장기간 사용 시 녹이나 부식 등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고가의 구리 제품 및 스테인리스 스틸 제품을 사용하여 왔지만 이들 유체관은 고가이며, 대체소재인 합성수지 제품을 사용하여 배관을 하는 경우에는 녹이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지만 강도가 약해 나사체결시 파손이 쉽고, 또한 다양한 배관 형태를 위해 고가의 수 많은 금속재 인서트 사출금형을 제작해야 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되며, 구리로 형성된 제품의 경우에는 2009년 하반기부터 수도법 제14조 개정으로 수도관에 구리관을 사용할 수 없어 KS D 5301에 부적합기준인 구리용출기준이 1ppm미만으로 제한하고 이를 위반하여 시공을 하는 행위자나 법인에는 양벌 규정으로 벌금형을 과하도록 하는 수도법 개정 사항이 실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169679호에 따르면, 외주면에 나사산(114a)이 형성된 제1관(10)과 나사 체결에 의해 연결되는 관 연결구로, 상기 관의 유로(100a)와 연결되는 유로(100a)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으로 개구된 링형 홈(100b)이 형성된 중공형 바디(body)(100)와, 상기 바디(100)의 링형 홈(100b)에 끼워지는 결합부(112) 및 상기 제1관(10)과 나사 체결되는 관 체결부(114)를 포함하는 중공형 인서트(110)와, 상기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의 내,외측면과 상기 바디(100)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제1,제2오링(120,130)을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의 내,외측면에는 각각 상기 제1,제2오링(120,1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바디(100)에 형성된 내,외측 돌기(104a,104b)가 끼워질 수 있도록 내,외측 오링 홈(112a,112b)이 형성되고; 상기 제1오링(120)은 상기 바디(100)의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을 따라 복수 개재되며, 상기 제2오링(130)은 상기 제1오링(120)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바디(100)의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을 따라 복수의 제1오링(120) 사이에 위치되도록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관 연결구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녹이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지만 강도가 약해 파손이 쉬워 동파의 위험도 큰 문제가 발생된다.
또 다른 예로, 한국 출원실용신안 제1992-0022070호에 따르면, 좌우측에 나사부(2)(2′)가 있는 관이음구몸체(1)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3)에 관체(7)가 끼움되게 한 것에 있어서 끼움홈(3)외주벽에 길이 방향으로 트임부(4)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구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관 이음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도법 제14조 개정에 따라 수도관에 구리용출기준이 1ppm으로 위반 행위자나 법인에는 양벌 규정으로 벌금형을 과하도록 하는 수도법 개정 사항이 실행되고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문헌1) 수도법 제14조, 국토 해양부 공고 제2009-237호 (문헌2) 한국 등록특허 제10-1169679호 관 연결구 (문헌3) 한국 출원실용신안 제1992-0022070호 관 이음구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조비용을 하락하여 소비자의 지출을 줄이고, 금속재로 형성되어 음용수배관에서 용출되는 녹물이나 청수현상을 방지하며, 금속재의 나사산으로 체결되므로 견고한 결속력을 제공하며, 하나의 형태로 제작하여 다양한 형태로 사용가능하며 금형의 형성이 단순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음용수 배관에 적합한 금속재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액체 또는 기체를 이송시키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제1유체관 상에 금속재로 형성된 제3유체관을 서로 이어 연결할 수 있는 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제1유체관으로부터 내부에 액체 또는 기체를 유입하고, 다수의 입출구 상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려 체결되게 나사부를 구비하며, 제1유체관의 나사산 외경을 감싸는 이중단턱을 구비하고, 내부에 패킹을 이중으로 삽설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의 내측에 입출구가 체결하여 맞닿아 액체 또는 기체의 누수를 방지하게 패킹을 구비하는 단턱; 및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어 유입된 액체 또는 기체를 제3유체관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3유체관을 고정하게 체결수단을 구비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배출구는 제3유체관의 나사산의 형태에 따라 체결 고정이 가능하게 내접체결부와 외접체결부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관을 구리합금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사용을 최소함과 동시에 음용수 배관의 법적요인을 충족 하면서도 배관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절감 시키며 제조비용을 하락하여 소비자의 지출을 줄이고, 금속재로 형성되어 음용수배관에서 용출되는 녹물이나 청수현상을 방지하며, 형태를 제작하는 금형의 형성이 단순함과 동시에 금속재의 나사산으로 체결되므로 견고한 결속력을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관 연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제1유체관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를 통해 제1유체관 상에 제2, 3유체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관 연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로 써, 나사부(3)와 패킹(4)을 구비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의 관 연결구는 합성수지 제품을 사용하여 강도가 약해 나사체결시 파손이 쉽고, 금속재의 제3유체관(P")을 연결하기 위하여 인서트 사출금형을 제작해야 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며,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제1유체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를 통해 제1유체관 상에 제2, 3유체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액체 또는 기체를 이송시키는 합성수지재의 제1유체관(P) 상에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제2유체관(P') 또는 금속재로 형성된 제3유체관(P")을 서로 이어 연결할 수 있는 관 연결구에 관련되며, 유입구(10), 단턱(20), 배출구(3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입구(10)는 상기 제1유체관(P)으로부터 내부에 액체 또는 기체를 유입하고, 다수의 입출구(1) 상에 형성된 나사산(2)과 맞물려 체결되게 나사부(11)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관 연결구는 2009년 하반기부터 수도법 제14조 개정에 따라 수도관에 구리관을 사용할 수 없어 KS D 5301에 따르면 구리용출기준이 1ppm으로 위반 행위자나 법인에는 양벌 규정으로 벌금형을 과하도록 하는 수도법 개정 사항을 통하여 음용수배관에서 용출되는 녹물이나 청수현상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도록 금속재로 형성된다. 이러한, 금속재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 재질을 사용하여 관 연결구를 형성하게 되는 바, 합성수지 재질의 제1유체관(P) 상에 금속재질의 제3유체관(P")을 직접 체결 시 서로 다른 재질로 인해 나사의 체결력이 취약해져 파손이 쉽고 누수 및 누출의 위험성도 크게 작용한다. 그로 인하여 본원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 재질을 사용하여 관 연결구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제1유체관(P)은 내부에 액체 또는 기체 등이 유입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입출구(1)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바, 후술하여 설명하겠지만, T자, 십(十)자, 일반 관 형태, L자 엘보 형태 등의 여러 형태로 형성되는 제1유체관(P) 상에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입출구(1)의 외부에는 나사산(2)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러한 나사산(2)과 맞물려 체결되게 유입구(10)의 내부에 나사부(11)를 구비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단턱(20)은 상기 유입구(10)의 내측에 입출구(1)가 체결하여 맞닿아 액체 또는 기체의 누수를 방지하게 패킹(21)을 구비한다. 이러한, 단턱(20)은 제1유체관(P)이 상술한 유입구(10)에 체결될 시 입출구(1)의 끝단부와 맞닿은 상태로 패킹(21)에 의해 내부에 유동하는 액체 또는 기체가 외부로 유출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패킹(21)이 안착할 수 있도록 안착홈(22)을 형성하여 패킹(21)을 수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30)는 상기 유입구(10)와 연통되어 유입된 액체 또는 기체를 제3유체관(P")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3유체관(P")을 고정한다. 배출구(30)는 상기 유입구(10)와 대응됨과 함께 연통되는 구조로 유입구(10)를 통해 유입된 액체 또는 기체를 제3유체관(P")으로 배출하여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배출구(30)는 제3유체관(P")을 고정하게 체결수단(31)을 구비할 수 있는 바, 이는 후술하여 설명토록 한다.
이때, 상기 유입구(10)는 제1유체관(P)의 나사산(2) 외경을 감싸는 이중단턱(25)을 구비하고, 내부에 패킹(22)을 이중으로 삽설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유입구(10)에는 이중단턱(25)을 구비하는 바, 유입구(10) 상에 일체로 연장되도록 형성하게 된다. 이중단턱(25)은 상술한 단턱(20)과 같이 제1유체관(P)을 이중으로 감싸 내부에 유동하는 액체 또는 기체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수용홈(23)을 형성하여 패킹(22)을 삽설하여 이중 패킹(21)(22) 구조를 통하여 액체 또는 기체의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기 체결수단(31)은 제3유체관(P")의 나사산의 형태에 따라 체결 고정이 가능하게 내접체결부(32)와 외접체결부(33)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체결수단(31)은 제3유체관(P")에 따라 체결 고정이 가능하게 내접체결부(32)와 외접체결부(33)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내접체결부(32)와 외접체결부(33)에서 내접체결부(32)는 상기 배출구(30)의 내면 상에 형성되는 것이고, 외접체결부(33)는 상기 내접체결부(32)와는 다르게 배출구(30)의 외면상에 형성하는 것으로, 이는 제3유체관(P")의 체결부위의 형상따라 변형 가능한 것이다. 즉, 제3유체관(P")의 체결부위가 외면에 형성될 경우 이에 맞물리게 배출구(30)의 내면에는 내접체결부(32)가 형성되고, 제3유체관(P")의 체결부위가 외면에 형성될 경우 이에 맞물리게 배출구(30)의 외면에는 외접체결부(33)를 형성하여 체결 가능하게 구비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에 있어서, 먼저 T자, 십(十)자, 일반 관 형태, L자 엘보 형태 등으로 형성되는 다양한 제1유체관(P)으로부터 형성되는 다수의 입출구(1)의 나사산(2)를 유입구(10)의 나사부(11) 상에 체결한다. 이때, 유입구(10)는 체결되는 제1유체관(P)의 입출구(1)를 수용한 상태로 단턱(20)과 맞닿게 되도록 구비하는 바, 이러한 단턱(20)의 역할은 제1유체관(P)의 체결 시 내부로 수용됨에 따라 적정 체결 공간을 설정하고, 내부에 유입되어 이동하는 액체 또는 기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21)이 안착하는 안착홈(22)이 형성되는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배출구(30)는 유입구(10)와 연통되어 유입된 액체 또는 기체를 제3유체관(P")으로 이송하도록 제1유체관(P)과 체결되게 체결수단(31)을 구비하는 바, 상기 제3유체관(P")의 형상에 따라 내접체결부(32)와 외접체결부(33) 중 하나가 형성된 관 연결구를 통해 제1유체관(P)과 서로 체결한 상태로 내부에 액체 또는 기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관을 구리합금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사용을 최소함과 동시에 음용수 배관의 법적요인을 충족 하면서도 배관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절감 시키며 제조비용을 하락하여 소비자의 지출을 줄이고, 금속재로 형성되어 음용수배관에서 용출되는 녹물이나 청수현상을 방지하며, 형태를 제작하는 금형의 형성이 단순함과 동시에 금속재의 나사산으로 체결되므로 견고한 결속력을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입출구 2: 나사산
3: 나사부 4: 패킹
10: 유입구 11: 나사부
20: 단턱 21, 22: 패킹
30: 배출구 31: 체결수단
32: 내접체결부 33: 외접체결부
P: 제1유체관 P': 제2유체관
P":제3유체관

Claims (3)

  1. 내부에 액체 또는 기체를 이송시키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제1유체관(P) 상에 금속재로 형성된 제3유체관(P")을 서로 이어 연결할 수 있는 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제1유체관(P)으로부터 내부에 액체 또는 기체를 유입하고, 다수의 입출구(1) 상에 형성된 나사산(2)과 맞물려 체결되게 나사부(11)를 구비하며, 제1유체관(P)의 나사산(2) 외경을 감싸는 이중단턱(25)을 구비하고, 내부에 패킹(22)을 이중으로 삽설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유입구(10);
    상기 유입구(10)의 내측에 입출구(1)가 체결하여 맞닿아 액체 또는 기체의 누수를 방지하게 패킹(21)을 구비하는 단턱(20); 및
    상기 유입구(10)와 연통되어 유입된 액체 또는 기체를 제3유체관(P")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3유체관(P")을 고정하게 체결수단(31)을 구비하는 배출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31)은 제3유체관(P")의 나사산의 형태에 따라 체결 고정이 가능하게 내접체결부(32)와 외접체결부(33)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
KR1020130081502A 2012-12-27 2013-07-11 금속재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 KR101403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079 2012-12-27
KR20120154079 2012-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374B1 true KR101403374B1 (ko) 2014-06-03

Family

ID=5113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502A KR101403374B1 (ko) 2012-12-27 2013-07-11 금속재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3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761B1 (ko) * 2015-04-07 2016-11-28 주식회사 브이씨텍 냉각 구조 공유형 일체형 전기 동력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561Y1 (ko) * 1990-01-23 1991-10-25 김사현 관체의 접관장치
KR200274843Y1 (ko) * 2002-01-19 2002-05-11 주식회사 프리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JP2003083492A (ja) 2001-09-12 2003-03-19 Nasuko Fitting Kk 分岐配管用ヘッダー
KR200373381Y1 (ko) * 2004-10-22 2005-01-21 박종석 파이프 조인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561Y1 (ko) * 1990-01-23 1991-10-25 김사현 관체의 접관장치
JP2003083492A (ja) 2001-09-12 2003-03-19 Nasuko Fitting Kk 分岐配管用ヘッダー
KR200274843Y1 (ko) * 2002-01-19 2002-05-11 주식회사 프리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KR200373381Y1 (ko) * 2004-10-22 2005-01-21 박종석 파이프 조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761B1 (ko) * 2015-04-07 2016-11-28 주식회사 브이씨텍 냉각 구조 공유형 일체형 전기 동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9804B2 (en) System having fitting with floating seal insert
US5341843A (en) Plumbing and heating pipe system for water supply purposes, made either completely or mainly of plastic material, especially of polypropylene
CN105074302B (zh) 流量止回阀组件及方法
US9927053B2 (en) Expansion compensator with connectors
CA2994305A1 (en) Pipe coupling
US20110031738A1 (en) Pipe Coupling Spacer Insert
US20130277964A1 (en) Coupling
KR100941883B1 (ko) 배관연결구
CA2861461A1 (en) Polymeric device to protect pipe coupling
US6983960B2 (en) Mechanical joint bell adapter for polyethylene pipe
TWI748165B (zh) 輸送管線鞍帶栓閥的分流裝置
KR101403374B1 (ko) 금속재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
RU118391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фитинг из пластика и металла для перехода с пластиков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на металлический трубопровод
EP2056011A2 (en) Threaded pipe connector of plastic material with reinforcing metal ring
CA2582218C (en) Water meter idler bar
CN2926737Y (zh) 管材连接组件
CN204187162U (zh) 一种给水管管接头
KR102137228B1 (ko) 부식방지가 가능한 복합관
CN206347149U (zh) 防烫伤结构水龙头
US2302244A (en) Pipe coupling and sealing device
KR101973850B1 (ko) 관 연결용 조인트
GB2535741A (en) Pipe coupling for multilayer pipes
TWI720780B (zh) 輸送管線鞍帶栓閥的分流裝置
KR100873844B1 (ko) 새들 분수전의 결합구조
CN203641704U (zh) 全封口热镀锌衬塑复合钢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