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322B1 -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322B1
KR101403322B1 KR1020110122669A KR20110122669A KR101403322B1 KR 101403322 B1 KR101403322 B1 KR 101403322B1 KR 1020110122669 A KR1020110122669 A KR 1020110122669A KR 20110122669 A KR20110122669 A KR 20110122669A KR 101403322 B1 KR101403322 B1 KR 101403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user
content service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6985A (ko
Inventor
홍승필
Original Assignee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22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322B1/ko
Publication of KR20130056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통합인증장치, 콘텐츠 접근제어장치, 정책 관리장치, 통합로그장치 및 콘텐츠 서비스 제공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으로, 통합 인증장치는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및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콘텐츠 접근제어장치는 콘텐츠를 등급별 분류하여 권한에 따라 콘텐츠에 대한 접근허용 여부를 결정하고, 콘텐츠 서비스 제공장치는 단말로부터 콘텐츠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면 통합 인증장치로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및 단말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접근제어장치로 서비스 요청된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권한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에 대응하는 접근 권한 정보를 수신하면, 접근 권한에 따라 서비스 요청된 콘텐츠를 단말에 맞추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변환하여 제공하고, 정책 관리 장치는 개인 정보 보호와 관련된 법규를 수집하여 콘텐츠 관리 유형별 정책을 생성 및 관리하고, 콘텐츠 서비스 장치로부터 요청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책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SYSTEM FOR CONTENTS SERVICE}
본 발명은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기종 다매체를 지원하는 양방향 서비스를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고, 아날로그 방송 형태에서 디지털 방송 형태로 변화함에 따라 인터넷과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웹 콘텐츠(contents), 방송 콘텐츠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정지화상, 동화상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멀티 미디어 재생 기능 또는 방송 서비스 수신 기능을 내장한 예를 들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 스마트폰(smart phone), 타블렛 PC 등의 다양한 이동 통신 단말 기기들이 보급되고,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 기기들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역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콘텐츠는 소수이고, 대분분의 컨텐츠들은 PC, DTV 등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에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PC 등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PC에 연결하여 다운로드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로 동일한 콘텐츠를 중복하여 다운받아야 하고, 다양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텐츠를 다운받아도 이동 통신 단말기는 PC와 비교하여 취급 가능한 데이터 사이즈가 작고, 컬러 수, 해상도, 프로세서의 처리 능력 등의 성능 차이가 있고, 다양한 이동 통신 단말기 간에도 성능 차이가 존재하여 다양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콘텐츠를 재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반면에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CP : Content Provider)는 복제의 제한이 없는 디지털 콘텐츠의 특성으로 인하여, 무단으로 복제된 콘텐츠들이 급속히 전파될 수 있어 많은 비용을 투자한 컨텐츠 제작자들에게 막대한 재산적 손실을 입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 기종 매체를 지원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최적화된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려는 시도가 있다. 그러나 기술적인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일부 사업자들은 TV 플랫폼용 브라우저를 통해 웹 서비스의 일부를 호환시키고 있으나, 로딩 속도 및 단말 성능, 콘텐츠 통합 운영 측면에서 미흡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단 복제를 방지하고 고품질의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양방향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합인증장치, 콘텐츠 접근제어장치 및 콘텐츠 서비스 제공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통합 인증장치는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및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콘텐츠 접근제어장치는 콘텐츠를 등급별 분류하여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콘텐츠에 대한 접근허용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제공장치는 단말로부터 콘텐츠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통합 인증장치로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및 단말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와 상기 단말이 인증을 통과한 경우, 상기 접근제어장치로 상기 서비스 요청된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접근권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접근 권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접근 권한에 따라 상기 서비스 요청된 콘텐츠를 상기 단말에 맞추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변환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통합 인증장치는 상기 콘텐츠 서비스 제공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및 단말에 대한 인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인증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단말의 기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와 상기 단말의 인증 결과를 상기 콘텐츠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개인 정보 보호와 관련된 법규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법규에 기초하여 콘텐츠 관리 유형별 정책을 생성하고 관리함으로써, 콘텐츠 보호 및 개인정보와 관련된 정책을 제공하는 정책 관리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서비스 장치는 상기 정책 관리장치로 상기 서비스 요청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책을 요청하고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정책을 상기 콘텐츠와 함께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서비스 장치, 상기 통합 인증 장치, 상기 콘텐츠 접근 제어 및 상기 정책 관리 장치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로그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로그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비정상적인 사용시도 및 콘텐츠 서비스 제공시 발생한 장애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는 통합로그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서비스 요청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 장치로, 통합 인증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단말 및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 결과를 수신하면, 상기 인증결과에 포함된 사용자의 시스템 이용 권한 정보 및 단말의 기본정보를 참조하여 이용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식별정보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정보를 추가하여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요청된 콘텐츠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통해서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단말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내의 장치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 로그를 관리하는 통합로그장치로, 상기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내의 장치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 로그가 기록되는 로그 데이터베이스, 상기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내의 장치들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로그를 상기 로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로그 기록부, 상기 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벤트 로그를 미리 정해진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요약하여 요약된 로그를 상기 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로그 분류부 및 상기 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요약 로그를 분석하여 로그 분류에 따른 시스템 사용 현황을 제공하는 로그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로그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에는 사용자 및 기기를 이용한 통합인증, 접근제어기술 등을 고려한 보안기능으로 신뢰성을 확보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스템의 체계적인 보안을 위해 정책기반의 엔진을 구축하여 콘텐츠 사용과 관련된 법적 통제를 알리고, 콘텐츠 접근제어 기능을 제공하여 콘텐츠 관리 및 단말제어에 안전한 양방향 서비스를 보장한다. 또한,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 발생하는 이벤트 로그를 기록하여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장애나 보안 사고에 대한 추적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인증과정을 보여주는 이벤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장치에서 사용자가 콘텐츠를 등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이벤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로그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로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될 수 있는 로그를 예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로그인시 발생하는 이벤트 로그가 기록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이벤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로그가 기록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이벤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를 재생 중 단말을 변경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이벤트 로그가 기록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이벤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0)은 콘텐츠 서비스 장치(100), 통합 인증 장치(200), 콘텐츠 접근 제어장치(300), 정책 관리 장치(400), 통합 로그 장치(500)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0)은 네비게이터(21), 모바일폰(22), 인터넷 TV(23), PMP(24), PC(25)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단말과 양방향 통신을 하면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0)을 구성하는 각 장치를 설명한다.
콘텐츠 서비스 장치(100)는 단말로부터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 받고, 요청 받은 서비스를 단말에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에 따라 접근 가능한 콘텐츠만을 제공할 수 있고, 콘텐츠가 적합하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단말의 종류에 맞추어 콘텐츠를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제공자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하여 콘텐츠에 저작권 정보를 추가하고, 콘텐츠에 대한 무작위적인 접근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텐츠를 등급화하여 사용자 분류에 따라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서비스 장치(100)는 N-스크린 기술 기반의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콘텐츠 서비스를 받는 단말이 변경되더라도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폰(22)을 이용하여 콘텐츠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동영상을 재생하던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는 단말을PC(25)로 변경하면, 상기 동영상을 PC(25)에서 이어서 재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끊임없는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통합 인증 장치(200)는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및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와 단말에 대한 인증을 요청 받으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0)에 접속을 요청한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접속권한을 확인함으로써 시스템 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인증 장치(200)는 사용자의 시스템 접속 권한이 확인되면, 서비스를 요청한 단말의 고유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을 인증할 수 있다.
콘텐츠 접근 제어장치(300)는 콘텐츠를 등급별로 분류하여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콘텐츠에 대한 접근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가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해줄 것을 요청 받으면, 접근 제어장치(300)는 사용자의 연령에 따른 이용 가능한 콘텐츠의 등급이나, 또는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종류에 따른 이용 가능한 콘텐츠를 확인한 후,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에 접근이 가능한지 여부를 콘텐츠 서비스 장치(100)로 알려 줌으로써 콘텐츠 제공을 거부하거나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콘텐츠를 이용하려는 사용자의 연령과 정보공개, 목적 등의 조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한된 권한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콘텐츠 권한 제어를 위하여 권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콘텐츠에 포함하여 권한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정책 관리 장치(400)는 콘텐츠 보호 및 개인정보와 관련된 정책을 관리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서비스 장치(100)가 정책 관리 장치(400)로 서비스 요청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책을 요청하면, 요청 받은 정책을 검색하여 검색된 결과를 콘텐츠 서비스 장치(100)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정책이 콘텐츠와 함께 단말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정책 관리 장치(400)는 개인정보보호법, 콘텐츠 보호법, 금융 거래에 활용되는 관련 국내 법 제도가이드라인을 통합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고,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콘텐츠 사용과 관련된 규제 및 절차를 명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콘텐츠 이용 시 참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통합 로그 장치(500)는 사용자 및 단말에 대한 인증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및 단말에 대한 인증로그, 사용자의 콘텐츠 접속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콘텐츠 인증로그 및 상시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콘텐츠 서비스 로그 등을 기록하고 분석하여 장애상황 발생시 연관된 로그를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불 결제 시 요구되는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동의 및 거부 내역에 대한 로그를 기록할 수 있고, 사용자 비 정상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실시간 리포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규정 위반 적발 시 법적 근거를 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600)는 사용자에게 제공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콘텐츠가 저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특히 동일한 콘텐츠가 이기종의 다양한 단말에 맞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되는 콘텐츠는 사용등급에 따라 분류되고, 저작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네비게이터(21), 모바일폰(22), 인터넷 TV(23), PMP(24), PC(25)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단말에 실시간으로 호환되는 형태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다양한 서비스 요구에 맞도록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일 구성인 콘텐츠 서비스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콘텐츠 서비스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장치(100)는 서비스 요청 수신부(110), 인증 요청부(120),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30), 콘텐츠 생성부(140), 콘텐츠 제공부(150), 이벤트 로그 처리부(160) 및 콘텐츠 재생 정보 저장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콘텐츠 서비스 장치(100)는 통합 인증 장치(200), 접근 제어 장치(300), 정책 관리 장치(400), 통합 로그 장치(500)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600)와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콘텐츠 서비스 장치(10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서비스 요청 수신부(110)는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 받는 부분일 수 있다.
인증 요청부(120)는 통합 인증 장치(200)로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단말 및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통합 인증 장치(200)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인증결과를 수신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통합 인증 장치(200)는 인증 요청부(120)의 인증에 따라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인증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접속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접속권한이 있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단말의 접속권한을 확인하여 그 결과를 인증 요청부(120)로 알려주게 된다.
이때, 사용자 인증은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인증되면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콘텐츠 사용권한 또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사용과 관련된 사용자의 등급을 조회하여 콘텐스 서비스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30)는 통합 인증 장치(200) 로부터 단말 및 사용자 인증결과에 포함된 사용자의 권한정보 및 단말의 기본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단말에 제공하는 부분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30)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편집하거나 새로운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업로드 하는 경우, 콘텐츠의 이용 등급, 상기 콘텐츠의 이용 연령정보, 상기 콘텐츠의 가격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생성부(140)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콘텐츠에 사용자 식별정보 및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정보를 추가하여 콘텐츠를 생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때, 저작권 정보는 콘텐츠 권리자의 식별정보, 콘텐츠 사용에 대한 로열티 정보, 콘텐츠 유통 정보, 활용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생성부(140)는 생성한 콘텐츠를 미리 정의된 다른 종류의 단말 및 매체에서 재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생성한 콘텐츠와 변환된 콘텐츠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요청된 콘텐츠를 검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30)를 통해서 단말에 제공하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부(150)는 검색된 콘텐츠가 서비스 요청된 단말에 맞추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통합 인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인증결과에 포함된 단말의 기본정보, 예를 들면 단말의 기종 및 운영체제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변환하여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부(150)는 단말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시간 재생정보를 콘텐츠 재생정보 저장부(160)에 저장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가 단말을 변경하여 연속적인 서비스를 받기를 원하는 경우, 변경된 단말로부터 콘텐츠 재생정보 저장부(170)에 저장된 콘텐츠의 실시간 재생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가 연속하여 재생될 수 있도록 변경된 단말에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콘텐츠 제공부(150)는 콘텐츠 접근제어장치(300)로 서비스 요청된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 정보를 요청하고, 그 요청결과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권한에 따라 콘텐츠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의 요약정보만 조회할 수 있다면, 요약정보 만을 단말에 제공할 수 있고, 콘텐츠의 모든 정보를 조회할 수 있지만 가공할 권한이 없다면, 검색용 인터페이스만을 제공할 수 있다. 만일 별도의 요금이 부과되는 유료 콘텐츠라면 지불과 관련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부(150)는 정책 관리장치(400)로 서비스 요청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책을 요청하여, 대응하는 정책을 수신하면 이를 콘텐츠와 함께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벤트 로그 처리부(170)는 인증 요청부(120)의 인증정보 수신과 관련된 이벤트 로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과 관련된 이벤트 로그, 콘텐츠 생성부(140)의 콘텐츠 생성과 관련된 이벤트 로그, 상기 콘텐츠 제공부(150)의 콘텐츠 제공과 관련된 이벤트 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합 로그 장치(500)로 전달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로그인하여 콘텐츠를 등록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인증과정을 보여주는 이벤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폰(22)을 통하여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인증서를 선택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모바일폰(22)에 설치된 사용자 모듈을 통해서 입력된 정보가 암호화되어 콘텐츠 서비스 장치(100)로 로그인을 요청한다.
콘텐츠 서비스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정보를 통합인증장치(200)로 전달하면, 통합인증장치(200)는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복호화하고 검증한 후, 인증서 중계서버(900)로 보안정책에 따른 사용자 및 단말의 권한 정보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전송 받아서 이에 따른 사용자 및 단말의 접속 승인여부를 결정하여 그 결과를 콘텐츠 서비스 장치(100)로 전달하게 된다.
인증 결과를 전달받은 콘텐츠 서비스 장치(100)는 그 결과에 따라 단말의 로그인 요청을 수락하거나 거부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장치(100)에서 사용자가 콘텐츠를 등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이벤트 흐름도이다.
모바일폰(22)을 통해 사용자가 콘텐츠의 등록을 요청하면 서비스 장치(100)는 콘텐츠 검색 및 검사 단계(S410)에서 콘텐츠 제공자를 식별하고 콘텐츠의 등급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콘텐츠 편집/제작 단계(S420)에서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단말의 종류에 맞추어서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후 콘텐츠 변환 단계(S430) 에서 편집이 끝난 콘텐츠에 대하여 미리 등록된 다양한 기종에 맞추어 콘텐츠를 변환하고 메타데이터를 삽입하고 압축한다. 또한 콘텐츠 보안 단계(S440)에서 콘텐츠의 보호를 위하여 콘텐츠를 암호화하고 콘텐츠에 저작권 정보를 삽입한 후에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S450)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로그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로그 장치(500)는 로그 기록부(510), 로그 분류부(520), 로그 분석부(530), 로그 데이터베이스(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로그 장치(500)는 콘텐츠 서비스 장치(100), 통합 인증 장치(200), 접근 제어 장치(300), 정책 관리 장치(400)와 연계 되어 상기 장치(100-400)들이 동작하면서 발생하는 로그들을 기록하고 상기 로그의 분석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로그 장치(50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로그 기록부(510)는 콘텐츠 서비스 장치(100), 통합 인증 장치(200), 접근 제어 장치(300), 정책 관리 장치(400)가 콘텐츠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하여 수행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들과 관련된 이벤트 로그를 로그 데이터베이스(540)에 기록하는 부분일 수 있다.
한편, 이벤트 로그는 사용자 인증 관련 이벤트 로그, 단말 인증 관련된 이벤트 로그, 콘텐츠 인증 관련 이벤트 로그 및 콘텐츠 이용과 관련된 이벤트 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로그에는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정보, 서비스 요청에 사용된 단말에 대한 정보, 서비스 요청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 이벤트가 발생한 장치, 이벤트와 관련된 프로세스 식별자, 이벤트 발생 일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는 사용자 아이디, 로그인 상태, 로그인 시도 시간을 남기며, 로그인 실패 시에는 실패사유를 기록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의 이용과 관련된 로그에는 콘텐츠 이용을 요청한 사용자 아이디, 콘텐츠 정보, 사용자의 콘텐츠 신뢰성에 대한 사용자 동의여부, 이용 요청 결과, 지불 정보, 요청 시간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미성년자의 성인 콘텐츠 접속 시도와 같은 부적절한 접근에 대해서는 실패사유가 기록될 수 있다.
단말 인증과 관련된 로그라면, 단말 인증이 성공했을 경우에는 사용자 아이디, 인증 상태, 단말 종류, 단말의 MAC 주소, 인증 요청 시간이 기록되며, 인증에 실패 하였을 경우에는 실패사유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변경과 관련된 로그라면, 변환을 요청한 사용자 아이디, 변환 성공 여부, 변환된 단말의 종류, 단말의 MAC 주소, 변환 요청 시간을 기록하고, 변환 실패 시에는 실패사유가 기록된다.
로그 분류부(520)는 로그 데이터베이스(540)에 저장된 이벤트 로그를 미리 정해진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요약하여 요약된 로그를 로그 데이터베이스(540)에 저장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로그 분류부(520)는 로그 데이터베이스(540)에 저장된 이벤트 로그를 사용자 종류, 단말의 종류, 콘텐츠 종류, 이벤트 발생 장치, 이벤트 발생 일시, 이벤트와 관련된 프로세스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여 요약하고 요약된 로그를 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로그 분석부(530)는 로그 데이터베이스(540)에 저장된 요약 로그를 분석하여 로그 분류에 따른 시스템 사용 현황을 제공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기록된 로그 정보는 비 인가된 자의 부적절한 접근 시도를 파악하고, 로그인 관련 보안사고 발생 시 로그 분석을 통해 책임 추적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콘텐츠 이용과 관련된 로그는 사용자들의 콘텐츠의 이용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콘텐츠 지불과 관련된 정보는 사후 발생할 수 있는 금전적인 사고에 대한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청소년의 성인 콘텐츠 요청과 같은 부적절한 콘텐츠 접근 요청 시 접근 실패 로그를 남김으로써 청소년을 유해물로부터 보호하고 기타 콘텐츠 이용과 관련된 문제 발생 시 근거 자료로 활용 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인증 및 변환과 관련된 로그 정보는 인증되지 않은 단말의 부적절한 사용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인증된 단말만을 통해 콘텐츠 이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로그 분석부(530)는 장애 상황이 입력되면 장애 상황 별 로그분류 목록을 참조하여 로그 데이터베이스(540)에 저장된 요약 로그 중 장애상황에 대응되는 요약 로그를 추출함으로써, 추출된 요약 로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아래 표1은 장애 상황 별 대응되는 로그 종류를 예시하는 표이다.
번호 장애상황 로그 종류 입력요청항목
1 단말 변경 후 재생이 안되는 경우 단말변경 변경 전 단말, 변경후 단말, 재생중인 콘텐츠
2 콘텐츠 접근 실패 콘텐츠 이용 콘텐츠, 사용자, 단말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장애 상황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공하고 사용자가 장애상황을 선택하면, 표1에 제시된 목록을 참조하여 장애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해야 할 항목을 선택하게 한 후, 입력된 항목에 기초하여 로그 종류에 따른 로그 요약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써 장애 원인을 신속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콜 센터에서 특정 콘텐츠 접근이 안된다는 장애상황에 대한 접수를 받은 경우, 콜 센터 운영자가 "콘텐츠 접근 실패"라는 장애상황을 선택하면, 콘텐츠, 사용자, 단말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되고, 해당 항목들을 입력 받으면, 이를 기초로 콘텐츠 이용과 관련되어 발생된 이벤트 로그 요약정보를 화면에 보여줌으로써 원인파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분석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치내용을 입력하게 하여 장애 상황별 문제해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통합로그장치에서 로그가 기록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로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될 수 있는 로그를 예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로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될 수 있는 로그는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로그(610), 콘텐츠의 이용과 관련된 로그(620), 단말의 인증과 관련된 로그(630) 및 콘텐츠 재생중 단말의 변경과 관련된 로그(6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로그(610)는 로그인 완료 이벤트(611)의 경우 사용자 고유번호, 로그인 성공여부, 이벤트 발생일시가 기록될 수 있다. 단말 인증과 관련된 로그(630)라면 인증완료 이벤트(631)의 경우 사용자 고유번호, 단말 인증 성공여부, 단말 종류, 단말 주소, 이벤트 발생 일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합 로그 장치(500)에서 기록된 로그 정보를 분석하여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관리자에게 실시간 리포팅 기능을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로그인시 발생하는 이벤트 로그가 기록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이벤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로그인하는 경우 통합 인증 장치(200)에서 사용자 유효성 검사(710)시 로그인 실패(711)와 로그인 완료(712)가 통합로그 장치(500)에 기록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인증 장치(200)에서 단말의 검사(720)시 단말인증 실패(721)와 단말 인증 완료(722)가 통합로그 장치(500)에 기록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로그가 기록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이벤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정책 관리 장치(400)에서 콘텐츠 신뢰성 검사(810)와 관련하여 콘텐츠 신뢰정보(811), 사용자 권한 확인(820)과 관련하여 성인물 콘텐츠 접근실패(821), 지불완료(830)와 관련하여 지불정보(831)가 각각 통합로그장치(500)를 통해서 기록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를 재생 중 단말을 변경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이벤트 로그가 기록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이벤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콘텐츠 재생도중 단말을 변경하는 경우 단말 검사(910)와 관련하여 단말 접근 실패(911), 단말이 성공적으로 변경된 경우 변경 단말 정보(921)가 각각 통합로그장치(500)를 통해서 기록되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1)

  1. 단말로부터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받는 콘텐츠 서비스 장치;
    상기 콘텐츠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및 단말에 대한 인증을 요청받으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인증서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에게 접속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단말의 종류 및 단말의 MAC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단말에 접속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 결과를 상기 콘텐츠 서비스 장치에 제공하는 통합 인증 장치;
    상기 콘텐츠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가 상기 요청에 따른 콘텐츠에 접근 권한이 있는지 요청받으면, 사용자의 연령에 따른 이용 가능한 콘텐츠 또는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종류에 따른 이용 가능한 콘텐츠를 확인한 후 접근 권한 여부를 상기 콘텐츠 서비스 장치에 제공하는 콘텐츠 접근 제어장치; 및
    상기 콘텐츠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요청에 따른 콘텐츠와 관련된 콘텐츠 보호 및 개인정보에 관한 정책을 요청받으면, 상기 요청받은 정책을 상기 콘텐츠 서비스 장치에 제공하는 정책 관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콘텐츠 서비스 장치는,
    상기 통합 인증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인증 결과에 포함된 단말의 기종 및 단말의 운영체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에 따른 콘텐츠를 상기 단말의 종류에 맞추어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콘텐츠와 상기 정책 관리 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요청받은 정책을 상기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단말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시간 재생 정보를 저장하고, 콘텐츠를 재생할 단말에 대한 변경이 있는 경우, 상기 실시간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변경된 단말에서 연속하여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비스 장치는,
    N-스크린 기술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비스 장치는,
    상기 콘텐츠 접근 제어장치에서 제공되는 상기 접근 권한 여부에 따라 상기 요청에 따른 콘텐츠 제공을 거부하거나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비스 장치, 상기 통합 인증 장치, 상기 콘텐츠 접근 제어장치 및 상기 정책 관리 장치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로그를 기록하는 통합 로그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벤트 로그는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이벤트 로그, 단말의 인증과 관련된 이벤트 로그, 콘텐츠 인증과 관련된 이벤트 로그 및 콘텐츠 이용과 관련된 이벤트 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로그는,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 정보,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요청한 단말에 대한 정보, 상기 서비스 요청받은 콘텐츠에 대한 정보, 상기 이벤트 로그가 발생한 장치 및 상기 이벤트 로그가 발생한 일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10122669A 2011-11-23 2011-11-23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KR101403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669A KR101403322B1 (ko) 2011-11-23 2011-11-23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669A KR101403322B1 (ko) 2011-11-23 2011-11-23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985A KR20130056985A (ko) 2013-05-31
KR101403322B1 true KR101403322B1 (ko) 2014-06-09

Family

ID=48664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669A KR101403322B1 (ko) 2011-11-23 2011-11-23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3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738B1 (ko) * 2013-06-11 2014-11-28 주식회사 티오이십일 컨텐츠 전송 시스템
KR101384819B1 (ko) * 2013-06-19 2014-04-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콘텐츠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1564421B1 (ko) 2014-05-02 2015-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656613B1 (ko) * 2015-04-09 2016-09-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N-스크린 서비스 제공서버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KR102361088B1 (ko) * 2015-11-27 2022-02-0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공유 방법
KR101872326B1 (ko) * 2016-06-20 2018-06-28 임송국 N-스크린 멀티미디어북 기반의 개인인터넷방송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운용시스템과 이의 운용방법
KR102117684B1 (ko) * 2019-02-01 2020-06-09 안상효 상품의 브랜드이미지 관리중개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15178B1 (ko) * 2019-07-19 2020-05-26 남궁세은 관람 등급 표시 기반의 뉴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3178A (ko) * 2003-05-31 200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81631A (ko) * 2007-03-06 2008-09-10 주식회사 팬택 이동 단말에 탑재되는 디지털 권한 관리 장치 및 이를이용한 디지털 권한 관리 방법
KR20090112880A (ko) * 2008-04-25 2009-10-29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 프로토콜 티브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67870A (ko) * 2009-12-15 2011-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pi 기능을 이용한 끊김 없는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3178A (ko) * 2003-05-31 200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81631A (ko) * 2007-03-06 2008-09-10 주식회사 팬택 이동 단말에 탑재되는 디지털 권한 관리 장치 및 이를이용한 디지털 권한 관리 방법
KR20090112880A (ko) * 2008-04-25 2009-10-29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 프로토콜 티브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67870A (ko) * 2009-12-15 2011-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pi 기능을 이용한 끊김 없는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985A (ko) 201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322B1 (ko)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KR102514325B1 (ko) 모델 훈련 시스템 및 방법과, 저장 매체
US8082350B2 (en) DRM interoperable system
US10158670B1 (en) Automatic privilege determination
CN102160391B (zh) 通过第三方网络的数字权利管理许可
US8387108B1 (en) Controlling identity disclosures
US20080103978A1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for audience measurement
US8429300B2 (en) Data transferring method
CN109660828B (zh) 视频资源管理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4472273B2 (ja) クライアント評価方法、クライアント評価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CN113269531A (zh) 基于云-端架构的多租户上网行为审计管控方法及相关设备
CN102843584A (zh) 网络终端的认证方法及系统
KR100751424B1 (ko) 디지털 극장의 영화 컨텐츠 송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25193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5308979A (zh) 显示装置和内容视听系统
TWI422206B (zh) 包容式金鑰認證方法
KR102213373B1 (ko)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유해 컨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08199618A (ja) パーソナル通信機器を用い追加情報を得る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CN101656684A (zh) 动态内容分发的内容访问鉴权方法、设备及系统
CN114676411A (zh) 一种认证方式识别的方法及设备
CN113973017B (zh) 一种商业智能平台数据处理系统及方法
CN110930234B (zh) 一种具有远程访问功能的财务管理方法
US88666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aggregation and communicating of process metadata of heterogeneous production process chains
Usoh et al. DEVELOPMENT OF CUSTOMER-CENTERED FORENSIC EVIDENCE DATA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NETWORK USERS
CN116795691A (zh) 一种接口安全认证测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