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250B1 - 통신단말기 및 그 통화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단말기 및 그 통화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250B1
KR101403250B1 KR1020120025677A KR20120025677A KR101403250B1 KR 101403250 B1 KR101403250 B1 KR 101403250B1 KR 1020120025677 A KR1020120025677 A KR 1020120025677A KR 20120025677 A KR20120025677 A KR 20120025677A KR 101403250 B1 KR101403250 B1 KR 101403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message
unit
c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4294A (ko
Inventor
정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025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250B1/ko
Publication of KR20130104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Arrangements for recalling a calling subscriber when the wanted subscriber ceases to be bus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단말기 및 그 통화 처리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는, 착신단말기에 통화를 시도한 경우, 착신단말기가 제3자단말기와 통화 중인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통화감지부; 통화감지부에 의해 착신단말기가 통화 중인 것으로 감지되면, 착신단말기에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메시지요청부; 및 착신단말기로부터 통화종료 안내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에게 착신단말기의 통화종료를 통보하는 통화종료통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단말기 및 그 통화 처리방법{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 및 그 통화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사업자에 관계없이 통신단말기 사이에 직접 통화종료안내를 요청하고 그에 대한 통화종료 안내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사업자의 개입에 의해 통신서비스 비용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 및 그 통화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 있어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유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유선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와 음성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서비스는 보편적인 생활로 여겨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통신단말기의 사용자는 다양한 부가서비스에 가입하여 보다 많은 통신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다.
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양한 통신 서비스 중에, 착신단말기에 대하여 통화를 시도하였을 때에 착신단말기가 다른 제3자와 통화 중인 경우에 대해 통화종료 상태를 알려주는 호 완료 서비스(CCS: Call Completion Service)가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호 완료 서비스는 통신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며, 따라서 호 완료 서비스에 가입한 통신단말기의 사용자는 일정한 기간 동안의 서비스 이용료를 지불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통신사업자에 관계없이 통신단말기 사이에 직접 통화종료안내를 요청하고 그에 대한 통화종료 안내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사업자의 개입에 의해 통신서비스 비용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 및 그 통화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는, 착신단말기에 통화를 시도한 경우, 착신단말기가 제3자단말기와 통화 중인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통화감지부; 통화감지부에 의해 착신단말기가 통화 중인 것으로 감지되면, 착신단말기에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메시지요청부; 및 착신단말기로부터 통화종료 안내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에게 착신단말기의 통화종료를 통보하는 통화종료통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통신단말기는, 착신단말기에 대한 통화자동연결 여부를 설정하는 자동연결설정부; 및 착신단말기가 자동연결설정부에 의해 통화자동연결로 설정된 경우, 착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통화종료 안내메시지에 대응하여 착신단말기에 통화를 시도하는 통화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화종료통보부는, 통화연결부에 의한 통화시도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통신단말기는, 착신단말기에 대한 통화종료 알림기능의 유무를 점검하는 기능점검부; 및 기능점검부에 의해 착신단말기가 통화종료 알림기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착신단말기에 통화종료 알림기능의 설치를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통신단말기는, 타인단말기와 통화중인 경우에 발신단말기로부터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요청신호수신부; 및 요청신호수신부를 통해 발신단말기로부터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타인단말기와 통화가 종료된 후 발신단말기에 통화종료 안내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통신단말기는, 주소록, 통화목록, 메시지송수신목록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통화종료 안내메시지의 전송대상을 설정하는 메시지전송대상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전송부는 발신단말기가 메시지전송대상설정부에 의해 통화종료 안내메시지의 전송대상으로 설정된 경우에 발신단말기에 통화종료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
전술한 통신단말기는, 주소록, 통화목록, 메시지송수신목록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즉시통화대상을 설정하는 즉시통화대상설정부; 및 타인단말기와 통화중인 상태에서 발신단말기로부터 통화시도신호가 수신되면, 발신단말기가 즉시통화대상설정부에 의해 즉시통화대상으로 설정된 경우에 타인단말기와 통화를 종료한 후 발신단말기에 통화를 시도하는 통화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처리방법은, 착신단말기에 통화를 시도한 통신단말기의 통화 처리방법에 있어서, 착신단말기가 타인단말기와 통화 중인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착신단말기가 통화 중인 것으로 감지되면, 착신단말기에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착신단말기로부터 통화종료 안내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에게 착신단말기의 통화종료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통화 처리방법은, 착신단말기에 대한 통화자동연결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 및 착신단말기가 통화자동연결로 설정된 경우, 착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통화종료 안내메시지에 대응하여 착신단말기에 통화를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통화 처리방법은, 통화종료 안내메시지에 대응하는 통화시도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통화 처리방법은, 착신단말기에 대한 통화종료 알림기능의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 및 착신단말기가 통화종료 알림기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착신단말기에 통화종료 알림기능의 설치를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처리방법은, 타인단말기와 통화 중 발신단말기로부터의 통화시도가 있는 경우의 통신단말기의 통화 처리방법에 있어서, 발신단말기로부터 통화종료안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타인단말기와 통화가 종료되면, 통화종료안내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발신단말기에 통화종료 안내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통화 처리방법은, 주소록, 통화목록, 메시지송수신목록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통화종료 안내메시지의 전송대상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화종료 안내메시지 전송단계는, 발신단말기가 통화종료 안내메시지의 전송대상으로 설정된 경우에 발신단말기에 통화종료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
전술한 통화 처리방법은, 주소록, 통화목록, 메시지송수신목록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즉시통화대상을 설정하는 단계; 및 타인단말기와 통화중인 상태에서 발신단말기로부터 통화시도신호가 수신되면, 발신단말기가 즉시통화대상으로 설정된 경우에 타인단말기와 통화를 종료한 후 발신단말기에 통화를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사업자에 관계없이 통신단말기 사이에 직접 통화종료안내를 요청하고 그에 대한 통화종료 안내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사업자의 개입에 의해 통신서비스 비용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착신단말기에 통화를 시도한 경우에 착신단말기가 통화 중이면 해당 통화가 종료한 후에 즉시 통화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신단말기의 통화가 종료한 후에 긴급한 통화를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사업자 등으로부터 무분별하게 통화종료안내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해당 광고사업자들에게 통화종료 안내메시지가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며, 설정된 지인들에 대해서만 통화종료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타인단말기와 통화 중인 경우에 발신단말기로부터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이 있으면, 해당 발신단말기에 대한 친밀도에 따라 발신단말기에 통화종료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통화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선별적이고 신속한 통화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 및 그 통화 처리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통신단말기(100)는 착신단말기(200)에 통화연결을 요청하는 발신단말기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발신단말기(300)로부터의 통화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착신단말기로서의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단말기(100)는 이동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유선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100)는 통화감지부(110), 메시지요청부(120), 통화종료통보부(130), 자동연결설정부(140), 통화연결부(150), 기능점검부(160), 메시지전송부(170), 요청신호수신부(180), 메시지전송대상설정부(190) 및 즉시통화대상설정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통화감지부(110)는 착신단말기(200)에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착신단말기(200)가 제3자단말기(도시하지 않음)와 통화 중인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이때, 통화감지부(110)는 착신단말기(200)에 통화를 시도하였을 때, 착신단말기(200)에 이미 호가 설정되어 있으면 해당 착신단말기(200)가 제3자단말기와 통화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메시지요청부(120)는 통화감지부(110)에 의해 착신단말기(200)가 통화 중인 것으로 감지되면, 착신단말기(200)에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메시지요청부(120)는 통신단말기(100)에 대한 고유식별번호를 통화종료안내 요청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화종료통보부(130)는 메시지요청부(120)에 의해 전송된 통화종료안내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착신단말기(200)로부터 통화종료 안내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에게 착신단말기(200)에 대한 통화종료를 통보한다. 이때, 통화종료통보부(130)는 통신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문자메시지의 형태로 표시하거나,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음성메시지 또는 설정된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자동연결설정부(140)는 착신단말기(200)에 대한 통화자동연결 여부를 설정한다. 이때, 자동연결설정부(140)는 주소록, 통화목록, 메시지송수신목록 등에 기 저장된 리스트에 기초하여 대상 착신단말기(200)를 선택하고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키(key)를 눌러 통화자동연결 여부를 설정하거나, 입력된 착신단말기(200)의 고유식별번호에 대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키를 선택하여 착신단말기(200)에 대한 통화자동연결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통화연결부(150)는 착신단말기(200)가 자동연결설정부(140)에 의해 통화자동연결로 설정된 경우, 착신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통화종료 안내메시지에 대응하여 착신단말기(200)에 자동으로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착신단말기(200)에 자동으로 통화가 시도되는 상태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통화종료통보부(130)는 통화연결부(150)에 의한 착신단말기(200)로의 통화시도 사실을 음성메시지, 문자메시지 또는 설정된 음향으로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100)는 착신단말기(200)에 통화를 시도한 경우에 착신단말기(200)가 통화 중이면 해당 통화가 종료한 후에 즉시 통화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신단말기(200)의 통화가 종료한 후에 긴급한 통화를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기능점검부(160)는 착신단말기(200)에 대하여 통화종료 알림기능을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이때, 통화종료 알림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100)와 연동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메시지전송부(170)는 기능점검부(160)에 의해 착신단말기(200)가 통화종료 알림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착신단말기(200)에 통화종료 알림기능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하는 메시지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공급하는 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신호수신부(180)는 통신단말기(100)가 타인단말기(도시하지 않음)와 통화 중인 경우에 발신단말기(300)로부터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통신단말기(100)가 발신단말기(300)의 통화연결 요청에 대한 착신단말기로서 동작하는 경우, 통신단말기(100)가 타인단말기와 통화 중이면 발신단말기(300)로부터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신호는 발신단말기(300)에 대한 고유식별번호를 포함한다. 이 경우, 메시지전송부(180)는 타인단말기와의 통화가 종료되면 요청신호수신부(180)를 통해 수신한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신호에 기초하여 발신단말기(300)를 식별하며, 해당 발신단말기(300)에 통화종료 안내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화종료 안내메시지는 통화종료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전송대상설정부(190)는 주소록, 통화목록, 메시지송수신목록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통화종료 안내메시지의 전송대상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메시지전송대상설정부(190)는 주소록, 통화목록, 메시지송수신목록 등의 기 저장된 리스트에 기초하여 특정 발신단말기(300)를 통화종료 안내메시지의 전송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전송부(180)는 타인단말기와의 통화가 종료되면 요청신호수신부(180)를 통해 수신한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신호에 기초하여 발신단말기(300)를 식별하며, 식별된 발신단말기(300)가 메시지전송대상설정부(190)에 의해 통화종료 안내메시지의 전송대상으로 설정된 경우에 한하여 해당 발신단말기(300)에 통화종료 안내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100)는 광고사업자 등으로부터 무분별하게 통화종료안내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해당 광고사업자들에게 통화종료 안내메시지가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며, 설정된 지인들에 대해서만 통화종료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즉시통화대상설정부(195)는 주소록, 통화목록, 메시지송수신목록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즉시통화대상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즉시통화대상설정부(195)는 주소록, 통화목록, 메시지송수신목록 등의 기 저장된 리스트에 기초하여 특정 발신단말기(300)를 즉시통화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화연결부(150)는 타인단말기와의 통화가 종료되면 요청신호수신부(180)를 통해 수신한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신호에 기초하여 발신단말기(300)를 식별하며, 식별된 발신단말기(300)가 즉시통화대상설정부(195)에 의해 즉시통화대상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해당 발신단말기(300)로 직접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100)는 타인단말기와 통화 중인 경우에 발신단말기(300)로부터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이 있으면, 해당 발신단말기(300)에 대한 친밀도에 따라 발신단말기(300)에 통화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신속한 통화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처리방법은 통신단말기(100)가 착신단말기(200)에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에 대한 통화 처리방법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통신단말기(100)가 착신단말기(200)에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통화감지부(110)는 착신단말기(200)가 제3자단말기와 통화 중인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202). 이때, 통화감지부(110)는 착신단말기(200)에 기 설정된 호가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해당 착신단말기(200)의 통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통화감지부(110)에 의해 착신단말기(200)가 통화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S204), 착신단말기(200)의 통화 수신에 따라 착신단말기(200)와 호가 연결되며(S205), 이에 대한 과정은 발명의 논지를 벗어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통화감지부(110)에 의해 착신단말기(200)가 통화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기능점검부(160)는 착신단말기(200)에 대하여 통화종료 알림기능을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S206). 이때, 통화종료 알림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100)와 연동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기능점검부(160)에 의해 착신단말기(200)가 통화종료 알림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208), 메시지전송부(170)는 착신단말기(200)에 통화종료 알림기능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210). 이때,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하는 메시지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공급하는 사이트의 URL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점검부(160)에 의해 착신단말기(200)가 통화종료 알림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메시지요청부(120)는 착신단말기(200)에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신호를 전송한다(S212). 이때, 메시지요청부(120)는 통신단말기(100)에 대한 고유식별번호를 통화종료안내 요청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연결설정부(140)는 착신단말기(200)에 대한 통화자동연결 여부를 설정한다(S214). 이때, 자동연결설정부(140)는 주소록, 통화목록, 메시지송수신목록 등에 기 저장된 리스트에 기초하여 대상 착신단말기(200)를 선택하고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키(key)를 눌러 통화자동연결 여부를 설정하거나, 입력된 착신단말기(200)의 고유식별번호에 대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키를 선택하여 착신단말기(200)에 대한 통화자동연결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메시지요청부(120)에 의해 전송된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착신단말기(200)로부터 통화종료 안내메시지가 수신되면(S216), 통화종료통보부(130)는 사용자에게 착신단말기(200)에 대한 통화종료를 통보한다(S218).
착신단말기(200)가 자동연결설정부(140)에 의해 통화자동연결로 설정된 경우(S220), 착신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통화종료 안내메시지에 대응하여 착신단말기(200)에 자동으로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S222). 이 경우,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착신단말기(200)에 자동으로 통화가 시도되는 상태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통화종료통보부(130)는 통화연결부(150)에 의한 착신단말기(200)로의 통화시도 사실을 음성메시지, 문자메시지 또는 설정된 음향으로 사용자에게 통보한다(S224).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100)는 착신단말기(200)에 통화를 시도한 경우에 착신단말기(200)가 통화 중이면 해당 통화가 종료한 후에 즉시 통화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신단말기(200)의 통화가 종료한 후에 긴급한 통화를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처리방법은 통신단말기(100)가 발신단말기(300)에 의해 시도된 통화에 대한 통화 처리방법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메시지전송대상설정부(190)는 주소록, 통화목록, 메시지송수신목록 등의 기 저장된 리스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 발신단말기(300)를 통화종료 안내메시지의 전송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S302).
또한, 즉시통화대상설정부(195)는 주소록, 통화목록, 메시지송수신목록 등의 기 저장된 리스트에 기초하여 특정 발신단말기(300)를 즉시통화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S304).
발신단말기(300)가 통신단말기(100)에 통화를 시도한 경우에 통신단말기(100)가 타인단말기와 통화 중이면(S306), 요청신호수신부(180)는 발신단말기(300)로부터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08). 이때,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신호는 발신단말기(300)에 대한 고유식별번호를 포함하며, 메시지전송부(180)는 타인단말기와의 통화가 종료되면 요청신호수신부(180)를 통해 수신한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신호에 기초하여 발신단말기(300)를 식별하고, 해당 발신단말기(300)에 통화종료 안내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전송부(180)는 발신단말기(300)가 메시지전송대상설정부(190)에 의해 통화종료 안내메시지의 전송대상으로 설정된 경우에 한하여(S310) 해당 발신단말기(300)에 통화종료 안내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S312).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100)는 광고사업자 등으로부터 무분별하게 통화종료안내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해당 광고사업자들에게 통화종료 안내메시지가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며, 설정된 지인들에 대해서만 통화종료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신단말기(300)가 즉시통화대상설정부(195)에 의해 즉시통화대상으로 설정된 경우(S314), 통화연결부(150)는 타인단말기와의 통화가 종료되면 요청신호수신부(180)를 통해 수신한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신호에 기초하여 발신단말기(300)를 식별하며, 식별된 발신단말기(300)가 즉시통화대상설정부(195)에 의해 즉시통화대상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해당 발신단말기(300)로 직접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S316).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100)는 타인단말기와 통화 중인 경우에 발신단말기(300)로부터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이 있으면, 해당 발신단말기(300)에 대한 친밀도에 따라 발신단말기(300)에 통화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신속한 통화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100: 통신단말기 110: 통화감지부
120: 메시지요청부 130: 통화종료통보부
140: 자동연결설정부 150: 통화연결부
160: 기능점검부 170: 메시지전송부
180: 요청신호수신부 190: 메시지전송대상설정부
195: 즉시통화대상설정부 200: 착신단말기
300: 발신단말기

Claims (14)

  1. 착신단말기에 통화를 시도한 경우, 상기 착신단말기가 제3자단말기와 통화 중인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통화감지부;
    상기 통화감지부에 의해 상기 착신단말기가 통화 중인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착신단말기에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메시지요청부;
    상기 착신단말기에 대한 통화종료 알림기능의 유무를 점검하는 기능점검부;
    상기 기능점검부에 의해 상기 착신단말기가 통화종료 알림기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착신단말기에 통화종료 알림기능의 설치를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 및
    상기 착신단말기로부터 통화종료 안내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에게 상기 착신단말기의 통화종료를 통보하는 통화종료통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단말기에 대한 통화자동연결 여부를 설정하는 자동연결설정부; 및
    상기 착신단말기가 상기 자동연결설정부에 의해 통화자동연결로 설정된 경우, 상기 착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통화종료 안내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착신단말기에 통화를 시도하는 통화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종료통보부는,
    상기 통화연결부에 의한 통화시도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타인단말기와 통화중인 경우에 발신단말기로부터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요청신호수신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전송부는 상기 요청신호수신부를 통해 상기 발신단말기로부터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타인단말기와 통화가 종료된 후 상기 발신단말기에 통화종료 안내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주소록, 통화목록, 메시지송수신목록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통화종료 안내메시지의 전송대상을 설정하는 메시지전송대상설정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전송부는 상기 발신단말기가 상기 메시지전송대상설정부에 의해 통화종료 안내메시지의 전송대상으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발신단말기에 통화종료 안내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주소록, 통화목록, 메시지송수신목록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즉시통화대상을 설정하는 즉시통화대상설정부; 및
    타인단말기와 통화중인 상태에서 발신단말기로부터 통화시도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발신단말기가 상기 즉시통화대상설정부에 의해 즉시통화대상으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타인단말기와 통화를 종료한 후 상기 발신단말기에 통화를 시도하는 통화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8. 착신단말기에 통화를 시도한 통신단말기의 통화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착신단말기가 타인단말기와 통화 중인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착신단말기가 통화 중인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착신단말기에 통화종료안내에 대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착신단말기에 대한 통화종료 알림기능의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
    상기 착신단말기가 통화종료 알림기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착신단말기에 통화종료 알림기능의 설치를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단말기로부터 통화종료 안내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에게 상기 착신단말기의 통화종료를 통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처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단말기에 대한 통화자동연결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단말기가 통화자동연결로 설정된 경우, 상기 착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통화종료 안내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착신단말기에 통화를 시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처리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종료 안내메시지에 대응하는 통화시도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처리방법.
  11. 삭제
  12. 타인단말기와 통화 중 발신단말기로부터의 통화시도가 있는 경우의 통신단말기의 통화 처리방법에 있어서,
    주소록, 통화목록, 메시지송수신목록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통화종료 안내메시지의 전송대상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발신단말기로부터 통화종료안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인단말기와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발신단말기가 상기 통화종료 안내메시지의 전송대상으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통화종료안내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단말기에 통화종료 안내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처리방법.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주소록, 통화목록, 메시지송수신목록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즉시통화대상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인단말기와 통화중인 상태에서 발신단말기로부터 통화시도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발신단말기가 상기 즉시통화대상으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타인단말기와 통화를 종료한 후 상기 발신단말기에 통화를 시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처리방법.


KR1020120025677A 2012-03-13 2012-03-13 통신단말기 및 그 통화 처리방법 KR101403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677A KR101403250B1 (ko) 2012-03-13 2012-03-13 통신단말기 및 그 통화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677A KR101403250B1 (ko) 2012-03-13 2012-03-13 통신단말기 및 그 통화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294A KR20130104294A (ko) 2013-09-25
KR101403250B1 true KR101403250B1 (ko) 2014-06-03

Family

ID=4945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677A KR101403250B1 (ko) 2012-03-13 2012-03-13 통신단말기 및 그 통화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2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789B1 (ko) * 1996-12-17 2000-01-15 서평원 사설교환기에서의 자동 통화 연결방법
JP2007036892A (ja) * 2005-07-28 2007-02-08 Kyocera Corp 電話システム、電話機、及び通話終了通知方法
KR20070072801A (ko) * 2006-01-02 2007-07-05 주식회사 팬택 착신 대기 상태 알림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78649A (ko) * 2006-01-27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중 예약 호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789B1 (ko) * 1996-12-17 2000-01-15 서평원 사설교환기에서의 자동 통화 연결방법
JP2007036892A (ja) * 2005-07-28 2007-02-08 Kyocera Corp 電話システム、電話機、及び通話終了通知方法
KR20070072801A (ko) * 2006-01-02 2007-07-05 주식회사 팬택 착신 대기 상태 알림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78649A (ko) * 2006-01-27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중 예약 호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294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402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호 연결 장치 및 방법
JP4503553B2 (ja)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CN100407806C (zh) 在移动通信系统中检查消息的始发者信息的装置和方法
CN102577283B (zh) 用于语音和其他cs域服务的规定的设备及方法
KR10070350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자 식별정보 기능 서비스 방법
KR101410711B1 (ko) 호 시도 통지
KR101403250B1 (ko) 통신단말기 및 그 통화 처리방법
CN105991837A (zh) 一种提示方法、装置及终端
KR10067516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연결실패 알림 방법
KR100932245B1 (ko) 국제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66411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CN104333853A (zh) 一种基于ims的通信方法及系统
KR100602277B1 (ko) 원폰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및해지 알림 방법
KR101012238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1655460B1 (ko) 착신전환 방법
KR101078938B1 (ko) 일반전화의 통화가능 상태를 통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621406B1 (ko) 주소록 기반의 통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598585B1 (ko) 통화 유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976736B1 (ko) 착신 불가 호에 대한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658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100631590B1 (ko) 무선통신시스템의 발신정보 서비스 방법
KR2006005965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21124A (ko) 콘텐츠 데이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발신자 정보 전송 방법
KR101208982B1 (ko) 휴대통신시스템의 요금할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028121B1 (ko) 통화응답 알림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