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941B1 - Curriculum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group technology - Google Patents

Curriculum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group technolog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941B1
KR101402941B1 KR1020120154717A KR20120154717A KR101402941B1 KR 101402941 B1 KR101402941 B1 KR 101402941B1 KR 1020120154717 A KR1020120154717 A KR 1020120154717A KR 20120154717 A KR20120154717 A KR 20120154717A KR 101402941 B1 KR101402941 B1 KR 101402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code
classification
databa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7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렬
유화영
박가은
안정아
최우석
김성윤
Original Assignee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54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9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9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ademic course classification/coding system using a group technology. The academic course classification/coding system using a group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ademic course database (10); academic course code input unit (20); academic course title input unit (30); a first academic course search unit (40); a second academic course search unit (50); and an academic course output unit (60). Also, the academic course database (10) includes: an integrated database generator (110); an academic course database classification system database (120); an academic course code database (130); and an academic course management unit (140).

Description

그룹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교과목 분류 및 코딩 시스템{Curriculum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Group Technology}{Curriculum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Group Technolog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그룹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교과목 분류 및 코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ss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group technology.

과학기술의 눈부신 발달과 사회가 글로벌화 되면서 학문영역은 더욱 세분화되고 전문화되어, 대학의 커리큘럼 또한 이러한 사회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새로운 교과목의 탄생과 시대에 뒤떨어진 교과목의 폐강을 반복해오고 있다. 지식 기반 사회에서는 한 분야의 전문지식 보다는 다양한 관련 분야의 지식을 융합하고 응용할 수 있는 인재를 필요로 한다. As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globalization of society, the field of study has become more fragmented and specialized, and the curriculum of the university has been repeating the birth of various new subjects and the withdrawal of outdated subjects in order to cope with this social environment change.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people need talents that can converge and apply knowledge in various related fields rather than expert knowledge in one field.

학생들에게 다양한 과목에 대한 수강 기회를 주기 위해 필수 보다는 선택 과목의 수가 급속히 늘고 있는 추세에 보통의 4년제 대학 내에서 개설되는 교과목의 숫자는 1000개 이상으로 추측된다. 하지만, 대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교과목 코드체계는 단순히 각 전공분야별 교양과목 또는 전공과목 정도로는 분류가 가능하나, 서로 다른 단과대학 또는 다른 전공분야에 개설된 교과목 들 사이의 연관관계에 대한 정보는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아서, 수강을 원하는 교과목에 대한 탐색이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또한, 이렇게 많은 교과목들을 필요에 따라 일목 요연하게 정리하거나 살펴보기 위해서는 컴퓨터의 도움 없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The number of elective courses is increasing rapidly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take courses in various subjects, and the number of courses offered in ordinary four-year colleges is estimated to be more than 1,000. However, existing curriculum codes used in universities can be categorized into liberal arts or major courses in each major field, but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s opened in different colleges or other major fields at all. It is almost impossible to search for courses that you want to enroll. In addition, it is not practically possible to arrange or look at such a large number of subjects as needed without the help of a computer.

따라서, 대부분의 국내 대학의 경우에는 교과목에 대한 체계화를 위하여 학과 또는 전공 별로 교과목 코드를 부여하고 테이블 형태로 정리되거나 선/후수 과목 관련 도표 등의 형태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의 교과목 코드는 각 전공분야별 교양과목 또는 전공과목 정도로는 분류가 가능하나, 서로 다른 전공분야에 개설된 교과목 들 사이의 연관관계에 대한 정보는 포함하고 있지 않아서, 수강을 원하는 유사한 교과목에 대한 탐색에는 전혀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most domestic universities, the curriculum code is assigned to each department or major for systematization of the curriculum, and it is expressed in the form of a table or in the form of a chart related to the curriculum. However, in this case, the subject code can be categorized into liberal arts or majors in each major field, but it does not include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opened in different major field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help at all.

한편, 외국 대학의 경우, 일본 D 대학에서 사전에 개발된 과학 및 공학분야의 지식 탐색엔진인 MIMA (Mining Information for Management and Acquisition) 서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주제어에 대해 자동으로 관련 교과목뿐만 아니라 특허, 논문, 기술자료 등 다양한 매체로부터 관련된 정보를 찾아서 보여 주는 종합적인 구조화 및 가시화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의의는 MIMA 서치의 강력한 탐색 기능을 이용하여 교과목 목록들을 체계화하고 가시화 해준 최초의 시도이며, 유사한 사용자 입력 키워드 들을 정규화를 통해 하나의 표준 명칭으로 변환하고, 의미론적 관련성을 인식하여 교과목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과학적 접근방법에 둘 수 있다.
In the case of foreign universities, MIMA (Mining Information for Management and Acquisition) search, which is a knowledge search engine of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developed in advance at Japan D University, is used to automatically It uses a comprehensive structuring and visualization system that finds relevant information from various media such as patents, papers, and technical data. The significance of this system is the first attempt to systematize and visualize the subject lists using powerful searching functions of MIMA search. It converts similar user input keywords into one standard name through normalization, recognizes the semantic relation, Can be placed in a scientific approach to calculating similariti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존의 교과목 코드에 그룹테크놀로지 기법을 응용하여 유사한 과목의 검색이 용이한 새로운 교과목 코드체계를 수립할 수 있는 그룹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교과목 분류 및 코딩시스템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ass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a group technology that can establish a new subject code system that can easily search similar subjects by applying a group technology technique to an existing subject cod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학생들의 편리한 수강신청을 가능하게 하며, 특히 서로 다른 단과 대학 또는 전공 학과에 개설된 다양한 교과목들 중 학생들이 원하는 교과목을 쉽게 탐색하여 검토할 수 있도록 하는 그룹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교과목 분류 및 코딩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convenient enrollment of students, and in particular, a group technology that allows students to easily search for and review a desired course among various courses offered in different colleges or departments And provides a class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셀프-오리엔테이션을 통해 학생 스스로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적절한 수강과목을 선정하는 데 도움을 주고, 대학원생 및 교수들에게는 관련 교과목들의 계층화 및 그룹화를 통해 강의 탐색 및 융합 영역 개발과 같은 연구 활동에 지원할 수 있는 그룹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교과목 분류 및 코딩시스템을 제공한다.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elp students set their own learning goals and select appropriate courses through self-orientation, and provide grades and groups of graduate students and professors with classifications and grouping of courses, It provides a class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group technology that can support research activities such as develop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그룹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교과목 분류 및 코딩시스템은, 각각의 교과목을 분야별로 계층적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고유한 코드를 부여하여 생성한 교과목 분류체계가 저장되는 교과목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로부터 교과목에 대한 코드가 입력되는 교과목 코드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교과목에 대한 교과명이 입력되는 교과목 명칭 입력부; 상기 교과목 분류체계 중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교과목에 대한 코드에서, 제1 자리수만큼의 코드에 해당되는 메인분류 교과목들을 탐색하는 제1 메인분류 교과목 탐색부와, 상기 제1 자리수 다음의 첫번째 자리수에 해당되는 일반 또는 실습 교과목들을 탐색하는 제1 등급분류 교과목 탐색부를 포함하는 제1 교과목 탐색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교과목 명칭에서, 상기 교과목 분류체계에 포함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교과목 명칭과 유사한 메인 분류 교과목을 포함하는 메인 교과목 분류체계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선택을 요청하는 선택요청부와, 상기 메인 교과목 분류체계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 선택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선택과 상기 교과목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임시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임시코드를 기초로 제1 자리수만큼의 코드에 해당되는 메인분류 교과목들을 탐색하는 제2 메인분류 교과목 탐색부와, 상기 제1 자리수 다음의 첫번째 자리수에 해당되는 일반 또는 실습 교과목들을 탐색하는 제2 등급분류 교과목 탐색부를 포함하는 제2 교과목 탐색부; 및 상기 제1 교과목 탐색부 또는 제2 교과목 탐색부로부터 탐색된 교과목들을 출력하는 교과목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bject classifying and coding system using group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ject database in which a subject classifying system generated by classifying each subject in a hierarchical manner and assigning a unique code to each subject is stored; A course code input unit for inputting a code for a subject from a user; A subject name input unit for inputting a subject name for the subject from the user; A first main classification subject search unit searching for main classification subject lines corresponding to codes of a first digit in a code for a subject inputted from a user among the subject classification schemes; A first class subject search unit including a first class class subject search unit for searching general or practical subjects; A selection request unit for outputting a main curriculum classification system including a main curriculum class similar to a name of a curriculum item included in the curriculum classification system inputted from a user and inputted from a user and requesting a user to make a selection, A code generator for generating a temporary code based on the user selection and the subject database; and a code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de corresponding to a code of a first digit based on the generated temporary code, A second class subject search unit including a second main class subject search unit searching for main classified subjects, and a second class subject search unit searching for general or practical subjec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gits after the first digit; And a cours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ubject items retrieved from the first course search unit or the second course search unit.

상기 교과목 데이터베이스는 학교 내 수강가능한 교과목에 대한 강의를 개설한 단과 대학 및 학과 정보, 교과목을 강의하는 강사의 개인 정보를 교과목에 대한 명칭 별로 통합한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 생성부;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서의 각각의 교과목을 분야별로 계층적으로 분류하는 교과목 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 상기 교과목 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에서 분류된 각각의 교과목에 대한 고유한 코드를 부여하는 교과목 코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분야별로 계층적으로 분류되어 각각의 고유한 코드가 부여된 교과목을 매칭시켜 유사한 교과목을 그룹화한 교과목 분류체계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교과목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 생성부는 교수 성명을 전공 별로 분류하여 코드를 부여한 교수 코드 데이터베이스 생성부와, 교과목 명칭을 전공 별로 분류하여 코드를 부여한 전공 코드 데이터베이스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bject database includes an integrated databas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integrated database in which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instructor teaching the subjects and the subject information of the subject college and the course in which the subjects are taught, A subject classification system database for hierarchically classifying each subject in the integrated database by field; A subject code database for assigning a unique code to each subject classified in the subject classification scheme database; And a curriculum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and managing a curriculum classification system in which similar curriculums are grouped by classifying curriculums classified in a hierarchical manner according to each field and matching each curriculum to which each unique code is assigned, And a major code database generating unit for assigning codes by classifying the subject names into major classes.

상기 제1 자리수 코드는 교과목의 대분류 정보, 중분류 정보, 소분류 정보를 나타내는 코드번호이고, 상기 제1 자리수 다음의 첫번째 코드는 상기 일반 또는 실습 교과목 정보이며, 상기 첫번째 코드의 다음의 코드는 전공 정보, 교수 정보, 학년 정보를 나타내는 코드번호일 수 있다.The first code after the first digit is information of the general or practical subject, and the next code of the first code is information of major, major, and minor classes, Professor information, and grade information.

상기 일반 교과목 정보는 기초, 필수 및 심화 교과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실습 교과목 정보는 기초 및 심화 교과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eneral subject information includes basic, essential, and enriched subject information, and the subject subject information may include basic and enriched subject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교과목 분류 및 코딩시스템은 기존의 교과목 코드에 그룹테크놀로지 기법을 응용하여 유사한 과목의 검색이 용이한 새로운 교과목 코드체계를 수립할 수 있다.The class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the group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stablish a new subject code system that can easily search for similar subjects by applying the group technology technique to the existing subject cod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강신청하는 학생들의 관심있는 교과목과 연관된 과목들을 검색하여 과목들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한 후, 편리하게 수강 신청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arch for courses related to a subject of interest of the students applying for enrollment, perform a comparison analysis on the subjects, and then make it easy to enrol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존의 교과목 코드를 대체하여 융복합 시대에 부응하는 교과목 코드의 표준화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the standardization of the curriculum code corresponding to the fusion complex era by replacing the existing curriculum cod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학생들이 신입생부터 졸업 때까지 자신만의 수강계획을 미리 설계할 수 있는 셀프 오리엔테이션(Self - Orientation)을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self-orientation in which students can design their own learning plan from freshman to gradu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교과목 분류 및 코딩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교과목 분류 및 코딩 시스템의 동작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lass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group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briefly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class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group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EXEMPLARY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d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서는 그룹테크놀로지(Group Technology) 기법을 교과목 코드체계 수립에 접목하여, 모든 교과목들을 유사성에 따라 분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교과목 실라버스의 속성들을 코드체계에 포함하도록 체계적으로 그룹화하였다. 즉, 이렇게 부여된 교과목 코드체계에서는 유사한 코드를 갖는 교과목들은 유사한 특성을 갖는 교과목 그룹이 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ssify all the subjects according to similarity, the group technology is grouped into the code system so that the attributes of the subject syllabus are included in the code system. In other words, in the assigned subject code system, subjects with similar codes become subject group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교과목 코드에 의해 유사 교과목들을 탐색할 수 있는 교과목 분류 및 코딩 시스템을 구현하여, 교과목 실라버스 사이의 연관성을 하나의 나무구조 형태로 보여 줄 수 있다면 교과목 간의 선후수관계는 물론, 학문 간의 관련성, 교과목 편성의 다양성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으며, 학생들의 편리한 수강과목 선정은 물론이며, 교수들의 학생 수강지도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a class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capable of searching for similar subjects by the subject code can be implemented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subject can be shown in the form of a single tree structure, And the diversity of the curriculum. In addition, students can easily select courses and provide important grounds for instructing students to take cours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교과목 분류 및 코딩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교과목 분류 및 코딩 시스템의 동작을 일 예를 들어 간략하게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lass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group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lass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operation using group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simplified flowchart.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교과목 분류 및 코딩 시스템은 교과목 데이터베이스(10), 교과목 코드 입력부(20), 교과목 명칭 입력부(30), 제1 교과목 탐색부(40), 제2 교과목 탐색부(50) 및 교과목 출력부(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class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group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ject database 10, a subject code input unit 20, a subject name input unit 30, a first subject search unit 40, a second course search unit 50, and a course output unit 60.

상기 교과목 데이터베이스(10)는 각각의 교과목을 분야별로 계층적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고유한 코드를 부여하여 생성한 교과목 분류체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교과목 데이터베이스(10)는 통합 데이터베이스 생성부(110), 교과목 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20), 교과목 코드 데이터베이스(130) 및 교과목 관리부(140)를 포함한다.The curriculum database 10 includes a curriculum classification system in which curriculums of respective curriculums are hierarchically classified according to fields, and then each curriculum is given a unique code. In order to implement this operation, the subject database 10 includes an integrated database generation unit 110, a subject classification system database 120, a subject code database 130, and a subject management unit 140.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 생성부(110)는 학교 내 수강가능한 교과목에 대한 강의를 개설한 단과 대학 및 학과 정보, 교과목을 강의하는 강사의 개인 정보를 교과목에 대한 명칭 별로 통합한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이러한 통합 데이터베이스 생성부(110)는 교수 성명을 전공 별로 일렬로 분류하여 코드를 부여한 교수 코드 데이터베이스 생성부(111)와, 교과목 명칭을 전공 별로 일렬로 분류하여 코드를 부여한 전공 코드 데이터베이스 생성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tegrated database generation unit 110 generates an integrated database that integrates college and department information, which provides a lecture on classes that can be taken in the school, and personal information of a lecturer who teaches a subject, by name for each subject. The integrated database generation unit 110 includes a teaching code database generation unit 111 that classifies teaching names into a series according to major and assigns codes, a major code database generation unit 112 that classifies the subject names into a series by major, ).

상기 교과목 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20)는 통합 데이터베이스에서의 각각의 교과목을 [표 2]에서와 같이, 분야별로 계층적으로 분류한다. The curriculum classification system database 120 classifies each subject in the integrated database hierarchically according to fields as shown in [Table 2].

상기 교과목 코드 데이터베이스(130)는 교과목 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20)에서 분류된 각각의 교과목에 대하여 고유한 코드를 부여한다. The curriculum code database 130 gives a unique code to each subject classified in the curriculum classification system database 120.

상기 교과목 관리부(140)는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분야별로 계층적으로 분류되어 각각의 고유한 코드가 부여된 교과목을 매칭시켜 유사한 교과목을 그룹화한 교과목 분류체계를 생성하여 관리한다. The curriculum management unit 140 creates and manages a curriculum classification system in which similar curriculums are grouped by matching curriculums assigned with unique codes classified into an integrated database and fields.

또한, 상기 교과목 코드 데이터베이스(130) 및 교과목 관리부(140)는 관리자에 의하여 새롭게 추가 및 변경된 교과목 또는 교수 정보를 기존 교과목 데이터베이스에 업로드하여 변경할 수 있다.Also, the curriculum code database 130 and the curriculum management unit 140 can upload and change the newly added and changed curriculum or teaching information to the existing curriculum database by the administrator.

상기 교과목 코드 입력부(20)는 사용자로부터 교과목에 대한 코드가 입력되고, 상기 교과목 명칭 입력부(30)는 사용자로부터 교과목에 대한 교과명이 입력된다. 상기 교과목 코드 입력부(20)와 교과목 명칭 입력부(30)는 본 그룹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교과목 분류 및 코딩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제공된다. 즉, 본 그룹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교과목 분류 및 코딩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웹기반으로 동작하므로, 사용자 인퍼테이스 화면은 웹문서의 형태로 제작되어 저장된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생성, 전송, 데이터 수신 등과 관련된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익히 알 수 있는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urse code input unit 20 inputs a code for a subject from a user, and the subject name input unit 30 inputs a subject name for the subject from the user. The curriculum code input unit 20 and the curriculum name input unit 30 are provided as a user interface screen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user in a curriculum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the group technology. In other words, the class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the group technology operates basically as web-based, so the user interface screen is produced and stored in the form of a web document. Such a technique related to generation, transmission, data reception, and the like of the user interface screen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1 교과목 탐색부(40)는 교과목 분류체계 중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교과목에 대한 코드에서, 제1 자리수만큼의 코드에 해당되는 메인분류 교과목들을 탐색하는 제1 메인분류 교과목 탐색부(410)와, 제1 자리수 다음의 첫번째 자리수에 해당되는 일반 또는 실습 교과목들을 탐색하는 제1 등급분류 교과목 탐색부(42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교과목 탐색부(40)는 사용자가 교과목 코드 14자리를 입력하는 경우, 처음 1~5자리에 대한 메인분류 교과목들을 탐색한 다음, 출력 양식을 위하여 6자리의 코드에 해당되는 일반 또는 실습 교과목들을 탐색하게 된다.The first class subject search unit 40 includes a first main class class subject search unit 410 for searching for main class subjects corresponding to codes of a first digit in a code for a subject inputted from a user in the class classification system, And a first classifying course search unit 420 for searching for general or practical subjec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git after the first digit.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the 14-digit subject code, the first subject search unit 40 searches for the main classified subjects for the first 1-5 digits, The students will search for general or practical subjects.

상기 제2 교과목 탐색부(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교과목 명칭에서, 상기 교과목 분류체계에 포함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교과목 명칭과 유사한 메인 분류 교과목을 포함하는 메인 교과목 분류체계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선택을 요청하는 선택요청부(510)와, 상기 메인 교과목 분류체계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 선택입력부(520)와, 상기 사용자 선택과 상기 교과목 데이터베이스(10)에 기초하여 임시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부(530)와, 상기 생성된 임시코드를 기초로 제1 자리수만큼의 코드에 해당되는 메인분류 교과목들을 탐색하는 제2 메인분류 교과목 탐색부(540)와, 상기 제1 자리수 다음의 첫번째 자리수에 해당되는 일반 또는 실습 교과목들을 탐색하는 제2 등급분류 교과목 탐색부(55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교과목 탐색부(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교과목 명칭과 유사한 메인 분류 교과목을 포함하는 메인 교과목 분류체계(즉,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를 선택요청부(510)와 선택입력부(520)를 통하여 출력하여 차례대로 사용자에게 선택을 요청하여 입력받는다. 그런 다음, 상기 코드생성부(530)가 사용자의 선택과 교과목 데이터 베이스(10)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메인 교과목 분류체계에 대한 임시코드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제1 교과목 탐색부(50)의 동작과 동일하게, 상기 생성된 코드를 기초로 제1 자리수와 제1 자리수 다음의 첫번째 코드에 해당되는 메인 분류 교과목과 일반 또는 실습 교과목을 차례대로 탐색하게 된다.The second subject search unit 50 outputs a main subject classification scheme including a main subject category similar to a subject name input from the user and included in the subject classification scheme in the subject name inputted by the user, A selection input unit 520 for inputting a user selection for the main curriculum classification system, a cod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temporary code based on the user selection and the curriculum database 10, A second main classification subject search unit 540 for searching for main classification subject lines corresponding to a code corresponding to a first digit based on the generated temporary code, And a second classifying subject search unit 550 for searching for general or practical subjects. For example, the second subject search unit 50 may search for a main subject classification system (i.e., a main category, a middle category, a small category) including a main category subject similar to a subject name input from a user, And outputs it through the input unit 520 to request the user to sequentially select and input the selection. Then, the code generating unit 530 generates a temporary code for the main subject classification system selected by the user based on the selection of the user and the subject database 10. Then, in the same manner as the operation of the first subject search unit 50, a main classification subject and a general or practical su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git and the first code after the first digit are sequentially searched based on the generated code .

상기 제1 자리수 코드는 교과목의 대분류 정보, 중분류 정보, 소분류 정보를 나타내는 코드번호이고, 상기 제1 자리수 다음의 첫번째 코드는 교과목의 등급 정보이고, 상기 첫번째 코드의 다음의 코드는 전공 정보, 교수 정보, 학년 정보를 나타내는 코드번호이다. 예를 들면, 교과목 코드가 14자리일 경우, 상기 제1 자리수 코드는 1~5자리 코드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자리수 다음의 첫번째 코드는 6번째 코드일 수 있으며, 첫번째 코드의 다음의 코드는 7~14자리 코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교과목의 등급 정보는 일반 교과목 정보와 실습 교과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 교과목 정보는 기초, 필수 및 심화 교과목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실습 교과목 정보는 기초 및 심화 교과목 정보를 포함한다.Wherein the first code after the first digit is class information of the subject, and the next code of the first code is information on major, professor , And a code number indicating grade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course code is 14 digits, the first digit code may be a 1 to 5 digit code, the first code after the first digit may be the sixth code, and the next code of the first code Can be a 7 to 14 digit code. In addition, the class information of the subject includes general subject information and practice subject information, and the general subject information includes basic, essential, and enriched subject information, and the subject information includes basic and enrichment subject information.

상기 교과목 출력부(60)는 제1 교과목 탐색부(40) 또는 제2 교과목 탐색부(50)로부터 탐색된 교과목들을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교과목 출력부(60)는 제1 교과목 탐색부(40) 또는 제2 교과목 탐색부(50)로부터 탐색된 메인분류 교과목과 메인분류 교과목이 일반 또는 실습 교과별로 분류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교과목에 대한 상세한 정보(강사명, 연락처, 개설대학 및 학과, 개설학년 등)도 출력할 수 있게 된다.The course output unit 60 outputs the subject matter searched from the first subject search unit 40 or the second subject search unit 50. [ For example, the curriculum output unit 60 may output information classified into general classes or practice classes to the main classification subject and the main classification subject, which are searched from the first subject search unit 40 or the second subject search unit 50, . At this time, the user can also output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ubject such as a name of the instructor, a contact, an established university and a department, a school year, etc., if desir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그룹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교과목 분류 및 코딩시스템을 적용한 실험예를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험예에서는 시범적으로 국내 K 대학교의 공과대학에서 개설되는 모든 교과목들의 분류 및 코딩에 한정하였으며, 그 구체적 접근방법은 다음과 같이 교과목의 GT(Group Technology) 코딩, 교과목 GT 데이터베이스 구축, 검색 엔진, 결과 출력(주제별 관련 교과목 목록, 선/후수 과목 목록, 과별 분류 등) 과정을 거치게 된다.An experimental example in which a class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the group technolog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this experimental example, the classification and coding of all the courses that are opened at K university in Korea are limited. The concrete approach is as follows: GT (Group Technology) coding of subject, , Result output (subject-related subject list, line / post-subject list, classification, etc.).

우선, 교과목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될 교과목의 분류 및 코딩작업은 현재 K 공과대학에 개설된 약 250 과목들에 대해 실시되었다. 이에 따라, 공과대학에 소속하는 학과들을 나열하고, 각 학과의 전공관련과목들을 비교 분석하여 유사한 과목들을 그룹화하여 코드를 부여하였다. 일 예로, 코딩 체계는 기본적으로 [표 1]과 같이 14자리로 구성된다.First, classification and coding of the subjects to be stored in the subject database 10 were conducted on about 250 subjects currently held at K engineering university. Accordingly, the courses belonging to the College of Engineering were listed, and comparative analysis of subjects related to each department was made, and similar courses were grouped and assigned codes. For example, the coding scheme is basically composed of 14 digits as shown in [Table 1].

교과목명Course Title 대분류
(학문)
Main Category
(Scholarship)
중분류
(전공)
Middle class
(Major)
소분류
(세부전공)
Small classification
(Detailed major)
형태
(수준/형)
shape
(Level / type)
전공일련번호Major serial number 교수코드Professor Code 학년grade
00 0000 0000 00 00000000 000000 00

여기서, 대분류는 학문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이며 한 자리 숫자를 부여한다. 예를 들면, 과학기술 분야는 5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중분류는 학문 영역에서 더 나아가 전공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두 자리를 부여한다. 예를 들면, 물리/화학은 15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소분류는 전공 중에서도 세부 전공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두 자리를 부여한다. 예를 들면, 보건/위생은 10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형태는 전공 과목 중에서 그 과목의 형태를 나타내는 영역으로 한 자리를 부여한다. 예를 들면, 일반 교과목인 경우에는 세 가지로 분류되어 전공기초는 1, 전공필수는 3, 전공심화는 5로, 설계/실습/프로젝트는 두 가지로 분류되어 기초는 7, 심화는 8로 부여할 수 있다. 전공 일련번호는 모든 전공명칭을 오름차순으로 나열하고 전공 내 교과목 들을 역시 오름차순으로 나열한 후, 네 자리 코드를 부여한다. 예를 들면, 전공 일련번호로 3601을 부여할 수 있다. 교수 코드는 전공 일련번호와 마찬가지로, 대학 내 모든 교수 및 강사를 전공 및 이름 별로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후 일련번호를 코드로 부여한다. 즉, 교수코드로 세 자리(예를 들면, 301)를 부여할 수 있다. 학년은 해당하는 학년에 코드를 부여한다. 즉, 학년은 한 자리(예를 들면, 1학년 1, 2학년 2, 3학년 3)를 부여할 수 있다. Here, the major category is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academic field and is given a single digit. For example, science and technology can award 5. In addition, the middle class is given further two digits in the field of study. For example, physics / chemistry can be given 15. In addition, the second category is assigned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major among the majors. For example, health / sanitation can be given 10. In addition, the form gives one place as the area representing the form of the subject from the major subjects. For example, in the case of general subjects, there are three categories. The basic foundation is 1, the major required is 3, the majors are 5, and the design / practice / can do. The major serial number lists all major names in ascending order, the major courses in ascending order, and the four-digit code. For example, 3601 can be assigned to a major serial number. As with the major serial number, the professor code arranges all the professors and instructors in the university in ascending order by major and name, and assigns the serial number as a code. That is, three digits (for example, 301) can be assigned as a teaching code. The grade assigns a code to the corresponding grade. In other words, the grade may be given one place (for example, grade 1, grade 2, grade 3).

아래 [표 2]는 과학/기술(대분류)-->컴퓨터(중분류)의 소분류에 대한 교과목 분류 및 코딩 체계를 일 예로 나타내고 있다.Table 2 below shows an example of the class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for subcategories of science / technology (major classification) -> computers (middle classification).

분류코드Classification code 대분류Main Category 중분류Middle class 소분류Small classification 형태shape 세부메뉴Detailed menu 종교religion 1One 외국어 2Foreign language 2 22 인간/문화Human / Culture 33 경제/사회Economy / Society 44 과학/기술science Technology 55 수학/통계
물리/화학
생물/지구
컴퓨터
Mathematics / Statistics
Physical / Chemical
Biology / Earth
computer
10
15
20
25
10
15
20
25




언어/컴파일러
데이터베이스
프로세서
인터넷/보안
그래픽스
인공지능
OS
기타




Language / compiler
Database
Processor
Internet / Security
Graphics
A.I
OS
Etc




10
20
30
40
50
60
70
90




10
20
30
40
50
60
70
90
일반 교과목:
기초
일반
심화
설계/실습/프로젝트:
기초
심화
General Course:
Foundation
Normal
Deepening
Design / Practice / Project:
Foundation
Deepening

1
3
5

7
8

One
3
5

7
8
예술/체육Arts / Physical Education 66 진로/봉사Career / Service 77 융복합Fusion compound 99

상기와 같이 구축된 교과목 데이터베이스(10)를 이용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화면에 두 가지 탐색방법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use the constructed subject database 10 as described above, two search method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on the first screen, as shown in FIG.

먼저, 사용자가 교과목 코드에 의한 탐색방법을 선택(S10)한다면, 코드 입력부를 통하여 코드를 입력(S15) 받은 후 제1 메인분류 교과목 탐색부(410)가 교과목 데이터베이스(10)를 탐색(S40)하여, 코드의 처음 5자리인 제1 자리수가 동일한 메인 분류 교과목들을 선후수관계도로 보여줄 수 있다. 즉,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를 나타내는 코드 번호인 처음 5자리가 같으면, 서로 매우 유사한 과목들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처음 5자리 코드가 같은 교과목 목록이 검색되고, 제1 등급분류 교과목 탐색부(420)를 통하여 검색된 목록의 제1 자리수 다음인 제2 자리수인 6번째 코드가 1, 3, 5중 하나이면, 일반 교과목을 의미하며, 기초, 필수, 심화의 3단계로 표시(S55)될 수 있다 또한, 제1 등급분류 교과목 탐색부(420)를 통하여 검색된 목록의 제2 자리수인 6번째 코드가 7 또는 8이면 설계/실습/프로젝트 교과목을 의미하며 7이면 기초, 8이면 심화의 2단계로 표시(S60)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된 과목목록 중 특정 과목명을 클릭하면 그 강좌에 관련된 상세정보와 필요시 질의 응답이 가능하도록 해당 강사의 연락처 등을 보여준다. If the user selects a search method based on the subject code (S10), the code is inputted through the code input unit (S15), the first main classified subject search unit 410 searches the subject database 10 (S40) So that the main classification subject lines having the same first digits as the first five digits of the code can be shown in the posterior relationship. That is, if the first five digits of the code number indicating the major classification, the middle classification, and the small classification are the same, it can be judged that the subjects are very similar to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a list of the same five-digit code is searched for, and the sixth code, which is the second digit next to the first digit of the list searched through the first classifying subject search unit 420, is 1, 3, 5, it means a general subject, and it can be displayed in three stages of basic, essential, and deepening (S55). Furth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ixth rank of the list, which is the second digit of the list searched through the first ranking class subject search unit 420 If the code is 7 or 8, it means Design / Practice / Project course, 7 can be displayed as basic, 8 can be displayed as 2 steps (S60). If you click on a specific course name in the list of courses shown in this way, you will be shown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course and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instructor so that you can answer questions when necessary.

다음으로, 사용자가 교과목 명칭에 의한 탐색방법을 선택(S10)한다면, 교과목 명칭 입력부를 통하여 교과목 명칭을 입력(S20)한 후에는 소정의 질문을 사용자에게 요구한다. 즉, [표 2]에서와 같이, 교과목이 속하는 학문분야를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순으로 사용자가 메뉴에서 선택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교과목에 대한 임시코드를 교과목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및 부여(S30)한다. 예를 들어, 교과목 명칭이 "자바 언어"라고 하면 [표 2]와 같이 과학/기술(5), 컴퓨터(25), 언어/컴파일러(10)로 분류되어 5자리 코드 52510이 부여된다. Next, if the user selects a search method based on the name of the course (S10), the user inputs a name of the course through the course name input unit (S20). That is, as shown in [Table 2], if the user selects the academic field to which the subject belongs in the order of the major category, the middle category, and the minor category, the temporary code for the selected subject is stored in the code information database 10 (S30). For example, if the name of the subject is "Java language", the five-digit code 52510 is classified as the science / technology 5, the computer 25, and the language / compiler 10 as shown in [Table 2].

그런 다음, 제1 메인분류 교과목 탐색부(410)가 교과목 데이터베이스(10)에서 유사 교과목을 탐색(S40)하게 된다. Then, the first main classification subject search unit 410 searches for the similar subject in the subject database 10 (S40).

또한, 처음 5자리 코드가 일치하는 교과목들이 찾아지면, 제2 등급분류 교과목 탐색부(540)를 통하여 검색된 목록의 제2 자리수인 6번째 코드에 따라 일반 교과목이면 기초, 필수, 심화의 3단계로 출력(S50, S55)되고, 설계/실습/프로젝트 교과목이면 기초, 심화의 2단계로 출력(S50, S60)된다. 즉, 교과목 명칭에 의한 유사과목 검색은 유사한 명칭의 교과목뿐만 아니라 명칭은 다르지만 교과목의 내용이 유사한 교과목들까지도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교과목 명칭에 기초 또는 1 등이 들어 있으면 기초로, 고급 또는 2 등이 들어 있으면 심화로, 그 밖의 경우는 필수로 코드를 부여하였다.If the first five-digit code is found, the third, fourth, fifth, sixth, seventh, eighth, ninth, tenth, tenth, Output (S50, S55), and if it is a design / practice / project subject, output (S50, S60) in two steps of basic and deepening. In other words, similar subject searches by subject names can search not only subjects with similar names, but also subject subjects whose names are different, but whose contents are similar. Here, a code is given as a basis when the title of the subject is based on or the first place is included, or when it is advanced, or when the second place is included, in other cases.

예를 들어, 자바언어라는 교과목 명에 대한 코딩체계는 [표 3]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ding scheme for a subject name called Java language can be configured as [Table 3].

기초Foundation 필수necessary 심화Deepening 전산언어 기초
컴퓨터 프로그래밍 1
Computational Language Basics
Computer Programming 1
자바언어
비주얼 베이직
Java language
Visual Basic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
컴퓨터 프로그래밍 2
Advanced programming language
Computer Programming 2

본 발명에서는 교과목 분류 및 코딩에 그룹테크놀로지를 이용한다면, 복잡한 검색엔진의 개발 없이 간단히 교과목들에 대한 분류가 가능하여 기존의 교과목 코드체계를 대체하는 표준화된 교과목 코딩체계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교과목들 사이의 연관관계(유사성, 선후수관계 등)에 대하여 검색이 가능함은 물론, 교과목에 대한 상세한 정보(강사명, 연락처, 개설대학 및 학과, 개설학년 등)도 원하는 경우 출력가능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f group technology is used for class classification and coding, it is possible to easily classify the classes without developing a complex search engine, thereby providing a standardized curriculum coding system that replaces the existing curriculum code system. (Such as teacher name, contact information, open university, department, and grade) can be retrieved as well as retrieval of the relation (similarity, posterior number relation, etc.) of the subjec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그룹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교과목 분류 및 코딩시스템에 의하면, 학생들의 편리한 수강신청을 가능하게 하며, 특히 서로 다른 대학 또는 전공에 개설된 다양한 교과목들 중 학생들이 원하는 교과목을 쉽게 탐색하여 검토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나아가, 학생들로 하여금 셀프-오리엔테이션을 통해 학생 스스로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적절한 수강과목을 선정하는 데 도움을 주고, 대학원생 및 교수들에게는 관련 교과목들의 계층화 및 그룹화를 통해 강의 탐색 및 융합영역 개발과 같은 연구 활동에 지원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class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the group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ke convenient enrollment of students, and in particular, among the various courses opened in different universities or majors, You can do it. In addition, students are encouraged to use self-orientation to help them set their own learning goals and to select appropriate courses, and to provide graduate students and professors with research such as lecture exploration and convergence development through layering and grouping of related subjects It is possible to apply for activities.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그룹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교과목 분류 및 코딩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can be applied to a class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group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교과목 데이터베이스 20: 교과목 코드 입력부
30: 교과목 명칭 입력부 40: 제1 교과목 탐색부
50: 제2 교과목 탐색부 60: 교과목 출력부
110: 통합 데이터베이스 생성부 120: 교과목 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
130: 교과목 코드 데이터베이스 140: 교과목 관리부
410: 제1 메인분류 교과목 탐색부 420: 제1 등급분류 교과목 탐색부
510: 선택요청부 520: 선택입력부
530: 코드생성부 540: 제2 메인분류 교과목 탐색부
550: 제2 등급분류 교과목 탐색부
10: Course Database 20: Course Code Input
30: Title of course name input section 40:
50: second subject search unit 60: course output unit
110: Integrated Database Generation Unit 120: Classification System Database
130: Course code database 140: Course management unit
410: first main classifying course search unit 420: first class classification course searching unit
510: selection request unit 520: selection input unit
530: code generation unit 540: second main classification subject search unit
550: Class 2 classification course search section

Claims (4)

각각의 교과목을 분야별로 계층적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고유한 코드를 부여하여 생성한 교과목 분류체계가 저장되는 교과목 데이터베이스(10);
사용자로부터 교과목에 대한 코드가 입력되는 교과목 코드 입력부(20);
사용자로부터 교과목에 대한 교과명이 입력되는 교과목 명칭 입력부(30);
상기 교과목 분류체계 중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교과목에 대한 코드에서, 제1 자리수만큼의 코드에 해당되는 메인분류 교과목들을 탐색하는 제1 메인분류 교과목 탐색부(410)와, 상기 제1 자리수 다음의 첫번째 자리수에 해당되는 일반 또는 실습 교과목들을 탐색하는 제1 등급분류 교과목 탐색부(420)를 포함하는 제1 교과목 탐색부(40);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교과목 명칭에서, 상기 교과목 분류체계에 포함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교과목 명칭과 유사한 메인 분류 교과목을 포함하는 메인 교과목 분류체계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선택을 요청하는 선택요청부(510)와, 상기 메인 교과목 분류체계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 선택입력부(520)와, 상기 사용자 선택과 상기 교과목 데이터베이스(10)에 기초하여 임시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부(530)와, 상기 생성된 임시코드에서 제1 자리수만큼의 코드에 해당되는 메인분류 교과목들을 탐색하는 제2 메인분류 교과목 탐색부(540)와, 상기 제1 자리수 다음의 첫번째 자리수에 해당되는 일반 또는 실습 교과목들을 탐색하는 제2 등급분류 교과목 탐색부(550)를 포함하는 제2 교과목 탐색부(50); 및
상기 제1 교과목 탐색부(40) 또는 제2 교과목 탐색부(50)로부터 탐색된 교과목들을 출력하는 교과목 출력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교과목 분류 및 코딩시스템.
A subject database 10 in which a subject classification system generated by classifying each subject in a hierarchical manner and assigning a unique code to each subject is stored;
A course code input unit 20 for inputting a code for a subject from a user;
A course name input unit 30 for inputting a subject name of a subject from a user;
A first main classification subject search unit 410 for searching main classification subject lines corresponding to codes of a first digit in a code for a subject inputted from a user among the subject classification systems, A first class subject search unit (40) including a first class class subject search unit (420) for searching for general or practical subjec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lass subject search unit (420).
A selection request unit 510 for outputting a main class classification system including a main classification class similar to a name of a subject included in the class classification system inputted from a user and requesting a user to make a selection, A code generation unit 530 for generating a temporary code based on the user selection and the curriculum database 10, and a code generation unit 530 for generating a temporary code based on the user selection and the curriculum database 10, A second main classification subject search unit 540 for searching for main classification subject lines corresponding to a code of a first digit in the second classification subject search unit 540 and a second classification subject search unit 540 for searching general or practical subjec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git after the first digit, A second subject search unit 50 including a subject search unit 550; And
And a course output unit (60) for outputting the subject matter searched out from the first subject search unit (40) or the second subject search unit (5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과목 데이터베이스(10)는
학교 내 수강가능한 교과목에 대한 강의를 개설한 단과 대학 및 학과 정보, 교과목을 강의하는 강사의 개인 정보를 교과목에 대한 명칭 별로 통합한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 생성부(110);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서의 각각의 교과목을 분야별로 계층적으로 분류하는 교과목 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20);
상기 교과목 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20)에서 분류된 각각의 교과목에 대한 고유한 코드를 부여하는 교과목 코드 데이터베이스(130); 및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분야별로 계층적으로 분류되어 각각의 고유한 코드가 부여된 교과목을 매칭시켜 유사한 교과목을 그룹화한 교과목 분류체계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교과목 관리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 생성부(110)는 교수 성명을 전공 별로 분류하여 코드를 부여한 교수 코드 데이터베이스 생성부(111)와, 교과목 명칭을 전공 별로 분류하여 코드를 부여한 전공 코드 데이터베이스 생성부(1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교과목 분류 및 코딩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rriculum database (10)
An integrated database generation unit 110 for generating an integrated database that integrates the college and department information on which classes for classes that can be taken in the school are established,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instructor who teaches the subjects, by name for each subject;
A course classification system database 120 for hierarchically classifying each subject in the integrated database by fields;
A course code database 130 for assigning a unique code to each subject classified in the subject classification system database 120; And
And a curriculum management unit 140 for generating and managing a curriculum classification system in which similar curriculums are grouped by classifying curriculums classified in a hierarchical manner according to fields of the integrated database and assigned unique codes,
The integrated database generation unit 110 further includes a teaching code database generation unit 111 for classifying and inputting teaching names by major and a major code database generation unit 112 for classifying and classifying the subject names into major classes And a class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group technolog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리수 코드는 교과목의 대분류 정보, 중분류 정보, 소분류 정보를 나타내는 코드번호이고, 상기 제1 자리수 다음의 첫번째 코드는 상기 일반 또는 실습 교과목 정보이며, 상기 첫번째 코드의 다음의 코드는 전공 정보, 교수 정보, 학년 정보를 나타내는 코드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교과목 분류 및 코딩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de after the first digit is information of the general or practical subject, and the next code of the first code is information of major, major, and minor classes, And a code number indicating grade information. The class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group technolog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교과목 정보는 기초, 필수 및 심화 교과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실습 교과목 정보는 기초 및 심화 교과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교과목 분류 및 코딩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eneral subject information includes basic, essential, and enriched subject information, and the subject information includes basic and enriched subject information.
KR1020120154717A 2012-12-27 2012-12-27 Curriculum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group technology KR1014029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717A KR101402941B1 (en) 2012-12-27 2012-12-27 Curriculum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group technolo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717A KR101402941B1 (en) 2012-12-27 2012-12-27 Curriculum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group technolog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941B1 true KR101402941B1 (en) 2014-06-03

Family

ID=51131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717A KR101402941B1 (en) 2012-12-27 2012-12-27 Curriculum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group technolog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94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079A (en) * 2000-01-10 2000-04-06 김철수 Method for providing search service for study by using network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recording the method
JP2008165401A (en) * 2006-12-27 2008-07-17 Fujitsu Ltd Literature retrieval program, literature retrieval device and literature retrieval method
KR20120007852A (en) * 2010-07-15 2012-01-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managing curriculums using codes of research field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of the same in computer
KR101214603B1 (en) 2011-08-11 2012-12-21 주식회사 프렌즈톡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lass registration service including interaction between class attende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079A (en) * 2000-01-10 2000-04-06 김철수 Method for providing search service for study by using network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recording the method
JP2008165401A (en) * 2006-12-27 2008-07-17 Fujitsu Ltd Literature retrieval program, literature retrieval device and literature retrieval method
KR20120007852A (en) * 2010-07-15 2012-01-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managing curriculums using codes of research field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of the same in computer
KR101214603B1 (en) 2011-08-11 2012-12-21 주식회사 프렌즈톡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lass registration service including interaction between class attende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sports training system for college students' mental health education
Qin et al. The central role of metadata in a science data literacy course
US7885913B2 (en) Distributed collaborative knowledge generation system wherein students perform queries using a dynamic knowledge database and retrieved subsets of data are shared with multiple users on the web
Pattuelli Modeling a domain ontology for cultural heritage resources: A user‐centered approach
US201903179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assigning metadata tags
Ye et al. Expanding approaches for understanding impact: Integrating technology, curriculum, and open educational resources in science education
Shi et al. Trends of cloud computing in education
Shao et al. Exploring potential roles of academic libraries in undergraduate data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Yavuz et al. Fostering undergraduate data science
Khedr et al. A proposed data mining framework for higher education system
Ruiz-Calleja et al. An Infrastructure for Workplace Learning Analytics: Tracing Knowledge Creation with the Social Semantic Server.
Du et al. GIS-KG: building a large-scale hierarchical knowledge graph for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Goncharow et al. Classifying pedagogical material to improve adoption of parallel and distributed computing topics
Ho et al. Equip public managers with data analytics skills: a proposal for the new generation of MPA/MPP programs with data science track
KR101402941B1 (en) Curriculum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group technology
KR101595314B1 (en) Smart teaching system based on one-click content service
Sumner et al. Designing a language for creating conceptual browsing interfaces for digital libraries
Mocean et al. A proposal of an academic library management system based on an RDF repository
Liu et al. A clustering-based method of typical architectural case mining for architectural innovation
Sigman et al. Visualization of Twitter Data in the Classroom
Shi et al. [Retracted] Research on Organization Design of College Chinese Teaching under Big Data Environment
Zhang et al. Teleworking and clients’ perception of frontline services: Evidence in higher educ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Binh et al. An integrated approach for an academic advising system in adaptive credit-based learning environment
Mandell Researchers' attitudes towards data discovery: implications for a UCLA data registry
Yang et al. [Retracted] Structural Analysis of PE Teaching Strategy and System Knowledge Management Based on Mobile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