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603B1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lass registration service including interaction between class attendees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lass registration service including interaction between class attende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603B1
KR101214603B1 KR1020120053754A KR20120053754A KR101214603B1 KR 101214603 B1 KR101214603 B1 KR 101214603B1 KR 1020120053754 A KR1020120053754 A KR 1020120053754A KR 20120053754 A KR20120053754 A KR 20120053754A KR 101214603 B1 KR101214603 B1 KR 101214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ss
user
user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7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홍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렌즈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렌즈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렌즈톡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6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3Education institution selection, admissions, or financial a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providing a class application service including interaction between class participants and a system thereof are provided to efficiently supply a class lecture application service, thereby implementing social networking between members taking the same class. CONSTITUTION: A lecture handbook database(300) stores class registration information. An SNS server(400) shares information between user terminals(101,102,103) included in a class participant list. A mediating server(200) communicates with the lecture handbook database, the SNS server and the user terminals. The mediating server transmits the class participant list to the user terminals. The mediating server receives a class identifying number which a user selects. [Reference numerals] (AA) Network

Description

클래스 수강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클래스 신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LASS REGISTRATION SERVICE INCLUDING INTERACTION BETWEEN CLASS ATTENDEES}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LASS REGISTRATION SERVICE INCLUDING INTERACTION BETWEEN CLASS ATTENDEES}

본 발명은, 클래스 수강 신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강 신청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들에게 인적 네트워킹 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클래스 수강 신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class enrollment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lass enrollment service that can provide a human networking service to users who receive a course enrollment service. It is about.

터치 기능, 움직임 센서 기능 등이 단말기에 탑재되는 것이 일반화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단말기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되었으며 단말기 사용에 대한 거부감을 과거와 비교하여 갖지 않게 되었다. As touch functions and motion sensor functions are generally mounted on terminals, users can easily operate the terminals and have no objection to using the terminals compared to the past.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듯, 많은 사람들은, 오프라인 상으로 의사소통을 하는 것보다, 온라인을 통해 의사소통을 하는 것을 더 편하게 느끼게 되었다. 특히, 온라인 관련 전자기기가 많이 보급된 환경에서 성장한 요즘 학생들 (초중고 학생들, 대학생들) 은, 전자 단말기를 통해 정보를 검색하거나 공유하는 것을 더 편리하게 느낀다. 따라서, 이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시스템에서는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온라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해졌다.Reflecting this, many people find it easier to communicate online than to communicate offline. In particular, these days student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who have grown in an environment where online-related electronic devices are widely distributed, feel more convenient to search or share information through electronic terminal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vide an online interface for attracting students in the system for such students.

본 발명은, 클래스 수강신청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ass enrollment service.

또한, 본 발명은, 클래스 수강신청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Moreover,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class enrollment service efficiently.

그리고, 본 발명은, 클래스 수강신청 서비스를 제공함과 함께, 동일 클래스를 수강하는 멤버들 간의 소셜 네트워킹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ass enrollment service, and to enable social networking between members of the same class.

나아가, 본 발명은, 클래스 수강신청 서비스를 제공함과 함께, 동일 클래스를 수강하는 멤버들 간의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킹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클래스와 관련된 학습자료를 멤버들 간에 교환 또는 공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멤버들의 선행학습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멤버들이 상기 클래스에서 진행되는 학습에 대한 흥미를 갖도록 하여 상기 클래스에 대한 집중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ass enrollment service, and enables social networking including a function of sending a message between members who take the same class, thereby exchanging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the class between members or It is intended to facilitate sharing, enable prior learning of the members, and increase the concentration on the class by making the members have an interest in the learning conducted in the class.

또한, 본 발명은, 클래스 수강신청 서비스를 제공함과 함께, 동일 클래스를 수강하는 멤버들 간의 소셜 네트워킹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혼자서 학습하기를 좋아하는 요즘 세대들에게, 클래스라는 공통사항을 중심으로, 용이하게 인맥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class enrollment service, and enabling social networking between members of the same class, easy to focus on the common point of the class, these days generations who prefer to learn alon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ay to build a network.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클래스 신청 서비스를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시스템에서, 클래스 신청 서비스를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클래스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클래스리스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클래스식별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클래스식별번호가 상기 클래스리스트에 포함되고, 상기 클래스식별번호에 따른 클래스에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등록가능하면, 상기 클래스의 수강자 리스트에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클래스식별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타사용자단말기와 연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 class application service to one or more user terminals, a method of providing a class application service to a user terminal, comprising a class identification number Transmitting a class list to the user terminal, receiving a class identification number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class identification number is included in the class list, and the user terminal is assigned to a class according to the class identification number. If the registration is possible, registering the user terminal in the attendee list of the class, and interworking the user terminal with other user terminal based on the class identification number.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클래스리스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uthenticating the user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the class list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클래스리스트는, 각 클래스에 대한 클래스식별번호를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ss list includes a class identification number for each class.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연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등록하는 단계에서 상기 클래스의 수강자리스트에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등록함과 동시에 수행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interworking the user terminal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as registering the user terminal in the list of attendees of the class in the registering step.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클래스식별번호를 전송한 타사용자단말기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타사용자단말기들을 멤버로서 포함하는 클래스수강자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interworking includes the steps of: extracting other user terminals that have transmitted the class identification number; and generating a class attendee list including the extracted other user terminals as members. do.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클래스수강자리스트에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클래스수강자리스트에 포함되는 사용자단말기들 간에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interworking, adding the user terminal to the class learner list, and provides a service to share inform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s included in the class learner list.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단말기들 간에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정보 제공에 대한 대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viding of a service for sharing inform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s further includes providing a price for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providing the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클래스식별번호가 하나 이상인 경우, 상기 수신된 클래스식별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등록된 클래스 시간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클래스 시간표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lass identification number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s one or more, based on the received class identification number, the user terminal automatically generates a class timetable registered, the class timetabl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기로 클래스 신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클래스등록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수강편람데이터베이스, 클래스수강자리스트에 포함되는 사용자단말기들 간에, 정보를 공유하도록 동작하는 SNS서버, 및 상기 수강편람데이터베이스, 상기 SNS서버,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중계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서버는, 클래스리스트를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클래스식별번호를 수신하며, 상기 클래스식별번호가 상기 클래스리스트에 포함되고, 상기 클래스식별번호에 따른 클래스에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등록가능하면, 상기 클래스에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등록하고, 상기 클래스식별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타사용자단말기와 연동시키도록 추가적으로 동작하며, 상기 클래스수강자리스트는,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연동하는 타사용자단말기를 멤버로서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providing a class application service to one or more user terminals, comprising: a course manual database configured to store class registration information, the operation of sharing information between user terminals included in the class enrollment list An SNS server, and a relay server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ourse manual database, the SNS server, and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relay server transmits a class list to the user terminal, and class ID number from the user terminal. If the class identification number is included in the class list, and the user terminal can be registered in the class according to the class identification number, and register the user terminal in the class, based on the class identification number, The user terminal other user terminal And further operable to interlock, the class is participants list, including the user terminal, and the other user terminal and cooperating with said user terminal as a memb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수강신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ourse registr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즉, 클래스 수강신청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클래스 수강신청 서비스를 제공함과 함께, 동일 클래스를 수강하는 멤버들 간의 소셜 네트워킹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클래스 수강신청 서비스를 제공함과 함께, 동일 클래스를 수강하는 멤버들 간의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킹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클래스와 관련된 학습자료를 멤버들 간에 교환 또는 공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멤버들의 선행학습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멤버들이 상기 클래스에서 진행되는 학습에 대한 흥미를 갖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클래스에 대한 상기 멤버들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클래스 수강신청 서비스를 제공함과 함께, 동일 클래스를 수강하는 멤버들 간의 소셜 네트워킹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혼자서 학습하기를 좋아하는 요즘 세대들에게, 클래스라는 공통사항을 중심으로, 용이하게 인맥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ovide a class registration service. In addition, while providing a class enrollment service, it is possible to enable social networking between members of the same class. Furthermore, by providing a class enrollment service and enabling social networking including a function of sending a message between members who take the same class, it is easy to exchange or share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the class among members. Enable the pre-learning of the members, make the members interested in learning in the class, and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the members in the class. In addition, by providing a class enrollment service and enabling social networking among members of the same class, it is easy to build a network around the commonness of classes for these generations who like to learn by themselves. It can provide a way to.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강신청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서버의 전체적인 개략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래스 신청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의 흐름도.
도 4 내지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방법에서 사용자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
1 is a diagram showing a system for providing a course regist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overall schematic diagram of a relay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of providing a class applic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7 are exemplary views of a display screen of a user terminal 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수강 신청 방법 및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urse registration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 same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서술하기에 앞서, 다음과 같은 용어를 정의한다. "클래스"는, 사용자가 수강하고자 하는 과목 또는 반(班)을 지칭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대학교에서 학생들이 수강하는 과목, 또는 학원에서 학생들이 수강하는 과목이나 초중고 학교에서의 학급 (한 교실 안에서 같은 때에 교수를 받도록 설정된 학생들의 집단) 을 지칭하며, 또한 오프라인은 물론 온라인상으로 제공되는 클래스 모두를 포함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rior to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Class" refers to a subject or class that the user wishes to take, for example, a subject taken by a student at a university, or a subject taken by a student at a school, or a class at a primary or secondary school (one classroom). Refer to a group of students set up to receive instruction at the same time, and also include both offline and online classes.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제공시스템 (100) 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제공시스템에 포함된 중계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chematically shows a configuration of a relay server included in a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시스템 (100) 은,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클래스를 용이하게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제공시스템 (100) 은, 사용자단말기 (101, 102, 103), 중계서버 (200), 수강편람데이터베이스 (300) 및 SNS 서버 (400) 를 포함하며, 이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서로 통신가능하다.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rvice for allowing a user to easily apply for a class he / she wants. As shown in FIG. 1,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includes a user terminal 101, 102, 103, a relay server 200, a course manual database 300, and an SNS server 400. It is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사용자단말기 (101, 102, 103) 는, 사용자가 서비스제공시스템 (100) 에 액세스하기 위한 장치 일체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전자단말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기 (101, 102, 103) 는, 콘솔, 셀룰러 전화, 개인용 컴퓨터(PC), 타블릿(Tablet) 컴퓨터, 이동통신단말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들 중 임의의 것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는 서비스제공시스템 (100) 에 액세스하여 수강신청 관련 제반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람, 단말기, 또는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제공시스템에 액세스하려는 사람을 통칭한다.The user terminals 101, 102, and 103 include all of the apparatuses for the user to access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and may generally be electronic terminals.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s 101, 102, 103 may be any of a console, a cellular telephone, a personal computer (PC), a tablet compu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notebook computer,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Can be. Hereinafter, a "user" refers to a person, a terminal, or a person who wants to access a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terminal by accessing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and being provided with all the courses related to the course registration.

중계서버 (200) 는, 복수의 사용자단말기 (101, 102, 103) 나 수강편람데이터베이스 (300), SNS 서버 (400) 등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면서, 클래스 신청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이다. 중계서버 (200) 는 수강편람데이터베이스 (300) 로부터 획득한 클래스 관련 정보를 사용자단말기 (101, 102, 103) 로 제공하며, SNS 서버 (400) 를 통해 사용자단말기 (101, 102, 103) 들 간의 네트워크를 구축시킨다.The relay server 200 is a subject that provides a class application service while communicating through a network with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1, 102, 103, the course manual database 300, the SNS server 400, and the like. The relay server 200 provides the class related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ourse manual database 300 to the user terminals 101, 102, 103, and between the user terminals 101, 102, 103 through the SNS server 400. Build a network.

수강편람데이터베이스 (300) 는, 클래스에 관한 정보, 즉, 클래스등록정보를 저장한다. 클래스등록정보는, 클래스에 관한 기본 정보, 예를 들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클래스인 경우, 상기 클래스는 과목이며, 과목 명칭, 수업 내용, 수업 시간, 교수하는 강사, 할당된 학점, 수강가능한 인원, 해당 클래스를 수강가능한 자격요건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클래스인 경우, 상기 클래스는 학급이며, 학급 명칭, 학급 선생님, 학급에 할당된 학습시간표, 학급 정원 등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수강편람데이터베이스 (300) 는 언제든지 업데이트가능하며, 업데이트 사항이 있는 경우 중계서버 (200) 로 업데이트된 내용을 알리도록 할 수 있다. The course manual database 300 stores class information, that is, class registration information. The class registration information is basic information about a class, for example, if the class is for college students, the class is a subject, the subject name, class contents, class time, instructor, assigned credit, and the number of available students. It includes information about eligibility requirements for the class. For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a class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class is a class, and includes class name, class teacher, time schedule assigned to the class, class size, and the like. The course manual database 300 can be updated at any time, and if there is an update, the relay server 200 can be notified of the updated contents.

SNS서버 (400) 는, 중계서버 (200) 에 의해 구축된 사용자단말기들 간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사용자단말기들 간에 정보를 서로 공유, 교환,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네트워크에 포함된 사용자단말기들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SNS서버 (400) 는, 제1사용자단말기 및 제2사용자단말기 간의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음을 중계서버 (200) 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로부터의 메시지 전송 요청에 따라 제2사용자단말기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SNS서버 (400) 는 중계서버 (200) 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도 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서버 (200) 와 별개로 위치할 수 있다.
SNS server 400, based on the network between the user terminal established by the relay server 200, an interface for sharing information, exchange,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s included in the network,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s included in the network. For example, when the SNS server 400 receives from the relay server 200 that the network between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is formed, the SNS server 400 generates a second message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message transmission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It serves to send the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The SNS server 400 may be located inside the relay server 200 or may be located separately from the relay server 200 as shown in FIG. 1.

*도 2 는 중계서버 (200) 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2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the relay server 200.

중계서버 (200) 는, 통신부 (210), 클래스식별번호 할당부 (220), 클래스관리부 (230), 사용자관리부 (240), SNS연동부 (250), 및 저장부 (260) 를 포함한다. The relay server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 class identification number assignment unit 220, a class management unit 230, a user management unit 240, an SNS linking unit 250, and a storage unit 260.

통신부 (210) 는, 중계서버 (200) 를 서버 외부의 네트워크와 연결시키며, 사용자단말기 (101, 102, 103) 또는 수강편람데이터베이스 (300) 또는 SNS서버 (400) 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통신부 (210) 는 중계서버 (200) 내의 각 구성들을 연결하며, 상기 각 구성들이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connects the relay server 200 to a network outside the server, and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101, 102, 103, the course manual database 300, or the SNS server 400.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0 connects the respective components in the relay server 200, and allows the respective components to communicate.

클래스식별번호 할당부 (220) 는, 수강편람데이터베이스 (300) 로부터 수신한 클래스등록정보 (예를 들어, 클래스의 명칭(강좌명), 클래스 설명, 클래스 수업 시간, 클래스 지도 교수, 클래스 수강 자격 등) 에 기초하여, 각 클래스에 대한 식별번호를 생성하고 할당한다. 여기서, 클래스식별번호는 일련의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일 수 있으며, 각 클래스마다 고유한 값을 갖는다. 클래스식별번호 할당부 (220) 는, 예를 들어, 도 5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스" 클래스에 할당될 클래스식별번호 M107 를 생성하고, M107 을 할당할 수 있다. 다만, 수강편람데이터베이스 (300) 로부터 수신된 클래스등록정보에 클래스식별번호가 이미 포함되어있는 경우, 클래스식별번호 할당부 (220) 는 별도로 클래스식별번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클래스식별번호 할당부 (220) 가 중계서버 (200) 에 포함됨으로써, 클래스가 증설될 때마다 클래스식별번호를 생성하고 할당할 수 있어, 클래스의 증감,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학교의 증감에 상관없이, 유연한 클래스 수강 신청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The class identification number assigning unit 220 receives class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class name (class name), class description, class class time, class advisor, class class qualification, etc.) received from the class book database 300. ) Generates and assigns an identification number for each class. Here, the class identification number may be a combination of a series of numbers or letters, and each class has a unique valu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class identification number assignment unit 220 may generate a class identification number M107 to be assigned to the "graphics" class and allocate M107. However, if the class identification number is already included in the class regist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urse manual database 300, the class identification number assignment unit 220 may not separately generate a class identification number. Since the class identification number allocator 220 is included in the relay server 200, the class identification number can be generated and assigned whenever the class is expanded, regardless of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class or the school receiving the service. This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stable class enrollment services.

클래스관리부 (230) 는, 상기 수강편람데이터베이스 (300) 로부터 수신된 클래스등록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클래스를 관리하고, 클래스저장부 (261) 에 등록하되, 클래스식별번호가 할당되지 않은 클래스의 경우, 클래스식별번호 할당부 (220) 로 클래스식별번호 생성을 요청하고 획득하여, 클래스식별번호를 부여한다.The class management unit 230 manages each class by using the class regist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urse manual database 300, and registers each class in the class storage unit 261, but does not assign a class identification number. In this case, the class identification number assignment unit 220 requests and obtains a class identification number generation, and assigns a class identification number.

사용자관리부 (240) 는 중계서버 (200) 로 액세스한 사용자단말기들 (101, 102, 103) 로부터 수신받은 단말기 고유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계정에 사용자 프로필이나 사진, 열람한 광고, 적립된 포인트 등의 정보를 대응시켜 사용자정보저장부 (262) 에 저장한다. The user manager 240 generates each user account based on the terminal uniqu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s 101, 102, and 103 accessed by the relay server 200, and creates a user profile or picture in the generated user account. Corresponding information, such as browsed advertisements, accumulated points, etc. are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262.

SNS연동부 (250) 는, 일 클래스를 수강하고 있는 사용자들의 리스트, 즉, 클래스수강자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클래스수강자리스트를 SNS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클래스수강자리스트에 포함된 멤버들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SNS 연동부 (250) 는, 각 클래스식별번호 별로 사용자들을 추출하여, 각 클래스식별번호에 대응되는 클래스를 수강하고 있는 수강자들의 리스트 (도 5 의 550) 를 쉽게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클래스식별번호에 기초하여 클래스별 수강자들을 용이하게 분류할 수 있으므로, 적은 자원으로 빠른 시간 이내에 클래스 수강자를 분류할 수 있다.The SNS interworking unit 250 generates a list of users who are taking a class, that is, a class learner list, and transmits the class learner list to an SNS server, thereby enabling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included in the class learner list. Do it. In this case, the SNS interworking unit 250 may extract users by each class identification number, and easily generate a list (550 of FIG. 5) of students who are taking a class corresponding to each class identification number. In this way, class students can be easily classified based on the class identification number, so that class students can be quickly classified with less resources.

저장부 (260) 는, 사용자 및 클래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 (260) 에 저장되는 정보는 모든 사용자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변경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60 stores information about a user and a class. Information stored in storage 260 can be accessed and changed by all users.

클래스정보저장부 (261) 는 각 클래스에 관한 제반 정보를 저장한다. 즉, 클래스정보저장부 (261) 는 클래스가 갖고 있는 클래스등록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클래스에 할당된 클래스식별번호도 저장한다.The class information storage unit 261 stores general information about each class. That is, the class information storage unit 261 stores class registration information owned by a class, and also stores a class identification number assigned to the class.

사용자정보저장부 (262) 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단말기) 각각과 관련된 제반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정보저장부 (262) 는, 사용자 인적사항에 관한 정보, 사용자가 수강하는 클래스, 사용자에게 부여된 포인트 정보 등을 저장하며, 특히 사용자 각각과 인적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정보저장부 (262) 는, 도 6 을 참조하면, 사용자 KEVIN 이 그래픽스 클래스를 신청하였다는 정보, KEVIN 이 보유하고 있는 포인트가 100 이라는 정보도 저장하며, 그래픽스 수업을 수강하는 다른 사용자들, JANE, KATE 등과 인적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다는 정보도 저장한다.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262 stores general information related to each user (or user terminal).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262 stores information about user personal information, classes taken by the user, point information given to the user,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262 stores information about each user and other users having a personal network. Save it.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6,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262 stor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KEVIN has applied for a graphics clas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number of points held by the KEVIN is 100, and other graphics classes. It also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formation of human networks such as users, JANE, KATE, etc.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클래스 신청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에 대해 서술한다. 이때, 수강편람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된 클래스 각각에 대해서는 중계서버가 이미 클래스식별번호를 부여하였음을 전제로 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of providing a class applic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relay server has already assigned a class identification number to each class received from the course manual database.

사용자단말기가 클래스 수강 신청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면, 먼저, 사용자단말기 (또는 사용자단말기를 콘트롤하고 있는 사용자) 는 중계서버에 액세스하며, 중계서버는 상기 액세스한 사용자에게 액세스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인증한다 (S310). 예를 들어, A 대학교의 수강편람만을 제공하는 중계서버로 B 대학교 학생이 액세스를 시도하는 경우, 상기 B 대학교 학생에게는 액세스 권한이 없으므로 클래스 신청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액세스 권한에 관한 인증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외부와 연동되는 학생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인증할 수도 있고, 사용자단말기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적사항을 분석하여 인증할 수도 있다. When the user terminal wants to receive the class enrollment service, the user terminal (or the use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first accesses the relay server, and the relay server authenticates whether the access user has access authority ( S310). For example, when a university B student attempts to access a relay server that provides only the course manuals of university A, the university B student does not have access to the class application service. Authentication of access rights can be performed through various methods. For example, the access authority may be authenticated using an external student management system, or may be authenticated by analyzing user pers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user terminal.

이러한 과정을 거쳐, 사용자에게 권한이 있음이 인증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클래스리스트를 전송한다. 여기서 클래스리스트는,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클래스들의 목록으로서, 상기 클래스들 각각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클래스 각각에 대응되는 클래스등록정보 및 클래스식별번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나중에 사용자가 클래스리스트에서 일 클래스를 선택할 경우, 중계서버는 상기 클래스에 대응되는 클래스식별번호만을 수신하면 된다.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클래스식별번호만을 수신하면 되므로 부하가 적게 들며,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기와의 통신에 드는 시간이 짧게 걸리는 장점이 있다.Through this process, if the user is authenticated as authorized, the class list is transmitted to the user. Here, the class list is a list of classes requested by the user, and includes class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class identification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class so that information related to each of the classes can be displayed to the user. When the user later selects a class from the class list, the relay server only needs to receive a class identification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lass. Since only the class identification number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load is less, the resources can be saved, and the time required for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is short.

상기 전송된 클래스리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기는 하나의 클래스를 선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인 KEVIN 이 전공 클래스의 리스트를 요청한 경우, 중계서버는 KEVIN 의 단말기로 클래스리스트 (410) 를 전송하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KEVIN 은 클래스리스트 (410) 에 기초하여 수강하고자 하는 클래스를 신청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중계서버는 클래스리스트를 제공함과 함께, 예를 들어, 수다방 (420) 과 같은, 중계서버에 액세스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들과 실시간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중계서버는 광고문구 (또는 통지문구; 430) 를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selects one class based on the transmitted class lis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when the user KEVIN requests a list of major classes, the relay server may transmit and display the class list 410 to the terminal of the KEVIN. KEVIN may apply for a class to be taken based on the class list 410. If necessary, the relay server may provide a list of classes, as well as an interface that allows for real-time communication with other users who are accessing the relay server, such as hangout 420.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relay server may cause the advertisement text (or notification text) 430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클래스리스트 중 수강하고자 하는 클래스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클래스에 대응되는 클래스식별번호는 중계서버로 전송되어(S320), 사용자가 어떤 클래스를 수강신청하였는지 알 수 있다 .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select a class to be taken from the class list, and the class identification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lass is transmitted to the relay server (S320), so that the user can know which class to register for.

수신된 클래스식별번호에 따라, 상기 클래스식별번호에 대응되는 클래스를 사용자가 수강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330). 예를 들어, 클래스의 수강 정원이 이미 초과된 경우, 또는 특정 학과생 또는 특정 학년생을 대상으로 한 클래스이어서 사용자가 수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클래스에 대한 사용자의 수강 신청이 거부된다. 그렇지 아니한 경우 사용자는 클래스 수강신청을 완료할 수 있다 (S340). According to the received class identification number, it is determined whether a user can take a class corresponding to the class identification number (S330). For example, if a class has already exceeded the class size, or if the class cannot be taken because the class is for a specific student or a certain grade student, the user's registration for the class is denied. If not, the user may complete the class registration (S340).

수강 신청 성공을 한 클래스를, 다른 사용자가 수강신청 성공한 경우 (S350), 사용자는 클래스를 수강하는 다른 사용자와 연동된다 (S360). 즉, 연동된 사용자들 간에는 인적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학기가 시작되기 이전에, 클래스를 수강할 학생들 간의 자유로운 소통이 가능해진다. 다시 말하자면, 동일한 클래스를 수강하는 학생들 간에는 인적 네트워크가 형성되며,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멤버들 간에는 메시지 교환/공유 또는 자료의 교환/공유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연동 과정은 사용자가 클래스 수강신청을 성공함과 동시에 이루어진다. 수강신청이 성공함과 동시에 연동과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는 클래스를 수강하는 다른 사용자와 네트워크를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고, 클래스 수강에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획득할 수 있다.If a class has successfully registered for a class, and another user has successfully registered for the class (S350), the user is linked with another user who takes the class (S360). In other words, a human network is established between the linked users, and free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who are taking classes before the semester begins. In other words, a human network is formed between students who take the same class, and message exchange / sharing or data exchange / sharing is possible among the members included in the network. This linkage process takes place at the same time as the user successfully registers for classes. As the course registration is successful and the linking process is made, the user can quickly establish a network with other users who are taking the class, and can quickly obtain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aking the class.

예를 들어, 도 5 를 참조하면, 사용자인 KEVIN (510) 은 화목 2 교시에 열리는 그래픽스 클래스 (클래스식별번호 : M107) 를 수강하는 다른 사용자, KATE (520), ALAN (530) 와 인적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반면, 상기 그래픽스 클래스를 수강하지 않는 SUSAN (540) 과는 인적 네트워크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렇게 형성된 인적 네트워크를 반영하여 생성된 수강자리스트 (550) 는 SNS서버로 전송되어 네트워킹에 필요한 제반 자원을 지원받을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수강자리스트 (550) 에 포함되는 멤버들은 자유롭게 통신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6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KEVIN 은, 누구와 인적 네트워크가 형성되었는지 알 수 있으며 (650),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멤버들 간의 실시간 메세징을 포함한 커뮤케이션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610) 를 제공받을 수 있어 상기 인터페이스 (610) 를 통해 실시간으로 그룹 통신 또는 일대일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수업 관련 자료를 실시간으로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630) 도 제공받을 수 있으며, 해당 클래스를 수강했던 선배 학생들과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640) 도 제공받을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a user KEVIN 510 may have a human network with other users, KATE 520, ALAN 530, who are taking a graphics class (class identification number M107) held in fellowship 2. On the other hand, no human network is formed with the SUSAN 540 which does not take the graphics class. The learner list 550 generated by reflecting the human network thus formed may be transmitted to the SNS server to support various resources necessary for networking, and based on this, members included in the learner list 550 may freely communicat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user KEVIN may know who the human network is formed with (650), and may communicate with the interface (610) including real-time messaging between members included in the network. It may be provided to enable group communication or one-to-one communication in real time through the interface 610. In addition, an interface 630 for uploading or downloading class-related materials in real time may be provided, and an interface 640 for forming a human network with senior students who have taken the class may be provided.

상기 중계서버(200)에는 질의에 기초하여 가장 적절한 신뢰성을 갖는 사용자 또는 그룹을 선택하여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SNS연동부에는 선택표시부가 더 부가형성된다. 상기 선택표시부는 기본정보모듈, 상태정보모듈, 관련정보모듈 및 표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elay server 200 may be configured to select and display a user or group having the most appropriate reliability based on the query. To this end, a selection display unit is further formed on the SNS linking unit. The selection display unit includes a basic information module, a status information module, a related information module, and a display module.

상기 기본정보모듈은 제1 가중값을 갖는 기본정보를 포함한다.The basic information module includes basic information having a first weight value.

상기 기본정보모듈은 사용자의 연령, 성별, 학과, 취미 등 사용자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기본적 인적사항에 따른 사용자 기본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기본정보는 사용자 인적사항에 기록된 정보에 따라 각각 상이한 제1 가중값을 갖는다. 예컨대, 사용자의 취미가 ‘영화’라는 것을 인적사항에 기록되어 있고, 질의가 ‘영화’라는 질의어를 입력하면, 취미 항목의 기본정보가 가장 높은 제1 가중값을 갖고, 이어서 연령 항목이 그 보다 낮은 제1 가중값을 갖으며, 성별 항목은 그 보다 더 낮은 제1 가중값을 갖을 수 있다. 이때 취미 항목 중에서 ‘영화’를 제외한 ‘바둑’, ‘등산’ 등의 취미를 갖는 사용자는 동일한 제1 가중값을 갖을 수 있다.The basic information module includes user bas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basic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such as age, gender, department, hobby of the user. The basic information has different first weighting value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user's hobby is record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that the movie is 'movie', and the query enters the query 'movie',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hobby item has the highest first weight value, and then the age item is lower than that. It may have a first weight value and the gender item may have a lower first weight value. At this time, a user having a hobby such as 'go' or 'climbing' except for 'movie' may have the same first weighting value.

상기 상태정보모듈은 제2 가중값을 갖는 상태정보를 포함한다.The status information module includes status information having a second weight value.

상기 상태정보모듈은 클래스명, 클래스의 내용, 클래스와 관련된 제반 활동 등에 관한 클래스 상태정보 등 클래스정보저장부에 저장된 클래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클래스의 내용이란 수강신청한 클래스의 전공과목의 목차에 기재된 내용일 수 있으며, 클래스와 관련된 제반 활동은 실습 목록의 내용일 수 있다. 상기 상태정보는 입력되는 질의에 따라 각각 상이한 제2 가중값을 갖는다. 예컨대, 질의어가 ‘그래픽’이라면 클래스의 내용이라는 항목이 가장 높은 제2 가중값을 갖고, 이어서 클래스와 관련된 제반 활동이라는 항목이 그 보다 낮은 제2 가중값을 갖는다. 상기 상태정보는 입력되는 질의의 내용과 연관성에 따라 그 가중치가 정하여 진다.The state information module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a class stored in the class information storage unit, such as class name, class contents, class state information about activities related to the class, and the like. Here, the contents of the class may be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of the major courses of the class in which the class is applied, and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 classes may be the contents of the practice list. The state information has a second weighted valu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n input query. For example, if the query is 'graphics', the item of class content has the highest second weight value, and then the item of activity associated with the class has a lower second weight value. The weight of the state informa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with the content of the input query.

한편, 제2 가중값은 질의어에 따라 각각 상이한 이산값을 갖는다. 각각의 항목에 부여되는 제2 가중값의 간격은 넓다. 예컨대, 질의어가 일정 기간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라면 제2 가중값은 큰 이산값을 갖고, 질의어가 일정 기간 자주 사용되지 않는 표현이라면 제2 가중값은 이 보다 작은 이산값을 갖도록 구성된다. 자주 사용되는 표현은 적절한 답변자의 선택이 어려우므로 이산값을 크게하여 선택의 자유성을 충분히 부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weighted values have different discrete values according to the query words.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weights given to each item is wide. For example, if the query term is frequently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second weighted value has a large discrete value, and if the query word is frequently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second weighted value is configured to have a smaller discrete value. Frequently used expressions are difficult to select appropriate answerers, so the discrete value can be increased to give sufficient freedom of choice.

상기 관련정보모듈은 기본정보모듈의 제1 가중값과 상태정보모듈의 제2 가중값에 기초한 연관값을 갖는다. 상기 연관값은 사용자의 기본정보와 가장 연관성이 높은 항목과 상기 입력되는 질의와 가장 관련도가 높은 내용에 기초하여 질의에 대한 답변자가 선택된다. 예컨대 상기 연관값은 제1 가중값과 제2 가중값의 산술적 또는 집합적 연산에 따라 정하여진다. 이와 같은 연관값은 질의어의 종류, 질의어의 사용빈도에 따라 미리 정하여질 수 있다.The related information module has an associated value based on a first weighted value of the basic information module and a second weighted value of the status information module. The response value is selected based on the item most relevant to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content most relevant to the input query. For example, the correlation value is determined according to an arithmetic or collective operation of the first weight value and the second weight value. Such association value may be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query and the frequency of use of the query.

여기서, 상기 선택되는 답변자의 상기 연관값에 따라 선택 순위가 정하여 진다. 예컨대 질의자와 동일한 관심(취미)을 갖고 질의자의 내용과 가장 연관성이 높은 답변을 한 사용자가 선택되어 질 수 있다.Here, the selection ord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ssociation value of the selected answerer. For example, a user who has the same interest (hobby) as the queryer and has the most relevant answer to the content of the queryer may be selected.

상기 선택된 답변자는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관값이 높은 상위 3개의 답변자로 이루어지는 그룹과 그 아래로 이어지는 각각의 3개씩의 답변자로 이루어지는 그룹들로 나뉘어질 수 있다. 즉, 연관값이 높은 답변자가 KEVIN, KATE, ALAN 의 순서라면 선택된 답변자는 KEVIN이 선택되며, 3명을 하나의 그룹으로 정하여 진다면 이들 모두가 선택될 수 있다.The selected answerer may be assigned to one or more groups. For example, it may be divided into a group consisting of the top three respondents having a high association value, and a group consisting of three respondents each following it. That is, if the respondents with high association value are KEVIN, KATE, and ALAN, KEVIN is selected for the selected responder, and all three may be selected if 3 persons are selected as a group.

상기 표시모듈은 선택된 답변자 또는 그룹을 선택되지 않은 답변자 또는 그룹과 구별되도록 표시한다. 상기 표시는, 도 6을 참조하면, 수업 관련 질문/답변하기 항목에서 글쓴이 즉, 답변자의 이름에 색을 달리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볼드체의 이름 등 다양한 시각적 표시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되는 클래스 신청자 리스트에 있는 답변자들 중에서 선택된다.The display module displays the selected answerer or group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unselected answerer or group. Referring to FIG. 6, in the class-related question / answer item, the display may be displayed by changing the color of the writer, that is, the name of the answerer, or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visual displays such as the name of a bold type. It is selected from the respondents in the list of class applicants displayed.

이상과 같이, 수다방(420),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멤버들 간의 실시간 메세징을 포함한 커뮤케이션을 위한 인터페이스(610), 수업관련 질문/답변하기 인터페이스(620), 수업관련 자료를 실시간으로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630)에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angout 420, the interface for communication, including real-time messaging between the members included in the network 610, the class-related questions / answers interface 620, upload or download the class-related materials in real time It can be implemented by applying to the interface 630.

또한, 사용자는, 질문, 답변 또는 자료 공유 등 수업과 관련된 활동을 할 경우 그 활동에 대한 대가를 지급받을 수 있다. 상기 대가는, 상기 시스템에 액세스하고 있는 사용자단말기들 또는 중계 서버 간에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가상 화폐 또는 포인트일 수도 있고, 오프라인 매장 (예를 들어, 학교 서점) 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할인권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등급일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활동에 대한 대가를 지급받을 수 있어, 활동에 재미를 느끼고 클래스에 대한 흥미를 더욱 갖게 된다. 결과적으로, 클래스를 중심으로 형성된 인적 네트워크에 포함된 멤버들의 활동을 증가시킬 수 있어, 상기 멤버들 간의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user performs an activity related to a class such as a question, an answer, or a material sharing, the user may be paid for the activity. The price may be a virtual currency or point that can be used as cash between user terminals or relay servers accessing the system, a discount ticket that can be used in an offline store (eg, a school bookstore), or a user. It may be a grade given to. The user may be paid for his or her activity, making the activity more fun and more interesting for the clas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ctivities of the members included in the human network formed around the class, thereby activating natural communication between the members.

상술된 일련의 단계는 사용자가 클래스 수강신청을 중단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S370). 수강신청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중계서버는 도 7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로, 사용자단말기가 신청한 클래스에 기초하여 구성된 클래스 시간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시간표 (700) 는, 사용자가 상기 시간표 상에 표시된 일 클래스를 클릭하면, 상기 클릭된 클래스를 수강하는 멤버들과 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The series of steps described above are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user stops the class registration (S370). Upon completion of the course registration, the relay server may provide a class timetable configured based on the class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as shown in FIG. 7,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he timetable 700 may be implemented to enable networking with members who take the clicked class when a user clicks on a class displayed on the timetable.

상술된 대학생들의 수강신청 이외에도,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중고 학생들의 학급에 포함되는 사용자들 간의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학급마다 클래스식별번호가 부여되고, 해당 학급에 배정된 학생들이 중계서버에 액세스하여 자신의 학급에 대응되는 클래스식별번호를 중계서버로 전송하면, 중계서버는 동일한 클래스식별번호를 전송한 사용자들 간에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멤버들 간의 정보 공유/교환/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urse registration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human network between the users included in the clas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can be formed. For example, if a class ID number is assigned to each class, and students assigned to the class access the relay server and transmit the class ID number corresponding to their class to the relay server, the relay server transmits the same class ID number. It forms a network between users and enables information sharing / exchange /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members included in the network.

당업자는 여기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을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대체 가능성을 분명히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예시적인 단계들을 주로 그들의 기능의 관점에서 상술하였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될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 조건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구현의 결정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해석하지는 않아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may appreciate that various example logic blocks and algorithm step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electronic hardware, computer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To clearly illustrate this possibility of replacing hardware and software, various illustrative steps have been described above primarily in terms of their functionality. Whether such functionality is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depends upon the particular application and design constraints imposed on the overall system. Skilled artisans may implement the described functionality in varying ways for each particular application, but should not interpret it as causing a decision of such implementation to fall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나열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그 밖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첨부한 청구범위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The above-listed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Additions, omissions, substitutions, and othe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but only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서비스제공시스템 101, 102, 103 : 사용자단말기
200 : 중계서버 300 : 수강편람데이터베이스
400 : SNS서버
210 : 통신부 220 : 클래스식별번호 할당부
230 : 클래스관리부 240 : 사용자관리부
250 : SNS연동부 260 : 저장부
261 : 클래스정보저장부 262 : 사용자정보저장부
100: service providing system 101, 102, 103: user terminal
200: relay server 300: course manual database
400: SNS server
210: communication unit 220: class identification number assignment unit
230: class management unit 240: user management unit
250: SNS interworking unit 260: storage unit
261: class information storage unit 262: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Claims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기로 클래스 신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클래스등록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수강편람데이터베이스;
클래스수강자리스트에 포함되는 사용자단말기들 간에, 정보를 공유하도록 동작하는 SNS서버; 및
상기 수강편람데이터베이스, 상기 SNS서버,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중계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서버는,
클래스리스트를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자가 선택한 클래스식별번호를 수신하며,
상기 클래스식별번호가 상기 클래스리스트에 포함되고, 상기 클래스식별번호에 따른 클래스에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등록가능하면, 상기 클래스에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등록하고,
상기 클래스식별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타사용자단말기와 연동시키도록 추가적으로 동작하며,
상기 클래스수강자리스트는,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연동하는 타사용자단말기를 멤버로서 포함하며,
상기 중계서버는 선택표시부를 포함하는 SNS연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선택표시부는, 제1 가중값을 갖는 기본정보를 포함하는 기본정보모듈과 제2 가중값을 갖는 상태정보모듈과,
상기 기본정보모듈의 제1 가중값과 상태정보모듈의 제2 가중값에 기초한 연관값을 갖는 관련정보모듈과,
상기 관련정보모듈의 연관값에 따라 선택된 답변자 또는 선택된 그룹을 표시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스 신청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system for providing a class application service to one or more user terminals,
A course manual database configured to store class registration information;
An SNS server operative to share information among user terminals included in the class student list; And
A relay server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ourse manual database, the SNS server, and the user terminal;
The relay server includes:
Send the class list to the user terminal,
Receiving a class identification number selected by a user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If the class identification number is included in the class list and the user terminal can be registered in a class according to the class identification number, the user terminal is registered in the class.
On the basis of the class identification number, and additionally operates to link the user terminal with another user terminal,
The class attendee list includes the user terminal and other user terminals linked with the user terminal as members.
The relay server includes an SNS interlocking unit including a selection display unit, wherein the selection display unit includes a basic information module including basic information having a first weight value and a state information module having a second weight value;
A related information module having an associated value based on a first weighted value of the basic information module and a second weighted value of the status information module;
And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the selected answerer or the selected group according to the related value of the related information modul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값은 질의어의 종류 및 질의어의 사용빈도에 따라 정하여지며,
상기 제2 가중값은 질의어에 따라 각각 상이한 이산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스 신청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association valu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query and the frequency of use of the query.
And the second weighted value has different discrete values according to the query word.
삭제delete
KR1020120053754A 2011-08-11 2012-05-21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lass registration service including interaction between class attendees KR10121460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219 2011-08-11
KR20110080219 2011-08-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4603B1 true KR101214603B1 (en) 2012-12-21

Family

ID=4790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754A KR101214603B1 (en) 2011-08-11 2012-05-21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lass registration service including interaction between class attende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60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941B1 (en) 2012-12-27 2014-06-03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Curriculum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group technolog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941B1 (en) 2012-12-27 2014-06-03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Curriculum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 using group technolog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tto The future high education distance learning in Canada, the United States, and France: Insights from before COVID-19 secondary data analysis
US998407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tivation-based course selection
Sheldon et al. Tourism education futures, 2010–2030: Building the capacity to lead
Chamakiotis et al. Social value creation through digital activism in an online health community
Loureiro‐Koechlin et al. Time, space and structure in an e‐learning and e‐mentoring project
US20120164619A1 (en) Educational Assessme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Jong et al. Understanding the concerns of teachers about leveraging mobile technology to facilitate outdoor social inquiry learning: The EduVenture experience
Villares et al. Updating the school counseling research agenda: A Delphi study
CN106296505A (en) Educational system information interacting method, device and system towards multiple objects
Zhong et al. A computational investigation of learning behaviors in MOOCs
Hazari et al. Investigating factors affecting group processes in virtual learning environments
Alemanne et al. The rural public library as leader in community broadband services
Reychav et al. Centrality measure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omputerized classroom social networks: An empirical investigation
Das et al. Online school conflicts: expanding the scope of restorative practices with a virtual peace room
Ojino et al. Mobile applications in university education: The case of Kenya
Willems Digital equity: Considering the needs of staff as a social justice issue
Pai et al. As long as you are here, can I interest in you some science? Increasing student engagement by co-opting a social networking site, Facebook for science discussions
Budirahayu et al. Pedagogical innovation and teacher collaborations in supporting student learning success in Indonesia
KR101214603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lass registration service including interaction between class attendees
May et al. What Students Use–Results of a Survey on Media Use Among Engineering Students
Chaiprasurt Enhancing Students' Motivation using Facebook and SMS with Google Spreadsheets Support: A Comparative Study
KR20150123023A (en) Online education and consulting system utilizing real-time question answer and session
Macharia Mobile applications to enhance versatility of mobil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PiCTurE Key initiatives in education
Li Antecedences to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E-learning of Postgraduate Students in Beijing, Chi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