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764B1 - Cooker for auto control water level in cooking - Google Patents

Cooker for auto control water level in coo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764B1
KR101402764B1 KR1020120066522A KR20120066522A KR101402764B1 KR 101402764 B1 KR101402764 B1 KR 101402764B1 KR 1020120066522 A KR1020120066522 A KR 1020120066522A KR 20120066522 A KR20120066522 A KR 20120066522A KR 101402764 B1 KR101402764 B1 KR 101402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eight
grain
cook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5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43209A (en
Inventor
박지명
Original Assignee
박지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명 filed Critical 박지명
Priority to KR1020120066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764B1/en
Publication of KR20130143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2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7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 높이 방향으로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곡물을 담는 곡물용기가 개구를 통해 내부에 배치되고 가열수단이 구비되는 밥솥 본체부, 밥솥 본체부의 상부 일 측과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개구를 개폐하며, 일 부분에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부가 설치된 밥솥 덮개부를 포함한다. 또한, 밥솥 본체부 내부의 하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곡물용기 중량 및 곡물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센서부, 곡물 용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중량 센서부에서 측정된 곡물용기 중량 및 곡물 중량을 기반으로 취사 시 필요한 물의 양을 설정하고, 곡물 용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부를 제어하는 취사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rice cooker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during cooking, the rice cooker having an opening at an upper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a rice container for containing cereals, And a rice cooker lid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to pivotally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has an air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the air. The weight of the grain container and the weight of the grain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part and the weight part of the water feed part for supplying water to the grain container are measured. And a cusp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unit so as to supply water to the cereal container.

Description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COOKER FOR AUTO CONTROL WATER LEVEL IN COOKING}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cooker,

본 발명은 취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 용기에 담긴 곡물 중량을 판단하여 취사 시 필요한 물의 양을 설정하고, 기 설정된 기준 급수량과 곡물에 흡수된 물의 양 및 곡물 중량을 비교하여 취사를 위해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취사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device that determines the weight of cereals contained in a cereal container to set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cooking, compare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feed rate with the amount of water absorbed in the cereal grain, It is a cook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adjusts the amount of water at the time of cooking to supply necessary water.

일반적으로 전기 밥솥과 같은 취사 장치를 이용하여 취사를 하려면 곡물을 세척하고, 곡물 용기에 세척한 곡물을 담고 적정량의 물을 추가하여 취사장치를 구동시킨다. 취사장치를 이용한 취사 시 물의 양은 곡물의 양에 맞춰 사용자가 임의로 정하게 된다. 또한, 물의 양은 곡물의 종류, 곡물을 물에 불린 정도에 따라 취사 시 달리하게 된다. 또한, 곡물의 종류에 따라 취사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해 취사 조건을 조절하며 취사를 하게 된다. 취사장치의 기능과 활용범위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취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Generally, in order to cook using a cooker such as an electric cooker, the cereal is washed, the cereal container is filled with the washed cereal, and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is added to drive the cooking device. The amount of water during cooking using the cooking device is arbitrarily set according to the amount of grain. Also, the amount of water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grain and the degree of grain called water.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grain, various functions of the cooking device are used to control cooking conditions and cook. As the function and application range of the cooking device is gradually expanded, a variety of cooking devices are being developed.

한국등록특허 제10-0607878호의 “선택형 압력밥솥”은 한 종류의 밥을 취사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두 종류 이상의 밥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는 선택형 압력밥솥에 관한 종래 기술이다. 해당 종래 기술은 한번의 취사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밥을 취사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인접공간사이에 물의 이동을 완전히 차단하여 원하는 종류의 밥을 취사할 수 있고, 취사 후 적어도 한 종류의 밥은 별도의 밥그릇에 담지 않고 그대로 밥상에서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Korean Patent No. 10-0607878 discloses a selective pressure rice cooker capable of cooking one kind of rice and selectively cooking two or more kinds of rice at the same time as needed. The related art is capable of cooking at least one rice at a time of cooking, and is simple in structure and completely blocks the movement of water between adjacent spaces, so that a desired kind of rice can be cooked, and at least one kind of rice It is aimed to be able to eat it in the table without putting it in separate rice bowl.

이를 위해 해당 종래 기술은 밥통 내부에 안치되는 내부밥통을 구비하고 그 내부밥통이 밥통 내부에 견고하게 안치될 수 있도록 밥통 내면에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압력 밥솥에 있어서, 밥통의 내면에 물의 수준을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된다. 또한, 내부밥통의 외면에 밥통의 물 수준을 나타내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밥통의 내면에 내부밥통 내부의 물 수준을 측정하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related art is provided with an inner rice bowl housed in a rice bowl, and a fixing means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ice bowl so that the inner rice bowl can be firmly housed in the rice bowl. In the pressure rice cooker, A graduation for displaying is formed. In addition, a scale indicating the water level of the rice bowl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rice bowl, and a scale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in the inner rice bowl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rice bowl.

해당 종래 기술은 밥통을 이용해 한 종류의 밥을 취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밥통 내부에 내부밥통을 안치시켜 두 종류의 밥을 조리할 수 있다. 또한, 밥통의 내면에 표시된 눈금에 의해 물의 양을 조절하고, 두 종류의 밥을 조리할 경우에 내부 밥통 외면의 눈금을 이용해 밥통 내부의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lated art, one kind of rice can be cooked by using a rice bobbin, and two kinds of rice can be cooked by placing an inner rice bobbin inside a rice bob as needed. 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water is adjusted by the scale indi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ice bowl, and the two kinds of rice are cooked, the amount of water inside the rice bowl can be adjusted by using the scale of the outer rice bowl.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은 취사 시 취사하려는 곡물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물의 양을 조절하며 밥통에 물을 공급하여야 한다. 따라서, 곡물의 양에 따른 물의 양을 정확히 설정할 수 없고, 정확한 물의 양을 밥통 내부에 공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취사를 위해, 밥통에 표시된 눈금을 기준으로 물을 공급하기 때문에 곡물의 양에 따른 적정량의 물을 공급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 the user must directly adjust the amount of water according to the kind of grain to be cooked at the time of cooking and supply water to the rice bowl. Therefore, the amount of wat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grain can not be accurately set, and the amount of accurate water can not be supplied into the rice bobbin. Further, since the user supplies water on the basis of the scale indicated on the rice bowl for cook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upply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grain.

또한, 곡물을 물에 불린 상태일 경우, 곡물에 수분이 얼만큼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밥통 내부에 임의로 물을 공급하게 되고, 이로 인해 취사물(밥)의 질을 떨어뜨리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grain is called water, it is impossible to check how much moisture is contained in the grain. Accordingly, the user may arbitrarily supply water to the inside of the rice cooker, thereby lowering the quality of the cooked rice.

본 발명에 따른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취사장치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목적으로 한다.A cooking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during coo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취사 시 곡물의 중량에 따라 물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취사물(밥)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Firs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rice cooker which automatically adjusts the amount of water according to the weight of cereal at the time of cooking to automatically adjust the amount of water during cooking, which can improve the quality of cooked rice.

둘째, 수분을 함유한 곡물의 경우, 곡물에 함유된 물의 양을 판단하여 취사 시 적정 물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Seco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magnetic cooker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at the time of cooking, by which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cereals can be judged by automatically judging the amount of water in cooking.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은 높이 방향으로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곡물을 담는 곡물용기가 개구를 통해 내부에 배치되고 가열수단이 구비되는 밥솥 본체부, 밥솥 본체부의 상부 일 측과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개구를 개폐하며, 일 부분에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부가 설치된 밥솥 덮개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magnetic rice cooker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n amount of water during cooking, the rice cooker having an opening at an upper portion in a height direction, a grain container for containing cereals, And a rice cooker lid portion coupled to the rice cooker body portion and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rice cooker body portion so as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to have an air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air.

또한, 밥솥 본체부 내부의 하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곡물용기 중량 및 곡물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센서부, 곡물 용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중량 센서부에서 측정된 곡물용기 중량 및 곡물 중량을 기반으로 취사 시 필요한 물의 양을 설정하고, 곡물 용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부를 제어하는 취사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weight of the grain container and the weight of the grain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part and the weight part of the water feed part for supplying water to the grain container are measured. And a cusp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unit so as to supply water to the cereal container.

또한, 밥솥 덮개부와 밥솥 본체부를 체결시켜 밥솥 본체부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밥솥 본체부에 구비되며 급수부를 통해 곡물용기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탱크를 더 포함한다. The rice cooker further includes a water storage tank provided in the rice cooker main body and storing water to be supplied to the cereal bowl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member for tightening the inside of the rice cooker main body by fastening the rice cooker cover and the rice cooker main body .

나아가, 취사 제어부는 취사 제어부는 곡물이 담긴 곡물용기 중량에서 곡물용기 자체중량을 차감하여, 곡물용기 내부의 곡물 총 중량(곡물 제1중량)을 판단하는 곡물 중량 판단부를 포함한다.Further, the cooking control unit includes a grain weight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total grain weight (the first grain weight) inside the grain container by subtracting the grain weight of the grain container from the grain container weight containing the grain.

또한, 곡물용기에 곡물이 담긴 상태에서 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은 곡물용기 중량과 곡물이 담긴 상태에서 물을 공급받지 않은 곡물용기 중량을 차감하여, 곡물 용기 내부의 물 중량(물 제1중량)을 판단하는 물 중량 판단부를 포함한다.The weight of the grain in the grain container (first weight of water)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weight of the grain container supplied with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ion and the weight of the grain container not fed with water, And a water weigh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water weight.

또한, 곡물 중량 판단부에서 판단된 곡물 제1중량을 기반으로 물의 양을 설정하고, 설정된 물의 양을 곡물용기에 공급하도록 급수부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는 급수 조절부 및 밥솥 본체부 또는 밥솥 덮개부에 구비된 온도센서로 곡물용기의 내부 공간 온도를 판단하고, 가열수단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여 곡물용기의 내부 공간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amount of water on the basis of the first weight of the grain determined by the grain weight judging unit, to feed or stop the water supply unit to supply the set amount of water to the cereal container, and to the rice cooker body unit or the rice cooker cover And a temperatur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ternal space temperature of the cereal container by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to the heating unit.

더 나아가, 취사 제어부는 사용자가 곡물 종류, 곡물 중량(곡물 제2중량), 취사, 취사 정지, 취사 예약 시간 또는 취사 후 취사물 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한다.Further, the cooking control section includes an input section for inputting at least one of the grain type, the grain weight (grain second weight), the cooking state, the cooking stop, the cooking time or the cooking state after cooking.

또한, 취사 시간, 곡물용기의 내부 공간 온도 또는 물의 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곡물 종류 및 곡물 제2중량에 따라, 취사시 필요한 물의 양(물 제3중량)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Further,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cooking time,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of the grain container or the amount of water,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amount of water (third weight of water) required for cooking according to the grain type and the grain second weight do.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급수부는 밥솥 본체부 또는 밥솥 덮개부의 일 구간에 구비되며, 물의 이동을 위한 물 공급로, 물 공급로를 통한 물의 이동을 차단 또는 차단해제하는 개폐밸브 및 급수 조절부의 조절 신호에 따라 개폐밸브를 구동시키는 동력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section of the rice cooker main body or the rice cooker lid, and includes a water supply path for water movement, an opening / closing valve for shutting off or unblocking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path, And a power unit for driving the open / close valve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본 발명에 따른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The rice cooker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during coo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곡물용기 및 곡물의 중량을 중량 센서부에서 측정하고, 측정된 중량에 따라 취사 제어부에서 취사 시 필요한 물의 양을 설정하며 곡물용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부를 제어함으로써, 취사 시 곡물의 중량에 따라 물의 양을 자동조절할 수 있어 취사물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the weight of the grain container and the grain is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part, and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cooking is set in the cooking control part according to the measured weight, and the water supply part is controlled so as to supply water to the grain container. The amount of water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food.

둘째, 취사 제어부의 저장부에 저장된 곡물 종류 및 기준 곡물 중량에 따른 기준 물의 양과 곡물용기에 담긴 곡물의 중량을 비교하여, 취사 제어부가 취사 시 필요한 물의 양을 설정하며 곡물 용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부를 제어함으로써, 취사 시 곡물의 종류에 따라 적정 물의 양을 자동으로 곡물용기에 공급할 수 있다.Second, by comparing the amount of the reference material with the weight of the grain contained in the grain contain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cooking control unit and the weight of the reference grain according to the reference grain weight, the cooking control unit sets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cooking and supplies water to the grain container By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section, the amount of the appropriate amount of water can be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grain container depending on the kind of grain at the time of cooking.

셋째, 중량 취사 제어부에서 곡물용기 내부의 곡물 중량과 사용자가 입력한 곡물 중량을 비교하고 곡물에 흡수된 물의 양을 판단하여, 취사 시 필요한 물의 양을 설정하며 곡물용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부를 제어함으로써, 쌀의 불림정도에 따라 적정 물의 양을 자동으로 곡물용기에 공급할 수 있다. Third, the weight control unit compares the grain weight inside the grain container with the grain weight inputted by the user, determines the amount of water absorbed in the grain, sets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cooking, and supplies water to the grain container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the appropriate amount of water can be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grain contain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rice flouring.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의 취사 제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의 급수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omagnetic cooker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during coo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oking control unit of an electric rice cooker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during coo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water supply unit of an electromagnetic cooker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during coo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100)은 높이 방향으로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곡물을 담는 곡물용기(111)가 개구를 통해 내부에 배치되고 가열수단(112)이 구비되는 밥솥 본체부(110), 밥솥 본체부(110)의 상부 일 측과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개구를 개폐하며, 일 부분에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부(121)가 설치된 밥솥 덮개부(120)를 포함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omagnetic cooker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during coo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an electromagnetic rice cooker (100)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during cooking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t the top in the height direction, a cereal container (111) containing cereals is disposed inside the opening, A rice cooker lid 120 provided with a rice cooker body 110 having an air outlet 121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ing of the rice cooker main body 110, ).

또한, 밥솥 본체부(110) 내부의 하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곡물용기 중량 및 곡물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센서부(130), 곡물 용기(111)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140)를 포함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lower portion of the rice cooker main body 110 includes a weight sensor portion 130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grain container and the weight of the grain, and a water supply portion 140 for supplying water to the grain container 111 do.

또한, 중량 센서부(130)에서 측정된 곡물용기 중량 및 곡물 중량을 기반으로 취사 시 필요한 물의 양을 설정하고, 곡물 용기(11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부(140)를 제어하는 취사 제어부(150)를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water supply unit 140 to set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cooking based on the weight of the grain container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unit 130 and the weight of the grain and to supply water to the grain container 111. [ (150).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100)은 밥솥 덮개부(120)와 밥솥 본체부(110)를 체결시켜 밥솥 본체부(11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체결부재(160)을 더 포함한다.The electromagnetic cooker 100 automatically adjusts the amount of water during coo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ker 100 includes a coupling member 120 for coupling the cooker lid 120 and the cooker main body 110 to seal the inside of the cooker main body 110 160).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밥솥 본체부(110)는 하부에 가열수단(112)을 포함하며, 곡물 중량에 따른 물의 양을 설정하는 취사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밥솥 본체부(110)는 내부에 삽입되는 곡물용기(111)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센서부(130)을 포함한다. 밥솥 본체부(110)는 일 측면에 입력부(155), 표시부(156) 및 저장부(167)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oker main body 110 includes a heating unit 112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includes a cooking control unit 150 for setting the amount of water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grain. The rice cooker main body portion 110 includes a weight sensor portion 130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grain container 111 to be inserted therein. The cooker main body 110 includes an input unit 155, a display unit 156, and a storage unit 167 on one side.

밥솥 본체부(110)의 상부 일 측에는 밥솥 덮개부(120)와 힌지 결합을 위한 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하고, 밥솥 본체부(110)의 내부 밀폐를 위해 밥솥 덮개부(120)와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160)가 설치될 수 있다. 체결부재(160)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으로 밥솥 덮개부(120)와 밥솥 본체부(110)의 체결 또는 체결해제가 가능하다. 사용자는 체결부재(160)를 누름 동작하여 체결해제하고, 밥솥 본체부(110)의 상부 개구를 통해 곡물용기(111)를 삽입할 수 있다. The cooker main body 110 includes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oker lid 120 and a coupling portion (not shown) for hinging the cooker lid 120. In order to seal the inner portion of the cooker main body portion 110, A fastening member 160 may be provided. The fastening member 160 can be fastened or disengaged from the cooker lid 120 and the cooker main body 110 by the user's pressing operation. The user can press the fastening member 160 to release the fastening member and insert the grain container 111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cooker main body portion 110. [

곡물용기(111)는 높이 방향으로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 반구 형상 등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내부는 취사물이 표면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팅막이 형성된다.The grain container 11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such as a columnar shape or a hemisphere shape having an opening at the top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coating film is formed inside the grain container 111 to prevent the food from adhering to the surface.

본 발명에서 곡물은 쌀, 보리, 잡곡, 옥수수 등의 다양한 곡식을 의미하며, 이외에 다양한 음식을 만들 수 있는 음식의 재료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취사물은 다양한 종류의 밥을 포함한 조리된 음식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cereals means various cereals such as rice, barley, rice grains, and corn, and may also mean food materials that can make various foods. In addition, the dish means cooked food including various kinds of rice.

밥솥 본체부(110)의 내부 공간은 곡물용기(11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밥솥 본체부(110)는 외부 전원을 충전하여 밥솥 본체부(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nal space of the rice cooker main body 11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grain container 111 and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outside. The cooker main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unit (not shown) for charging the external power source to supply power to the cooker main body 110.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밥솥 덮개부(120)는 일 구간에 설치되고, 내부와 연통되어 밥솥 본체부(110)의 내부 공간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부(121)를 포함한다. 공기 배출부(121)는 본 발명에 따른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100)을 이용해 취사 시 발생되는 내부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공기 배출부(121)의 구동은 취사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In one embodiment, the rice cooker lid 120 includes an air outlet 121, which is provided in a section and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rice cooker lid 120 to discharge the internal space air of the rice cooker main body 110 to the outside. The air discharge unit 121 discharges internal steam generated during cooking by using the electromagnetic cooker 100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during coo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discharge unit 121 may be driven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oking controller 150, or may be performed by a user.

밥솥 덮개부(120)는 손잡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측은 결합부재에 의해 밥솥 본체부(110)의 일 측과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밥솥 덮개부(120)의 면적은 밥솥 본체부(11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와 대응되며, 개구보다 더 넓을 수 있다. 밥솥 덮개부(120)의 하부에는 곡물용기(111)의 단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을 가진 곡물용기 덮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밥솥 덮개부(120)의 하부에는 온도센서(158)를 구비할 수 있다. 취사 제어부(150)는 온도센서(158)를 이용해 밥솥 본체부(110) 또는 곡물용기(111)의 내부 공간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The rice cooker lid 120 may include a handle (not shown), and one side of the rice cooker lid 120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rice cooker main body 110 by a joining member. The area of the cooker lid 120 corresponds to the opening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oker main body 110 and may be wider than the opening. The rice cooker lid 120 may further include a lower portion of a cereal container cover (not shown)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ereal container 111. In addition, a temperature sensor 158 may be provided below the cooker lid 120. The cooking controller 150 can measure the internal space temperature of the rice cooker main body 110 or the cereal container 111 by using the temperature sensor 158.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100)은 밥솥 본체부(110)에 구비되며 급수부(140)를 통해 곡물용기(111)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탱크(170)를 더 포함한다. 물 저장탱크(170)는 외부의 물 공급원에서 물을 공급받아 저장한다. 물 저장탱크(170)와 급수부(140)는 물의 유동을 위해 물 공급로(14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The rice cooker 100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during coo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rice cooker main body part 110 and includes a water storage part for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grain container 111 through the water supply part 140 And further includes a tank 170. The water storage tank 170 receives and stores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he water storage tank 170 and the water supply unit 140 may be connected by a water supply path 141 for the flow of water.

본 발명에서 물 저장탱크(170)는 밥솥 본체부(110)과 분리될 수 있으며, 분리될 경우에 물 저장탱크(170)는 밥솥 본체부(110)와 개별적으로 구비된다. 물 저장탱크(170)에 저장된 물은 급수부(140)의 동력기(143)에 의해 물 공급로(141)를 따라 유동하게 된다. 물 저장탱크(170)가 밥솥 본체부(110)와 분리되어 구비될 경우, 물 공급로(141)를 연정시킬 수 있는 파이크, 호스 등을 구비하여 물을 곡물용기(111)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torage tank 170 can be separated from the rice cooker main body 110, and when separated, the water storage tank 170 is separately provided from the rice cooker main body 110.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170 flows along the water supply path 141 by the power unit 143 of the water supply unit 140. When the water storage tank 17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rice cooker main body 110, water can be supplied into the grain container 111 by providing a pike, a hose, or the like capable of assisting the water supply passage 141 .

본 발명에 따른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100)의 취사 제어부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The cooking control unit of the rice cooker 100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during coo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의 취사 제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취사 제어부(150)는 곡물이 담긴 곡물 용기(111)의 곡물용기 중량에서 곡물이 담기지 않은 곡물용기(111)의 곡물용기 중량을 차감하여, 곡물용기(111) 내부의 곡물 중량(곡물 제1중량)을 판단하는 곡물 중량 판단부(151)를 포함한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oking control unit of an electric rice cooker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during coo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oking controller 150 subtracts the grain container weight of the grain container 111 in which the grain is not contained from the grain container weight of the grain container 111 containing the grain, And a grain weight determination unit 151 for determining the weight (the first weight of the grain).

또한, 곡물용기(111)에 곡물이 담긴 상태에서 급수부(140)를 통해 물을 공급받은 곡물용기(111) 중량과 곡물이 담긴 상태에서 물을 공급받지 않은 곡물용기(111) 중량을 차감하여, 곡물용기 내부의 물 중량(물 제1중량)을 판단하는 물 중량 판단부(152)를 포함한다.The weight of the grain container 111 supplied with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part 140 in the state where the grain container 111 is filled with grain and the weight of the grain container 111 not supplied with water in the state of containing the grain are subtracted And a water weight determination unit 152 for determining the weight of water (first weight of water) inside the grain container.

또한, 곡물 중량 판단부(151)에서 판단된 곡물 제1중량을 기반으로 물의 양을 설정하고, 설정된 물의 양을 곡물용기에 공급하도록 급수부(140)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는 급수 조절부(153)를 포함한다.A water supply controller 153 for driving or stopping the water feeder 140 to set the amount of water based on the first weight of the grain determined by the grain weight determiner 151 and to supply the amount of water to the grain container, .

아울러, 밥솥 본체부(110) 또는 밥솥 덮개부(120)에 구비된 온도센서(158)로 곡물용기(111)의 내부 공간 온도를 판단하고, 가열수단(112)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여 곡물용기(111)의 내부 공간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15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가열수단(112)은 유도가열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곡물용기(111)를 가열할 수 있다.The inner space temperature of the cereal container 111 is determin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58 provided in the cooker main body 110 or the cooker lid 120 and the power is supplied to or blocked from the heating means 112, And a temperature regulator 154 for regulating the internal space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11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means 112 can heat the grain container 111 in various ways, such as by induction heating.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100)의 취사 제어부(150)는 곡물 종류, 곡물 중량(곡물 제2중량), 취사, 취사 정지, 취사 예약 시간 또는 취사 후 취사물 상태 등을 입력하는 입력부(15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취사물 상태는 취사를 위한 식재료인 곡물이 쌀인 경우에 진밥, 된밥, 찰밥 등을 의미하며, 곡물이 아닌 양채, 고기 등의 식재료일 경우 해당 식재료에 따른 취사 후의 취사물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곡물 중량은 취사 전에 사용자가 입력부(155)에 입력하는 곡물의 중량을 의미하며, 입력하는 곡물의 중량은 수분이 함유되지 않은 상태의 곡물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cooking controller 150 of the electromagnetic cooker 100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during coo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type of cereal, the weight of the grain (the second weight of the grain), the cooking time, And an input unit 155 for inputting a water state or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of cooked food refers to rice, cooked rice, salted rice, etc. in the case that the cereal as a food material for cooking is rice, and means cooked food after cooking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ood material when it is a food such as mutton, meat and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in weight refers to the weight of the grain input by the user to the input unit 155 before cooking, and the weight of the grain to be input means the grain without moisture.

또한, 취사 시간, 곡물용기(111)의 내부 공간 온도, 물의 양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56), 곡물 종류 및 곡물 제2중량에 따라 취사시 필요한 물의 양(물 제3중량)을 저장하는 저장부(157)를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156 displays the cooking time,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of the cereal container 111, the amount of water, and the like, and stores the amount of water (third weight of water) required for cooking according to the grain type and the second grain weight (157).

본 발명에서 취사 제어부(150)는 마이콤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어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취사 제어부(150)는 입력부(155), 표시부(156) 및 저장부(15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king controller 150 may be a microcomputer, and may include a circuit capable of sending and receiving control signals. In addition, the cooking controller 150 may include an input unit 155, a display unit 156, and a storage unit 157, and may be implemented in an electrically connected stat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곡물 중량 판단부(151)는 밥솥 본체부(110)의 하부에 구비된 중량 센서부(130)에서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곡물용기(111) 및 곡물용기(111)에 담긴 곡물의 중량을 판단한다. 중량 센서부(130)는 중량 센서로 이루어지며, 밥솥 본체부(110)의 하부에 가열수단(112)과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면, 가열수단(112)과는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In one embodiment, the grain weight determination unit 151 receives the sensing signal from the weight sensor unit 130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ice cooker main body unit 110 and stores the sensed signal in the grain container 111 and the grain container 111 Determine the weight of the grain. The weight sensor unit 130 may include a weight sensor and may be implemented by being coupled to the heating unit 112 at a lower portion of the cooker main body unit 110. On the other hand, it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heating means 112.

곡물 중량 판단부(151)는 취사 시 자동으로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곡물의 중량을 판단한다. 곡물 중량 판단부(151)에서 판단된 곡물 중량은 급수 조절부(153)가 수신하고, 급수 조절부(153)가 곡물 중량에 따라 급수부(140)를 제어함으로써, 곡물용기(111)에 물을 공급하도록 한다. 곡물 중량 판단부(151)에서 판단하는 곡물의 중량은 아래의 표1과 같이 정의된다. 또한, 표1에 정의된 곡물 중량을 참고하여 급수 조절부(153)를 설명하도록 한다.
The grain weight determination unit 151 determines the weight of the grain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at the time of cooking. The grain weight determined by the grain weight determination unit 151 is received by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153 and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153 controls the water supply unit 140 according to the grain weight, . The weight of the grain determined by the grain weight determination unit 151 is defined as shown in Table 1 below.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controller 15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grain weight defined in Table 1.


곡물용기 내부의 곡물 중량

Grain weight inside the grain container

곡물 제1중량

Grain 1st weight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곡물 중량

Grain weight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곡물 제2중량

Grain second weight

물 중량 판단부(152)는 중량 센서부(130)를 통해 곡물용기(111)에 담긴 물의 양을 판단한다. 물 중량 판단부(152)에서 판단된 물의 양에 따라 급수 조절부(153)가 취사 시 물의 양이 적합하게 공급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급수 조절부(153)가 급수부(140)를 구동 또는 정지시켜 물을 공급 또는 차단시킨다. 물 중량 판단부(152)에서 판단하는 물 중량 및 물의 양은 아래의 표2와 같이 정의된다. 또한, 표2는 물 중량 판단부(152)에서 판단된 물의 양을 통해 급수 조절부(153)가 판단하는 물의 양을 정의한 것이다. 표2에 정의된 물의 양을 참고하여 급수 조절부(153)를 설명하도록 한다.
The water weight determination unit 152 determines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grain container 111 through the weight sensor unit 130.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153 determines whether the amount of water is suitably supplied at the time of cooking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determined by the water weight determination unit 152. When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153 drives or stops the water supply unit 140 Thereby supplying or blocking water. The water weight and the amount of water determined by the water weight determination unit 152 are defined as shown in Table 2 below. Table 2 defines the amount of water determined by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153 based on the amount of water determined by the water weight determination unit 152. The water supply controller 15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mount of water defined in Table 2. [


곡물용기 내부에 존재하는 물 총 중량

Total weight of water in the grain container

물 제1중량

Water 1st weight

수분을 흡수하지 않은 마른쌀이 곡물용기에 투입되는 경우로서, 곡물 제1중량을 기반으로 취사시 필요한 물의 총 양

Dry rice that does not absorb moisture is introduced into the grain container, and the total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cooking based on the grain first weight

물 제2중량

Water Second Weight

수분을 흡수한 씻은쌀이 곡물용기에 투입되는 경우로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곡물 종류 및 곡물 제2중량에 따라 취사 시 필요되어 투입되어야할
물의 양(저장부에 저장)

If the washed rice absorbed moisture is put into the grain container, it is necessary to feed it according to the type of grains input through the input section and the weight of the grain second
Amount of water (stored in storage)

물 제3중량

Water Third Weight

수분을 흡수한 씻은쌀이 곡물용기에 투입되는 경우로서, 씻는 과정에서
곡물에 흡수된 물의 양

When the washed rice that absorbs moisture is put into the grain container,
Amount of water absorbed in the grain

물 제4중량

Water Fourth Weight

물 제3중량과 물 제4중량을 차감한
물의 양

The weight of water 3 and the weight of water 4
The amount of water

물 제5중량

Water 5th Weigh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급수 조절부(153)는 곡물 중량 판단부(151) 및 물 중량 판단부(152)에서 판단된 곡물 중량 및 물의 양(표1 및 표2 참조)에 따라 급수부(140)을 구동 또는 정지시켜 물의 공급을 제어한다. 급수 조절부(153)는 표1 및 표2에 정리된 곡물 중량 및 물의 양을 전기적 신호 또는 데이터 형식 등으로 수신한 후, 급수부(140)의 개폐밸브(142)를 개폐시킨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supply controller 153 controls the water supply unit 140 (see FIG. 1) according to the grain weight and the amount of water (see Tables 1 and 2) determined by the grain weight determination unit 151 and the water weight determination unit 152 ) To control the supply of water. The water supply controller 153 receives the cereal weight and the amount of water set forth in Tables 1 and 2 in an electrical signal or data format and then opens and closes the on / off valve 142 of the water supply unit 140.

급수 조절부(153)는 수분을 흡수하지 않은 마른쌀이 곡물용기(111)에 투입되는 경우, 곡물 중량 판단부(151)에서 판단된 곡물 제1중량을 기반으로 취사시 필요한 물의 양(물 제2중량)을 설정하고, 물 제1중량과 물 제2중량을 비교하여 급수부(140)를 구동 또는 정지시킨다. 또한, 취사 시 물 중량 판단부(152)는 급수부(140)를 통해 곡물용기(111) 내부로 공급된 물 제2중량을 판단하고, 급수 조절부(153)는 곡물용기(111)에 공급된 물 제1중량과 물 제2중량이 동일하게 판단될 경우, 급수부(140)의 구동을 정지시켜, 곡물용기에 물 공급을 정지시킨다.When the dry rice not absorbing moisture is introduced into the grain container 111, the water supply controller 153 controls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cooking based on the first weight of the grain determined by the grain weight determiner 151 2), and compares the first weight of water with the second weight of water to drive or stop the water supply unit 140. The water weight determination unit 152 determines the second weight of water supplied into the cereal vessel 111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140 and supplies the water to the cereal vessel 111 When the first weight of the water and the second weight of the water are judged to be the same, the driving of the water supply part 140 is stopped and the water supply to the grain container is stopped.

본 발명에서 급수 조절부(153)가 설정하는 물의 양은 본 발명에 따른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100)의 제조 시 저장부(157)에 저장된 물의 양에 대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다.The amount of water set by the water supply controller 153 in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data on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7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rice cooker 100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during coo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급수 조절부(153)는 수분을 흡수한 씻은쌀이 곡물용기에 투입되는 경우, 곡물 제1중량과 곡물 제2중량을 비교하여 중량 차이가 발생할 경우에 중량 차이를 곡물에 흡수된 물의 양 즉, 물 제4중량으로 판단한다. 아울러, 급수 조절부(153)는 취사 시 저장부(157)에 저장된 물 제3중량과 물 제4중량을 차감하고, 차감 후 나머지 물의 양인 물 제5중량을 설정한다. When the washed rice absorbed moisture is introduced into the grain container, the water controller 153 compares the first weight of the grain and the second weight of the grain, and when the weight difference occurs, the weight difference is the amount of water absorbed in the grain, It is judged by the fourth weight of water.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153 subtracts the third weight of water and the fourth weight of water stored in the cooking time storage unit 157, and sets the fifth weight of water as the amount of the remaining water after the deduction.

설정 후 급수 조절부(153)은 급수부(140)를 구동시켜 물 제5중량을 곡물용기(111)에 공급하도록 한다. 이때, 곡물용기(111) 내부의 물 제5중량은 물 중량 판단부(152)가 판단하게 된다.After the setting, the water feed controller 153 drives the water feeder 140 to feed the fifth weight of the water to the grain container 111. At this time, the water weight determination unit 152 determines the fifth water weight inside the grain container 111.

일 예로, 저장부(157)에 저장된 물의 양인 물 제3중량이 150g이고, 곡물 중량 판단부(151)에서 판단된 곡물 제1중량이 100g이고, 입력부(155)를 통해 입력된 곡물 제2중량이 120g이라면 중량 차이는 20g이 된다. 이때, 급수 조절부(153)는 중량 차이인 20g을 물 제4중량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곡물 제2중량에 해당되는 곡물은 수분을 함유한 곡물(물에 불린 쌀)로 간주한다.For example, the weight of water, which is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7, is 150 g, the first weight of the grain determined by the grain weight determination unit 151 is 100 g, If it is 120g, the weight difference is 20g. 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controller 153 judges that the weight difference of 20 g is the fourth weight of water. In the present invention, grain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rain weight are regarded as grain containing water (rice called water).

본 발명에서 저장부(157)는 물의 양을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의미하는 것이며, 저장부(157)에 저장된 물의 양에 대한 데이터는 본 발명에 따른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100)의 제작단계에서 입력되어 진다. 아울러, 사용자가 입력부(155)를 통해 변경도 가능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157 refers to a dat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amount of water as data, and the data on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7 is an electric rice cooker (100). In addition, the user may change the content through the input unit 155.

물 제4중량을 판단한 급수 조절부(153)는 취사 시 기준량의 물을 공급하기 위해 물 제3중량인 150g과 물 제4중량인 50g을 차감한다. 이때, 50g은 물 제5중량이되며 급수 조절부(153)는 급수부(140)의 개폐밸브(142)를 제어해 곡물용기(111)에 50g의 물의 양을 공급하게 된다. The water controller 153 judging the weight of water 4 subtracts 150 g of the third weight of water and 50 g of the fourth weight of water in order to supply the water of the reference amount at the time of cooking. At this time, 50 g is the fifth weight of water, and the water supply controller 153 controls the opening / closing valve 142 of the water supply unit 140 to supply 50 g of water to the grain container 111.

급수 조절부(153)는 곡물용기(111) 내부의 물의 양이 물 제4중량과 물 제5중량을 합한 것과 같고, 물 제4중량과 물 제5중량의 합이 물 제3중량과 동일하다고 판단될 경우, 급수부(140)의 구동을 정지시켜, 곡물용기(111)에 물 공급을 정지. 다시 말해, 급수 조절부(153)는 저장부(157)에 저장된 물의 양과 실제 곡물용기(111)에 공급된 물의 양이 일치하면 물 공급을 중단한다.The water supply controller 153 determines that the amount of water in the grain container 111 is equal to the sum of the fourth water and the fifth water and the sum of the fourth water and the fifth water is equal to the third wat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ater supply unit 140 is stopped, the water supply to the grain container 111 is stopped. In other words, the water supply controller 153 stops water supply when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storage part 157 matches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actual grain container 111.

또한, 급수 조절부(153)는 물 제1중량과 물 제3중량이 동일하다고 판단될 경우, 급수부(140)의 구동을 정지시켜 곡물용기(111)에 물 공급을 정지시킨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weight of water and the third weight of water are the same, the water supply controller 153 stops driving the water supply unit 140 to stop water supply to the grain container 111.

물 중량 판단부(15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급수부(140)를 통해 곡물용기(111) 내부로 공급된 물 제2중량을 판단하는데, 급수 조절부(153)는 물 제1중량과 물 제2중량이 동일하게 판단될 경우, 급수부(140)의 구동을 정지시켜, 곡물용기(111)에 물 공급을 정지시킨다.The water weight determination unit 152 determines the second weight of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grain container 111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14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weight is judged to be the same, the driving of the water supply part 140 is stopped, and the water supply to the grain container 111 is stopped.

본 발명에 있어서,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해 취사 제어부(150)가 제어하는 급수부(140)는 밥솥 본체부(110) 또는 밥솥 덮개부(120)의 일 구간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급수부(140)는 밥솥 덮개부(120)의 일 구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수부(14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unit 140 controlled by the cooking control unit 150 is provided in one section of the cooker main body 110 or the cooker lid 120 in order to automatically adjust the amount of water during cooking.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supply unit 140 is provided in one section of the cooker lid 120. The water feed unit 1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의 급수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부(140)는 물의 이동을 위한 물 공급로(141), 물 공급로(141)를 통한 물의 이동을 차단 또는 차단해제하는 개폐밸브(142) 및 급수 조절 신호에 따라 개폐밸브(142)를 구동시키는 동력기(143)을 포함한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water supply unit of an electromagnetic cooker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during coo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water supply unit 140 includes a water supply path 141 for water movement, an on-off valve 142 for shutting off or unblocking the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path 141, And a power unit 143 for driving the valve 142.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물 공급로(141)는 곡물용기(111)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외부의 물이 곡물용기(111)로 유일될 수 있도록 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일 측은 외부와 연통되며 타 측은 곡물용기(111) 내부를 향한다. 물 공급로(141)의 일 구간에 개폐밸브(142)가 설치된다.In one embodiment, the water supply path 141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grain container 111, and the outer water is made of a tube so that the grain container 111 can be unique. Thus, one side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nd the other side faces the inside of the grain container 111. An open / close valve 142 is provided in one section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41.

개폐밸브(142)는 전동 밸브, 볼 밸브, 글로브 밸브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개폐밸브(142)의 구동은 동력기(143)에 의해 이루어진다. 동력기(143)의 구동 신호는 취사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이며, 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142 may be implemented by a motorized valve, a ball valve, a globe valve, or the like. The driving signal of the power amplifier 143 is a control signal of the cooking controller 150, and may be implemented by a motor or the like.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100)은 곡물용기(111) 및 곡물의 중량을 중량 센서부(130)에서 측정하고, 측정된 중량에 따라 취사 제어부(150)에서 취사 시 필요한 물의 양을 설정하며 곡물용기(11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부(140)를 제어함으로써, 취사 시 곡물의 중량에 따라 물의 양을 자동조절할 수 있어 취사물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1 to 3, an electromagnetic rice cooker 100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during coo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weight of the grain container 111 and the grain at the weight sensor unit 130,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djust the amount of water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ereal at the time of cooking by setting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cooking in the cooking control unit 150 according to the weight and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unit 140 to supply water to the cereal container 111 So that the quality of the cooked food can be improved.

또한, 취사 제어부(150)의 저장부(150)에 저장된 곡물 종류 및 기준이 되는 곡물 중량에 따른 기준 물의 양과 곡물용기(111)에 담긴 곡물의 중량을 비교하여, 취사 제어부(150)가 취사 시 필요한 물의 양을 설정하며 곡물용기(11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부(140)를 제어함으로써, 취사 시 곡물의 종류에 따라 적정 물의 양을 자동으로 곡물용기(111)에 공급할 수 있다. The cooking controller 150 compares the type of grai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of the cooking controller 150 with the weight of the cereals contained in the cereal container 111 according to the reference cereal weight, The amount of the appropriate amount of water can be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grain container 111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grain at the time of cooking by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part 140 so as to supply the water to the grain container 111 by setting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본 발명에서 기준이 되는 곡물 중량은 일반적인 쌀밥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쌀의 중량을 의미하며, 기준이 되는 곡물은 일반적인 백미(흰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에 의해 기준이 되는 곡물과 기준이 되는 곡물의 중량을 설정가능할 것이다.The grain weight as a standar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weight of rice used for producing general rice, and the reference grain refers to general rice (white ri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o set the weight of the reference grain and the reference grain by the user.

아울러, 취사 제어부(150)에서 곡물용기(111) 내부의 곡물 중량과 사용자가 입력한 곡물 중량을 비교하고 곡물에 흡수된 물의 양을 판단하여, 취사 시 필요한 물의 양을 설정하며 곡물용기(11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부(140)를 제어함으로써, 쌀의 불림정도에 따라 적정 물의 양을 자동으로 곡물용기에 공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oking controller 150 compares the grain weight inside the grain container 111 with the grain weight inputted by the user, determines the amount of water absorbed in the grain, sets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cooking, The amount of the appropriate amount of water can be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grain contain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rice flushing by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unit 140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grain container.

본 실시 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which may occu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
110: 밥솥 본체부 111: 곡물용기
112: 가열수단 120: 밥솥 덮개부
121: 공기 배출부 130: 중량 센서부
140: 급수부 141: 물 공급로
142: 개폐밸브 143: 동력기
150: 취사 제어부 151: 곡물 중량 판단부
152: 물 중량 판단부 153: 급수 조절부
154: 온도 조절부 155: 입력부
156: 표시부 157: 저장부
158: 온도센서 160: 체결부재
170: 물 저장탱크
100: Electric rice cooker automatically adjusts the amount of water when cooking
110: Rice cooker main body 111: Grain container
112: Heating means 120: Rice cooker cover
121: air discharge part 130: weight sensor part
140: water supply part 141: water supply path
142: opening / closing valve 143:
150: Cooking control unit 151: Grain weight determination unit
152: water weight determination unit 153: water supply control unit
154: Temperature control unit 155: Input unit
156: Display unit 157:
158: temperature sensor 160: fastening member
170: Water storage tank

Claims (15)

높이 방향으로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곡물을 담는 곡물용기가 상기 개구를 통해 내부에 배치되고 가열수단이 구비되는 밥솥 본체부;
밥솥 본체부의 상부 일 측과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일 부분에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부가 설치된 밥솥 덮개부;
밥솥 본체부 내부의 하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곡물용기 중량 및 곡물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센서부;
상기 곡물 용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중량 센서부에서 측정된 곡물용기 중량 및 곡물 중량을 기반으로 취사 시 필요한 물의 양을 설정하고, 곡물 용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부를 제어하는 취사 제어부를 포함하고,
취사 제어부는, 곡물이 담긴 곡물용기 중량에서 곡물용기 자체중량을 차감하여, 곡물용기 내부의 곡물 총 중량(곡물 제1중량)을 판단하는 곡물 중량 판단부; 곡물용기에 곡물이 담긴 상태에서 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은 곡물용기 중량과 곡물이 담긴 상태에서 물을 공급받지 않은 곡물용기 중량을 차감하여, 곡물 용기 내부의 물 중량(물 제1중량)을 판단하는 물 중량 판단부; 곡물 중량 판단부에서 판단된 곡물 제1중량을 기반으로 물의 양을 설정하고, 설정된 물의 양을 곡물용기에 공급하도록 급수부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는 급수 조절부; 및 밥솥 본체부 또는 밥솥 덮개부에 구비된 온도센서로 곡물용기의 내부 공간 온도를 판단하고, 가열수단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여 곡물용기의 내부 공간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취사 제어부는, 사용자가 곡물 종류, 곡물 중량(곡물 제2중량), 취사, 취사 정지, 취사 예약 시간 또는 취사 후 취사물 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입력부; 취사 시간, 곡물용기의 내부 공간 온도 또는 물의 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곡물 종류 및 곡물 제2중량에 따라, 취사시 필요한 물의 양(물 제3중량)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급수 조절부는 곡물 제1중량과 입력부로 입력된 곡물 제2중량을 비교하여 중량 차이가 발생할 경우, 상기 중량 차이를 곡물에 흡수된 물의 양(물 제4중량)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
A rice cooker main body portion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in a height direction, a cereal container for containing cereals is disposed inside through the opening and a heating means is provided;
A rice cooker lid part coupled to be pivot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an upper part of the cooker main body part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to discharge air to one part;
At least one lower part of the rice cooker main body part, the weight sensor part measuring the weight of the grain container and the grain weight;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grain container; And
And a cook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unit to set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cooking based on the weight of the grain container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unit and the weight of the grain and to supply water to the grain container,
The culinary control unit includes a grain weight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total grain weight (the first grain weight) inside the grain container by subtracting the grain weight of the grain container from the grain container weight containing the grain; Determine the weight of water (first weight of water) in the grain container by subtracting the weight of the grain container that has been fed with water through the feed section and the grain container that is not fed with water while the grain container is filled with cereals A water weight determination unit; A water supply control unit for setting the amount of water based on the first weight of the grain determined by the grain weight determination unit and driving or stopping the water supply unit to supply the set amount of water to the grain container;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f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of the cereal container by a temperature sensor provided in the cooker main body or the cooker lid and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of the cereal container by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to the heating means,
Wherein the cooking control unit comprise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t least one of a grain type, a grain weight (grain second weight), a cooking state, a cooking stop, a cooking time or a cooking state after cook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cooking time, an inner space temperature of the grain container, or an amount of water; And a storage section for storing the amount of water (third weight of water) required for cooking according to the grain type and the grain second weight,
Wherein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compares the first weight of the grain with the second weight of the grain inputted to the input unit to determine the weight difference as the amount of water absorbed in the grain (fourth weight of water) Electric rice cooker automatically adjusts the amount of wat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급수 조절부는 곡물 중량 판단부에서 판단된 곡물 제1중량을 기반으로 취사시 필요한 물의 양(물 제2중량)을 설정하고, 물 제1중량과 물 제2중량을 비교하여 급수부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sets the amount of water (second weight of water) necessary for cooking based on the first weight of the grain determined by the grain weight determination unit, and compares the first weight of water with the second weight of water to drive or stop the water supply unit Which automatically adjusts the amount of water during cooking.
제3항에 있어서,
물 중량 판단부는 급수부를 통해 곡물용기 내부로 공급된 물 제2중량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ater weigh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second weight of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grain contain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제4항에 있어서,
급수 조절부는 곡물용기에 공급된 물 제1중량과 물 제2중량이 동일하게 판단될 경우, 급수부의 구동을 정지시켜, 곡물용기에 물 공급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ater supply control section stops driving the water supply section to stop the supply of water to the grain contain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weight of water and the second weight of water supplied to the grain container are the same. Electric rice cook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급수 조절부는 취사 시 저장부에 저장된 물 제3중량과 물 제4중량을 차감하고, 차감 후 나머지 물의 양(물 제5중량)을 설정하고, 급수부를 구동시켜 상기 물 제5중량을 곡물 용기에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controller adjusts the amount of remaining water (the fifth weight of water) after deduction from the third weight of water and the fourth weight of water stored in the storage portion at the time of cooking, drives the water supply portion, And the amount of water during cooking is automatically adjusted.
제8항에 있어서,
물 중량 판단부가 물 제5중량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water weigh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weight of the fifth water.
제9항에 있어서,
급수 조절부는 곡물용기에 공급된 물 제4중량과 물 제5중량의 합이 물 제1중량과 동일하다고 판단될 경우, 급수부의 구동을 정지시켜, 곡물용기에 물 공급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water supply control section stops driving the water supply section and stops the water supply to the grain contain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m of the fourth water weight and the fifth water weight supplied to the grain container is equal to the first water weight Electric rice cooker automatically adjusts the amount of water when cooking.
제9항에 있어서,
급수 조절부는 곡물용기에 공급된 물 제4중량과 물 제5중량의 합이 물 제3중량과 동일하다고 판단될 경우, 급수부의 구동을 정지시켜, 곡물용기에 물 공급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water supply control section stops driving the water supply section and stops water supply to the grain contain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m of the fourth water weight and the fifth water weight supplied to the grain container is equal to the third water weight Electric rice cooker automatically adjusts the amount of water when cooking.
제1항에 있어서,
급수부는 밥솥 본체부 또는 밥솥 덮개부의 일 구간에 구비되며,
물의 이동을 위한 물 공급로;
물 공급로를 통한 물의 이동을 차단 또는 차단해제하는 개폐밸브; 및
급수 조절부의 조절 신호에 따라 개폐밸브를 구동시키는 동력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supply part is provided in one section of the cooker main body part or the cooker lid part,
A water supply path for water movement;
An opening / closing valve for blocking or unblocking the movement of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And a power unit for driving the on / off valve according to an adjustment signal of the water supply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중량센서부는 곡물 용기의 중량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중량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ight sensor part includes at least one weight sensor for sensing the weight of the grain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밥솥 덮개부와 밥솥 본체부를 체결시켜 밥솥 본체부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member for tightening the inside of the cooker main body by fastening the cooker lid portion and the cooker main body portion so as to automatically adjust the amount of water at the time of cooking.
제1항에 있어서,
밥솥 본체부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며, 급수부를 통해 곡물용기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시 물의 양을 자동 조절하는 전기밥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ice cook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ater storage tank capable of being coupled to or detachable from the rice cooker main body portion and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grain container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ion.
KR1020120066522A 2012-06-21 2012-06-21 Cooker for auto control water level in cooking KR1014027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522A KR101402764B1 (en) 2012-06-21 2012-06-21 Cooker for auto control water level in coo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522A KR101402764B1 (en) 2012-06-21 2012-06-21 Cooker for auto control water level in cook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209A KR20130143209A (en) 2013-12-31
KR101402764B1 true KR101402764B1 (en) 2014-06-03

Family

ID=49986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522A KR101402764B1 (en) 2012-06-21 2012-06-21 Cooker for auto control water level in coo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76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11821S1 (en) 2022-02-17 2024-01-23 Whirlpool Corporation Countertop cooking applia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73564A (en) * 2014-12-01 2015-04-01 谢国发 Novel electric appliance having weighing function and functions of electric pressure cooker
JP6824018B2 (en) * 2016-12-14 2021-02-03 三菱電機株式会社 rice cooker
KR102002570B1 (en) * 2017-09-28 2019-10-0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An automatic rice cooker for washing rice and method of cooking rice using the rice cooker
CN111033240A (en) * 2017-12-29 2020-04-17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Grain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08338679A (en) * 2018-03-08 2018-07-31 秦皇岛点知汇科技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electric cooker control system and its electric cooker based on cloud network
JP2023041283A (en) * 2021-09-13 2023-03-24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rice cook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728B1 (en) 2003-10-22 2005-09-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utomatic rice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5348990A (en) 2004-06-11 2005-12-22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Rice cook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728B1 (en) 2003-10-22 2005-09-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utomatic rice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5348990A (en) 2004-06-11 2005-12-22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Rice coo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11821S1 (en) 2022-02-17 2024-01-23 Whirlpool Corporation Countertop cooking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209A (en) 201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764B1 (en) Cooker for auto control water level in cooking
CN110326961B (en) Automatic water add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electric steam box
US20060000821A1 (en) Oven with a system for generating steam
KR100891262B1 (en) A steaming device for cooking rice cake
CN105636485A (en) Electric rice cooker capable of automatically supplying rice-cooking water
US10722071B2 (en) Autonomous apparatus for cooking food
US20110174169A1 (en) Automatic bread maker
KR101150301B1 (en) Automatic feeding apparatus for a pet
KR20060115332A (en) Steam oven with fluid supply and drain vessel
CA2601391A1 (en) Multifunction container
KR200378462Y1 (en) Cooking control system for electric pressure heat insulating rice cooker
CN110547709A (en) Liquid seasoning feeding device and cooking machine
CN110840216B (en) Cooking applian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0856952B1 (en) The automatic rice kettle where the rice refrigerator is combined.
JP2009100890A (en) Rice cooker
KR20150073603A (en)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4033479A (en) Rice supplying means for full automatic rice cooker and full automatic rice cooker using the same
JP5460813B1 (en) rice cooker
JP2003325320A (en) Automatic rice cooker
KR20110095995A (en) Full automatic electric rice cooker
CN211130787U (en) Liquid seasoning feeding device and cooking machine
KR102346108B1 (en) Electric cooker and its to method
KR20180020818A (en) Electric pressure cooker
CN107966999B (en) Cooking appliance, flow rate control method and flow rate control device
JP2004105918A (en) Grain low-temperature storag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