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212B1 - Nfc 장치 - Google Patents

Nfc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212B1
KR101402212B1 KR1020130108154A KR20130108154A KR101402212B1 KR 101402212 B1 KR101402212 B1 KR 101402212B1 KR 1020130108154 A KR1020130108154 A KR 1020130108154A KR 20130108154 A KR20130108154 A KR 20130108154A KR 101402212 B1 KR101402212 B1 KR 101402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ctor
user
pixel
characteri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규
Original Assignee
(주)시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솔 filed Critical (주)시솔
Priority to KR1020130108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NFC 장치의 이용방법은 식별표지에 포함된 제1벡터 또는 제2벡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리딩하는 NFC리더부, 사용자의 영상을 인식하는 카메라부, 상기 식별표지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영상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송수신모듈을 포함하는 NFC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식별표지를 이용하여 사전 대금 결제를 수행하는 제1단계; 상기 사전 대금 결제와 동시에 상기 카메라부가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단계; 상기 카메라부가 획득된 영상에서 특성을 추출하는 제3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추출된 특성을 제1벡터 또는 제2벡터로 변환하는 제4단계; 상기 제어부가 변환한 제1벡터 또는 제2벡터를 상기 식별표지에 포함된 제1벡터 또는 제2벡터와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5단계; 상기 일치여부을 판단하여 일치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송수신모듈이 상기 일치여부를 서버로 전송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NFC 장치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NFC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얼굴 인식을 통해 상품 또는 대금의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NFC 장치에 대한 것이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전자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하나로, 초단거리 비접촉식 데이터 전송 기술(very short-range contactless data transfer technology)을 이용하여, 10cm이내(바람직하게는 4cm 이내)의 거리에 위치한 장치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최근 이동 단말기에 NFC 통신 모듈을 탑재하고, NFC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짐에 따라, NFC를 이용한 결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NFC를 지원하는 스마트 폰에는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신용카드나 멤버십카드, 쿠폰 등의 결제에 필요한 수단들이 저장된다. 이렇게 되면 지갑 안에 여러 장의 카드를 두둑하게 넣고 다닐 필요가 없게 되어 여러 모로 편리하게 될 것이다.
한편, NFC는 기존에 시도되었던 RF기반의 모바일 신용카드의 보안상의 취약점을 극복하고자 제시된 방법이다. RF의 경우 신호 인식가능 거리가 길어 쉽게 악의적인 해킹이 가능했었기 때문에, NFC는 신호 인식 가능 거리가 최대 10cm이고, 보통 4cm 이하로 한정되며, 실제로는 거의 접촉식에 가깝게 동작한다.
이런 측면에서 RF에 비해 보안적인 측면이 강화되기는 했지만, NFC 역시 단말 분실의 경우 대처할 수 있는 수단이 없다. 더구나 단말 안에는 하나 이상의 신용카드나 멤버십카드 등이 저장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단말을 분실하게 될 경우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보통 NFC 결제는 카드가 탑재된 단말을 POS나 CAT 단말에 접촉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최종 결제 확인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POS/CAT에 단말을 대는 순간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자동 구동되어 결제 과정이 진행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미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비밀번호로 인증한 후에 POS/CAT에 단 말을 대는 방법으로 결제 과정이 진행될 수도 있다.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는 현금인출기에서의 비밀 번호 노출가능성과 마찬가지의 비밀번호 노출 위험이 있다. 또한, 어떤 경우이건 신용카드가 탑재된 단말을 분실했을 경우, 그 단말을 이용해서 결제를 하고 있는 사람이 그 단말의 주인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이 없다. 이에 따라, 결제 진행 전에 인증 매체를 통한 단말기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결제를 위한 단말 인증 방법 및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관련기술문헌]
1.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결제 방법 (Mobile terminal and payment method for mobile terminal)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79971)
2.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전자 결제 보호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ELECTRONIC PAYMENT OF MOBILE DEVICE)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130835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NFC 장치를 통해 대금 결제를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NFC 장치 및 이의 이용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NFC 장치를 통해 대금 결제를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NFC 장치 및 이의 이용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NFC 장치는 식별표지에 포함된 정보를 리딩하는 NFC리더부, 사용자의 영상을 인식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식별표지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영상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식별표지에 포함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 영역에서 눈, 코 및 입의 상대적 위치에 대한 제1벡터와 또는 상기 눈, 코 및 입의 상대적 각도에 대한 제2벡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벡터 및 상기 제2벡터는 상기 눈, 코, 입의 중앙점을 기준점으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획득된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추출하는 얼굴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얼굴 영역의 특성을 추출하는 특성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성 추출부는 상기 얼굴 영역의 화소의 특성을 추출하는 화소 특성추출부, 상기 화소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화소를 유사범위로 판단하는 유사판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화소의 유사한 특성은 상기 화소의 명암, 상기 화소의 색상, 상기 화소가 형성하는 선, 및 상기 화소의 시계열적 표시형태의 변화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집되거나, 화소 간의 명암 차이 또는 화소 간의 거리차이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NFC 장치는 복수 사용자의 얼굴 영역의 특성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보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얼굴 영역의 특성에 따라 상기 특성 추출부가 추출한 특성을 보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성 추출부가 추출한 특성을 상기 제1벡터 또는 상기 제2벡터로 변환하여 상기 식별표지에 포함된 정보와 대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FC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출력하는 화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면부에는 상기 사용자의 눈, 코 및 입의 상대적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의 눈, 코, 입의 상대적 각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FC 장치는 상기 화면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FC 장치는 송수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표지에 포함된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영상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송수신모듈을 제어하여 서버로 일치 여부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NFC 장치의 이용방법은 식별표지에 포함된 제1벡터 또는 제2벡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리딩하는 NFC리더부, 사용자의 영상을 인식하는 카메라부, 상기 식별표지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영상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송수신모듈을 포함하는 NFC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식별표지를 이용하여 사전 대금 결제를 수행하는 제1단계; 상기 사전 대금 결제와 동시에 상기 카메라부가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단계; 상기 카메라부가 획득된 영상에서 특성을 추출하는 제3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추출된 특성을 제1벡터 또는 제2벡터로 변환하는 제4단계; 상기 제어부가 변환한 제1벡터 또는 제2벡터를 상기 식별표지에 포함된 제1벡터 또는 제2벡터와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5단계; 상기 일치여부을 판단하여 일치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송수신모듈이 상기 일치여부를 서버로 전송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벡터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 영역에서 눈, 코 및 입의 상대적 위치로부터 추출되고, 상기 제2벡터는 상기 눈, 코 및 입의 상대적 각도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벡터 및 상기 제2벡터는 상기 눈, 코, 입의 중앙점을 기준점으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특성은 상기 얼굴 영역의 화소의 특성을 추출하고, 상기 화소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화소를 유사범위로 판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단계에서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버에서 최종 결제 신호가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NFC 장치 및 이의 이용방법에 따르면, 최종 결제를 위한 NFC(식별표지)의 태깅 전에, 사용자의 얼굴 인식을 수행하는 단계를 거치도록 하므로 NFC 카드의 사용자가 다른 경우에도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굴 인식을 결제와 결부하여 직관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 감성을 극대화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도 1에서의 카메라부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장치의 이용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장치(1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은 도 1에서의 카메라부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장치(1000)는 NFC리더부(100), 카메라부(200), 제어부(300), 화면부(400), 입력부(500), 저장부(600), 송수신모듈(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NFC리더부(100)는 전자태그로서 식별표지(T)인 RFID 태그나 NFC 태그에 대응한 RFID 리더 또는 NFC 태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FID 또는 NFC를 이용한 서비스는 주로 전자결재 및 데이터 통신에 이용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NFC리더(100)에 NFC 또는 RFID 리더를 탑재하여 전자태그인 식별표지(T)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할 수 있다.
제품(P)에 포함된 전자태그(T)의 데이터 값은, 리더부(100)에 포함된 리더(110)는 이러한 데이터를 리드하여 제품(P)을 식별하고, 제품(P)의 정보을 확인하거나, 이를 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식별표지(T)는 고유 식별자(Unique Identifier) 또는 데이터 교환 포멧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장치(1000)에서는 식별표지(T)에 NFC 사용자 또는 소유자의 정보가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식별표지(T)에는 사용자의 얼굴 영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데, 사용자의 얼굴 영상 또는 사용자의 얼굴 영역에서 눈, 코 및 입의 상대적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눈, 코 및 입의 상대적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된다.
즉, 식별표지(T)에 사용자의 얼굴 영상 또는 이미지가 들어있는 경우에는 데이터의 처리량이 커져 NFC리더(100)의 직관적 리딩 및 리딩 속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장치는 식별표지에 사용자의 얼굴 영상 외에도 얼굴 영상에서 추출된 저용량의 데이터가 삽입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 도출하였다.
더욱 상세하게, 사용자의 얼굴 영상이 수집되면, 먼저 눈과, 코, 입의 특징점 좌표를 추출하게 되는데, 특징점으로서는 눈, 코, 입의 중앙점을 기준점으로 추출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눈, 코, 입의 중앙점을 판단하고, 이들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1벡터를, 이들의 각도를 측정하여 제2벡터를 산출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얼굴은 카메라의 정면에서 설정된 여러 각도로 틸딩하여 획득된 영상을 여러 겹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 여러 겹의 이미지에서 이용자의 얼굴 평균을 계산하여 평균 거리에 대한 벡터인 제1벡터와 평균 각도에 대한 제2벡터를 도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장치가 리딩하는 식별표지(T)에는 제1벡터와 제2벡터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예정하고 있다.
카메라부(200)는 사용자(P) 촬영 시에 감지되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이러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용자(P)의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의 영상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욱 상세하게 카메라부(200)는 획득부(210), 얼굴인식부(220), 특성추출부(230), 및 보정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획득부(210)는 사용자(P)의 촬영 시에 감지되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센서(211)와 카메라센서(211)로부터 얻어지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획득부(210)는 사용자(P)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
얼굴인식부(220)는 획득된 영상 정보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판별한다. 후술할 저장부(500)에는 다양한 사용자의 얼굴 패턴이 저장되어 있는데, 얼굴인식부(220)는 이러한 다양한 얼굴 패턴 정보 또는 상기 다양한 얼굴 패턴의 기울어진 것, 역으로 된 것, 약간 각도가 기울어진 것 등과 영상정보에 포함된 제품의 패턴을 비교하여 영상정보 속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판별한다.
특성추출부(230)는 인식된 얼굴 영역의 특성을 추출한다. 더욱 상세하게 특성추출부(230)는 얼굴 영역에서 화소의 특성을 추출하는 화소 특성추출부(231), 상기 화소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화소를 유사범위로 판단하는 유사판정부(2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화소특성추출부(231)는 영상정보에 포함된 화소의 특정, 즉, 화소의 명암, 화소의 색상, 화소가 형성하는 선, 및 화소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형태 등으로부터 화소의 특성을 추출한다.
유사판정부(232)는 화소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화소를 유사범위로 판단한다. 즉, 유사판정부(222)는 특성이 추출된 화소를 기준 화소로 판단하고, 이 기준 화소와 주변 화소들와의 유사성을 판단하여 유사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구성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유사성이란 화소간의 명암 차이 또는 화소간의 거리 차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유사판정에 의해 사용자 얼굴의 특성이 최종적으로 확정되고, 제어부(300)를 통해 이러한 사용자 얼굴의 특성은 전술한 제1벡터 및 제2벡터로 변환된다. 한편, 보정부(240)는 이 과정에서 저장부(500)에 저장된 얼굴 영역의 특성에 따라 특성 추출부(230)가 추출한 특성의 화소의 색상, 화소가 형성하는 선의 각도를 일부 보정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식별표지에 포함된 정보(T), 더욱 상세하게 식별표지에 포함된 제1벡터와 제2벡터와 사용자의 얼굴 영상에서 추출된 특징이 변환된 제1벡터와 제2벡터를 서로 비교한다. 비교 결과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송수신모듈을 통해 데이터를 서버로 보내게 된다. 이에 서버로부터 최종 결제 요청을 수신받아 최종 결제를 진행하도록 하게 된다.
화면부(400)는 촬상된 사용자의 영상 또는 이미지가 출력되는데, 사용자의 눈, 코 및 입의 상대적 위치 정보 또는 사용자의 눈, 코, 입의 상대적 각도 정보가 출력된다. 즉, 제어부(300)는 카메라부(200)가 사용자의 얼굴 영상에서 특징을 추출하는 경우에 이러한 특징으로 화면 상에 즉시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직관적인 안전 감정을 극대화하게 된다.
입력부(500)는 화면부와 인접하게 또는 화면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장치는 결제를 위한 경우를 상정할 수 있기 때문에 대금의 입력 또는 정정, 기타 제어를 위한 입력을 수행하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는 일례로 터치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장치는 식별표지에 포함된 정보가 사용자의 얼굴 인식을 통해 추출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후절차의 진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결제의 안정성을 극대화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장치의 이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제외하고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장치의 이용방법은 식별표지를 이용(태깅)하여 사전 대금 결제를 수행하는 제1단계(S110); 사전 대금 결제와 동시에 상기 카메라부가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단계(S120); 카메라부가 획득된 영상에서 특성을 추출하는 제3단계(S130); 제어부가 추출된 특성을 제1벡터 또는 제2벡터로 변환하는 제4단계(S140); 제어부가 변환한 제1벡터 또는 제2벡터를 식별표지에 포함된 제1벡터 또는 제2벡터와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제5단계(S150); 일치여부을 판단하여 일치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송수신모듈이 일치여부를 서버로 전송하는 제6단계(S160)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제1단계(S110)에서는 NFC리더가 전자태그인 식별표지를 태깅하게 된다. 이때, 전자태그에는 전술한 제1벡터 및 제2벡터의 정보가 들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정보가 NFC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되게 된다.
다음으로, 제2단계(S120)에서는 상기한 제1단계에서의 태깅과 동시에 카메라부에 시작 시그널을 보내게 되고, 카메라부가 사용자의 영상을 취득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3단계(S130)에서는 카메라부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연속해서 얼굴의 물리적 특징을 도출하게 된다. 도출된 물리적 특징은 제어부가 제4단계(S140)에서 제1벡터 및 제2벡터로 변환한다.
다음으로, 제5단계(S150)에서는 전자태그에 포함된 제1벡터 및 제2벡터와 제어부가 영상으로부터 도출한 제1벡터 및 제2벡터를 대비하게 된다. 대비결과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한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일치여부를 서버로 전송하게 되고(S160), 결제 서버는 NFC 장치로 결제를 진행하여 최종 대금 결제를 완료하게 된다(S170).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NFC리더부
200 : 카메라부
300 : 제어부
400 : 화면부
500 : 입력부
600 : 저장부
700 : 송수신모듈
1000 : NFC장치

Claims (17)

  1. 사용자의 얼굴 영역에서 눈, 코 및 입의 상대적 위치에 대한 제1벡터 또는 상기 눈, 코 및 입의 상대적 각도에 대한 제2벡터를 포함하는 식별표지에 포함된 정보를 리딩하는 NFC리더부;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획득된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추출하는 얼굴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얼굴 영역의 특성을 추출하는 특성추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부;
    상기 식별표지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영상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의 영상, 상기 사용자의 눈, 코 및 입의 상대적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눈, 코, 입의 상대적 각도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특성 추출부는 상기 얼굴 영역의 화소의 특성을 추출하는 화소 특성추출부, 상기 화소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화소를 유사범위로 판단하는 유사판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화소의 유사한 특성은 상기 화소의 명암, 상기 화소의 색상, 상기 화소가 형성하는 선, 및 상기 화소의 시계열적 표시형태의 변화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벡터 및 상기 제2벡터는 상기 눈, 코, 입의 중앙점을 기준점으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의 유사한 특성은 화소 간의 명암 차이 또는 화소 간의 거리차이로부터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FC 장치는 복수 사용자의 얼굴 영역의 특성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보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얼굴 영역의 특성에 따라 상기 특성 추출부가 추출한 특성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성 추출부가 추출한 특성을 상기 제1벡터 또는 상기 제2벡터로 변환하여 상기 식별표지에 포함된 정보와 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FC 장치는 상기 화면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FC 장치는 송수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표지에 포함된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영상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송수신모듈을 제어하여 서버로 일치 여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30108154A 2013-09-09 2013-09-09 Nfc 장치 KR101402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154A KR101402212B1 (ko) 2013-09-09 2013-09-09 Nfc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154A KR101402212B1 (ko) 2013-09-09 2013-09-09 Nfc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212B1 true KR101402212B1 (ko) 2014-06-11

Family

ID=51131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154A KR101402212B1 (ko) 2013-09-09 2013-09-09 Nfc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2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652B1 (ko) * 2002-05-28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응적 칼라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얼굴 영역 추출 방법
KR20130050039A (ko) * 2011-11-07 2013-05-15 주식회사 스마트로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97581A (ko) * 2012-02-24 2013-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복합 생체인식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652B1 (ko) * 2002-05-28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응적 칼라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얼굴 영역 추출 방법
KR20130050039A (ko) * 2011-11-07 2013-05-15 주식회사 스마트로 생체 정보 인증을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97581A (ko) * 2012-02-24 2013-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복합 생체인식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3717B2 (en) Mobile device initiated retail transaction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for security tag detachment
EP3265978B1 (en) Authentication-activated augmented reality display device
KR101455609B1 (ko) 홍채 정보를 이용한 카드 결제 시스템 및 카드 결제 방법
US2011017670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US20140067682A1 (en) Nfc-based information exchange method and device
US20150039507A1 (en) Mobile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for mobile payment system
JPWO2007018151A1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
KR20140087084A (ko) 라벨을 이용한 인증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US94955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put
US2015017853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0536274B (zh) Nfc设备控制方法、装置、nfc设备和存储介质
KR101853270B1 (ko) 지문인식방법을 채용한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보안 인증방법
KR101402212B1 (ko) Nfc 장치
KR101763218B1 (ko) 동적 번호 생성 카드
CN103455784A (zh) 基于图像识别和nfc的字画防伪识别系统及其防伪方法
US10341340B2 (en) Authentication system for a mobile data terminal
US8934940B1 (en) Providing enhanced security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s devices
KR101187932B1 (ko) 대리인 무선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
KR20080076204A (ko) 휴대형 지문인식 및 개인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한지문인식 및 개인인증 방법
KR102401914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수치 계측 방법
KR20190143345A (ko) 통합 결제 단말기 및 방법
KR100661587B1 (ko) 알에프아이디와 이미지 태그를 이용한 대상물 식별 기능을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6736409B2 (ja) 自動改札機、および自動改札機制御プログラム
KR20170121737A (ko) 카메라를 이용한 비대면 인증 제공 방법
KR20120107043A (ko) 카메라를 이용한 비대면 인증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휴대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