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176B1 - 이동형 알람시계 - Google Patents

이동형 알람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176B1
KR101402176B1 KR1020120098180A KR20120098180A KR101402176B1 KR 101402176 B1 KR101402176 B1 KR 101402176B1 KR 1020120098180 A KR1020120098180 A KR 1020120098180A KR 20120098180 A KR20120098180 A KR 20120098180A KR 101402176 B1 KR101402176 B1 KR 101402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clock
unit
moving
rai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1635A (ko
Inventor
김현준
Original Assignee
김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준 filed Critical 김현준
Priority to KR1020120098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176B1/ko
Publication of KR20140031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3/00Arrangements producing acoustic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04B23/02Alarm clock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3/00Arrangements producing acoustic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04B23/02Alarm clocks
    • G04B23/023Driving, e.g. by springs or common drive with the clockwork; gears; escapem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3/00Arrangements producing acoustic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04B23/02Alarm clocks
    • G04B23/03Alarm signal stop arrangem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5/00Indicating the time by other means or by combined means
    • G04B25/005Indicating the time by other means or by combined means in alarm clock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5/00Indicating the time by other means or by combined means
    • G04B25/06Indicating the time by other means or by combined means by moving figures, e.g. cuckoo clocks, trumpet clock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G04G13/021Detai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5/00Time-pieces comprising means to be operated at preselected times or after preselected time interva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8Touch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time-pie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운동을 유도하고, 상쾌함도 느낄 수 있는 이동형 알람시계를 위하여, 알람시계부, 상기 알람시계부의 ON/OFF를 설정할 수 있는 센서부, 상기 알람시계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가 동작함에 따라 상기 알람시계부를 정해진 구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레일을 포함하는, 이동형 알람시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형 알람시계{Movable alarm clock}
본 발명은 알람시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이동형 알람시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람시계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을 알려 주기 위하여 멜로디나 소음을 발생하여 사용자의 청각을 자극하는 방식으로 지정된 시각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알람시계에는 사용자가 아침에 일어났을 때 쉽게 알람을 종료하고 다시 잠이 드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운동을 유도하고, 상쾌함도 느낄 수 있는 이동형 알람시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알람시계부, 상기 알람시계부의 ON/OFF를 설정할 수 있는 센서부, 상기 알람시계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가 동작함에 따라 상기 알람시계부를 정해진 구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레일을 포함하는, 이동형 알람시계가 제공된다.
상기 이동부와 상기 레일은 서로 맞물리도록 상기 이동부는 피니언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은 랙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람시계부는 보조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람시계부 및 상기 센서부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직이동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람시계부가 OFF 됨에 따라 향을 분사하는 향 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충격센서, 터치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속력을 조절할 수 있는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운동을 유도하고, 상쾌함도 느낄 수 있는 이동형 알람시계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이동형 알람시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이동형 알람시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인 이동형 알람시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인 이동형 알람시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인 이동형 알람시계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인 이동형 알람시계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 이동형 알람시계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인 이동형 알람시계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형 알람시계(100)는 알람시계부(10), 센서부(20), 이동부(30), 구동부(40) 및 레일(50)을 포함할 수 있다. 알람시계부(10)는 기존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시계일 수 있으며, 지정한 시간에 소리가 울릴 수 있다. 이러한 알람시계부(10)는 주로 사람들이 하루를 시작하기 위해 아침에 잠을 깨우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소리를 멈추려면 단추나 손잡이로 형성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소리를 멈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람시계부(10)의 ON/OFF를 설정할 수 있는 센서부(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부(20)는 충격센서 및 터치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알람시계부(10)의 소리를 멈추기 위해 센서부(20)를 터치하거나 충격을 줌으로써 알람시계부를 멈출 수 있다.
나아가, 센서부는 모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센서부(20)를 꼭 터치하거나 충격을 줄 필요 없이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로서, 모션 센서를 통해 감지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구동부(40)의 출력을 조절하여 이동형 알람시계(100)의 속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량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동부(30)는 알람시계부(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바퀴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하는 레일(50)과 직접 접촉되어 구름마찰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구동부(40)는 이동부(30)에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전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40)의 운동에 따라 이동부(30)는 회전운동 등을 하게 되고, 이동부(30)가 회전운동 함으로써 후술하는 레일(50)이 설치된 곳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레일(50)은 상술한 알람시계부(10)의 이동부(30)가 접촉하는 곳으로 구동부(40)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이 예컨대, 이동부(30)를 회전시키면 이동부에 형성되어 있는 바퀴 등을 통해 레일과의 마찰력에 의해 알람시계부(10)가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레일(50)은 수직면(51)과 수평면(52)으로 구성될 수 있고, 수직면(51) 또는 수평면(52)의 적어도 일측 상에 이동부(30)가 접촉할 수 있다. 수평면(52)은 상부 수평면(52a)과 하부 수평면(52b)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동부(30)는 이러한 수평면(52) 중 상부 수평면(52a)에는 접촉하지 않고 하부 수평면(52b)에만 접촉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x축으로 신장되는 수평면(52)의 단부는 다시 수직으로 꺾여서 이동형 알람시계(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y축으로 신장되는 수직면(51) 및 수평면(52)의 단부의 끝부분은 마감용 커버(54)를 사용하여 이동형 알람시계(100)가 끝부분에 왔을 때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하여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레일(50)은 이동부(30)의 크기에 따라 수직면(51)과 수평면(52)의 길이가 다르게 제공 가능하며, 예컨대, 이동부(30)가 클 경우 수직면(51)은 y축으로 신장할 수 있고, 수평면(52)은 x축으로 신장할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인 z축은 레일(50)의 재질 및 용도에 따라 하나의 단위로 제공할 수 있지만, 사용자의 용도에 맞춰 편리한 길이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록 단위로 제공하여 복수개의 레일(50)이 조립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알람시계는 전술한 도 1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형 알람시계(101)는 알람시계부(10), 센서부(20), 이동부(30), 구동부(40) 및 레일(50)을 포함하고, 수직이동장치(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직이동장치(70)는 이동형 알람시계(10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로서 수직이동장치(70)를 구동하여 이동형 알람시계(101)를 사용자가 점프 했을 때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알람을 끄기 위해 기지개와 유사한 전신운동을 유도하므로 사용자의 건강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수직이동장치(70)는 알람시계부(10)와 구동부(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알람시계부(10)의 알람을 설정한 뒤 수직이동장치(70)를 구동하면 미리 설정한 위치로 이동되고, 센서부(20)를 통해 알람을 OFF하면, 다시 사용자의 손이 닿을 수 있는 곳까지 내려와 사용자가 편리하게 알람시계부(10)를 조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알람시계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2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형 알람시계(102)는 알람시계부(10a), 센서부(20), 이동부(30), 구동부(40), 레일(50) 및 수직이동장치(70)를 포함하고, 향 분사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설명한 수직이동장치(70)는 생략될 수도 있다.
향 분사부(80)는 이동형 알람시계(102)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구동부(40)나 알람시계부(10a)와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알람시계부(10a)와 결합된 이동형 알람시계(102)가 도시되어 있다. 알람시계부(10a)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시간에 소리를 내는 장치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알람시계부(10a)에 포함되는 향 분사부(80)는 사용자가 미리 원하는 향수를 저장하여 놓을 수 있으며, 알람이 OFF되면 향수를 뿌려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원하는 향을 분사하므로 사용자의 기분도 좋게 해줄 수 있다. 향 분사부(80)를 통한 향수의 분사는 알람이 OFF된 후 수직이동장치(70)를 통해 사용자의 손이 닿을 수 있는 곳으로 내려오는 동안 방에 뿌려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이동부(30)인 피니언기어(35)와 랙기어(53)로 형성된 레일(50)만 확대해서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알람시계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부(30)는 피니언기어(35)를 더 포함하고, 레일(50)은 랙기어(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랙기어(53)는 레일(50)의 수평면(52) 상에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일(50) 자체가 랙기어(53)일 수 있다. 물론, 이동부(30)도 상술한 바퀴 대신 피니언기어(35)로 형성될 수 있다. 랙기어(53)는 상술한 수직면(51)과 수평면(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면(52)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수평면(52a) 상에는 상부 랙기어가 형성될 수 있고, 하부 수평면(52b) 상에는 하부 랙기어(53b)가 형성될 수 있다. 피니언기어(35)는 수평면(52) 상에 형성되는 상부 랙기어와 하부 랙기어(53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맞물림으로써 알람시계부(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피니언기어(35)는 맞물리는 힘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이자, 단순 기계로서 경사가 진 구간에서도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알람시계부(10)가 더 잘 이동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알람시계(103)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알람시계(103)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알람시계부(10), 센서부(20), 한 쌍의 이동부(30), 구동부(40) 및 복수개의 레일(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한 쌍의 이동부(30)와 마주보는 복수개의 레일(50, 한 쌍의 레일)이 구비될 경우 이동형 알람시계(103)의 무게를 한곳에 집중시키지 않고, 고루 분산시키는 역할을 해주어 이동부(30)와 레일(50)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안정적으로 레일(50)을 따라서 알람시계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알람시계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6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형 알람시계(104)는 알람시계부(10), 센서부(20), 이동부(30a), 구동부(40), 레일(50) 및 수직이동장치(70)를 포함하고, 보조이동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이동부(50)는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고, 바퀴 또는 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동부(30a)를 보조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부(4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알람시계부(10) 및 센서부(20)는 상술한바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이동부(30a)는 도 1 내지 도 6의 이동부(30) 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레일(50)의 상부 수평면(52a)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수평면(52b) 상에는 보조이동부(60)가 접촉하고, 보조이동부(60)는 이동형 알람시계(104)의 지지대 역할을 하며, 이동형 알람시계(104)가 레일(50) 상에서 이동하는데 보조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이동형 알람시계(104)의 이동은 상기 이동부(30a)의 마찰력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이동부(30a)는 수직면(51) 또는 하부 수평면(52b)의 적어도 일부에만 접촉하여 마찰력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구동부(40)는 이동부(30a)에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로서, 보조이동부(60)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보조이동부(60)는 또 다른 구동부를 통해서 동력을 전달 받도록 설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나의 구동부(40)에서 동력을 전달받는 경우보다 더 정확하게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구동부(40)를 통해 이동부(30)에 동력이 전달받지 못하는 경우나, 이동부(30)가 레일(50)에 접촉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보조이동부(60)를 통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알람시계의 일부분으로서, 도 7과 비교하여 설명하면, 이동부(30a)는 피니언기어(35a)로 형성되고, 상부 수평면(52a)이 랙기어(53c)로 형성되며, 하부 수평면(52b) 상에는 보조이동부(60)가 배치된 레일(50)만 확대해서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알람시계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7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부(30a)는 피니언기어(35a)로 대체되어 있고, 레일(50)의 상부 수평면(52a)은 랙기어(5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일(50)의 하부 수평면(52b) 상에는 보조이동부(60)가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랙기어(53)와 하부 수평면(52b)을 갖고 이를 피니언기어(35a)와 보조이동부(60)로 이동하는 이동형 알람시계는 보조이동부(60)를 통해 지지를 받으며, 피니언기어(35a)와 랙기어(53)의 맞물리는 힘을 이용하여 경사가 진 구간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올라갈 수 있고, 평지에서도 보조이동부(60)를 통해 이동하므로 기어를 통해서만 이동하는 경우보다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사용자는 쉽게 알람을 끄지 못하고, 알람을 끄려면 일어나서 이곳저곳을 옮겨 다니게 되므로 사용자의 걷는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알람을 끄기 위해 점프 등을 하게 되면서 기지개와 유사한 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전신운동을 하게 되어 사용자의 건강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자동으로 향수 등을 방에 뿌려 사용자의 기분을 좋게 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알람시계부 20: 센서부
30: 이동부 35: 피니언기어
40: 구동부 50: 레일
53: 랙기어 60: 보조이동부
70: 수직이동장치 80: 향 분사부
100: 이동형 알람시계

Claims (7)

  1. 알람시계부;
    상기 알람시계부의 일측에 결합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적어도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 구동되는 이동부; 및
    수직면과 수평면을 갖고, 상기 수직면 또는 수평면 중 적어도 일측이 상기 이동부와 접촉하여, 상기 알람시계부를 정해진 구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알람시계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알람시계부의 ON/OFF를 설정할 수 있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속력을 조절할 수 있는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알람시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와 상기 레일은 서로 맞물리도록 상기 이동부는 피니언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은 랙기어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알람시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시계부는 상기 레일의 하부 수평면과 접촉하고, 상기 구동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의 하부 수평면 상을 이동하는 보조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알람시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시계부 및 상기 센서부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알람시계부와 구동부 사이에 결합되는 수직이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알람시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시계부 또는 구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알람시계부가 OFF 됨에 따라 향을 분사하는 향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알람시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충격센서, 터치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형 알람시계.

  7. 삭제
KR1020120098180A 2012-09-05 2012-09-05 이동형 알람시계 KR101402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180A KR101402176B1 (ko) 2012-09-05 2012-09-05 이동형 알람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180A KR101402176B1 (ko) 2012-09-05 2012-09-05 이동형 알람시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635A KR20140031635A (ko) 2014-03-13
KR101402176B1 true KR101402176B1 (ko) 2014-06-03

Family

ID=50643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180A KR101402176B1 (ko) 2012-09-05 2012-09-05 이동형 알람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1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97832A (zh) * 2015-10-15 2017-04-26 江苏爱福特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叫醒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1680U (ko) * 1985-12-30 1987-07-16
KR200189644Y1 (ko) * 2000-02-01 2000-07-15 이성규 알람시계
KR100467644B1 (ko) * 2002-02-26 2005-01-26 백종원 알람시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1680U (ko) * 1985-12-30 1987-07-16
KR200189644Y1 (ko) * 2000-02-01 2000-07-15 이성규 알람시계
KR100467644B1 (ko) * 2002-02-26 2005-01-26 백종원 알람시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635A (ko) 201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3472B2 (en) Portable body massager
KR101292462B1 (ko) 조명 효과를 가지는 바디 마사지기
US20090177128A1 (en) Chair-Type Massaging Apparatus, Massaging Apparatus, Control Device of Chair-Type Massaging Apparatus 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hair-Type Massaging Apparatus
US8465443B2 (en) Massaging apparatus
US20120035515A1 (en) Clapping device for effecting clapping force to a predetermined area of a body
US10842708B2 (en) Massage apparatus for legs and feet and massage chair having the massage apparatus
CN101222897A (zh) 椅子型按摩机、按摩机、椅子型按摩机的操作装置、以及椅子型按摩机用的遥控装置
WO2009013742A1 (en) Massager
JP2005102798A (ja) 運動器具
JP2006087846A (ja) マッサージ装置
JP5734048B2 (ja) マッサージ機
KR101402176B1 (ko) 이동형 알람시계
CN203107627U (zh) 一种腿脚按摩器
US20060173389A1 (en) Reflex massager
US20180207056A1 (en) Configurable Massaging Apparatus
JP4439438B2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US6645036B1 (en) Walking toy figure
US20190351345A1 (en) Toy Race Car with Tactical Reactivation
KR20170032552A (ko) 발전기가 설치된 시소 놀이기구
CN202355560U (zh) 触压式按摩装置
JP4697151B2 (ja) マッサージ機
KR100831929B1 (ko) 골반교정장치
CN202920586U (zh) 用于在患者身体上自主地行进的按摩车
KR101234467B1 (ko) 어린이용 탑승 놀이 장치
JP2010099202A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