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663B1 -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663B1
KR101401663B1 KR1020130124290A KR20130124290A KR101401663B1 KR 101401663 B1 KR101401663 B1 KR 101401663B1 KR 1020130124290 A KR1020130124290 A KR 1020130124290A KR 20130124290 A KR20130124290 A KR 20130124290A KR 101401663 B1 KR101401663 B1 KR 101401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content
unit
fil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랑
하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피
Priority to KR1020130124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플래시 규격을 이용하여 개발된 컴퓨터 기반의 콘텐츠를 원본 수정 없이 모든 스마트 기기의 환경에 최적화하여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은 플래시 재생 요청 수신부, 적합성 설정부, 최적화 설정부, 플래시 재생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computer-based flash content in smart device}
본 발명은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플래시 규격을 이용하여 개발된 컴퓨터 기반의 콘텐츠를 원본 수정 없이 모든 스마트 기기의 환경에 최적화하여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들이 추가되어 왔다.
특히 최근 스마트 기기에는 웹 브라우징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망의 웹 서버로부터 소정의 웹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 스마트 기기는 웹 브라우징 기능을 이용하여 플래시 파일과 같은 웹 HTML 파일의 실행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스마트 기기를 통해 제공되는 플래시 파일들은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파일을 어도브에서 제공하는 ANE 모듈 등을 이용함으로써 모바일 구동형으로 재개발된 파일이었다.
즉, 스마트 기기에서 플래시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파일을 원본 그대로 활용하지 않고 모바일 구동형으로 재개발 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더욱이 최근 스마트 기기의 종류가 매우 다양해짐에 따라 모든 스마트 기기의 환경에 최적화된 기술을 제공하기에는 힘들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7956호 "가상 웹서버를 구비한 단말기 및 이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플래시 파일, 웹 위젯 파일과 같은 웹 HTML 파일을 로컬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및 이의 실행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 단말기와 웹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 모바일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파일을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모바일 단말기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웹 기반으로 구성된 웹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로직 및 데이터를 렌더링(rendering) 및 파싱(parsing)하기 위한 웹 브라우져와; 모바일 플랫폼에 웹 서버의 형태로 설정된 가상 웹 서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위 선행 기술은 웹 HTML 파일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미리 저장해 두고 단말기내에서 실행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웹 HTML 파일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웹 서버와 단말기의 통신을 필요로 하지 않아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신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별도의 웹 HTML 파일 처리 서버를 두어 플래시 파일과 같은 웹 HTML 파일을 서비스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함으로써 제공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이는 종래 플래시 파일의 원본을 변환해야 하는 단점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장점인 컴퓨터 기반의 재생을 목적으로 개발된 플래시 파일을 원본 수정 없이 모든 스마트 기기의 환경에 최적화하여 재생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7956호
본 발명은 컴퓨터 기반의 재생을 목적으로 개발된 플래시 파일을 원본 수정 없이 모든 스마트 기기의 환경에 최적화하여 바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파일을 스마트 기기에서 구동하기 위해서 모바일 구동형으로 재개발 해야 했던 불편함을 해결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에 하나의 플래시 제어만 가능했던 일체형 플래시 재생 구조로 인해 플래시 종료 시 애플리케이션이 함께 종료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플래시를 플랫폼 단에서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플래시의 재생 및 종료를 수행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플래시가 웹 브라우저와 결합하여 HTML, Javascript와 함께 실행되거나, 별도의 어도비 플래시 Runtime을 포함함으로써 실행되던 구조를 스마트 기기의 환경에 맞게 설정함으로써 구동시키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은 플래시 재생 요청 수신부, 적합성 설정부, 최적화 설정부, 플래시 재생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플래시 재생 요청 수신부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플래시 재생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적합성 설정부는 다양한 스마트 기기의 플래시 구동 환경이 고려된 속성정보가 저장된 콘텐츠 파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파일이 적합하게 구동되도록 설정한다. 상기 최적화 설정부는 상기 콘텐츠 파일이 구동에 적합하게 설정되면, 콘텐츠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 간의 통신을 위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별 최적화 정보를 설정한다. 상기 플래시 재생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최적화 정보를 이용하여 플래시 파일의 재생을 제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플래시 재생 제어부로부터 제어된 값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적합성 설정부는 플래시 실행 정보, 플래시 메타 정보, 스마트 기기별 설정 정보 및 리소스 정보를 상기 속성정보로서 포함하는 콘텐츠 파일을 상기 콘텐츠 제어부에 적재한 후 구동에 적합하게 설정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 기반의 조작 값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플래시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외부 함수를 관리하는 외부함수부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통신할 수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스마트 기기의 조작과 관련된 정보가 상기 플래시 파일이 포함하고 있는 컴퓨터 기반의 동작 방식과 매핑되어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제어부는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래시 재생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제어부에서의 최적화 설정값이 상기 플래시를 재생하기에 유효한지 확인하는 유효 확인부 및 상기 최적화 설정값이 유효하면 상기 설정값을 모듈에 적용하고, 상기 플래시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할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플래시 파일의 재생에 필요한 최소한의 모듈로써 하드웨어와 연계된 화면표시부 및 음성출력부를 이용함으로써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방법은 플래시 재생 요청 수신단계, 적합성 설정단계, 최적화 설정단계, 플래시 재생 제어단계 및 디스플레이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플래시 재생 요청 수신단계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플래시 재생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적합성 설정단계는 다양한 스마트 기기의 플래시 구동 환경이 고려된 속성정보가 저장된 콘텐츠 파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파일이 적합하게 구동되도록 설정한다. 상기 최적화 설정단계는 상기 콘텐츠 파일이 구동에 적합하게 설정되면, 콘텐츠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 간의 통신을 위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별 최적화 정보를 설정한다. 상기 플래시 재생 제어단계는 상기 설정된 최적화 정보를 이용하여 플래시 파일의 재생을 제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단계는 상기 플래시 재생 제어부로부터 제어된 값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적합성 설정단계는 플래시 실행 정보, 플래시 메타 정보, 스마트 기기별 설정 정보 및 리소스 정보를 상기 속성정보로서 포함하는 콘텐츠 파일을 상기 콘텐츠 제어부에 적재한 후 구동에 적합하게 설정한다.
또한 상기 상기 플래시 재생 제어단계는 상기 콘텐츠 제어부에서의 최적화 설정값이 상기 플래시를 재생하기에 유효한지 확인하는 유효 확인단계 및 상기 최적화 설정값이 유효하면 상기 설정값을 모듈에 적용하고, 상기 플래시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할당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 기반의 재생을 목적으로 개발된 플래시 파일을 원본 수정 없이 모든 스마트 기기의 환경에 최적화하여 바로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파일을 스마트 기기에서 구동하기 위해서 모바일 구동형으로 재개발 해야 했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에 하나의 플래시 제어만 가능했던 일체형 플래시 재생 구조로 인해 플래시 종료 시 애플리케이션이 함께 종료되는 문제를 콘텐츠 제어부 및 플래시 재생 제어부로 이원화된 플래시 재생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원화된 플래시 재생 구조가 애플리케이션 내에 플래시 파일 종료 후 타파일 구동 시 기존 플래시 파일의 종료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모바일 환경의 한정된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며 안정된 애플리케이션 환경 및 실행 속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플래시를 플랫폼 단에서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플래시의 재생 및 종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플래시가 웹 브라우저와 결합하여 HTML, Javascript와 함께 실행되거나, 별도의 어도비 플래시 Runtime을 포함함으로써 실행되던 구조를 스마트 기기의 환경에 맞게 설정함으로써 구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파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플래시 파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ML로 표현된 콘텐츠 파일의 예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화상 구조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S220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S230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S240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재생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1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및 함수 실행 통보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탭 인터페이스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힌트 모드의 활성화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다.
플래시는 거의 모든 운영체제와 웹 브라우저에서 동작할 뿐만 아니라 독립 응용프로그램으로도 실행가능하고, 애니메이션, 사운드 출력 뿐만 아니라 소켓 연결, XML 처리, 자바스크립트 수준의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프로그래밍/멀티미디어 저작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도3은 플래시 파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3을 참조하면 플래시 파일은 기초정보, 그래픽 데이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액션 스크립트, 타임프레임 정보 및 표현 태그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플래시 파일은 그 규격의 제작 당시 스마트 기기의 환경이 존재하지 않아 컴퓨터 기반의 재생을 목적으로 설계되었으며, 파편화된 스마트 기기의 환경을 고려한 규격은 포함하고 있지 않아 스마트 기기에서 최적화된 플래시 재생이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플래시 재생 구조상 인터페이스 정보를 호출 받거나 외부 함수와의 통신을 위한 매개체를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스마트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함수 개발을 하기 위해서 플래시 파일의 원본 수정이 불가피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플래시 재생 시 플래시 개발 언어(액션 스크립트)를 기반으로 개발된 개발물 내에서만 각종 기능을 제공할 수 있었으며, 플래시 재생에 제공하지 않는 API는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다른 기술과의 연동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어도비 플래시 규격을 이용해 개발된 컴퓨터 기반의 콘텐츠를 원본 수정 없이 스마트 기기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기존에 개발된 다수의 플래시 파일 경로, 각각의 플래시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 정보 및 파편화된 스마트 기기의 특성(예를 들면, 성능, 화면크기 등) 등을 고려해 설정함으로써, 모든 스마트 기기에서 플래시 파일의 원본 수정 없이 실행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우선 본 발명의 구성을 도1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 후 이하 흐름도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100)은 플래시 재생 요청 수신부(110), 콘텐츠 제어부(120),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콘텐츠 파일 데이터베이스부(150), 인터페이스부(160), 외부함수부(170) 및 애플리케이션(180)을 포함한다.
플래시 재생 요청 수신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애플리케이션(180)이 실행된 후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플래시 재생 요청을 수신한다.
콘텐츠 제어부(120)는 플래시 재생 요청을 수신한 후 필요에 따라 실행되며, 실행을 위해서는 콘텐츠 파일 데이터베이스부(150)를 이용해 콘텐츠파일의 경로를 지정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파일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된 콘텐츠 파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콘텐츠 파일(10)은 플래시 실행 정보(12), 플래시 메타 정보(14), 장치별 설정 정보(16) 및 리소스 정보(18)를 포함한다.
플래시 실행 정보(12)는 애플리케이션(180)이 1개 이상의 플래시 파일을 포함하고 있을 경우 최초에 실행시켜야 할 플래시의 파일 정보(mapping-resource-id)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각각의 플래시 파일을 실행하는 데에 필요한 시작 변수, 배경 이미지, 캔버스 크기, 폰트 파일 정보, 외부 함수, 기능 매핑 정보, 타임프레임 정보, 키보드 정보 및 DRM 적용 여부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원본을 수정하지 않고 컴파일 된 플래시 파일을 스마트 기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플래시 메타 정보(14)는 플래시 파일별로 버전 및 전체 길이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를 실행하지 않더라도, 해당 플래시 콘텐츠가 어떤 파일 및 정보로 구성되어 있는지 사전에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장치별 설정 정보(16)는 스마트 기기의 종류 및 환경을 고려한 품질 모드 선택 및 캐쉬 파일 실행, 버튼 크기 확장 기능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콘텐츠 파일(10)은 플래시 파일 구조에 존재하지 않는 스마트 기기에서 구동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기존 플래시 파일 구조를 보완하였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ML로 표현된 콘텐츠 파일의 예이다.
도4를 참조하면, 콘텐츠 파일에는 플래시 실행 정보, 플래시 메타 정보, 장치별 설정 정보 및 리소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어부(120)는 플래시 재생 요청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플래시 재생 요청에 응답하여 적합성 설정부(122) 및 최적화 설정부(124)를 포함한다.
적합성 설정부(122)는 다양한 스마트 기기의 플래시 구동 환경이 고려된 속성정보가 저장된 콘텐츠 파일 데이터베이스(150)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파일이 스마트 기기에 적합하게 구동되도록 설정한다.
최적화 설정부(124)는 상기 콘텐츠 파일이 구동에 적합하게 설정되면, 콘텐츠 제어부(120) 및 디스플레이(140) 간의 통신을 위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별 최적화 정보를 설정한다.
또한 콘텐츠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 기반의 조작 값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160) 및 플래시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외부 함수를 관리하는 외부함수부(170)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통신할 수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로부터 수신한 상기 스마트 기기의 조작과 관련된 정보가 상기 플래시 파일이 포함하고 있는 컴퓨터 기반의 동작 방식과 매핑되어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제어부(120)는 애플리케이션(180)과 상호작용 할 수 있다.
콘텐츠 제어부(120)는 플래시 재생 요청에 응답하여 플래시 재생에 필요한 재생 준비 절차를 수행하며,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는 콘텐츠 제어부(120)에서 재생 준비 절차가 완료된 후 플래시 파일의 재생을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는 유효 확인부(132) 및 자원 할당부(134)를 포함한다.
유효 확인부(132)는 최적화 설정부(124)에서 설정한 최적화 설정값이 플래시를 재생하기에 유효한지 확인하며, 자원 할당부(134)는 유효 확인부(132)에서 최적화 설정값이 유효하면 상기 설정값을 모듈에 적용하고, 플래시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자원을 할당한다.
또한,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는 영상과 음성이 표현되는 디스플레이부(140)와 연결되어 있고, 각종 조작 인터페이스와는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콘텐츠 제어부(120)로부터 조작과 관련된 값을 호출받는다.
디스플레이부(140)는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로부터 제어된 값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출력부로써, 화면표시부(142) 및 음성출력부(144)를 포함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화상 구조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5를 참조하면,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로부터 제어된 값은 화면표시부(142)를 통해 출력됨으로써 플래시 화상 레이어(102)에 표현되고, 콘텐츠 제어부(120)는 제어 레이어(101)를 통해 각종 제어 기능, 터치 기능 및 입력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부(160) 및 외부함수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는 터치를 기반으로 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으므로, 인터페이스부(160)는 화면표시부(142)에 출력된 화상을 기반으로 각종 제어 및 터치 입력 값을 수신한다.
외부함수부(170)는 플래시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외부 함수를 관리하며, 실행 완료 후에 하나의 값을 되돌려 주는 외부 코드 자원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외부함수부(170)는 일반적으로 모듈간에 통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콘텐츠 제어부(120)는 외부함수부(170)를 기반으로 플래시 파일에서 실행 받기를 희망하는 함수를 등록하고,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는 외부 함수를 호출했을 경우 콘텐츠 제어부(120)에 등록된 함수를 실행하는 형태로 기능을 제공한다.
이하 설명은 일 실시예에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단계S210은 사용자로부터 애플리케이션(180)이 실행된 후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플래시 재생 요청을 플래시 재생 요청 수신부(110)에서 수신한다.
단계S220은 플래시를 재생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인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로, 도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S210에서 플래시 재생 요청을 수신하면, 콘텐츠 제어부(120)를 초기화하고, 콘텐츠 파일 데이터베이스부(150)로부터 콘텐츠 파일을 적재한다(S220). 그리고 콘텐츠 제어부(120)는 적재한 콘텐츠 파일이 규격에 맞는 형식을 가지고 있는지, 지원하지 않는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정합성을 검증한다(S224). 그리고 파일 내에 포함되어 있는 리소스 정보들이 로컬 또는 원격에서 접근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26), 그리고 단계S226에서 리소스 정보가 원격에서 접근 가능할 경우,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S228) 실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환경을 구성한다.
단계S230은 최적화 환경에 맞게 설정하는 단계로, 도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S232는 단계S228이 완료되면 콘텐츠 제어부(120)와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간에 통신을 위하여 인터페이스부(160) 및 콜백을 연결한다.
단계S234는 최적화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로, 적재된 콘텐츠 파일을 분석하여 콘텐츠 제어부(120) 및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 등의 환경에 맞게 필요한 정보를 설정한다.
이때 환경에 맞게 설정할 수 있는 정보는 실행되는 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CPU 또는 GPU의 개수, 메모리 환경을 고려하여, 적용할 비트맵 필터의 숫자를 조정하거나, Anti-Aliasing 모드를 On/Off 하거나, 캐쉬 파일을 이용하도록 구동하는 것과 같이 장치의 성능에 따라 그래픽 품질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플래시에 포함될 폰트, 배경, 캔버스의 크기 및 인식될 버튼 영역의 크기 확장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S234가 완료되면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를 기동함으로써 플래시 재생 요청 절차가 완료된다(S236).
단계S220 내지 단계S230을 통해 플래시 재생 요청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플래시 파일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각종 설정 정보를 반영함으로써 플래시 파일 수정 없이 스마트기기에 최적화하여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단계S240은 유효한 설정값을 모듈에 적용하는 단계로, 도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가 콘텐츠 제어부(120)로부터 플래시 재생 기동 요청을 수신하면(S241),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의 유효 확인부(132)가 콘텐츠 제어부(120)에서 설정한 값이 유효한지 확인한다(S242).
그리고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의 설정값이 유효하면, 자원 할당부(134)는 각각의 모듈에 설정값을 반영하고(S243), 화상 및 음성을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하드웨어 및 플랫폼 등과 같은 자원을 할당한다(S244).
단계S244까지의 과정이 모두 완료되면, 플래시 재생 상태를 대기에서 시작으로 변경하고(S245), 상기 변경된 사항을 콘텐츠 제어부(120)에 상태 변경을 통보(S246)함으로써 관련된 기능(재생 버튼 활성화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S250은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에서 제어된 값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도록 화면표시부(142) 및 음성출력부(144)를 통해 플래시를 출력한다.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예는 도5와 같을 수 있으며, 이는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로부터 제어된 값이 화면표시부(142)를 통해 출력됨으로써 플래시 화상 레이어(102)에 표현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출력된 화상을 기반으로 콘텐츠 제어부(120)는 제어 레이어(101)를 통해 각종 제어 기능, 터치 기능 및 입력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어도비 플래시 규격은 영화 필름과 같이 연속적으로 주사되는 시간 축을 기반으로 영상과 음성이 기록되는 프레임 형태의 재생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플래시 재생 과정은 규격에 따라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은 일반적인 플래시 파일 재생의 구조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플래시 파일 재생 구조에서는 플래시 파일을 재생하는 프레임마다 일련의 정보를 콘텐츠 제어부(120)에 호출하거나, 호출받는 형태의 과정을 추가함으로써, 기존의 플래시 파일을 수정하지 않으면서 스마트 기기 고유의 조작 방식 적용 및 기능을 확장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재생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10을 참조하면, 단계S300은 플래시를 재생하는 단계로, 도9의 흐름도에 따라설정된 값을 기반으로 플래시가 재생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60)는 단계S300에서 재생되는 플래시를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도록 출력한다.
단계S310은 플래시가 재생된 후, 플래시 파일 내에서 타 플래시 파일을 호출한다. 이때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는 상기 타 플래시 파일에 대한 정보를 콘텐츠 제어부(120)에 전달함으로써(S320) 파일이 변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그 후에는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는 타임프레임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S330).
이때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는 Flash File Name, Movie Clip Id, Timeframe Number, Total Timeframe을 측정할 수 있으며,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는 상기와 같은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타임프레임이 변경되었음을 콘텐츠 제어부(120)에 통보한다.
콘텐츠 제어부(120)는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로부터 타임프레임 변경 통보를 수신하면, 콘텐츠 파일에 기재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타임프레임 번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타임프레임 번호가 존재할 경우 매핑된 함수를 실행함으로써 해당 시점에 수행해야 할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플래시 실행 도중에 플래시 파일의 종류에 따라 특정 타임프레임 번호에서는 점프하거나 특정 타임프레임으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는 전형적은 GOTO문으로써 스마트 기기에서 기존의 플래시 파일을 실행할 때 반드시 필요로 한 사항이다. 이는 컴퓨터에서 실행할 때는 필요했던 기능이 스마트 기기로 이식되면서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특정 영역을 점프할 수 있는 GOTO문을 사용함으로써 기능의 오동작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S340은 기능 및 함수 실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로,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는 기능 및 함수 실행을 콘텐츠 제어부(120)에 통보한다.
일반적으로 플래시 파일은 HTML에 내장되어 있는 Javascript 함수를 기반으로 통신되도록 고안되어 있기 때문에 스마트 기기에서 플래시 파일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를 기반으로 각각의 환경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해야하며, 기존에 개발된 Javascript 함수를 스마트 기기의 환경에 맞는 언어로 포팅하여 기존의 기능이 동작될 수 있도록 보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콘텐츠 제어부(120)는 다양한 형태의 실행 유형을 통보받을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이는 도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및 함수 실행 통보 처리 절차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콘텐츠 제어부(120)는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로부터 기능 및 함수 실행 통보를 수신한 후(S500), 실행 유형이 객체인지 확인한다(S510). 이때 실행 유형이 객체인 경우 전달받은 객체ID를 콘텐츠 파일에서 탐색한다(S511). 그리고 상기 콘텐츠 파일에서의 객체ID 발견여부를 확인(S512)한 후 기재되어 있는 함수를 애플리케이션(180)에서 찾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S513).
예를들어 스마트기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이 포함된 객체를 실행하였을 경우 스마트기기에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라는 메시지를 띄우는 것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플래시 파일은 객체별로 고유한 ID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중복에 따른 오동작 현상을 없앨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510에서 실행 유형이 객체가 아닐 경우, 웹브라우저의 함수인지 확인한다(S520). 이때 플래시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웹브라우저의 호출 함수가 맞을 경우 전달받은 URL을 기반으로 프로토콜(예: HTTP, FTP 등)과 주소(예: www.remoteapi.com 등), 파라메터 (예: Parameter=Value 등)으로 분리함으로써 패턴을 추출한다(S521). 그리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콘텐츠 파일에서 패턴을 탐색한다(S522), 그리고 상기 콘텐츠 파일에서의 패턴 발견여부를 확인(S523)한 후 기재되어 있는 함수를 애플리케이션(180)에서 찾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S524). 상기 실행 예로는 스마트기기에 포함되어 있는 웹브라우저를 호출하거나, URL의 종류에 따라 앱으로 개발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형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520에서 실행 유형이 웹브라우저 함수가 아닐 경우, 외부함수인지 확인한다(S530). 이때 플래시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외부함수 호출이 맞을 경우 함수를 실행한다.
이때 외부함수는 사전에 규약된 규약으로써, 일반적으로 모듈간에 통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플래시 파일에서 실행받기를 희망하는 함수를 콘텐츠 제어부(120)에 등록하고, 외부 함수를 호출하였을 경우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가 콘텐츠 제어부(120)에 등록된 함수를 실행하는 형태로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플래시를 실행하던 도중 오류가 발생했는지 확인하고(S540), 오류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전달받은 오류 정보(예: 오류 메세지, 번호 등)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띄우거나,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를 종료하는 형태의 함수를 실행한다(S541).
한편,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는 콘텐츠 제어부(120)로 기능 및 함수의 실행을 통보하는 것 외에도 반대로 콘텐츠 제어부(120)로부터 기능 및 함수 실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S350은 콘텐츠 제어부(120)로부터 요청받은 기능 및 함수 실행을 처리한다. 단계S350에서는 기능 및 함수를 실행할 경우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는 객체ID를 전달받음으로써 요청받은 사항이 객체 여부인지 판단하고, 객체일 경우에는 내부에 포함된 객체 ID를 탐색하고, 객체가 존재할 경우 객체를 실행하도록 한다. 이때 객체가 아닌 외부함수일 경우에는 해당 함수를 실행 한다.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는 인터페이스부(160)로부터 입력된 터치, 제스처, 키 등의 입력 값을 콘텐츠 제어부(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입력 정보는 플래시 파일이 포함하고 있는 기존의 컴퓨터 기반의 동작 방식과 매핑되어 구동될 수 있다.
단계S360은 단계S300 내지 단계S350을 수행하는 중에 오류가 발생했는지 확인한다. 단계S361은 단계S360에서 오류가 발생했을 경우 콘텐츠 제어부(120)에 오류를 통보함으로써 관련 오류를 처리한다.
만약 자원 해제가 필요로 한 긴급한 오류일 경우 또는 콘텐츠 제어부(120)로부터 실행 종료 요청을 받았을 경우, 자원 해제 여부를 확인한다(S370). 그리고 단계S370에서 자원 해제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 프레임으로 이동하여 플래시를 재생한다(S300).
단계S370에서 자원 해제를 할 경우에는 자원 해제를 완료(S380)하고, 플래시가 종료되었음을 콘텐츠 제어부(120)에 통보한다(S390).
한편,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화상 구조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5를 참조하면,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로부터 제어된 값은 화면표시부(142)를 통해 출력됨으로써 플래시 화상 레이어(102)에 표현되고, 콘텐츠 제어부(120)는 제어 레이어(101)를 통해 각종 제어 기능, 터치 기능 및 입력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는 터치를 기반으로 하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으므로 컴퓨터의 마우스를 기반으로 하는 기존의 플래시 파일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매핑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부(160)로부터 입력된 정보의 처리 과정을 기술한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터페이스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12를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터치하는 것으로 절차가 시작된다(S600).
그리고 단계S601은 터치된 영역이 입력 가능 영역인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의 화상 구조가 도5와 같이 구성되어 있을 경우, 제어 기능 영역 및 입력영역은 입력이 가능한 영역이고, 그 외의 영역은 입력이 가능하지 않은, 즉 터치 입력을 무시해도 되는 영역이 된다. 단계S602는 사용자가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에서 지정된 터치 입력이 가능하지 않은 영역을 터치한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에 정보를 전달하지 않고 무시한다.
만약 사용자가 터치 입력 가능 영역을 터치한 경우라면 이하와 같은 절차에 수행함으로써 각 영역에 해당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단계603은 터치 가능한 영역을 터치한 경우로,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를 측정한다. 그리고 한 손가락으로 터치된 것인지 확인하고(S604), 한 손가락으로 터치된 것이 맞으면 해당 영역이 텍스트 입력 영역인지 확인한다(S605). 그리고 텍스트 입력 영역이 맞을 경우 콘텐츠 제어부(120)에서 텍스트 입력창을 활성화시켜서 사용자부로부터 텍스트를 입력받을 수 있게 한다(S606). 그리고 텍스트 입력이 완료 되었는지 확인(S607)한 후 Key input event를 호출함으로써 그 정보를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에 전달한다(S608).
단계S609는 텍스트 입력 영역이 아닐 경우, 터치가 오차범위내에 머물러 있는지, 이동하였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드래그 여부를 판단한다(S609). 그리고 드래그가 아닐 경우에는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의 Mouse Click Down Event를 호출(S610)하며, 이때 X 및 Y의 좌표값을 전달한다. 그리고 오차범위내에서 머물러 있는 시간(Touch Up이 될 때까지의 시간)을 체크한다(S611). 그리고 체크된 시간이 사전에 지정한 시간을 초과할 경우 제어 화면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함으로써, 화면에 플래시 화상 레이어(102)만 나타나게 하거나 또는 제어 레이어(101)와 동시에 나오게 한다.
단계S613은 사용자가 드래그 했을 경우, 콘텐츠 제어부(120)에 설정되어 있는 화면이동모드가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613). 그리고 화면이동모드일 아닐 경우에는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에 Mouse Drag Event를 호출하며(S614), 화면이동모드일 경우에는 Screen Move Event를 호출한다(S615). 호출시에는 각각의 X, Y 좌표값을 전달하며, 좌표가 이동할 때 마다 호출된다.
이러한 형태로 모드를 나누는 이유는 플래시 파일내에 포함되어 있는 기능 중에 컴퓨터에서 마우스 드래그 기반으로 콘텐츠를 동작시켜 하는 경우(예: 콘텐츠 내에 특정 이미지를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기능 등), 플래시 재생 화면을 확대하여 볼 경우 및 확대된 면을 이동하고자 할 경우 터치 인터페이스가 중첩되므로, 드래그가 될 경우 화면 이동과 콘텐츠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따라 모드를 나눔으로써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터치된 손가락을 화면에서 뗄 경우, 즉 Touch Up이 발생하면(S616),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에 Mouse Click Up Event를 호출(S617)하며, 이때 X, Y 좌표값을 전달한다.
또한, 단계S603에서 화면에 터치된 손가락의 개수가 한 개가 아닌 두개일 경우(S618), 핀치 여부를 확인(S619)한 후 Screen Change Scale Event를 호출한다(S620).
핀치는 일반적으로 손가락 두 개를 화면에 올려놓고 두 손가락의 길이를 넓히거나 좁힐 때에 발생하는 제스처로써, 두 손가락의 길이를 전체 화면의 크기로 나눈 백분율 값을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에 Screen Change Scale Event로 전달함으로써 화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탭 인터페이스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13을 참조하면, 단계S700은 사용자로부터 더블탭(Double Tap) 제스처를 수신한다. 더블탭 제스처는 화면에 손가락을 터치하였다가 떼는 행위를 두 번에 걸쳐 반복되는 경우 발생되는 제스처로써, 컴퓨터의 마우스를 더블 클릭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단계S710은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레이어가 중첩되는 부분에서의 기능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서, 터치 입력이 가능한 영역에서 더블탭이 발생했는지 확인한다.
단계S720은 터치 입력이 가능한 영역에서 한 손가락으로 더블탭 제스처가 발생했는지를 확인한다. 한 손가락이 아닌 그 외의 더블탭 제스처일 경우 플래시 재생 제어부(130)에 정보를 전달하지 않고 무시한다.
단계S730은 한 손가락으로 더블탭 제스처가 발생했을 경우, 버튼 힌트 모드(Button Hint Mode)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 한다.
버튼 힌트 모드는 컴퓨터 기기 기반으로 작성된 플래시 파일 내에 각종 버튼을 클릭해야 하는 부분이 존재하는데, 일반적으로는 사용자에게 버튼임을 전달하기 위해서 누를 수 있는 형태의 디자인으로 버튼을 생성한다. 또한 일부 버튼의 경우에는 심미적 요소만으로는 버튼임을 인식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어, 이러한 경우에는 마우스 포인터를 버튼에 위치시킬 경우 버튼의 모양을 바뀌게 함으로써 부가적인 버튼 인식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 때 버튼과 같은 객체는 Mouse Over Event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기능이 가능하다.
그러나 스마트 기기에서는 마우스 포인터라는 개념이 없고, 터치 인터페이스의 특성상 Mouse Over Event라는 것을 제공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기기에서 버튼과 같은 객체를 인식하기 위해서 화면을 더블탭 하여 화면에 존재하는 모든 버튼이 Mouse Over Event를 실행하게 함으로써 버튼임을 인식시켜준다. 또한 이러한 기능을 Flip-Flop으로 제공함으로써 누를 수 있는 버튼이 깜빡이는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때문에 누를 수 있는 버튼의 인식을 쉽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절차는 도14의 흐름도와 같이 처리된다.
도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힌트 모드의 활성화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S730에서 버튼 힌트 모드가 활성화 된 경우(S800), 플래시 파일 내에 현 타임프레임 시점에 존재하는 객체를 탐색한다(S810). 객체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Movie Clip과 Button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단계S820은 객체를 발견한 경우, Mouse Over Event가 구현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단계S830은 Mouse Over Event가 구현되어 있을 경우 Mouse Over Event를 실행한다. 단계S840은 Mouse Over Event를 실행 완료한 후에 사전에 지정된 시간 동안 대기한다. 단계S850은 활성화된 객체의 Mouse Over Event를 해제함으로써 원래 상태로 복귀하도록 한다.
단계S860은 단계S850에서 원래 상태로 복귀가 완료된 후 사전에 지정된 시간 동안 대기한다. 단계S870은 대기 후 비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면, 활성화되어 있는 객체를 모두 복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110: 플래시 재생 요청 수신부 120: 콘텐츠 제어부
130: 플래시 재생 제어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콘텐츠 파일 데이터베이스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외부함수부 180: 애플리케이션

Claims (11)

  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플래시 재생 요청을 수신하는 플래시 재생 요청 수신부;
    다양한 스마트 기기의 플래시 구동 환경이 고려된 속성정보가 저장된 콘텐츠 파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콘텐츠 파일이 적합하게 구동되도록 설정하는 적합성 설정부;
    상기 콘텐츠 파일이 구동에 적합하게 설정되면, 콘텐츠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 간의 통신을 위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별 최적화 정보를 설정하는 최적화 설정부;
    상기 설정된 최적화 정보를 이용하여 플래시 파일의 재생을 제어하는 플래시 재생 제어부; 및
    상기 플래시 재생 제어부로부터 제어된 값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적합성 설정부는
    플래시 실행 정보, 플래시 메타 정보, 스마트 기기별 설정 정보 및 리소스 정보를 상기 속성정보로서 포함하는 콘텐츠 파일을 상기 콘텐츠 제어부에 적재한 후 구동에 적합하게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 기반의 조작 값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플래시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외부 함수를 관리하는 외부함수부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통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스마트 기기의 조작과 관련된 정보가 상기 플래시 파일이 포함하고 있는 컴퓨터 기반의 동작 방식과 매핑되어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재생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제어부에서의 최적화 설정값이 상기 플래시를 재생하기에 유효한지 확인하는 유효 확인부; 및
    상기 최적화 설정값이 유효하면 상기 설정값을 모듈에 적용하고, 상기 플래시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할당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플래시 파일의 재생에 필요한 최소한의 모듈로써 하드웨어와 연계된 화면표시부 및 음성출력부를 이용함으로써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8.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플래시 재생 요청을 수신하는 플래시 재생 요청 수신단계;
    다양한 스마트 기기의 플래시 구동 환경이 고려된 속성정보가 저장된 콘텐츠 파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콘텐츠 파일이 적합하게 구동되도록 설정하는 적합성 설정단계;
    상기 콘텐츠 파일이 구동에 적합하게 설정되면, 콘텐츠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 간의 통신을 위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별 최적화 정보를 설정하는 최적화 설정단계;
    상기 설정된 최적화 정보를 이용하여 플래시 파일의 재생을 제어하는 플래시 재생 제어단계; 및
    플래시 재생 제어부로부터 제어된 값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적합성 설정단계는
    플래시 실행 정보, 플래시 메타 정보, 스마트 기기별 설정 정보 및 리소스 정보를 상기 속성정보로서 포함하는 콘텐츠 파일을 상기 콘텐츠 제어부에 적재한 후 구동에 적합하게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재생 제어단계는
    상기 콘텐츠 제어부에서의 최적화 설정값이 상기 플래시를 재생하기에 유효한지 확인하는 유효 확인단계; 및
    상기 최적화 설정값이 유효하면 상기 설정값을 모듈에 적용하고, 상기 플래시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할당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방법.
  11. 제8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30124290A 2013-10-18 2013-10-18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401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290A KR101401663B1 (ko) 2013-10-18 2013-10-18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290A KR101401663B1 (ko) 2013-10-18 2013-10-18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1663B1 true KR101401663B1 (ko) 2014-06-27

Family

ID=51131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290A KR101401663B1 (ko) 2013-10-18 2013-10-18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6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2113A (ko) * 2008-12-08 2010-06-30 (주) 엘지텔레콤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플래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과 플래시 컨텐츠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47956A (ko) * 2011-11-01 2013-05-09 주식회사 미니게이트 가상 웹서버를 구비한 단말기 및 이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2113A (ko) * 2008-12-08 2010-06-30 (주) 엘지텔레콤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플래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과 플래시 컨텐츠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47956A (ko) * 2011-11-01 2013-05-09 주식회사 미니게이트 가상 웹서버를 구비한 단말기 및 이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4633B1 (ko) 화면 미러링 방법 및 그에 따른 소스 기기
CN111651116B (zh) 分屏交互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9898186B2 (en)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 pen and handwriting input method using the same
CN108052265B (zh) 用于使用图形对象控制内容的方法和设备
US20150339050A1 (en) Ink for Interaction
KR102003255B1 (ko) 다중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280391B1 (ko) 복수의 장치에 대한 화면 설정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4246659A (zh) 可实例化的手势对象
KR102133365B1 (ko)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140030299A (ko) 동적 콘텐츠를 이용하여 줌 인 및 줌 아웃하기 위한 기법
JP2012502344A (ja) 画像センサベースのヒューマンマシンインタフェースを提供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ソフトウェア
US9658865B2 (en) Method of edit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US20190324613A1 (en) Display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US10691880B2 (en) Ink in an electronic document
US20140164186A1 (en)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inform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of
US20170192731A1 (en) Control redistribution among multiple devices
JP5010605B2 (ja) イベント処理装置
KR101855149B1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10956663B2 (en) Controlling digital input
US9274622B2 (en) Device specific data in a unified pointer message
US202101329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customized user guides in a virtual client application
CN105518618A (zh) 配置成将针对视觉元素的输入路由到图形框架的输入对象
CN109669589B (zh) 文档编辑方法和装置
KR101401663B1 (ko) 컴퓨터 기반의 플래시 콘텐츠를 스마트 기기에 이식하여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4564275A (zh) 元素列表的刷新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