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661B1 - Dlna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콘텐츠 관리 장치 및 콘텐츠 서비스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Dlna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콘텐츠 관리 장치 및 콘텐츠 서비스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661B1
KR101401661B1 KR1020120153229A KR20120153229A KR101401661B1 KR 101401661 B1 KR101401661 B1 KR 101401661B1 KR 1020120153229 A KR1020120153229 A KR 1020120153229A KR 20120153229 A KR20120153229 A KR 20120153229A KR 101401661 B1 KR101401661 B1 KR 101401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information
service
digital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택
이연성
박용석
김현식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53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75Management of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LNA시스템에서 IP기반의 디지털방송 시스템을 이용한 신규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및 제한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ATSC-M/H 시스템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사용자 권한에 따라 차별적 콘텐츠 서비스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ATSC-M/H 기반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 증대 및 방송사업자의 유료 콘텐츠 서비스 시행 효과가 있고, 기존의 전체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는 경우에 비해 공개 콘텐츠 리스트와 제한된 콘텐츠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분류 제공함으로써 사용권한이 없는 콘텐츠를 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 권한이 없으면서 콘텐츠 리스트가 나타날 때 불필요한 사용자의 불법 복제 시도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DLNA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콘텐츠 관리 장치 및 콘텐츠 서비스 처리 방법 {Device for managing user contents And Method for handling content service in DLNA system}
본 발명은 DLNA시스템에서 IP기반의 디지털방송 시스템을 이용한 신규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및 제한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ATSC-M/H는 6MHz 대역폭을 통해 19.392 Mbps의 전송률을 지원할 수 있는 ATSC 시스템에서 15-17 Mbps의 HD 콘텐츠 전송 시 생성되는 여유 공간(null packets)에 CIF급 또는 VGA (640x480)급 모바일 콘텐츠를 추가하여 전송한다.
또한, M/H 채널은 SCCC 부호화, 타임슬라이싱(time-slicing) 등 다양한 이동수신 기술이 추가되어 최대 120 km/h의 이동속도를 지원한다.
ATSC-M/H 서비스는 기존의 지상파 DTV 주파수를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주파수가 필요 없고, 기존 지상파 DTV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기존 방송장비를 활용할 수 있어 투자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자체 콘텐츠 제작 능력을 보유한 방송사가 MCV(Mobile Contents Venture)를 공식 출범하여 CAS가 연계된 부분 유료화 방송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CAS가 적용되면 필수적으로 자격제어기능, 자격관리기능 등 부가기능이 추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단말기의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DLNA(Digtal Living Network Alliance)는 DLNA인증을 통해 제품 간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조사와 제품 종류에 관계없이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공유하고 재생할 수 있도록 규약을 정의하는 단체이다. DLNA는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디지털 AV 기기나 PC 등의 다양한 디바이스들 간 상호 호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악, 동화상, 정지화상 등의 콘텐츠를 홈 네트워크 내 다양한 디바이스 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UPnP 기반의 물리적인 미디어, 네트워크 전송, 미디어 포맷, 스트리밍 프로토콜, DRM(Digital Right Management) 등의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 DLNA는 DLNA에 추가로 UPnP 원격 제어(Remote Access)라는 기능을 더해 원격지에서 댁내의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공유하고 재생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콘텐츠 보호 관점에서 DLNA 기반 콘텐츠 공유 기술은 DRM을 갖지 않는 콘텐츠에 대하여만 적용 가능하며, DRM을 갖는 콘텐츠에 대하여는 해당 라이센스를 포함하지 못하는 단말의 재생을 제한한다. 최근에는 콘텐츠 보호를 위해 소스(Source)로부터 레더링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콘텐츠 차체를 보호하기 위해 IP기반의 링크 보호(Link protection) 기술(DTCP-IP(Digital Transmission Content ProtectionInternet Protocol), WMDRM-ND(Windows Media Digital Rights Management for Network Devices))을 사용하고 있다.
DLNA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디지털 미디어 서버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방송 수신 장치와 방송 미들웨어를 탑재하고 있고,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포함된 방송 A/V 데이터는 스트림 형태의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IP 망으로 전송하며, 방송 채널을 디지털 미디어 서버에서 하나의 리소스로 표현하여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IP 스트리밍할 수 있도록 정의된다. 이러한 DLNA 시스템에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디지털 미디어 서버는 전달받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각각의 채널별 콘텐츠를 하나의 영상 파일과 같이 리소스로 표현하여 저장하고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가 이를 선택하여 IP 스트리밍함으로써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DLNA 시스템에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법과 차이가 없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 서비스는 데이터 방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데이터 방송에 대해서는 독립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방법이 없다.
즉, DLNA 표준에서는 방송 서비스에 대해서 A/V 스트림에 대한 처리만을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ATSC-M/H 시스템에서 신규 유료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데이터 방송을 통해 실시할 경우 DLNA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SI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에 대한 처리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시스템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ATSC-M/H 방송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개 방송 콘텐츠 서비스와 제한된 유료 방송 콘텐츠 제공을 위한 신규 방송 서비스를 송출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CAS 등 복잡한 수신제한 기술을 사용하지 않고, DVR를 포함한 셋탑박스를 디지털 미디어 서버로 사용하고 있는 DLNA 시스템에서 ATSC-M/H 시스템을 통해 전송된 공개 방송 콘텐츠 서비스와 제한된 유료 방송 콘텐츠 서비스(사용자 인증 또는 단말 인증 절차에 따라 방송사업자가 제공하는 차별적인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하기 위한 DLNA 시스템과 그 DLNA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DLNA시스템에서 사용자 콘텐츠 관리 장치가 콘텐츠 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로부터 FIC 및 SSC 정보를 확인하는 제1단계; 상기 FIC 및 SSC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권리 분석하는 제2단계; 상기 권리 분석된 정보에 따라 콘텐츠 및 리스트를 저장하는 제3단계; 및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로부터 콘텐츠 접속이 요청되면, 저장된 사용자 권한 정보 비교 분석 후 분석 결과에 따른 콘텐츠 전송, 삭제 또는 접속 차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4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권한 정보 비교 분석 후 업데이트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권리는 콘텐츠 만료기한 및 콘텐츠 재생수로 구분되며, 상기 제4단계는 콘텐츠 만료기한이 초과한 경우 사용자 알림 후 콘텐츠 삭제하고, 콘텐츠 재생수 초과한 경우 사용자 알림 후 콘텐츠 접속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DLNA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콘텐츠 관리 장치에 있어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수신부; 상기 콘텐츠를 방송 A/V와 FIC 및 SSC 데이터로 파싱하는 콘텐츠 분리부; 상기 콘텐츠 분리부에서 파싱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분된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콘텐츠 저장부;로 구성된 홈 디지털 미디어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홈 디지털 미디어 서버는 사용자 콘텐츠 관리 제어부로부터 사용자 형태 및 권한 범위에 관한 정보를 수신 후, 상기 정보에 따른 방송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 및 저장하고,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로부터 콘텐츠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권한을 판단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 리스트를 선별적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콘텐츠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콘텐츠 관리 제어부는 사용자 형태, 권한 범위를 식별하는 사용자 관리부; 대상 홈 디지털 미디어 서버 및 대상 콘텐츠를 식별하고 콘텐츠 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 사항 및 단말 정보 분석 처리부, 상기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정보에 상응하는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액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기존 ATSC-M/H 시스템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사용자 권한에 따라 차별적 콘텐츠 서비스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ATSC-M/H 기반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 증대 및 방송사업자의 유료 콘텐츠 서비스 시행 효과가 있다.
또한, 본발명은 기존의 전체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는 경우에 비해 공개 콘텐츠 리스트와 제한된 콘텐츠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분류 제공함으로써 사용권한이 없는 콘텐츠를 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 권한이 없으면서 콘텐츠 리스트가 나타날 때 불필요한 사용자의 불법 복제 시도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ATSC-M/H 기반의 신규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NA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콘텐츠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ATSC-M/H 기반의 신규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 시스템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ATSC-M/H 기반의 유료 방송 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해 M/H 방송망을 통한 FIC(Fast Information Channel) 및 SSC(Service Signaling Channel) 테이블 정보 전송 방식을 사용한다. 기본적인 송신구조는 M/H 전송 방식과 동일하며, 기존 서비스에 대한 FIC 및 SSC는 M/H 규격에서 규정한 방식으로 전송되지만, 유료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증 코드 및 콘텐츠 리스트를 포함한 FIC 및 SMT는 특정 앙상블(Ensemble) 내의 일반 데이터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기존 단말기 중 사용자 인증이 없는 단말기의 경우 유료 방송 콘텐츠 서비스 존재를 알 수 없으며, 해당 콘텐츠 리스트에 대한 수신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반면, 유료 콘텐츠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기는 기존 서비스에 대한 FIC 및 SSC로부터 서비스가 가능한 기존 서비스 정보를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앙상블 내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인증 지시자, 권한 코드 및 유료 방송 콘텐츠 리스트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 FIC 및 SSC로부터 신규 유료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유료 방송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대한 FIC 및 SSC는 기존 시스템과 연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동일한 포맷을 사용할 수도 있고, 보안성을 위하여 사용자 인증, 권한, 및 유료 방송 콘텐츠 리스트 등과 같은 신규 유료 방송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특화된 형태로 규정될 수 있다. 기존 시스템과 동일한 형태로 전송되는 경우에 SSC의 경우에 기존 SSC와 신규 유료 방송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대한 SSC를 구별하기 위하여 SSC의 예약필드의 일부를 신규 SSC 지시자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신규 유료 방송 콘텐츠 제공 서비스 정보를 빠르게 확보하기 위하여 모든 앙상블에 FIC를 전송하며, 수신기는 앙상블에 접근하여 사용자 권한에 따라 신규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대한 기본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전송된 방송 서비스에 대해 WiFi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댁내 DL:NA 시스템의 경우 우선 디지털 미디어 서버를 통해 신규 유료 방송 콘텐츠에 대한 수신 후, 동일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DMR과 같은 DLNA 디바이스와 상호 접속을 통해 신규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대한 유료 콘텐츠 리스트 활성, 사용자 인증 코드, 차별적 콘텐츠 리스트 등을 포함한 FIC 및 SSC 정보를 상호 교환한다. 이와 같은 방식은 신규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대한 기본정보 및 복호정보를 댁내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전송함으로써 타 사용자나 허가되지 않은 방송 수신 단말기로의 수신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며, 신규 FIC 및 SSC를 권한이 있는 특정 사용자 또는 단말에게만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세밀한 수신제한의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신규 콘텐츠 제공 서비스 송출과 수신된 방송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댁내 DLNA 연결망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서버와 사용자 콘텐츠 관리 제어부,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DMR등에 대한 신규 방송 서비스 관련 FIC 및 SSC 정보 교환에 난수화 작업을 통하여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NA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콘텐츠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NA 시스템은 ATSC-M/H 기반의 제한된 디지털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수신부; 수신된 상기 콘텐츠를 방송 A/V와 FIC 및 SSC 데이터(사용자 인증, 권한, 콘텐츠 리스트)를 파싱하는 콘텐츠 분리부;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구분된 콘텐츠를 각각 다운로드하는 콘텐츠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방송에 대한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방송 A/V와 상기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콘텐츠 관리 제어부 또는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NA 시스템은 상기 대상 디지털 미디어 서버 및 사용자 인증, 권한, 대상 콘텐츠 식별, 제어 관리를 수행하는 사용자 콘텐츠 관리 제어부(DMC) 및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재생하는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를 포함한다.
사용자 콘텐츠 관리 제어부는 사용자 형태, 권한 범위를 식별하는 사용자 관리부; 대상 디지털 미디어 서버 및 대상 콘텐츠를 식별하고 콘텐츠 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 사항 및 단말 정보 분석 처리부; 및 상기 결과를 이용하여 정보에 상응하는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액션 제어부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디지털 미디어 서버는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접속 요청한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로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모든 콘텐츠들의 리스트를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데, 이는 DLNA 표준에 따른 것이다. 반면에, 종래 기술과 다르게,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미디어 서버는 ATSC-M/H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고, 사용자 콘텐츠 관리 제어부를 통해 사용자 형태(유료 가입자 또는 무료 가입자) 및 권한 범위(콘텐츠 공유 단말수 또는 재생 가능수 등)에 정보를 수신 후, 해당 권리에 따른 방송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 및 녹화 가능 콘텐츠를 저장하고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로부터 콘텐츠 공유에 대한 요청이 있을 경우, 사용자 권한에 따라 생성된 콘텐츠들에 관한 리스트를 선별적으로 송부한다. 여기서 선별적인 송부라 함은, 허가된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에는 전체 방송 콘텐츠 리스트를 송부하고, 허가되지 않은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에는 전체 방송 콘텐츠들 중 제공 가능한 일부 콘텐츠(무료 공개 콘텐츠) 또는 기존에 공유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관한 리스트를 송부하는 것이 하나의 예시일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미디어 서버는 사용자 콘텐츠 관리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권한 범위 정보에 따라 해당 유료 콘텐츠에 대한 공유 요청이 있을 경우 각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에 대한 콘텐츠 재공 횟수 또는 제공 단말 수를 제한하여 해당 콘텐츠를 제공한다.
따라서, 디지털 미디어 서버는 사용자 콘텐츠 관리 제어부의 사용자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 미디어 서버에 접속 요청한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에게 접근 가능한 콘텐츠들에 관련하여서만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접속 요청한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에 제공한다. 그러므로, 디지털 미디어 서버는 디지털 미디어 서버에 접속 요청한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에 대한 별도의 인증 없이 디지털 미디어 서버 자체 사용자 인증으로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가 접근 가능한 콘텐츠들의 리스트 제공 및 접근 가능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한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방법은 시스템에서 제한된 방송 콘텐츠 서비스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미디어 서버로 디지털 방송 수신 및 데이터 확인을 하는 제 1 단계; 상기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인 사용자 콘텐츠 관리 제어부로 FIC 및 SSC 정보 수집 및 사용자 권리 분석을 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분석된 사용자 정보 및 서비스 정보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서버에서의 콘텐츠 및 리스트를 저장하는 제 3 단계; 상기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로부터 콘텐츠 접속 요청을 수행하는 제 4단계; 상기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에서 저장된 사용자 권한 정보 비교 분석 후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제 5단계; 상기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권한 비교 정보의 결과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서버에서의 콘텐츠 전송, 삭제, 접속 차단 등을 수행하는 제 6 단계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LNA(Digtal Living Network Alliance) 시스템에서의 최근 제안되고 있는 IP 기반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ATSC-M/H, DVB-T2 등)에서의 유료 방송 콘텐츠 제공 및 제한 수신 방법으로, 유료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증 코드 및 콘텐츠 리스트를 포함한 FIC 및 SMT는 특정 Ensemble 내의 일반 데이터로 전송함으로써, 기존 ATSC-M/H 방송 시스템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신규 방송 서비스를 송출이 가능하고, CAS 등 복잡한 수신제한 기술을 사용하지 않고, 북미 지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DVR를 포함한 셋탑박스를 디지털 미디어 서버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DLNA시스템에서 ATSC-M/H 시스템을 통해 전송된 사용자 인증 또는 단말 인증 절차에 따라 방송사업자가 제공하는 차별적인 방송 콘텐츠 서비스 처리가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5)

  1. DLNA(Digtal Living Network Alliance)시스템에서 사용자 콘텐츠 관리 장치가 콘텐츠 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로부터 FIC(Fast Information Channel) 및 SSC(Service Signaling Channel)정보를 확인하는 제1단계;
    상기 FIC 및 SSC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권리 정보를 분석하는 제2단계;
    상기 분석된 사용자 권리 정보에 따른 제공 가능 콘텐츠 및 상기 제공 가능 콘텐츠 리스트를 저장하는 제3단계; 및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로부터 콘텐츠 접속이 요청되면, 저장된 사용자 권리정보와 비교 분석 후 분석 결과에 따른 콘텐츠 전송, 삭제 또는 접속 차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권리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권리는 콘텐츠 만료기한 및 콘텐츠 재생수로 구분되며,
    상기 제4단계는 콘텐츠 만료기한이 초과한 경우 사용자 알림 후 콘텐츠 삭제하고, 콘텐츠 재생수 초과한 경우 사용자 알림 후 콘텐츠 접속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
  4. DLNA(Digtal Living Network Alliance)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콘텐츠 관리 장치에 있어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수신부; 상기 콘텐츠를 방송 A/V와 FIC(Fast Information Channel) 및 SSC(Service Signaling Channel) 데이터로 파싱하는 콘텐츠 분리부; 상기 콘텐츠 분리부에서 파싱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분된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콘텐츠 저장부;로 구성된 홈 디지털 미디어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홈 디지털 미디어 서버는 사용자 콘텐츠 관리 제어부로부터 사용자 형태 및 권한 범위에 관한 정보를 수신 후, 상기 정보에 따라 제공 가능한 방송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 및 저장하고,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로부터 콘텐츠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권한을 판단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 리스트를 선별적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콘텐츠 관리 장치.
  5. 삭제
KR1020120153229A 2012-12-26 2012-12-26 Dlna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콘텐츠 관리 장치 및 콘텐츠 서비스 처리 방법 KR101401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229A KR101401661B1 (ko) 2012-12-26 2012-12-26 Dlna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콘텐츠 관리 장치 및 콘텐츠 서비스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229A KR101401661B1 (ko) 2012-12-26 2012-12-26 Dlna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콘텐츠 관리 장치 및 콘텐츠 서비스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1661B1 true KR101401661B1 (ko) 2014-06-02

Family

ID=5113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229A KR101401661B1 (ko) 2012-12-26 2012-12-26 Dlna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콘텐츠 관리 장치 및 콘텐츠 서비스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6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1116A (ko) * 2007-08-24 200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JP2009071786A (ja) 2007-09-18 2009-04-02 Sharp Corp Avサーバ装置、avサーバ内蔵tv受信機およびavサーバ内蔵パソコン
KR101171312B1 (ko) 2006-05-24 2012-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KR20120094350A (ko) * 2011-02-16 2012-08-24 (주)휴맥스 Dlna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한된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미디어 서버 및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312B1 (ko) 2006-05-24 2012-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KR20090021116A (ko) * 2007-08-24 200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JP2009071786A (ja) 2007-09-18 2009-04-02 Sharp Corp Avサーバ装置、avサーバ内蔵tv受信機およびavサーバ内蔵パソコン
KR20120094350A (ko) * 2011-02-16 2012-08-24 (주)휴맥스 Dlna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한된 컨텐츠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미디어 서버 및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8022B2 (en) Digital rights domain management for secure content distribution in a local network
US8595854B2 (en) Processing recordable content in a stream
US7530088B2 (en) Topology based proximity validation for broadcast content
JP5299720B2 (ja) テレビ配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権限使用を低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US20150106954A1 (en) Content transmission device and content reception device
US85108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content protected media streams
US20100319017A1 (en) Portable Media Asset
EP2309731A1 (en) Contents execution device equipped with independent authentication means and contents re-distribution methods
KR101705010B1 (ko) 스트림에서의 레코딩가능한 콘텐트의 프로세싱
WO2006109913A1 (en) Broadcasting content protection/management system
WO2016110048A1 (zh) 一种分享媒体内容的方法和装置
US201002179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orting content
KR101401661B1 (ko) Dlna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콘텐츠 관리 장치 및 콘텐츠 서비스 처리 방법
JP4252280B2 (ja) ベースラインdvb−cpcmの装置
US8572667B2 (en) Host device interfacing with a point of deployment (POD) and a method of processing digital video recorder (DVR) status information
CN103595540A (zh) 与首端安全连接的安全处理单元
EP24253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orting content
US20130347119A1 (en) Data processor, communication device, data transmission method
JP2012080503A (ja) 移動体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を用いたコンテンツ閲覧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
JP2015082681A (ja) コンテンツ受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受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KR20140111740A (ko) 셋톱박스,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842364A1 (en) Contents execution device equipped with independent authentication means and contents re-distribu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