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375B1 -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 Google Patents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375B1
KR101401375B1 KR1020120103964A KR20120103964A KR101401375B1 KR 101401375 B1 KR101401375 B1 KR 101401375B1 KR 1020120103964 A KR1020120103964 A KR 1020120103964A KR 20120103964 A KR20120103964 A KR 20120103964A KR 101401375 B1 KR101401375 B1 KR 101401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ded
frequency
data type
maxim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7609A (ko
Inventor
윤선정
박희숙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03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375B1/ko
Publication of KR20140037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는 기능성 게임의 범용 특성뿐만 아니라, 품질 정보 및 멀티미디어 특성정보도 포함되는 데이터 구조가 제공됨에 따라, 기능성 게임의 전체적인 특성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파악이 도모되어 사용자가 합리적이고 용이하게 기능성 게임을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성 게임의 품질에 대한 기준을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하여 기능성 게임의 품질 향상과 기술 개발도 유도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프로그램 단말기에 설치되어 기능성 게임을 실행하는 기능성 게임 프로그램 모듈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매체에 관한 것으로, 메타데이터는 general 영역, rights 영역, relation 영역, lifecycle 영역, technical 영역, Meta-metadata 영역, Multimedia Information 영역, quality 영역의 8개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각 영역은 설정된 자료형이 각각 할당되어 있는 복수개의 엘리먼트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 생성방법은 설정된 자료형이 할당되어 있는 복수개의 엘리먼트로 구성된 8개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의 입력창이 프로그램 단말기에 출력되고, 메타데이터 관리 담당자가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의 각 영역별 엘리먼트에 해당되는 정보를 설정된 자료형에 맞추어 메타데이터 입력창을 통해 입력하는 메타데이터 입력단계와; 메타데이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코드화하여 특정한 기능성 게임 프로그램 모듈과 연동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단계 및; 기능성 게임 프로그램 모듈과 연동되어 생성된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관리용 웹 서버의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사용자 및 개발기관, 관리기관에 의해 검색될 수 있도록 하는 메타데이터 저장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Information storage medium recording metadata for serius game}
본 발명은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기능성 게임의 범용 특성뿐만 아니라, 품질 정보 및 멀티미디어 특성정보도 포함되는 메타데이터 구조가 제공됨에 따라, 기능성 게임의 전체적인 특성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파악이 도모되어 사용자가 합리적이고 용이하게 기능성 게임을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성 게임의 품질에 대한 기준을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하여 기능성 게임의 품질 향상과 기술 개발도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기능성 게임은 기존 게임의 재미 요소에 교육, 훈련, 치료(therapy) 등의 특수 기능을 접목시킨 것으로, 이와 같은 기능성 게임은 게임이 가지는 순기능이 더욱 확장되면서 다양한 목적에 활용될 수 있으므로,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기능성 게임의 산업 시장 및 이와 관련된 콘텐츠 산업의 규모가 연평균 높은 성장세를 지속적으로 기록하고 있고, 공공부문과 관련 학회, 지방자치 단체들에서도 포럼, 공모전, 개발 지원 사업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성장을 독려하고 있다.
한편, 메타데이터(metadata)는 정보 자원의 내용에 관한 사항, 다른 자원과의 관계, 자원의 저작권에 관한 사항, 자원의 물리적인 형식과 생성 일자 등을 식별하고 자원의 여러 속성을 기술해주는 핵심 데이터를 의미하는데, 현재 기능성 게임 산업의 활성화와 안정적 성장을 위한 필수적인 메타데이터에 대한 연구는 소수 연구자들에 의해 진행되고 있으며, 시대적 배경이나 환경적 배경에 비추어 볼 때 기능성 게임을 위한 메타데이터의 필요성이 강력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기능성 게임의 메타데이터는 자원의 재활용, 유통의 효율화와 체계적 관리, 저작권 보호 등을 위한 중요한 정보로서 기능성 게임의 제작 기관이나 사용 기관, 개인 사용자뿐만 아니라 해당 산업 단위에서도 메타데이터 사용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성 게임은 특수한 목적을 가지고 개발되므로, 이용자 또한 목적에 맞는 기능성 게임을 원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능성 게임의 메타데이터는 그 내용의 정확성이 중요하며 또한 신뢰도 높은 계량적인 품질정보도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능성 게임은 멀티미디어 기반의 멀티 레벨(multi-level) 세그먼트 형태의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텍스트 기반의 단순 구조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메타데이터 구조와는 다르게 구성되어야 하는데, 현재까지는 기능성 게임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적절한 메타데이터 구조에 대한 연구개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기능성 게임의 특성을 반영한 메타데이터 영역 및 영역별 엘리먼트를 도출하는 한편, 기능성 게임을 구성하는 이미지, 사운드, 비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멀티레벨 세그먼트 특성정보들로부터 메타데이터 영역 및 영역별 엘리먼트를 도출함으로써 기능성 게임이 제공해야 할 메타데이터의 범용 특성뿐만 아니라, 국가 표준 데이터 품질평가 척도를 기준으로 각 영역별 계량적인 평가 기준을 제안하여 품질 정보까지 포함하는 새로운 형태의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general 영역, rights 영역, relation 영역, lifecycle 영역, technical 영역, Meta-metadata 영역, Multimedia Information 영역, quality 영역의 8개 영역 별로 복수개의 엘리먼트가 제공되는 메타데이터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기능성 게임의 전체적인 특성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파악이 도모되어 사용자가 합리적이고 용이하게 기능성 게임을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quality 영역의 하위 영역으로 Usability, Functionality, Efficiency, Maintenance, Reliability, Portalility, Achievement Of Goals, Arts 등의 엘리먼트에 대한 품질정보를 제공하여 기능성 게임의 품질에 대한 기준을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함으로써 기능성 게임의 품질 향상과 기술 개발도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사용자가 조작하는 프로그램 단말기에 설치되어 기능성 게임을 실행하는 기능성 게임 프로그램 모듈과 연동되는 메타데이터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general 영역, rights 영역, relation 영역, lifecycle 영역, technical 영역, Meta-metadata 영역, Multimedia Information 영역, quality 영역의 8개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각 영역은 설정된 자료형이 각각 할당되어 있는 복수개의 엘리먼트로 구성되는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에서 상기 프로그램 단말기는 데스크탑 컴퓨터(PC),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휴대용 스마트 기기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에서 상기 general 영역의 엘리먼트는 식별자 ID 정보가 코드화된 identifier, 게임명 정보이 코드화된 title, 분류형태 정보가 코드화된 category, 사용언어 정보가 코드화된 language, 동작방법과 사용법 및 공략법 정보가 코드화된 description, 키워드 정보가 코드화된 keyword, 스토리와 시놉시스 및 배경 정보가 코드화된 coverage, 등급 관련 정보가 코드화된 target, 장르 정보가 코드화된 genre, 난이도 정보가 코드화된 difficulty, 인기도와 평점 정보가 코드화된 popularity, 평균 게임실행시간 정보가 코드화된 Typical play time, 리뷰와 사용후기 정보가 코드화된 review, 스크린샷 정보가 코드화된 screen shot, 최대참여 유저수 정보가 코드화된 restrict memb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에서 상기 rights 영역의 엘리먼트는 가격 정보가 코드화된 cost, 개발자 정보가 코드화된 developer, 유통사 정보가 코드화된 publisher, 게임 제작 스텝 정보가 코드화된 contribu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에서 상기 relation 영역의 엘리먼트는 게임관련 자원의 종류 정보가 코드화된 resource kind, 관련자원이름 정보가 코드화된 resource nam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에서 상기 lifecycle 영역의 엘리먼트는 패치 관련 정보가 코드화된 version, 서비스형태 정보가 코드화된 statu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에서 상기 technical 영역의 엘리먼트는 플랫폼 환경 정보가 코드화된 format, 파일의 크기 정보가 코드화된 size, 위치정보가 코드화된 location, 프로그램 설치 요구사양 정보가 코드화된 requirement, 기타 구성요소가 코드화된 other configuration, 설치주의사항 정보가 코드화된 installation remark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에서 상기 Meta-metadata 영역의 엘리먼트는 메타데이터 식별자 ID 정보가 코드화된 identifier, 메타데이터 스키마버전 정보가 코드화된 metadata schema, 메타데이터 등록언어 정보가 코드화된 language, 공헌자와 공헌일자 정보가 코드화된 contribu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에서 상기 Multimedia Information 영역의 엘리먼트는 사운드 관련 정보가 코드화된 Sound, 이미지 관련 정보가 코드화된 Image, 동영상 관련 정보가 코드화된 Video Cli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에서 상기 quality 영역의 엘리먼트는 활용성 정보가 코드화된 Usability, 기능성 정보가 코드화된 Functionality, 효율성 정보가 코드화된 Efficiency, 유지보수성 정보가 코드화된 Maintenance, 신뢰성 정보가 코드화된 Reliability, 이식성 정보가 코드화된 Portalility, 목적성 정보가 코드화된 Achievement Of Goals, 예술성 정보가 코드화된 Art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설정된 자료형이 할당되어 있는 복수개의 엘리먼트로 구성된 8개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의 입력창이 프로그램 단말기에 출력되고, 메타데이터 관리 담당자가 상기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의 각 영역별 엘리먼트에 해당되는 정보를 설정된 자료형에 맞추어 상기 메타데이터 입력창을 통해 입력하는 메타데이터 입력단계와; 상기 메타데이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코드화하여 특정한 기능성 게임 프로그램 모듈과 연동되어 설계된 내부 프로그램에 구비되는 메타데이터 생성모듈에 의해 메타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단계 및; 상기 기능성 게임 프로그램 모듈과 연동되어 생성된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관리용 웹 서버의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사용자 및 개발기관, 관리기관에 의해 검색될 수 있도록 하는 메타데이터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의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의 생성방법에서 상기 프로그램 단말기는 데스크탑 컴퓨터(PC),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휴대용 스마트 기기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의 생성방법에서 상기 메타데이터 입력단계는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의 입력창이 general 영역, rights 영역, relation 영역, lifecycle 영역, technical 영역, Meta-metadata 영역, Multimedia Information 영역, quality 영역의 8개 영역 별로 구분되어 메타데이터 관리 담당자에 의해 정보가 입력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에 의하면, 기능성 게임의 전체적인 특성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파악이 도모되므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성 게임에 대한 선택이 합리적이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quality 영역의 하위 영역으로 제공되는 복수개의 엘리먼트 즉, Usability, Functionality, Efficiency, Maintenance, Reliability, Portalility, Achievement Of Goals, Arts에 대한 품질정보를 제공하여 기능성 게임의 품질에 대한 기준을 간접적으로 제시하는 역할도 수행함에 따라, 기능성 게임의 품질 향상과 기술 개발도 유도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이루는 8개 영역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이루는 general 영역의 데이터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이루는 right 영역의 데이터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이루는 relation 영역의 데이터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이루는 lifecycle 영역의 데이터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이루는 technical 영역의 데이터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이루는 Meta-metadata 영역의 데이터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이루는 Multimedia information 영역의 데이터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이루는 quality 영역의 데이터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표;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 생성방법의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 생성방법의 메타데이터 생성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 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메타데이터의 메타데이터 관리용 웹 서버 저장 및 인터넷에 의한 메타데이터 검색과 전달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 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메타데이터의 메타데이터 관리용 웹 서버 저장 및 인터넷에 의한 메타데이터 검색과 전달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 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메타데이터의 메타데이터 관리용 웹 서버 저장 및 인터넷에 의한 메타데이터 검색과 전달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기능성 게임, 메타데이터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 메타데이터 관리 담당자, 메타데이터 관리기관, 기능성 게임 관리기관, 기능성 게임 개발기관, 메타데이타 개발기관 등에서 조작하게 되는 프로그램 단말기에 설치되어 기능성 게임을 실행하는 기능성 게임 프로그램 모듈(10)과 연동되는 메타데이터 생성모듈(122)에 의해 생성되는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매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는 general 영역, rights 영역, relation 영역, lifecycle 영역, technical 영역, Meta-metadata 영역, Multimedia Information 영역, quality 영역의 8개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이루는 각 영역은 설정된 자료형, 빈도수, 내용정의가 각각 할당되어 있는 복수개의 엘리먼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 엘리먼트에 할당되는 자료형은 각 엘리먼트의 특성에 맞추어 설정되는 것으로, 각 엘리먼트의 자료형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한편, 기능성 게임 프로그램 모듈(10)이 설치되는 프로그램 단말기로는 데스크탑 컴퓨터(PC),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휴대용 스마트 기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이루는 general 영역, rights 영역, relation 영역, lifecycle 영역, technical 영역, Meta-metadata 영역, Multimedia Information 영역, quality 영역은 기능성 게임의 범용 특성 정보, 기능성 게임의 품질 특성 정보, 기능성 게임의 멀티미디어 특성 정보가 일괄적으로 포함되어 사용자나 관리자 또는 게임 개발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라, 기능성 게임의 전체적인 특성 파악이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general 영역의 엘리먼트는 도 3에서와 같이 identifier, title, category, language, description, keyword, coverage, target, genre, difficulty, popularity, Typical play time, review, screen shot, restrict member를 포함한다. 여기서 identifier, title, category, description, target, genre는 빈도수가 1~n이나 1인 필수 엘리먼트이고,language, keyword, coverage, difficulty, popularity, Typical play time, review, screen shot, restrict member는 빈도수가 0 or 1이나 0~n인 선택 엘리먼트이다.
identifier 엘리먼트는 식별자 ID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이다. title 엘리먼트는 게임명 정보이 코드화된 엘리먼트로서, 부제목이 포함될 수 있다. category는 분류형태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이고, language는 사용언어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이며, description은 동작방법과 사용법 및 공략법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이다. keyword는 키워드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이고, coverage는 스토리와 시놉시스 및 배경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이다. target은 등급 관련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로서, 이와 같은 target은 게임물 등급 정보가 코드화된 Typical Age Range 엘리먼트와 기획시 핵심 사용자등급 정보가 코드화된 Intended End User Role 엘리먼트로 세분화된다. genre는 장르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이고, difficulty는 난이도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이며, popularity는 인기도와 평점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이다. Typical play time은 평균 게임실행시간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이고, review는 리뷰와 사용후기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이며, screen shot은 스크린샷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이다. restrict member는 최대참여 유저수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이다.
rights 영역의 엘리먼트는 도 4에서와 같이 cost, developer, publisher, contributor를 포함한다. 여기서 cost, developer, publisher는 빈도수가 1~n이나 1인 필수 엘리먼트이고, contributor는 빈도수가 0~n인 선택 엘리먼트이다.
cost는 가격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이고, developer는 개발자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이며, publisher는 유통사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이다. contributor는 게임 제작 스텝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로서 이와 같은 contributor는 총괄감독 정보가 코드화된 main director 엘리먼트, 수석디자이너 정보가 코드화된 lead designer 엘리먼트, 수석 프로그래머 정보가 코드화된 lead programmer 엘리먼트, 수석 아티스트 정보가 코드화된 lead artist 엘리먼트, 사운드감독 정보가 코드화된 sound director로 세분화될 수 있다.
relation 영역의 엘리먼트는 도 5에서와 같이 resource kind, resource name을 포함한다. 여기서 resource kind, resource name 모두 빈도수가 0~n인 선택 엘리먼트이다.
resource kind는 게임관련 자원의 종류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이고, resource name은 관련자원이름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이다.
lifecycle 영역의 엘리먼트는 도 6에서와 같이 version, status를 포함한다. 여기서 version 은 빈도수가 0~n인 선택 엘리먼트이고, status는 빈도수가 0 or 1인 선택 엘리먼트이다.
version은 패치 관련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로서, 패치버전 번호가 코드화된 patch number 엘리먼트와 패치 적용 일자가 코드화된 patch date 엘리먼트로 세분화될 수 있다. status는 서비스형태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이다.
technical 영역의 엘리먼트는 도 7에서와 같이 format, size, location, requirement, other configuration, installation remark를 포함한다. 여기서 format, location은 빈도수가 1~n이나 1인 필수 엘리먼트이고, size, requirement, other configuration, installation remark는 빈도수가 0~1이나 0~n인 선택 엘리먼트이다.
format은 플랫폼 환경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이고, size는 파일의 크기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이며, location은 위치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이다. requirement는 프로그램 설치 요구사양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로서, 운영체제 종류 정보가 코드화된 OS 엘리먼트, 그래픽카드 최소사양이 코드화된 Graphic Card 엘리먼트, CPU 최소사양이 코드화된 CPU 엘리먼트, 사운드카드 최소사양이 코드화된 Sound Card 엘리먼트, 콘트롤러 정보가 코드화된 Controller 엘리먼트로 세분화될 수 있다. other configuration은 기타 구성요소가 코드화된 엘리먼트이고, installation remark는 설치주의사항 정보가 코드화된 엘리먼트이다.
Meta-metadata 영역의 엘리먼트는 도 8에서와 같이 메타데이터 식별자 ID 정보가 코드화된 identifier, 메타데이터 스키마버전 정보가 코드화된 metadata schema, 메타데이터 등록언어 정보가 코드화된 language, 공헌자와 공헌일자 정보가 코드화된 contribute를 포함하는데, identifier, metadata schema는 빈도수가 1이나 1~n인 필수 엘리먼트이고, language, contribute는 빈도수가 0 or 1이거나 0~n인 선택 엘리먼트이다. 여기서 contribute는 공헌자 정보가 코드화된 contributor 엘리먼트와 공헌일자 정보가 코드화된 date 엘리먼트로 세분화될 수 있다.
Multimedia Information 영역의 엘리먼트는 도 9에서와 같이 사운드 관련 정보가 코드화된 Sound, 이미지 관련 정보가 코드화된 Image, 동영상 관련 정보가 코드화된 Video Clip을 포함하는데, Multimedia Information 영역에 포함된 모든 엘리먼트는 빈도수가 0~n인 선택 엘리먼트이다. 여기서 Sound는 사운드 제목, 저작권자, 사운드 유형, 데이터 정보가 각각 코드화된 Title, author, kind, value 엘리먼트로 세분화될 수 있고, Image는 이미지제목, 이미지 사이즈, 이미지 종류, 데이터 정보가 각각 코드화된 Title, size, kind, value 엘리먼트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Video Clip은 동영상제목, 저작권자, 재생시간, 데이터 정보가 코드화된 Title, author, playtime, value 엘리먼트로 세분화될 수 있다.
quality 영역의 엘리먼트는 도 10에서와 같이 활용성 정보가 코드화된 Usability, 기능성 정보가 코드화된 Functionality, 효율성 정보가 코드화된 Efficiency, 유지보수성 정보가 코드화된 Maintenance, 신뢰성 정보가 코드화된 Reliability, 이식성 정보가 코드화된 Portalility, 목적성 정보가 코드화된 Achievement Of Goals, 예술성 정보가 코드화된 Arts를 포함하는데, quality 영역에 포함된 모든 엘리먼트는 빈도수가 0 or 1인 선택 엘리먼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general 영역, rights 영역, relation 영역, lifecycle 영역, technical 영역, Meta-metadata 영역, Multimedia Information 영역, quality 영역 각각의 엘리먼트 별 자료형과 빈도수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 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는 8개의 메타데이터 영역 각각의 엘리먼트 별로 자료형, 빈도수, 내용정의가 할당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 생성방법의 메타데이터 생성단계의 순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 생성방법의 메타데이터 생성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 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메타데이터의 메타데이터 관리용 웹 서버 저장 및 인터넷에 의한 메타데이터 검색과 전달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 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메타데이터의 메타데이터 관리용 웹 서버 저장 및 인터넷에 의한 메타데이터 검색과 전달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 생성방법에 의해 생성된 메타데이터의 메타데이터 관리용 웹 서버 저장 및 인터넷에 의한 메타데이터 검색과 전달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 생성방법은 메타데이터 입력단계, 메타데이터 생성단계, 메타데이터 저장단계를 포함한다.
메타데이터 입력단계는 설정된 자료형이 할당되어 있는 복수개의 엘리먼트로 구성된 8개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의 입력창이 프로그램 단말기에 출력되고, 메타데이터 관리 담당자가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의 각 영역별 엘리먼트에 해당되는 정보를 설정된 자료형에 맞추어 메타데이터 입력창을 통해 입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프로그램 단말기로는 데스크탑 컴퓨터(PC),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휴대용 스마트 기기 등이 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생성단계는 메타데이터 입력창을 통해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의 각 영역별 엘리먼트에 해당되는 정보가 입력되면, 도 12에서와 같이 특정한 기능성 게임 프로그램 모듈(10)에 연동되어 설계된 내부 프로그램(12)에 구비되는 메타데이터 생성모듈(122)에 의해 입력된 정보가 코드화되면서 메타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메타데이터 저장단계는 도 13에서와 같이 기능성 게임 프로그램 모듈(10)과 연동된 내부 프로그램(12)을 이루고 있는 메타데이터 생성모듈(122)의 메타데이터 입력모듈(1222)에 의해 생성된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저장모듈(1224)을 이용하여 메타데이터 관리용 웹 서버(50) 내부의 메타데이터 DB(52)에 저장하는 단계로서, 이와 같은 메타데이터는 메타데이터 관리용 웹 서버(50)와 연결되는 메타데이터 관리용 컴퓨터(30)를 통해 메타데이터 관리 담당자, 메타데이터 관리기관, 기능성 게임 관리기관, 기능성 게임 개발기관, 메타데이타 개발기관에 의해 관리될 수도 있고, 메타데이터 관리용 웹 서버(50)와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사용자 컴퓨터(40)를 통해 검색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타데이터 관리용 웹 서버(50)에 의한 메타데이터의 관리 및 배포를 위하여 메타데이터 관리용 웹 서버(50)는 도 14와 도 15에서와 같이 메타데이터 관리 및 배포 모듈(54)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메타데이터 생성모듈(122)은 품질평가모듈(1226)을 더 구비하여 연계함으로써 기능성 게임 프로그램에 대한 품질평가 및 품질평가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메타데이터 관리용 컴퓨터(30)는 도 13와 도 14에서와 같이 메타데이터 관리용 웹 서버(50)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도 15에서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메타데이터 관리용 웹 서버(50)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기능성 게임 프로그램 모듈 12 : 내부 프로그램
122 : 메타데이터 생성모듈 1222 : 메타데이터 입력모듈
1224 : 메타데이터 저장모듈 1226 : 품질평가 모듈
30 : 메타데이터 관리용 컴퓨터 40 : 사용자 컴퓨터
50 : 메타데이터 관리용 웹 서버 52 : 메타데이터 DB
54 : 메타데이터 관리 및 배포모듈

Claims (12)

  1. 사용자가 조작하는 프로그램 단말기에 설치되어 기능성 게임을 실행하는 기능성 게임 프로그램 모듈과 연동되는 메타데이터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general 영역, rights 영역, relation 영역, lifecycle 영역, technical 영역, Meta-metadata 영역, Multimedia Information 영역, quality 영역의 8개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각 영역은 설정된 자료형, 빈도수, 내용정의가 각각 할당되어 있는 복수개의 엘리먼트로 구성되되,
    상기 general 영역의 엘리먼트는 식별자 ID 정보가 코드화되고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1이 할당되는 identifier, 게임명 정보이 코드화되고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1이 할당되는 title, 분류형태 정보가 코드화되고 교육, 재활, 군사, 심리, 정치, 기업, 환경, 기타 항목으로 이루어진 자료형과 빈도수 1이 할당되는 category, 사용언어 정보가 코드화되고 ISO 639:1988 자료형과 빈도수 0 or 1이 할당되는 language, 동작방법과 사용법 및 공략법 정보가 코드화되고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1~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description, 키워드 정보가 코드화되고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keyword, 스토리와 시놉시스 및 배경 정보가 코드화되고 string(최대 2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1~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coverage, 등급 관련 정보가 코드화되되 게임물 등급 정보가 코드화된 것으로 전체이용가, 12세이용가, 15세 이용가, 청소년 사용불가 항목으로 이루어진 자료형과 빈도수 1이 할당되는 Typical Age Range 엘리먼트와 기획시 핵심 사용자등급 정보가 코드화된 것으로 유아, 초등, 10대~20대, 30대 이상, 노인 항목으로 이루어진 자료형과 빈도수 0 or 1이 할당되는 Intended End User Role 엘리먼트로 세분화되는 target, 장르 정보가 코드화되고 RPG, 아케이드 보드, 시뮬레이션, 액션, 스포츠, 슈팅, 복합 항목으로 이루어진 자료형과 빈도수 1이 할당되는 genre, 난이도 정보가 코드화되고 very easy, easy, medium, difficult, very difficult 항목으로 이루어진 자료형과 빈도수 0 or 1이 할당되는 difficulty, 인기도와 평점 정보가 코드화되고 excellent, good, normal, not bad, bad 항목으로 이루어진 자료형과 빈도수 0 or 1이 할당되는 popularity, 평균 게임실행시간 정보가 코드화되고 string(최대 1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 or 1이 할당되는 Typical play time, 리뷰와 사용후기 정보가 코드화되고 string(최대 2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review, 스크린샷 정보가 코드화되고 image(최대 10000 byte)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screen shot, 최대참여 유저수 정보가 코드화되고 string(최대 1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1이 할당되는 restrict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rights 영역의 엘리먼트는 가격 정보가 코드화되고 string(최대 100자) 자료형과 빈도수 1이 할당되는 cost, 개발자 정보가 코드화되고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1~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developer, 유통사 정보가 코드화되고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1~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publisher, 게임 제작 스텝 정보가 코드화되되 총괄감독 정보가 코드화된 것으로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main director 엘리먼트, 수석디자이너 정보가 코드화된 것으로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lead designer 엘리먼트, 수석 프로그래머 정보가 코드화된 것으로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lead programmer 엘리먼트, 수석 아티스트 정보가 코드화된 것으로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lead artist 엘리먼트, 사운드감독 정보가 코드화된 것으로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sound director로 세분화되는 contributor를 포함하며,
    상기 relation 영역의 엘리먼트는 게임관련 자원의 종류 정보가 코드화되고 만화, 영화, 소설, 설화, 구전동화, 노래, 역사, 기타 항목으로 이루어진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resource kind, 관련자원이름 정보가 코드화되고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resource name을 포함하고,
    상기 lifecycle 영역의 엘리먼트는 패치 관련 정보가 코드화되되 패치버전 번호가 코드화된 것으로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patch number 엘리먼트와 패치 적용 일자가 코드화된 것으로 ISO 8601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patch date 엘리먼트로 세분화되는 version, 서비스형태 정보가 코드화되고 OB, CB, FT, FS, SR 항목으로 이루어진 자료형과 빈도수 0 or 1이 할당되는 status를 포함하며,
    상기 technical 영역의 엘리먼트는 플랫폼 환경 정보가 코드화되고 온라인, PC 모바일, 아케이드, 비디오, 기타 항목으로 이루어진 자료형과 빈도수 1이 할당되는 format, 파일의 크기 정보가 코드화되고 string(최대 1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1이 할당되는 size, 위치정보가 코드화되고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1~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location, 프로그램 설치 요구사양 정보가 코드화되되 운영체제 종류 정보가 코드화된 것으로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OS 엘리먼트, 그래픽카드 최소사양이 코드화된 것으로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1이 할당되는 Graphic Card 엘리먼트, CPU 최소사양이 코드화된 것으로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1이 할당되는 CPU 엘리먼트, 사운드카드 최소사양이 코드화된 것으로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1이 할당되는 Sound Card 엘리먼트, 콘트롤러 정보가 코드화된 것으로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1이 할당되는 Controller 엘리먼트로 세분화되는 requirement, 기타 구성요소가 코드화되고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other configuration, 설치주의사항 정보가 코드화되고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installation remark를 포함하고,
    상기 Meta-metadata 영역의 엘리먼트는 메타데이터 식별자 ID 정보가 코드화되고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1이 할당되는 identifier, 메타데이터 스키마버전 정보가 코드화되고 ISO/IEC 10646-1 자료형과 빈도수 1~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metadata schema, 메타데이터 등록언어 정보가 코드화되고 ISO 639 자료형과 빈도수 0 or 1이 할당되는 language, 공헌자와 공헌일자 정보가 코드화되되 공헌자 정보가 코드화된 것으로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contributor 엘리먼트와 공헌일자 정보가 코드화된 것으로 ISO 8601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date 엘리먼트로 세분화되는 contribute를 포함하며,
    상기 Multimedia Information 영역의 엘리먼트는 사운드 관련 정보가 코드화되되 사운드 제목 정보가 코드화된 것으로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Title 엘리먼트, 저작권자 정보가 코드화된 것으로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author 엘리먼트, 사운드 유형 정보가 코드화된 것으로 배경음, 효과음, OST, 기타 항목으로 이루어진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kind 엘리먼트, 데이터 정보가 코드화된 것으로 sound(최대 10000k byte)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value 엘리먼트로 세분화되는 Sound, 이미지 관련 정보가 코드화되되 이미지제목 정보가 코드화된 것으로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Title 엘리먼트, 이미지 사이즈 정보가 코드화된 것으로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size 엘리먼트, 이미지 종류 정보가 코드화된 것으로 맵, 배경, 원화, 캐릭터, 오브젝트, 기타 항목으로 이루어진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kind 엘리먼트, 데이터 정보가 코드화된 것으로 image(최대 10000k byte)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value 엘리먼트로 세분화되는 Image, 동영상 관련 정보가 코드화되되 동영상제목 정보가 코드화된 것으로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Title 엘리먼트, 저작권자 정보가 코드화된 것으로 string(최대 10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author 엘리먼트, 재생시간 정보가 코드화된 것으로 string(최대 100자)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playtime 엘리먼트, 데이터 정보가 정보가 코드화된 것으로 video(최대 10000k byte) 자료형과 빈도수 0~n(최대 10건)이 할당되는 value 엘리먼트로 세분화되는 Video Clip을 포함하고,
    상기 quality 영역의 엘리먼트는 활용성 정보가 코드화되고 excellent, good, normal, not bad, bad 항목으로 이루어진 자료형과 빈도수 0 or 1이 할당되는 Usability, 기능성 정보가 코드화되고 excellent, good, normal, not bad, bad 항목으로 이루어진 자료형과 빈도수 0 or 1이 할당되는 Functionality, 효율성 정보가 코드화되고 excellent, good, normal, not bad, bad 항목으로 이루어진 자료형과 빈도수 0 or 1이 할당되는 Efficiency, 유지보수성 정보가 코드화되고 excellent, good, normal, not bad, bad 항목으로 이루어진 자료형과 빈도수 0 or 1이 할당되는 Maintenance, 신뢰성 정보가 코드화되고 excellent, good, normal, not bad, bad 항목으로 이루어진 자료형과 빈도수 0 or 1이 할당되는 Reliability, 이식성 정보가 코드화되고 excellent, good, normal, not bad, bad 항목으로 이루어진 자료형과 빈도수 0 or 1이 할당되는 Portalility, 목적성 정보가 코드화되고 excellent, good, normal, not bad, bad 항목으로 이루어진 자료형과 빈도수 0 or 1이 할당되는 Achievement Of Goals, 예술성 정보가 코드화되고 excellent, good, normal, not bad, bad 항목으로 이루어진 자료형과 빈도수 0 or 1이 할당되는 Art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20103964A 2012-09-19 2012-09-19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KR101401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964A KR101401375B1 (ko) 2012-09-19 2012-09-19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964A KR101401375B1 (ko) 2012-09-19 2012-09-19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609A KR20140037609A (ko) 2014-03-27
KR101401375B1 true KR101401375B1 (ko) 2014-05-30

Family

ID=50646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964A KR101401375B1 (ko) 2012-09-19 2012-09-19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3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647A (ko) * 2001-03-29 2002-10-11 주식회사 인프라윅스 메타언어를 기반으로 한 홈페이지 자동제작 및 자동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647A (ko) * 2001-03-29 2002-10-11 주식회사 인프라윅스 메타언어를 기반으로 한 홈페이지 자동제작 및 자동관리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609A (ko)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gers Doing digital methods
US11455465B2 (en) Book analysis and recommendation
Gupta et al. Survey on social tagging techniques
CN105051732B (zh) 本地应用内容的排名
CN106415537B (zh) 将本地应用搜索结果插入到web搜索结果中
US20090265356A1 (en) Automatic meta-data sharing of existing media to create streamable collections
CN102414665B (zh) 具有基于团体的分级的分层标签
US8135755B2 (en) Templates in a schema editor
Lombardo et al. Safeguarding and accessing drama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hattacharjee et al. Digital goods and markets: Emerging issues and challenges
US20140047413A1 (en) Developing, Modifying, and Using Applications
US8688751B2 (en) Association and extraction of content artifacts from a graphical representation of electronic content
CA2844065A1 (en) Providing knowledge panels with search results
CN108304493B (zh) 一种基于知识图谱的上位词挖掘方法及装置
CN105808753B (zh) 一种区域性数字资源系统
WO20222666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lockchain-based collaborative content generation
McDonough Packaging videogames for long‐term preservation: Integrating FRBR and the OAIS reference model
Clinch et al. Mercury: An application store for open display networks
Lewis et al. Publishing musicology using multimedia digital libraries: creating interactive articles through a framework for linked data and MEI
Geisler et al. A crowdsourcing framework for the production and use of film and television data
KR20130005455A (ko)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그 카드 생성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401375B1 (ko) 기능성 게임용 메타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Kolbitsch WordFlickr: a solution to the vocabulary problem in social tagging systems
Drott Streaming Music, Streaming Capital
M. Allen Adding an international lens to the university striving model: How both global and national indicators influence the Chinese higher education hierarc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