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305B1 -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1305B1 KR101401305B1 KR1020120110124A KR20120110124A KR101401305B1 KR 101401305 B1 KR101401305 B1 KR 101401305B1 KR 1020120110124 A KR1020120110124 A KR 1020120110124A KR 20120110124 A KR20120110124 A KR 20120110124A KR 101401305 B1 KR101401305 B1 KR 1014013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lt
- belts
- wires
- organic
- cover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20—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 B60C9/2003—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the belt cor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20—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 B60C2009/2012—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with particular configuration of the belt cords in the respective belt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20—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 B60C2009/203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using lateral belt strips at belt edges, e.g. edge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제1벨트와 제4벨트의 양단부에서 연장된 형태의 커버부재가 상기 제2벨트와 제3벨트의 양단부를 효과적으로 감싸도록 하되, 제2, 3벨트 양단부의 커버링 지점의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제2, 3벨트 양단부의 완충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링에 적합한 형상의 성형이 용이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커버부재와 제1, 4벨트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해당 벨트 자체적인 완충효과를 향상시킴은 물론, 이로 인한 제2, 3벨트 양단부의 응력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커버부재와 제1, 4벨트와 커버부 간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상호 일체성을 높임에 따라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불어 제2, 3벨트의 적층 구조의 변형구현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양 단부에서의 응력분산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커버부재와 제1, 4벨트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해당 벨트 자체적인 완충효과를 향상시킴은 물론, 이로 인한 제2, 3벨트 양단부의 응력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커버부재와 제1, 4벨트와 커버부 간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상호 일체성을 높임에 따라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불어 제2, 3벨트의 적층 구조의 변형구현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양 단부에서의 응력분산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이어 내부 중 트레드부 아래 지점에 위치된 다층 벨트부 중 제2벨트와 제3벨트 양 단부의 전단변형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각 벨트 자체 구조를 개선하여 충격흡수 등의 전체 내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는 지면과 맞닿는 부분인 트레드부 아래지점에 트레드 표면의 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타이어 전체의 내구성을 유지시키는 등의 기능을 하는 다층 벨트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다층 벨트부는 적어도 2개 내지 5개의 벨트가 상하 적층되되 상호 일정수준 엇갈린 상태로 상하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다층 벨트부 중 제2벨트와 제3벨트는 일정 수준의 각도로 상호 교차되어 타 벨트에 비해 높은 강도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제2벨트와 제3벨트의 교차구조로 인해 타이어의 굴신운동 과정에서 제2벨트와 제3벨트의 움직임이 상호 반대가 되는데, 이로 인해 제2벨트와 제3벨트 양 단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전단변형이 발생되고, 이는 결국 제2벨트와 제3벨트 양단부 사이 고무의 크랙 발생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2벨트와 제3벨트의 양단부 사이에 별도의 간격유지부재를 위치시켜 양단부의 변형을 최소화 하는 구조 등이 제안되어 있기는 하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제2벨트와 제3벨트 양단부에 작용되는 응력을 어느 정도 버티도록 하는 기능만 할 뿐 제2, 3벨트 양단부에 직접적으로 작용되는 하중을 근본적으로 완충시키는 역할을 미비하다.
이 외에도 별도의 커버구조물을 이용해 제2, 3벨트의 양단부를 커버링하여 완충기능을 하는 구조도 제안되어 있기는 하지만,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였을 때 해당 커버링 부분의 성형이 어려운 단점도 있다.
더불어 종래의 벨트는 스틸cord나 유기재질cord 중 단재질의 cord만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각 벨트 자체적인 완충기능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제1벨트와 제4벨트의 양단부에서 연장된 형태의 커버부가 상기 제2벨트와 제3벨트의 양단부를 효과적으로 감싸도록 하되, 제2, 3벨트 양단부의 커버링 지점의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제2, 3벨트 양단부의 완충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링에 적합한 형상의 성형이 용이하도록 한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커버부와 제1, 4벨트의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해당 벨트 자체적인 완충효과를 향상시킴은 물론, 이로 인한 제2, 3벨트 양단부의 응력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커버부와 제1, 4벨트와 커버부 간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상호 일체성을 높임에 따라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제2, 3벨트의 적층 구조의 변형구현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양단부에서의 응력분산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지면과 맞닿는 트레드 및 상기 트레드의 내측 지점에서 제1내지 제4벨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벨트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내지 제4벨트 중 적어도 상기 제1벨트와 제4벨트는 무기성 와이어와 유기성 와이어가 상호 번갈아 가며 배치되어 있는 복합와이어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벨트의 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제4벨트의 양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커버부재는 복수개의 유기성 와이어만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며 상기 제2벨트와 제3벨트의 단부 테두리를 동시에 감쌀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벨트와 제4벨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무기성 와이어와 유기성 와이어가 사선방향으로 상호 수평상태로 교호 배열되어 있는 제1시트층, 상기 제1시트층의 상부면 상에 적층되어 있고 상기 무기성 와이어와 유기성 와이어가 사선방향으로 상호 수평상태로 교호 배열되어 있는 제2시트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시트층의 무기 및 유기성와이어와 상기 제2시트층의 무기 및 유기성와이어는 상호 교차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4벨트와 상기 커버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포함되어 있는 각 유기성 와이어는 파형 형태의 굴곡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벨트와 제3벨트는 상호 일체로 이루어지되, 제2벨트의 양단부를 절곡시켜 연장함에 따라 상기 연장된 구간이 상기 제3벨트를 이루는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와 제1, 4벨트의 유기성 와이어는 상호 일체로 연장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2벨트와 제3벨트의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간격유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2벨트와 제3벨트 및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테두리를 동시에 감쌀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벨트가 금속재인 무기성 와이어와 나일론 등의 유기성 와이어가 번갈아가며 배치된 복합와이어 구조이므로 기존 단재질 와이어 구조에 비해 무기성 와이어에 의한 강도유지 및 유기성 와이어에 의한 완충 및 하중 분산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제1벨트와 제4벨트의 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양 벨트의 단부를 상호 일체로 연결한 구조의 커버부재를 더 구비하여 제2, 3벨트의 양단부를 감싸 제2, 3벨트 양단의 전단변형을 최소화 하되,
커버부재는 상대적으로 성형율과 완충효과가 높은 유기성 와이어의 배열구조 만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커버부재가 제2, 3벨트의 양단부를 감싸기 위한 형상 구현이 용이함은 물론, 충분한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이렇게 제1벨트와 제4벨트 및 커버부재에 의해 제2, 3벨트의 양단부를 비롯해 제2, 3벨트 전체 둘레를 감싼 상태가 됨으로 제2, 3벨트의 응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그리고 벨트의 각 유기성 와이어가 자체적으로 파형 형태의 굴록 형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가해진 하중의 분산면적이 최대화 되어 완충기능이 향상됨은 물론, 결국 제2, 3벨트에 작용되는 응력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제1, 4벨트 및 커버부재 각각 복합와이어 구조를 갖는 제1시트층과 제2시트층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자체 강도 및 완충기능이 훨씬 상승될 뿐만 아니라, 제1, 2시트층 간의 와이어가 상호 교차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러한 강도 형성 및 완충 기능이 더욱 배가되는 장점을 갖는다.
더불어 제2벨트와 제3벨트의 양단부를 절곡시켜 전체적으로 일체화된 폴딩 구조로 구현할 경우 제2, 3벨트 간의 응력분산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1은 타이어의 기본구조 및 벨트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타이어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2는 벨트부의 구조를 나타낸 타이어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3은 벨트부의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
도4는 제2, 3벨트 단부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낸 확대도
도5는 벨트부를 구성하는 무기성 와이어와 유기성 와이어의 배열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
도6는 제1, 2시트층, 제3, 4시트층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
도2는 벨트부의 구조를 나타낸 타이어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3은 벨트부의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
도4는 제2, 3벨트 단부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낸 확대도
도5는 벨트부를 구성하는 무기성 와이어와 유기성 와이어의 배열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
도6는 제1, 2시트층, 제3, 4시트층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에 대하여 도1 내지 도6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의 기본구조 및 벨트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벨트부의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4]는 제2, 3벨트 단부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5]는 각 벨트의 무기성 와이어와 유기성 와이어의 배열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이며 [도 6]은 제1, 2시트층, 제3, 4시트층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 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해당 실시예의 구성 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입 타이어는 기본적으로 지면과 직접 접촉되는 트레드(1)와 트레드(1)의 양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연장된 숄더부(2), 사이드월(3), 비드부(4)를 포함한다.
그리고 트레드(1)의 내측 지점에는 카커스의 보호 기능 및 트레드 표면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벨트부(10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벨트부(100)는 제1벨트(110)와 제2벨트(120), 제3벨트(130) 및 제4벨트(140)가 순차적으로 상하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벨트의 적층 개수가 4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벨트부의 적층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1 내지 제4벨트(110)(120)(130)(140)는 상호 약간씩 엇갈린 상태로 적층 되어 양단부가 상호 어긋난 구조를 갖는다.
그 중 전단변형율이 가장 높은 제2벨트(120)와 제3벨트(130)의 양단부 사이에는 별도의 간격유지부재(300)가 설치되어 각 단부 간의 상하 간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 자체적인 완충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제1벨트(110)는 벨트부의 제일 아래 단에 위치되는 부분으로 단층구조로 이루어진 기존 벨트와 달리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벨트(110)는 다시 제1시트층(112)과 제2시트층(114)으로 나뉘어 구성되는데,
제1시트층(112)은 제1벨트(110)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부분으로 금속와이어 형태의 무기성 와이어(10)와 나일론 와이어 형태의 유기성 와이어(20)가 사선방향으로 상호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배열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시트층(114)은 제1시트층(112)의 상측에 적층 상태로 위치되되 역시 금속재질의 무기성 와이어(10)와 나일론 재질의 유기성 와이어(20)가 사선방향으로 상호 번갈아가면 반복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무기성 와이어(10)의 재질은 반드시 단순 금속으로 한정되지 않고 해당 벨트의 강도 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형태의 무기성 재질이라면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유기성 와이어(20)의 재질 또한 반드시 나일론으로 한정되지 않고 자체적으로 충분한 완충 및 원활한 형상변형이 가능한 재질이라면 다양하게 선택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제1시트층(112)과 제2시트층(114)의 무기성 와이어(10) 및 유기성 와이어(20)는 상호 사선 방향이 반대인 상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도 6]과 같이 제1, 2시트층(112)(114)을 상호 적층 시켰을 때 제1, 2시트층(112)(114)의 각 무기성 와이어(10)와 유기성 와이어(20)는 상호 교차된 상태가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금속와이어나 나일론 와이어 중 하나의 와이어 만으로 구성되고 단층 구조를 갖는 것과 달리, 금속재 무기성 와이어와 나일론 재질의 유기성 와이어가 동시에 배열되어 있는 복합와이어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하나의 벨트가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렇게 복합와이어 구조를 가짐에 따라 금속와이어에 의한 적정강도 및 유기성 와이어에 의한 완충기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1벨트(110)가 이러한 복합와이어 구조의 제1시트층(112)과 제2시트층(114)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만큼 강도 및 완충기능이 더욱 향상됨은 물론, 제1, 2시트층(112)(114) 간의 와이어 형성방향이 상호 교차된 상태가 됨에 따라 강도분포 및 완충분포 면적이 최대화 되는 효과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벨트(110)를 구성하는 각 유기성 와이어(20)는 [도 6]과 같이 자체적으로 마치 파형과 같은 형태로 굴곡진 구조를 가지는데, 이로 인해 타이어의 굴신운동 과정에서 작용된 하중이 각 유기성 와이어에 전달되었을 때 하중의 분포 면적이 최대화 된다.
이러한 제1벨트(110) 상에는 제2벨트(120)와 제3벨트(13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가 되고, 위 설명처럼 제2벨트(120) 및 제3벨트의 각 단부 사이에는 간격유지부재(300)가 형성되어 단부의 전단변형 가능성을 완화시킨다.
참고로 제2벨트(120)와 제3벨트(130)는 공기의 구조, 즉 금속이나 나일론 와이어 등의 단일 와이어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제1벨트(110) 처럼 금속재 무기성 와이어와 나일론 등의 유기성 와이어가 복합적으로 적용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벨트(120)와 제3벨트(130)의 구조는 [도 4]와 같이 양단부를 절곡시킨 폴딩(folding)구조로 구현하여 제2, 3벨트(130)(140)가 상호 일체화된 상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제3벨트(130) 상에는 제4벨트(140)가 적층 형성된다.
제4벨트(140)는 벨트부 중 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이 최초로 전달되는 부분으로 제1내지 제3벨트(130)(120)(130)에 비해 짧은 길이로 이루어지되, 제1벨트(110)와 마찬가지로 자체 적층구조 및 복합와이어 구조를 갖는다.
즉 제4벨트(140)는 제3시트층(142)과 제4시트층(144)이 상하 적층된 구조이고 제3, 4시트층(142)(144)은 각각 금속와이어 형태의 무기성 와이어(10)와 나일론 와이어 형태의 유기성 와이어(20)가 사선방향으로 상호 번갈아 가며 반복적으로 배열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3시트층(142)의 무기성 와이어(10) 및 유기성 와이어(20)는 제4시트층(144)의 무기성 와이어 및 유기성 와이어(2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사선배열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제3, 4시트층(142)(144)이 상하 적층 되었을 때 각 시트층의 무기성 와이어와 유기성 와이어 들은 상호 교차된 상태가 된다.
이처럼 제4벨트(140)도 기본적으로 무기성 와이어와 유기성 와이어가 동시에 배열된 복합와이어 구조를 가짐에 따라 자체 강도 및 완충력이 향상됨은 물론 제3, 4시트층(142)(144)의 적층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각 시트층 간의 무기성 와이어와 유기성 와이어가 교차배열됨으로써, 강도 및 완충분포 면적이 최대화 된다.
이때 제4벨트(140)를 구성하는 유기성 와이어도 제1벨트(110)의 유기성 와이어와 마찬가지로 자체적으로 파형 형태로 굴곡진 구조를 가짐으로써 타이어에 가해진 하중의 분산 면적이 최대화 되고, 그만큼 제2, 3벨트(130)(140)에 작용되는 응력이 최소화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참고로 제1벨트(110)와 제4벨트(140)는 자체 적층 구조와 복합와이어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만 선택하여 적용시킬 수 있는데, 즉 제1, 4벨트(110)(140)를 각각 기존처럼 단층 구조로 구현하되 무기성 와이어와 유기성 와이어가 복합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반대로 적층 구조를 가지되 유기성 와이어와 무기성 와이어 중 어느 한 와이어만으로 구현하되 적층 상태에서 각 와이어가 상호 교차된 상태가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설치된 제1벨트(110)와 제4벨트(140)는 별도의 커버부재(200)를 통해 상호 일체화 됨과 동시에 제2, 3벨트(130)(140)의 양 단부 보호기능을 갖게 되는데,
이를 위해 구비된 커버부재(200)는 제1, 4벨트(110)(140)의 양측에 각각 위치된 상태에서 일단부는 제1벨트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4벨트(140)의 일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러한 커버부재(200)는 별도로 제작되어 제1, 4벨트(110)(140)와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일체로 연결됨에 따라 [도 3]과 같이 제1벨트(110)와 제4벨트(140) 및 커버부재(200)가 상호 일체로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커버부재(200)는 제1, 4벨트(110)(140)와 달리 무기성 와이어는 사용되지 않고 유기성 와이어(20)의 반복 배열구조만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위 설명처럼 커버부재(200)가 제1, 4벨트(110)(140)와 일체구조이기 때문에 커버부재(200)를 구성하는 유기성 와이어는 제1, 4벨트(110)(140)의 유기성 와이어로부터 연장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커버부재(200)를 유기성 와이어의 배열만으로 구성하는 이유는 유기성 와이어가 무기성 와이어에 비해 연신율 등이 높으므로 커버부재(200)가 제2, 3벨트(130)(140)의 단부 동시에 감싸기 위한 절곡 구조 등의 구현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2, 3벨트 양단부에 가해지는 하중의 완충효과를 극대화 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커버부재(200)는 제1, 4벨트(110)(140)와 마찬가지로 자체적으로 다층 구조를 갖는다.
즉 제5시트층(210)과 제6시트층(220)이 적층된 구조이되 제5, 6시트층(210)(220) 간의 유기성 와이어(20)가 상호 교차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렇게 구비된 커버부재(200)는 제2, 3벨트(130)(140)의 단부를 동시에 감싼 상태로 위치되되 제2, 3벨트(130)(140) 해당 단부의 테두리를 따라 굴곡진 상태로 감싸고 있다.
이렇게 커버부재(200)가 제2, 3벨트(130)(140)의 테두리를 따라 굴곡진 상태가 가능한 이유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상대적으로 연질인 유기성 와이어의 배열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상 설명한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타이어의 굴신운동 과정에서 가해진 하중이 제1벨트(110) 및 양 커버부재(200)에 의해 분한 완충되는데,
이는 제1벨트와 커버부재(200)가 다층구조로 이루어지고 무기성 와이어 및 유기성 와이어의 복합구조로 이루어짐은 물론 각 와이어가 교차된 구조이기 때문이다.
더불어 각 밸크의 유기성 와이어가 자체적으로 파형형태의 굴곡 구조를 갖기 있으므로, 그만큼 하중의 분산효율도 최대화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1벨트와 제4벨트 및 커버부재에 의해 제2, 3벨트 전체를 둘러싼 상태가 됨으로 제2, 3벨트로 전해지는 하중이 최소화 됨은 물론, 이는 제2, 3벨트의 응력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원인이 된다.
이로 인해 제2, 3벨트의 양단부에 집중되던 응력도 최소화 되어 제2, 3벨트 양단부의 전단변형 가능성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적층된 각 벨트를 자체적으로 적층구조로 구현하거나 무기성 와이어와 유기성 와이어가 복합적으로 배열된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자체강도 및 완충효율을 향상시켜, 결국 제2, 3벨트 양단부의 전단변형율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 : 트레드 2 : 숄더부
3 : 사이드월 4 : 비드부
10 : 무기성 와이어 20 : 유기성 와이어
100 : 벨트부 110 : 제1벨트
112 : 제1시트층 114 : 제2시트층
120 : 제2벨트 130 : 제3벨트
140 : 제4벨트 142 : 제3시트층
144 : 제4시트층 200 : 커버부재
210 : 제5시트층 220 : 제6시트층
300 : 간격유지부재
3 : 사이드월 4 : 비드부
10 : 무기성 와이어 20 : 유기성 와이어
100 : 벨트부 110 : 제1벨트
112 : 제1시트층 114 : 제2시트층
120 : 제2벨트 130 : 제3벨트
140 : 제4벨트 142 : 제3시트층
144 : 제4시트층 200 : 커버부재
210 : 제5시트층 220 : 제6시트층
300 : 간격유지부재
Claims (7)
- 지면과 맞닿는 트레드 및 상기 트레드의 내측 지점에서 제1내지 제4벨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벨트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내지 제4벨트 중 적어도 상기 제1벨트와 제4벨트는 무기성 와이어와 유기성 와이어가 상호 번갈아 가며 배치되어 있는 복합와이어 구조이고,
상기 제1벨트의 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제4벨트의 양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재는 복수개의 유기성 와이어만으로 이루어진 구조이고 상기 제2벨트와 제3벨트의 단부 테두리를 동시에 감싸고 있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제1벨트 또는 상기 제4벨트 또는 상기 제1벨트 및 제4벨트는,
상기 무기성 와이어와 유기성 와이어가 사선방향으로 상호 수평상태로 교호 배열되어 있는 제1시트층,
상기 제1시트층의 상부면 상에 적층되어 있고 상기 무기성 와이어와 유기성 와이어가 사선방향으로 상호 수평상태로 교호 배열되어 있는 제2시트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시트층의 무기 및 유기성 와이어와 상기 제2시트층의 무기 및 유기성와이어는 상호 교차된 상태로 위치되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 제1항에서,
상기 제1, 4벨트와 상기 커버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포함되어 있는 각 유기성 와이어는 파형 형태의 굴곡을 이루고 있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 제3항에서,
상기 제2벨트와 제3벨트는 상호 일체로 이루어지되,
제2벨트의 양단부를 절곡시켜 연장함에 따라 상기 연장된 구간이 상기 제3벨트를 이루는 구조인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 제1항, 제 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커버부재와 제1, 4벨트의 유기성 와이어는 상호 일체로 연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 제1항, 제 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2벨트와 제3벨트의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간격유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2벨트와 제3벨트 및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테두리를 동시에 감싸고 있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0124A KR101401305B1 (ko) | 2012-10-04 | 2012-10-04 |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0124A KR101401305B1 (ko) | 2012-10-04 | 2012-10-04 |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4122A KR20140044122A (ko) | 2014-04-14 |
KR101401305B1 true KR101401305B1 (ko) | 2014-05-29 |
Family
ID=50652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0124A KR101401305B1 (ko) | 2012-10-04 | 2012-10-04 |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1305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16618A (ja) * | 1995-02-09 | 1996-08-27 | Sumitomo Rubber Ind Ltd |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
JPH11222008A (ja) * | 1998-02-10 | 1999-08-17 | Sumitomo Rubber Ind Ltd | 重荷重用ラジアルタイヤ |
JP2004001612A (ja) * | 2002-05-31 | 2004-01-08 | Yokohama Rubber Co Ltd:The |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
JP2007055578A (ja) * | 2005-07-25 | 2007-03-08 | Yokohama Rubber Co Ltd:The | 空気入りタイヤ |
-
2012
- 2012-10-04 KR KR1020120110124A patent/KR10140130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16618A (ja) * | 1995-02-09 | 1996-08-27 | Sumitomo Rubber Ind Ltd |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
JPH11222008A (ja) * | 1998-02-10 | 1999-08-17 | Sumitomo Rubber Ind Ltd | 重荷重用ラジアルタイヤ |
JP2004001612A (ja) * | 2002-05-31 | 2004-01-08 | Yokohama Rubber Co Ltd:The |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
JP2007055578A (ja) * | 2005-07-25 | 2007-03-08 | Yokohama Rubber Co Ltd:The | 空気入りタイ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4122A (ko) | 2014-04-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303483B2 (ja) | 軽量合金製のビードコアを有する空気入りタイヤ | |
WO2007010672A1 (ja) |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 |
CA2607253A1 (en) | Non-pneumatic vehicle tire | |
JPWO2012118148A1 (ja) | タイヤ | |
US8863801B2 (en) | Pneumatic radial tire | |
CN1671564A (zh) | 充气轮胎 | |
JP4951983B2 (ja) | 空気入りタイヤ | |
KR20130075792A (ko) | 비드부의 내구성이 우수한 중하중용 타이어 | |
JP4270928B2 (ja) |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 |
KR200460645Y1 (ko) | 사이드월 반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 |
KR101760554B1 (ko) | 공기압 타이어 | |
KR101401305B1 (ko) |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 |
US8613300B2 (en) | Reinforced tire for heavy goods vehicle | |
JP4353788B2 (ja) | 空気入りタイヤ | |
JP5164453B2 (ja) | 空気入りタイヤ | |
WO2016203098A1 (en) | A non-pneumatic tyre with enhanced speed characteristics | |
EP2495112B1 (en) | Pneumatic tire, in particular low aspect ratio super single truck tire | |
CN108883663B (zh) | 轮胎 | |
KR101302551B1 (ko) | 내구성 향상을 위한 공기압 타이어 | |
JP6807263B2 (ja) | 空気入りタイヤ | |
KR102471066B1 (ko) | 공기입 타이어 | |
KR101312845B1 (ko) | 내구성이 우수한 항공기용타이어 | |
CN221233389U (zh) | 一种重型工程车辆轮胎及其车辆 | |
KR101414889B1 (ko) | 경량화 비드 코어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 | |
KR101662196B1 (ko) | 공기입 타이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