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203B1 - 관점분류를 이용한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관점별 특허맵 제공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관점분류를 이용한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관점별 특허맵 제공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1203B1 KR101401203B1 KR1020100029111A KR20100029111A KR101401203B1 KR 101401203 B1 KR101401203 B1 KR 101401203B1 KR 1020100029111 A KR1020100029111 A KR 1020100029111A KR 20100029111 A KR20100029111 A KR 20100029111A KR 101401203 B1 KR101401203 B1 KR 1014012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assification
- view
- point
- names
- ma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디어 개발에 사용될 수 있는 관점별 특허맵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F-term 코드 등 관점별 분류코드가 부여되어 있는 특허 문서를 대상으로 특허 검색을 수행하고, 수행한 결과로부터 분류 명칭에 따른 특허 문서의 수를 표시함으로써 연구 개발자들에게 아이디어 개발에 도움이 되는 관점별 특허맵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과 상기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저장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아이디어 개발에 방향을 제시하거나, 직관적으로 특허 문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F-term 코드 등 관점별 분류코드가 부여되어 있는 특허 문서를 대상으로 특허 검색을 수행하고, 수행한 결과로부터 분류 명칭에 따른 특허 문서의 수를 표시함으로써 연구 개발자들에게 아이디어 개발에 도움이 되는 관점별 특허맵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허를 출원하려고 하는 자 등은 선행기술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러한 특허문서들을 검색/서치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대부분의 특허문서 검색은 키워드를 입력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기업이나 나라, 대학등의 연구 기관의 기술 수준을 측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는 이러한 특허문서들에 대한 평가의 중요성은 근래에 점점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면, 기업등의 특허 수준이나 방향성을 확실히 평가하는 것은 그 기업의 기술 전략, 투자가의 투자 판단, 연구원의 능력 판정등과 불가결한 것이고, 나라나 대학등의 연구 기관에 있어서도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근래의 기술 발달에 수반하여 특허출원의 건수가 방대해지고 있으며, 이에 수반하여 특허문서의 양도 방대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중복 연구를 방지하거나 권리침해의 여부를 확인하거나 특허출원 전의 선행기술 조사를 하거나 타사의 기술 개발 동향을 파악하거나 연구 개발 향상 등을 위하여 특허문서를 조사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특허문서를 서치하거나 조사하기 위한 종래의 검색 시스템에서는, 키워드를 잘못 선택하면, 불필요한 정보가 방대히 포함되는 경우가 발생하곤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조사 그 자체의 시간도 방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방대한 특허 문서를 분석하기 위해서 기존에 많은 특허 분류 방법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국제 특허 분류(IPC), 미국 특허 분류(UPC) 등이 존재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특허 분류는 방대한 기술 분야를 탑다운(top-down) 방식으로 단순 분류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이를 아이디어 개발에 활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청이 배포한 F-term 코드 분류표는 색다른 분류 방법에 따른 것으로서, 특허 문서를 관점별로 분류한 것이다. F-term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별, 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별, 응용 분야별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러한 분류표를 아이디어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아이디어 개발과 연구 개발 과정에 활용될 수 있는 관점별 특허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미 존재하는 특허 분류표를 사용하여, 재배열된 관점별 분류 명칭으로 검색된 특허를 다시 분류하여 직관적이고, 매우 이해하기 쉬운 관점별 특허맵을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은, 관점별 분류 코드가 부여된 특허 문서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특허 문서들로부터 관점별 분류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문서들을 상기 관점별 분류 코드별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관점별 분류 코드들을 미리 정해진 관점별로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관점별 분류 코드들에 재배열된 분류 명칭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재배열된 분류 명칭을 기반으로 관점별 특허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관점별 특허맵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은, 관점별 분류 코드가 부여된 특허 문서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특허 문서들로부터 관점별 분류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문서들을 상기 관점별 분류 코드별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관점별 분류 코드들을 관점별로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관점별 분류 코드들에 부여되어 있는 분류 명칭을 기반으로 관점별 특허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관점별 특허맵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은, 특허 문서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복수의 서로 다른 검색 조건에 대해 각각 특허 문서의 관점에 따른 분류를 표시하는 관점별 특허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각 검색 조건에 대한 관점별 특허맵을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은, 특허 문서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검색 결과에 대한 관점 중 복수 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관점에 따른 분류를 나타내는 관점별 특허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관점 중 제1 관점의 분류 명칭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된 분류 명칭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분류 명칭에 대한 제2 관점의 분류 명칭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은, 특허 문서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특허 문서에 대해 2개의 관점에 대한 매트릭스 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릭스 맵은 횡축 및 종축에 각각 상기 2개 관점의 분류 명칭들이 나열되고, 분류 명칭들에 공통적으로 속하는 특허 문서 수를 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제공방법은, 특허 문서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특허 문서를 복수개의 관점에 대해 트리맵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맵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관점 중 복수 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관점 중 제1 관점의 재배열된 분류 명칭들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된 제1 관점의 재배열된 분류 명칭들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재배열된 분류 명칭에 대한 제2 관점의 분류 명칭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매체는, 특허 문서 데이터베이스; 상기 특허 문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 엔진; 상기 검색 엔진에 의해 검색된 특허 문서에서 관점별 분류 코드를 추출하는 관점별 분류 코드 추출 모듈; 상기 검색된 특허문서들을 관점별로 그룹핑하는 관점별 분리 모듈; 상기 관점별 분류 코드들에 부여된 분류 명칭에 재배열된 분류 명칭을 부여하는 분류 명칭 재배열 모듈; 및 상기 재배열된 분류 명칭을 기반으로 관점별 특허맵을 생성하는 관점별 특허맵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관점별 특허맵 제공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매체는, 특허 문서 데이터베이스; 상기 특허 문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 엔진; 상기 검색 엔진에 의해 검색된 특허 문서에서 관점별 분류 코드를 추출하는 관점별 분류 코드 추출 모듈; 상기 검색된 특허문서들을 상기 관점별로 그룹핑하는 관점별 분리 모듈; 및 상기 관점별 분류 코드의 관점 및 분류 명칭을 기반으로 관점별 특허맵을 생성하는 관점별 특허맵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관점별 특허맵 제공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행 기술의 분포 및 내용을 효율적으로 파악하여 차별화된 특허를 확보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시스템화된 아이디어 개발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직관적이고 개선된 아이디어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구 개발자가 제품 개발에 있어서 문제점을 만났을 때,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해법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점별 특허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이디어를 해결과제와 수단으로 분해하고, 이것을 트리형태 또는 매트릭스 형태로 도식화함으로써,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관점별 특허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생성 방법은 방대한 특허 문서의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시스템화된 아이디어 개발 과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점 분류 및 분류 명칭을 재배열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룩업 테이블 생성 과정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검색된 특허문서들을 추출한 F-term 코드별로 분류한 분류표이다.
도 6은 도 5의 F-term 코드에 미리 정해진 관점 및 분류 명칭을 부여한 분류표이다.
도 7은 도 6의 분류표를 새로운 분류 명칭으로 재배열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매트릭스 형태의 관점별 특허맵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트리 형태의 관점별 특허맵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허 검색 결과에서 기술 분야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분류 명칭 병합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검색 조건을 생성된 복수의 관점별 특허맵을 동시에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검색된 특허문서들을 추출한 F-term 코드별로 분류한 분류표이다.
도 6은 도 5의 F-term 코드에 미리 정해진 관점 및 분류 명칭을 부여한 분류표이다.
도 7은 도 6의 분류표를 새로운 분류 명칭으로 재배열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매트릭스 형태의 관점별 특허맵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트리 형태의 관점별 특허맵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허 검색 결과에서 기술 분야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분류 명칭 병합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검색 조건을 생성된 복수의 관점별 특허맵을 동시에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점 분류 및 분류 명칭을 재배열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룩업 테이블 생성 과정을 나타낸다.
도 1은 특허 문서들을 관점별로 분류하기 위한 분류표의 예로서, 일본 특허청에서 작성하여 배포한 F-term 코드표의 일부를 나타낸다.
F-term 코드는 특허 문서들을 기술의 테마(기술 분야) 별로 나눈 다음, 해당 테마의 기술들을 여러 가지 관점, 즉 해결 과제, 해결 수단, 응용 분야 등의 관점으로 분류한 것이다.
도 1의 표시된 F-term 코드의 테마 코드는 "5K102"(11)이고, 테마 즉, 기술 분야는 "Optical communication system"(13)이다.
도 1에서, AA00, AA01, AA02... 등의 하위 코드들 중 "AA"는 기술의 관점을 나타내는 관점 코드들이고, "01", "02"등의 숫자는 해당 관점의 구체적인 내용에 해당하는 하위코드이다. 숫자들 중 특히, "00"으로 끝나는 하위 코드에는 구체적인 내용이 들어 있지 않고, 앞의 알파벳(즉, 관점 코드) "AA"가 의미하는 바, 즉 어떤 관점인지를 설명하는 내용이 들어 있다. 즉, "AA00"는 "PURPOSE OR PRBLEMS"이므로 "AA"로 시작되는 하위 코드들이 해결 과제 관점에 속함을 나타낸다.
하위 코드들에는 각각 코드 네임이 지정되어 있다. 코드 네임은 각 관점을 설명하는 간단한 문장들로 구성되며, 각 하위 코드가 어떠한 분류를 가리키는지 나타내는 일종의 분류 명칭이다.
"00"으로 끝나지 않는 나머지 하위 코드들(14)의 코드 네임에는 해당 하위 코드가 의미하는 구체적인 내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A02(15)는 AA00에 속하므로, 해결 과제의 관점에서의 분류를 나타내고, 구체적으로 통신 캐패시턴스를 확보를 위해서 캐패시티를 증가시키는 과제에 속하는 분류를 의미한다.
각 코드 네임들의 앞부분에 붙은 점들은 각 코드의 계층 구조를 나타낸다. 점 하나가 붙은 하위 코드(AA01, AA02, AA08, AA10)이 최상위 계층이고, 점이 두개 또는 세개 붙은 하위 코드들은 그 하위 계층에 속하는 분류이다. 점이 많을수록 보다 구체적인 분류라고 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와 같이 분류된 테마별 F-term 코드에서 관점, 하위 코드 및 분류 명칭(즉, 코드 네임)을 추출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관점끼리 그룹핑한 중간 분류표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2에는 각 테마들로부터 해결 과제(purpose and effects)라는 관점에 해당하는 분류 명칭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관점별로 분리된 중간 분류표에서 분류 명칭들에서 중복을 제거하여 새로운 분류 명칭으로 분류한 것이다. 즉, 도 3은 도 2에서 관점 중 유사한 관점들은 병합하고, 분류 명칭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은 병합하고, 유사한 것들은 한 그룹으로 그룹핑한 것이다. 도 3을 이용하면, 해당 F-term 코드가 중복이 제거된 새로운 분류 명칭에서 어느 관점 및 분류 명칭에 속하는지를 알 수 있다. 도 3에는 한 관점, 즉 해결 과제의 새로운 분류 명칭들만 도시되어 있으나, 별도로 다른 관점들, 예컨대 해결 수단, 응용 분야들에 대해서도 재배열된 분류 명칭들이 생성될 수 있다.
도 3을 보면, 좌측에는 F-term 코드가 있고, 우측에는 그에 해당하는 새로운 분류 명칭들이 표시되어 있다. F-term 코드들(31 및 32)의 새로운 분류 명칭은 "Related water"이고, F-term(32)의 새로운 분류 명칭은 "Related water"의 "Ventilation"이고, F-term(33)의 새로운 분류 명칭은 "Related water"의 "Water proofing"이다. 여기서 분류 명칭들 "Related water", "Ventilation", "Water proofing" 들은 모두 도 1에 도시된 원래 F-term 코드의 분류 명칭(즉, 코드 네임)들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끼리 병합한 새로운 분류 명칭이다. 또한, "Ventilation" 및 "Water"는 유사한 분류 명칭으로서 모두 "Related water"라는 분류 명칭의 하위 분류 명칭에 속한다.
도 1의 원래 F-term 코드는 테마, 즉 기술 분야별로 분류를 한 뒤에, 그 테마 내에서 관점에 따라 다시 분류한 것이다. 그러나, 도 3의 룩업 테이블에서는 테마 별 구분이 없고, F-term 코드와 그에 해당하는 새로운 분류 명칭만이 있을 뿐이다. 새로운 분류 명칭에 원래 F-term 코드의 테마도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원래 F-term 코드에서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테마와 "Telephone circuits" 테마에 동일 또는 거의 유사한 분류 명칭이 있다고 가정하면, F-term 코드 분류표에서는 서로 다른 테마에 속하므로 서로 다른 페이지에 별도로 존재하겠지만, 도 3의 룩업 테이블에서는 하나의 분류 명칭으로 병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3에서 좌측의 F-term 코드들에는 Level1~5로 계층 레벨이 부여되어 있고, 우측의 새로운 분류 명칭들에는 Title1~5로 계층 레벨이 부여되어 있다. 좌측의 F-term 코드들의 레벨은 원래 F-term 코드들에서 분류 명칭에 부여된 점에 의해 표시되는 레벨과 동일할 수 있다. 우측의 새로운 분류 명칭들의 계층 레벨은 유사한 분류 명칭들끼리 그룹핑한 결과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일본특허청에서 배포한 F-term 코드를 이용하여 도 3과 같은 관점별 분류 코드에 해당하는 분류 명칭을 표시하는 룩업 테이블을 만들었으나, F-term 코드만으로 도 3과 같은 룩업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기술들을 해결 과제, 해결 수단, 또는 응용분야와 같은 관점을 기반으로 분류하고, 이들 분류 코드가 부여되어 있는 특허 문서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한다면 어느 분류 코드든 사용할 수 있다.
도 1의 최초 F-term 코드에서 도 2의 중간 분류표를 생성하는 과정은 데이터 추출 및 재배열 과정이므로 컴퓨터 등의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도 2의 중간 분류표로부터 도 3의 새로운 분류 명칭에 의한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는 과정은 단순히 데이터 추출 및 재배열 만으로는 수행될 수 없다.
이 경우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은 텍스트 분석 기법 중 하나로서, 텍스트나 문장으로 구성된 데이터에서 단어의 출현 빈도수(frequency)를 산출하고, 빈도수를 기반으로 텍스트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거나, 유사한 텍스트를 분류하는 기법을 말한다.
도 1 또는 도 2의 F-term 코드에 제공된 코드 네임(분류 명칭)에 텍스트 마이닝을 적용하여, 소정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분류 명칭들을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고, 그보다 낮은 유사도를 갖는 분류 명칭들은 유사한 것으로 간주하여 같은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텍스트 마이닝이 긴 문장이나 글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F-term 코드 분류표에서 제공되는 짧은 문장을 대상으로 수행되므로 유사도 판단이 매우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일본 특허청에서 배포한 F-term 코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F-term 코드 외에도 특허 문서 분류를 위한 관점별 분류 코드, 즉 복수개의 관점 코드를 갖는 특허 분류 코드라면 어느 것에든 위와 같은 과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특허서지사항 데이터베이스(41)는 특허 검색의 대상이 되는 특허 문서의 데이터베이스이다. 일본 특허청 특허 도서관(IPDL)이나, 유럽 특허청 데이터베이스 등의 정부 기관의 데이터베이스는 물론 사설 특허 문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검색 엔진(46)은 특허서지사항 데이터베이스(41)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 출원일, 공개일, 출원인 등의 검색 조건을 기반으로 검색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LCD 기술 중 TFT 패널에 관한 키워드를 입력하고 검색을 수행하였다고 가정한다.
F-term 추출 모듈(47)은 검색 엔진(46)이 검색한 특허 문서들에서 F-term 코드를 추출한다. 후술할 바와 같이, 검색된 특허 문서가 일본 특허 문서가 아닌 경우에는 검색된 특허 문서의 일본 대응 특허를 검색하여 대체할 수 있다.
관점별 분리 모듈(48)은 F-term 데이터베이스(42,43)를 사용하여 도 5와 같이 상기 검색된 특허문서들을 추출한 F-term 코드별로 분류하고, 미리 정해진 관점 및 분류 명칭을 부여한 다음, 도 6과 같이 F-term 코드에서 주어진 관점 분류와 분류 명칭들을 기록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관점별 분리 모듈(48)은 검색된 특허문서들의 F-term 코드들을 관점별로(즉, 여기서는 해결과제 및 해결수단 별로) 그룹핑한다.
도 5 및 도 6에서 F1~F16은 F-term 코드 번호를 의미하고, PN1~PN19는 특허 번호를 의미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된 문서 수는 19개이고, 검색된 특허 문서들의 F-term 코드는 총 16개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F1~F7은 관점이 해결 과제인 분류 명칭들이고, F7~16은 관점이 해결 수단인 분류 명칭들이다. 실제로는 해결 과제 및 해결 수단 외에 다른 관점, 예컨대, 적용 분야 등도 존재할 것이나, 설명을 위해 관점이 2개만 있다고 가정한다.
분류 명칭 재배열 모듈(49)은 도 7과 같이 관점별 분류 명칭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끼리는 병합하고, 유사한 것끼리는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새로운 분류 명칭을 부여하는 재배열과정을 수행한다.
도 6에서, 분류 명칭 "콘트라스트 향상에 의한 시인성 향상"(71)과 "콘스라스트 문제점"(7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들 분류 명칭들은 원래 F-term 코드에서는 서로 다른 테마의 서로 다른 분류 명칭으로 존재했으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려고 하는 관점별 특허맵에서는 하나의 분류 명칭으로 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류 명칭 "실장 구조"(73)와 "실장 방법"(74)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므로, 하나의 분류 명칭으로 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서, F-term 코드 F1~F3, "콘트라스트 향상에 의한 시인성 향상", "고정세화에 의한 시인성 향상", "광시야각 향상에 의한 시인성 향상"은 서로 다른 분류 명칭이기는 하지만, 공통적으로 해결 과제로서 시인성 향상이라는 공통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려고 하는 관점별 특허맵에서는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F-term 코드 F13~16, "구동회로의 전원", "구동회로의 능동소자", "구동회로의 광도전체"는 공통적으로 해결 수단으로서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라는 공통점이 있으므로, 관점별 특허맵에서는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는, 이와 같이 재배열 과정이 수행된 분류 명칭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콘트라스트 향상에 의한 시인성 향상"(71)과 "콘스라스트 문제점"(72)"콘스트라스트 향상에 의한 시인성 향상"은 "콘트라스트 향상에 의한 시인성 향상"(75)이라는 새로운 분류 명칭으로 병합되었다. 또한, 도 6의 분류 명칭 "실장 구조"(73)와 "실장 방법"(74)도 "실장 구조"(76)라는 새로운 분류 명칭으로 병합되었다.
도 6에서 도 7로 재배열 과정을 수행할 때, 특허 분석자가 수작업을 통해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3에 도시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면 자동으로 재배열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의 룩업 테이블에는 F-term 코드의 분류 명칭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분류 명칭들은 하나의 새로운 분류 명칭으로 표시하고 있고, 같은 그룹으로 그룹핑될 유사한 분류 명칭들도 알 수 있다. 룩업 테이블 데이터베이스(44,45)는 도 4와 같이 관점 별로, 즉 해결 과제 및 해결 수단 별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룩업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도 6의 분류 명칭들에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여 재배열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트리맵 작성 모듈(50) 및 매트릭스 맵 작성 모듈(51)은 도 7의 재배열된 관점 및 분류 명칭을 기반으로 관점별 특허맵을 생성한다.
매트릭스 맵 작성 모듈(51)은 도 8과 같은 매트릭스 맵 형태의 관점별 특허맵을 생성하고, 트리맵 작성 모듈(50)은 도 10 및 도 11과 같은 트리맵 형태의 관점별 특허맵을 생성한다.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관점별 특허맵을 표시하는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시스템은 표시 모듈을 제외하고는 모두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HDD, 플래시 메모리 등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8의 매트릭스 맵은 도 7의 표에서 2개의 관점에 대해 생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 7의 관점 중 2개를 선택하면, 그 선택된 관점 중 제1 관점을 X축에 배열하고, 제2 관점을 Y축에 배열하고, 검색된 특허 문서 중 각 분류 명칭에 해당하는 특허 문서 수를 추출하여 기록하면 된다.
도 7에는 관점이 2개밖에 없으므로, 사용자가 선택의 여지가 없지만, 실제로 F-term 코드에서 제공하는 관점은 20~30가지가 있으므로, 사용자가 검색된 특허 문서들에 포함된 F-term 코드에 해당하는 관점 중 2가지를 선택하여 그 관점에 대해 도 8과 같은 매트릭스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도 8의 매트릭스 맵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8을 보면 해결 과제 중 고정세화에 의한 시인성 향상이라는 과제가 있고, 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해결 수단이 있으나, 그 중 전극과 관련된 해결 수단을 제시한 특허 문서 수가 가장 많음을 알 수 있다. 상대적으로, 다른 해결 수단, 즉 구동 회로를 개선하는 해결 수단은 그 수가 없으므로, 그 방향으로 연구 개발을 수행하면 신규한 기술을 개발할 가능성이 더 높아질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고정세화에 의한 시인성 향상이 LCD 패널의 TFT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이슈임을 알 수도 있다.
또한, 매트릭스 맵에 분류 명칭 및 특허 문서 수 외에도 검색된 특허 문서에서 추출한 다양한 정보를 기록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특허 문서의 평균 출원 연도 등을 매트릭스 맵의 끝단에 표시할 수 있다. 연도 정보로부터 현재에 더 가까운 특허 문서 수가 많은 해결 과제 및 해결 수단에 더 중요한 비중을 두고 검토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S41)에서, 특허문서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조건으로 검색을 수행한다.
단계(S42)에서, 검색된 특허 문서에 일본 특허 문서가 아닌 특허 문서가 포함되어 있는 판단하고, 비일본 특허 문서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S43)에서, 대응 일본 특허를 검색하여 대체한다. 만일 대응 일본 특허도 없는 경우에는 분류 불가 특허 문서로 분류하고 추후의 분류 과정에서 제외하거나, 분류 과정 완료 후에 사용자에게 추후 작업 대상으로 남겨둘 수 있을 것이다.
단계(S44)에서, 검색된 문서들에서 F-term 코드를 추출한다.
단계(S45)에서, 도 5와 같이 F-term 코드 별로 검색된 특허 문서들을 정렬한 다음, 단계(S46)에서, 도 6과 같이 F-term 코드에서 미리 정해진 관점과 분류 명칭을 기록함으로써, F-term 코드들을 관점 별로(여기서는 해결과제 및 해결수단으로) 분류한다.
단계(S47)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의 룩업 테이블을 사용하여 재배열된 분류 명칭을 부여하고, 도 7과 같은 분류표를 생성한다.
단계(S48)에서, 재배열된 분류표를 이용하여 매트릭스 맵 또는 트리맵 형태의 관점별 특허맵을 생성한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맵 형태의 관점별 특허맵을 나타낸다.
트리맵은 사용자가 도 7의 분류표에서 2개의 관점들을 선택하여, 도 10과 같이 제1 관점의 분류 명칭들 및 특허 문서수를 리스트하여 사용자가 그 중 하나의 분류 명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도 11과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각 분류 명칭에 해당하는 제2 관점의 분류 명칭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의 트리맵은 하나의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으나, 제1 관점이 해결 과제이고, 제2 관점이 해결 수단인 경우에, 사용자가 도 10의 해결 과제를 보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하면, 도 11과 같이 그에 대한 해결 수단들을 표시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으로 관점별 특허맵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의 분류 명칭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콘트라스트 향상에 의한 시인성 향상을 선택하였다고 하면, 도 11과 같이 그에 해당하는 해결 수단들의 분류 명칭들이 표시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화면에 매트릭스 맵 버튼(104)을 표시하여, 트리맵과 ㅁ트릭스 맵을 토글 모드로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1과 같이 화면의 일측에 기타 정보 예컨대, 출원인 별 특허 문서수 또는 출원 연도별 특허 문서수를 표시할 수 있다.
트리맵 및 매트릭스 맵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작성 모듈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실시예에 따라 다른 형태의 관점별 특허맵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4의 검색 엔진(46)이 검색을 수행하고, F-term 코드 추출 모듈(47)이 검색된 특허 문서에서 F-term 코드를 추출한 후에, F-term 코드의 테마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에게 도 12와 같은 화면을 제공하여, 검색된 특허 문서들 중 일정 F-term 코드의 테마에 속하는 특허 문서들에만 다음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F-term 코드의 테마는 기술 분야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검색된 특허 문서들 중 특정 기술 분야에 속하는 특허 문서들을 기초로 관점별 특허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 9에서, 단계(S44)에서, F-term 코드를 추출한 후에, F-term 코드의 테마를 선택하여, 검색된 특허 문서들 중 특정 기술 분야에 속하는 특허 문서들을 기초로 관점별 특허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분류 명칭 병합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예컨대, 도 8, 도 10 또는 도 11과 같이 자동으로 생성된 관점별 특허맵은, 이미 중복 제거를 위한 재배열 과정이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분류 명칭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경우, 도 13과 같이 사용자로 하여금 직접 분류 명칭을 병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과 같이, 버튼(107)에 의해 분류 명칭을 병합하게 할 수도 있고, 버튼(108)으로 분류 명칭을 삭제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검색 조건을 생성된 복수의 관점별 특허맵을 동시에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검색된 특허 문서들의 서지 정보에서 출원인 정보를 추출하여, 그 중 특정 2개의 출원인에 대한 특허 문서들만 추출한 다음, 각 출원인 별로 관점별 특허맵(110,120)을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4와 같이 출원인 별로 생성된 관점별 특허맵을 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면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출원인 별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버튼(102)을 표시하여, 매트릭스 맵과 트리맵 간에 토글이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특허서지사항 데이터베이스(41), F-term 데이터베이스(42,43), 검색 엔진(46), F-term 추출 모듈(47) 및 관점별 분리 모듈(48)의 동작은 도 4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다. 도 14에 도시되 실시예에서는, 재배열된 분류 명칭을 부여하지 않고, 도 6의 분류표에서 직접 관점별 특허맵을 생성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관점별 특허맵은 도 8, 도 10, 도 11의 관점별 특허맵과 달리, 실질적으로 동일한 분류 명칭들도 F-term 코드 분류표와 같이 중복제거되지 않고, 구분되어 표시된다. 본 실시예는 분류 명칭의 재배열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서는 재배열이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룩업테이블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다른 단계들은 도 9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법과 동일하지만, F-term 코드 별로 분류된 상태에서 재배열된 분류 명칭을 부여하지 않고, 직접 관점별 특허맵을 생성하는 점이 다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특허서지사항 데이터베이스(41), F-term 데이터베이스(42,43), 검색 엔진(46), F-term 추출 모듈(47) 및 관점별 분리 모듈(48)의 동작은 도 4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서는 분류 명칭 재배열을 수행하되, 도 3과 같은 미리 만들어진 룩업테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사용하게 된다.
텍스트 마이닝 모듈(52)은 도 6과 같이 F-term 코드 별로 관점과 분류 명칭이 부여된 상태에서 각 분류 명칭에 대해 텍스트 마이닝을 수행하여,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텍스트 마이닝이 긴 문장이나 글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F-term 코드 분류표에서 제공되는 미리 정해진 짧은 문장을 대상으로 수행되므로 유사도 판단이 매우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룩업 테이블 생성 모듈(53)은 유사도를 기준으로 분류 명칭들을 동일한 분류 명칭 또는 유사한 분류 명칭으로 분류하여 룩업 테이블을 생성한다.
분류 명칭 재배열 모듈(54)은 룩업 테이블을 기반으로 도 7과 같은 재배열된 분류표를 생성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룩업 테이블 생성 모듈(53)을 생략하고, 텍스트 마이닝 모듈(52)에서 텍스트 마이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직접 분류 명칭 재배열 모듈(54)이 분류 명칭 재배열을 수행할 수도 있다.
트리맵 작성 모듈(50) 및 매트릭스 맵 작성 모듈(51)은 재배열된 분류 명칭을 기반으로 트리맵 형태 또는 매트릭스 형태의 관점별 특허맵을 생성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S61~S66)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단계(S67)에서, 도 6과 같이 F-term 코드와 분류 명칭이 부여된 분류표에서, 분류 명칭에 대해 텍스트 마이닝을 수행하여 재배열을 수행한다.
단계(S68)에서, 재배열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분류 명칭으로 구성된 룩업 테이블을 생성한다.
단계(S69)에서, 상기 룩업 테이블을 기반으로 도 7과 같은 재배열된 분류표를 생성한다.
단계(S70)에서, 재배열된 분류 명칭을 기반으로 관점별 특허맵을 생성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계(S68)에서, 재배열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를 생략하고, 바로 재배열된 분류표를 생성할 수도 있다.
11 : 테마코드
13 : 기술분야
41 : 특허서지사항 데이터베이스
42,43 : F-term 데이터베이스
46 : 검색 엔진
47 : F-term 추출 모듈
48 : 관점별 분리 모듈
73 : 분류 명칭
75 : 새로운 분류 명칭
13 : 기술분야
41 : 특허서지사항 데이터베이스
42,43 : F-term 데이터베이스
46 : 검색 엔진
47 : F-term 추출 모듈
48 : 관점별 분리 모듈
73 : 분류 명칭
75 : 새로운 분류 명칭
Claims (10)
- 입력된 키워드에 기반하여 특허문서의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복수의 기술 분야에 관한 복수의 분류 명칭이 지정된 복수의 관점별 분류 코드가 부여된 복수의 특허 문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특허 문서들에서 분류 코드를 추출하는 코드 추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특허 문서로부터 상기 복수의 관점별 분류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의 추출된 관점별 분류 코드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특허 문서를 분류하기 위한 관점별 분리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특허 문서를 상기 복수의 관점별 분류 코드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상기 관점별 분리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관점별 분류 코드를 제1 관점 및 제2 관점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관점별 분리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분류 명칭을 복수의 재배열된 분류 명칭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특허 문서들을 매트릭스 맵 형태 또는 트리 맵 형태의 특허맵을 생성하기 위한 맵 작성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관점, 상기 제2 관점, 상기 복수의 재배열된 분류 명칭에 따라 분류한 관점별 특허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특허맵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모듈을 통하여, 상기 생성된 관점별 특허맵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재배열된 분류 명칭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분류 명칭의 개수보다 적고,
상기 복수의 재배열된 분류 명칭에는 상기 복수의 기술 분야가 반영된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재배열된 분류 명칭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하위 분류 명칭을 가지는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위 분류 명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관점별 분류 코드 중 2개 이상에 해당하는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점별 특허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관점 및 제2 관점에 해당하는 분류 명칭들 간에 속하는 특허 문서 수를 추출하여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점 및 제2 관점에 해당하는 분류 명칭들을 각각 가로축과 세로축에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배열된 분류 명칭들에 해당하는 검색된 특허 문서 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점 및 제2 관점은 각각 과제와 해결수단인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점별 특허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관점의 분류 명칭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된 분류 명칭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분류 명칭에 대한 제2 관점의 분류 명칭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 -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관점별 특허맵 제공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은
복수의 기술 분야에 관한 복수의 분류 명칭이 지정된 복수의 관점별 분류 코드가 부여된 복수의 특허 문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복수의 특허 문서로부터 상기 복수의 관점별 분류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복수의 특허 문서를 상기 복수의 관점별 분류 코드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관점별 분류 코드를 제1 관점 및 제2 관점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분류 명칭을 복수의 재배열된 분류 명칭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특허 문서들을 상기 제1 관점, 상기 제2 관점, 상기 복수의 재배열된 분류 명칭에 따라 분류한 관점별 특허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관점별 특허맵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재배열된 분류 명칭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분류 명칭의 개수보다 적고,
상기 복수의 재배열된 분류 명칭에는 상기 복수의 기술 분야가 반영된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관점별 특허맵 제공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재배열된 분류 명칭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하위 분류 명칭을 가지는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관점별 특허맵 제공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위 분류 명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관점별 분류 코드 중 2개 이상에 해당하는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관점별 특허맵 제공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9111A KR101401203B1 (ko) | 2010-03-31 | 2010-03-31 | 관점분류를 이용한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관점별 특허맵 제공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9111A KR101401203B1 (ko) | 2010-03-31 | 2010-03-31 | 관점분류를 이용한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관점별 특허맵 제공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5537A Division KR20100127036A (ko) | 2009-05-25 | 2009-05-25 | 관점분류를 이용한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7173A KR20100127173A (ko) | 2010-12-03 |
KR101401203B1 true KR101401203B1 (ko) | 2014-05-29 |
Family
ID=4350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9111A KR101401203B1 (ko) | 2010-03-31 | 2010-03-31 | 관점분류를 이용한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관점별 특허맵 제공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1203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7858A (ko) * | 1998-05-23 | 1999-12-27 | 구자홍 | 데이터의자동분류방법및분류데이터의검색/분석방법 |
JP2003044493A (ja) | 2001-07-31 | 2003-02-14 | Fuji Xerox Co Ltd | 特許情報検索装置 |
-
2010
- 2010-03-31 KR KR1020100029111A patent/KR10140120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7858A (ko) * | 1998-05-23 | 1999-12-27 | 구자홍 | 데이터의자동분류방법및분류데이터의검색/분석방법 |
JP2003044493A (ja) | 2001-07-31 | 2003-02-14 | Fuji Xerox Co Ltd | 特許情報検索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7173A (ko) | 2010-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87989B2 (ja) | 観点別特許マップの提供方法 | |
Koch et al. | VarifocalReader—in-depth visual analysis of large text documents | |
Cao et al. | Facetatlas: Multifaceted visualization for rich text corpora | |
US20190250778A1 (en) | Generating visualizations of facet values for facets defined over a collection of objects | |
US8131779B2 (en) |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multi-dimensional visual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content and properties | |
US20020178184A1 (en) | Software system for biological storytelling | |
US20120197910A1 (en) |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classified document research | |
CA2315548C (en) | Advanced schematic editor | |
US7567954B2 (en) | Sentence classification device and method | |
US8823738B1 (en) | Merging electronic diagrams | |
Matthes et al. | Hybrid Wikis: Empowering Users to Collaboratively Structure Information. | |
JP6912714B2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 |
JPH0991314A (ja) | 情報探索装置 | |
WO2013134200A1 (en) | Digital resource set integration methods, interface and outputs | |
Sandhu et al. | Wikipedia search engine: Interactive information retrieval interface design | |
Voinea et al. | Visual data mining and analysis of software repositories | |
JP5096850B2 (ja) | 検索結果表示方法、検索結果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検索結果表示装置 | |
US2005021038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al analyses making use of a plurality of inputs | |
KR101401203B1 (ko) | 관점분류를 이용한 관점별 특허맵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관점별 특허맵 제공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 |
Beck et al. | Identifying modularization patterns by visual comparison of multiple hierarchies | |
JP5155710B2 (ja) | 文書群分析支援装置 | |
KR101189068B1 (ko) | n차원 프레임을 활용하여 니치 기술 영역 탐색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특허 정보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 |
Ganev et al. | An environment for building, exploring and querying academic social networks | |
Zhao et al. | V-Miner: using enhanced parallel coordinates to mine product design and test data | |
US20080005714A1 (en) | Logic diagram display method, program, and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