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857B1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857B1
KR101400857B1 KR1020120080754A KR20120080754A KR101400857B1 KR 101400857 B1 KR101400857 B1 KR 101400857B1 KR 1020120080754 A KR1020120080754 A KR 1020120080754A KR 20120080754 A KR20120080754 A KR 20120080754A KR 101400857 B1 KR101400857 B1 KR 101400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ood waste
food
screw
garb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5773A (ko
Inventor
박판진
Original Assignee
박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판진 filed Critical 박판진
Priority to KR1020120080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857B1/ko
Publication of KR20140015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싱크대에 부착한 후 수평 및 수직 스크류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압착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스크류의 회전비를 이용하여 압착된 음식물 쓰레기를 장치의 하부와 상부로 배출함으로써,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줄이고,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칼날을 이용하여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퇴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에 따른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투입관(110), 가로 압출관(120), 수분배출관(130), 세로 압출관(140),음식물 쓰레기 포집관(150)으로 이루어진 본체(100)와;
가로 압출관(120)에 삽입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1차로 압출하는 가로 압출장치(300)와;
세로 압출관(140)에 삽입되어 2차로 압출하는 세로 압출장치(500)와;
음식물 쓰레기 포집관(150) 하부에 구비되어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뭉치지않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로 배출시키는 음식물쓰레기 배출장치(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Food waste disposal unit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싱크대에 부착한 후 수평 및 수직 스크류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압착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스크류의 회전비를 이용하여 압착된 음식물 쓰레기를 장치의 하부와 상부로 배출함으로써,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줄이고,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칼날을 이용하여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퇴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식당 또는 식품가공공장(예 : 김치공장 등) 등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다른 쓰레기와 함께 버리고 있는 실정이며, 이는 쓰레기의 양적 팽창을 초래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많은 인력과 경비가 소비되며, 파리나 모기 등 해충의 서식처를 제공하고, 상기 음식물쓰레기는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장시간 동안 방치해 놓게 되면 악취가 발생하게 될 뿐 아니라, 쓰레기 집하장의 경우 다량의 오염물질이 나오게 되어 그 주변의 대기, 토양 및 하천 등을 오염시켜 환경을 파괴하는 원인이 되어 정부에서는 쓰레기분리수거 제도를 도입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일반쓰레기와 분리하여 수거 처리하고 있다.
따라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는 음식쓰레기 처리를 위해 매일 혹은 일정한 기간마다 쌓이게 되는 음식물쓰레기를 특정의 저장용기에 수집해야하며, 이렇게 수집된 음식물쓰레기는 특정의 날짜에 집 밖으로 내다 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86130호에는 싱크대 내부에 부착되고, 자외선과 오존을 이용하여 악취제거 및 살균이 되는 음식물 쓰레기통이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299595호에는 여과망통의 저면에 부착된 자성체와, 상기 여과통의 내부로 삽입되는 압착판의 상면에 마그네틱 홀더를 설치된 싱크대의 자력탈수 장치가 기술되어 있으며,
대한민국특허공보 공고번호 제 96-14859호에는 음식물을 미분쇄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유전가열장치가 설비된 처리실에 투입하여 전자파를 이용하여 가열 건조시키고 살균처리함으로써 가축사료로 사용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나,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가 복잡하고 장치가동비용이 고가이어서,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싱크대에 부착한 후수평 및 수직 스크류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압착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스크류의 회전비를 이용하여 압착된 음식물 쓰레기를 장치의 하부와 상부로 배출함으로써,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줄여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압착되어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칼날을 이용하여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퇴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관(110), 가로 압출관(120), 수분배출관(130), 세로 압출관(140), 음식물 쓰레기 포집관(150)을 포함한 본체(100); 상기 가로 압출관(120)에 삽입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1차로 압출하는 가로 압출장치(300); 상기 세로 압출관(140)에 삽입되어 2차로 압출하는 세로 압출장치(500);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 포집관(150) 하부에 구비되어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뭉치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장치(700)를 포함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포집관(150) 하부에는 포집통(160)이 형성되고, 상기 포집통(160)에는 상기 포집통(160)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관(170)이 형성되고, 상기 순환관(170)에는 상기 포집통(160)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770)이 형성되고, 상기 순환관(170)의 내부에는 상기 순환관(170)을 통과하는 공기에서 냄새를 제거하는 필터(75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가압, 분쇄, 배출하고자 할 때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고, 가압과정 중 수분이 배출되며, 가압, 분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포집할 수 있도록 다수의 관을 포함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관(110)은 싱크대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고, 상기 가로 압출관(120)은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관(110)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부에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1차로 가압되고, 상기 가로 압출관(120)의 일단에는 수분배출관(130)이 구비되어 역류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와 수분이 배출되고, 상기 세로 압출관(140)은 상기 가로 압출관(120)의 타단에 구비되며, 내부에서 1차로 가압된 상기 음식 물쓰레기를 2차로 가압하여 상부로 배출시키는 상기 세로 압출장치(500)가 삽입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포집관(150)은 상기 세로 압출관(140)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세로 압출장치(500)를 통하여 압축,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포집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포집관(150)의 일측에는 열풍공급관(151)이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고, 상기 포집통(160)에는 개폐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뚜껑(161)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 압출장치(300)는 상기 가로 압출관(110)내부에 삽입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1차로 가압하여 수평으로 이송시키는 제 1스크류(310), 상기 제 1스크류(310)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 1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330) 및 상기 제 1스크류(310)와 상기 모터(3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로 압출장치(300)가 가압할 때 역류되는 수분을 배출하는 제 1다수의 구멍(351)이 형성된 제 1배출블록(3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로 압출장치(500)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1차로 가압하는 상기 제 1스크류(310)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 1스크류(310)에 의해 가압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2차로 가압함과 동시 상부로 이송키는 제 2스크류(510), 상기 제 2스크류(51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로 압출장치(500)가 가압할 때 발생하는 수분을 배출하는 제 2다수의 구멍(521)이 형성된 제 2배출블록(520), 제 2스크류(510)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2스크류(510)를 회전시키는 제 2모터(540) 및 상기 제 2스크류(510)와 상기 제 2모터(540)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로 압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칼날(550)을 포함하여 상기 가로 압출장치(300)를 통하여 1차로 가압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2차로 가압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 배출장치(700)는 음식물 쓰레기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스크류(710), 상기 스크류(710)를 정역회전시키는 모터(730) 및 상기 포집통(160)의 배출구에 구비되어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망(740)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싱크대에 부착한 후수평 및 수직 스크류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압착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스크류의 회전비를 이용하여 압착된 음식물 쓰레기를 장치의 하부와 상부로 배출함으로써,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줄여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압착되어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칼날을 이용하여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친환경적인 퇴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음식물쓰레기를 친환경적인 퇴비로 사용함으로써 자연환경을 지킬 수 있은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 예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크게 음식물 쓰레기 투입관(110), 가로 압출관(120), 수분배출관(130), 세로 압출관(140),음식물 쓰레기 포집관(150)으로 이루어진 본체(100)와; 가로 압출관(120)에 삽입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1차로 압출하는 가로 압출장치(300)와; 세로 압출관(140)에 삽입되어 2차로 압출하는 세로 압출장치(500)와; 음식물 쓰레기 포집관(150) 하부에 구비되어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뭉치지않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로 배출시키는 음식물쓰레기 배출장치(700)로 구성된다.
본체(100)는 음식물쓰레기를 가압, 분쇄, 배출하고자 할 때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고, 가압과정 중 수분이 배출되며, 가압,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포집할 수 있도록 다수의 관으로 이루어진다.
좀더 자세히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음식물 쓰레기를 가압, 분쇄, 배출하고자 할 때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관(110)이 싱크대의 하부에 체결된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관(110)의 하부에는 가로 압출관(120)이 구비되는데, 가로 압출관(120)의 내부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1차로 가압하는 가로 압출장치(300)가 삽입된다.
그리고 가로 압출관(120)의 일단에는 하부로 역류된 음식물 쓰레기와 수분이 배출되는 수분배출관(130)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세로 압출관(140)이 구비되는데, 세로 압출관(140)에는 가로 압출관(120)의 내부에서 1차로 가압된 음식 물쓰레기를 2차로 가압하여 상부로 배출시키는 세로 압출장치(500)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세로 압출관(140)의 하단은 수분배출관(130)과 연결되어, 가로,세로 압출장치(300,500)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가압할 때 발생되는 수분이 배출되도록 하였다.
세로 압출관(140)은 가로 압출관(110)에서 가압된 음식물 쓰레기를 2차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는 세로 압출장치(500)가 삽입되어 있고, 외측으로는 가로 압출장치(300)를 통하여 압축,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포집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포집관(150)이 구비된다.
이때 음식물 쓰레기 포집관(150)의 일측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기 위하여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관(151)이 구비된다.
상기 가로 압출장치(300)는 본체(100)의 가로 압출관(110)내부에 삽입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1차로 가압하는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가압하여 우측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310)가 구비되고, 스크류(310)의 일단에는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330)가 구비된다.
이때 스크류(310)와 모터(330) 사이에는 가로 압출장치(300)로 가압할 때 역류되는 수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351)이 형성된 배출블록(35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세로 압출장치(500)는 가로 압출장치(300)를 통하여 1차로 가압된 음식물 쓰레기를 2차로 가압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1차로 가압하는 제 1스크류(310)의 일단에 제 1스크류(310)에 의해 가압된 음식물 쓰레기를 2차로 가압함과 동시 상부로 이송키는 제 2 스크류(51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제2 스크류(510)의 나사단은 상부로 갈 수로 간격이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량을 감소시켜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 스크류(510)의 하단에는 2차로 가압된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521)이 형성된 배출블록(520)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에는 제2 스크류(510)를 회전시키는 모터(540)가 제2 스크류(510)에 체결된다.
이때 제2 스크류(510)와 모터(540) 사이에는 상부로 압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함과 아울러 음식물 쓰레기 포집관(150)으로 배출시키는 분쇄칼날(550)이 구비된다.
음식물쓰레기 배출장치(700)는 음식물 쓰레기 포집관(150) 하부에 형성된 포집통(160)에 구비되어 분쇄칼날(550)을 통하여 분쇄 배출된 음식물쓰레기가 낙하하였을 때 쌓여 뭉치지않도록 하는 것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스크류(710)와 스크류를 정역회전시키는 모터(730)로 이루어진다.
일정의 음식물쓰레기가 포집되면 일측에 구비된 뚜껑(161)을 열고 음식물쓰레기를 외부로 배출하는데, 이때 배출구에는 파쇄망(740)이 구비되어 배출되는 과정에서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포집통(160)의 상부에는 순환관(170)이 형성되고 순환관(170)의 내부에는 필터(750)와 상부에는 팬(770)을 구비하여 포집통(160) 안쪽의 수증기 및 냄새를 빨아들여서 필터(750)를 통해서 깨끗한 공기를 다시 불어주므로 인해 건조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증대시키며 건조시 냄새 및 수증기를 밖으로 배출하지 않으므로 냄새가 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장치는 지존의 음식물 처리기에서 압축되어진 음식물 쓰레기를 들어오는대로 조금씩 이동시키면서 분쇄하여 건조시키면서 저장하는 장치로, 종래 제품들의 심각한 문제점들 중에 야채등은 압축분쇄 및 건조 시키는데 문제가 없지만 전분류(밥,라면,밀가루제품등)의 압축 및 건조할 때 포집되어지는 음식물쓰레기를 이동시키면서 건조시키므로 전분류가 저장돼면서 뭉치는 것을 방지하면서 들어오는 순서대로 열풍으로 건조시키며 건조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팬을 달아서 안쪽의 수증기 및 냄새를 빨아들여서 필터를 통해서 깨끗한 공기를 다시 불어주므로 인해 건조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증대시키며 건조시 냄새 및 수증기를 밖으로 배출하지 않으므로 냄새가 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본체 300 : 가로 압출장치
500 : 세로 압출장치 700 : 음식물쓰레기 배출장치

Claims (6)

  1. 음식물 쓰레기 투입관(110), 가로 압출관(120), 수분배출관(130), 세로 압출관(140), 음식물 쓰레기 포집관(150)을 포함한 본체(100);
    상기 가로 압출관(120)에 삽입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1차로 압출하는 가로 압출장치(300);
    상기 세로 압출관(140)에 삽입되어 2차로 압출하는 세로 압출장치(500);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 포집관(150) 하부에 구비되어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뭉치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장치(700)를 포함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포집관(150) 하부에는 포집통(160)이 형성되고,
    상기 포집통(160)에는 상기 포집통(160)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관(170)이 형성되고, 상기 순환관(170)에는 상기 포집통(160)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770)이 형성되고, 상기 순환관(170)의 내부에는 상기 순환관(170)을 통과하는 공기에서 냄새를 제거하는 필터(7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가압, 분쇄, 배출하고자 할 때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고, 가압과정 중 수분이 배출되며, 가압, 분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포집할 수 있도록 다수의 관을 포함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관(110)은 싱크대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고,
    상기 가로 압출관(120)은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관(110)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부에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1차로 가압되고,
    상기 가로 압출관(120)의 일단에는 수분배출관(130)이 구비되어 역류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와 수분이 배출되고,
    상기 세로 압출관(140)은 상기 가로 압출관(120)의 타단에 구비되며, 내부에서 1차로 가압된 상기 음식 물쓰레기를 2차로 가압하여 상부로 배출시키는 상기 세로 압출장치(500)가 삽입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포집관(150)은 상기 세로 압출관(140)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세로 압출장치(500)를 통하여 압축,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포집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포집관(150)의 일측에는 열풍공급관(151)이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고,
    상기 포집통(160)에는 개폐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뚜껑(161)이 결합되는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압출장치(300)는 상기 가로 압출관(110)내부에 삽입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1차로 가압하여 수평으로 이송시키는 제 1스크류(310), 상기 제 1스크류(310)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 1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330) 및 상기 제 1스크류(310)와 상기 모터(3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로 압출장치(300)가 가압할 때 역류되는 수분을 배출하는 제 1다수의 구멍(351)이 형성된 제 1배출블록(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압출장치(500)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1차로 가압하는 상기 제 1스크류(310)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 1스크류(310)에 의해 가압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2차로 가압함과 동시 상부로 이송키는 제 2스크류(510), 상기 제 2스크류(51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로 압출장치(500)가 가압할 때 발생하는 수분을 배출하는 제 2다수의 구멍(521)이 형성된 제 2배출블록(520), 제 2스크류(510)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2스크류(510)를 회전시키는 제 2모터(540) 및 상기 제 2스크류(510)와 상기 제 2모터(540)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로 압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칼날(550)을 포함하여 상기 가로 압출장치(300)를 통하여 1차로 가압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2차로 가압하여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배출장치(700)는 음식물 쓰레기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스크류(710), 상기 스크류(710)를 정역회전시키는 모터(730) 및 상기 포집통(160)의 배출구에 구비되어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망(7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삭제
KR1020120080754A 2012-07-24 2012-07-24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400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754A KR101400857B1 (ko) 2012-07-24 2012-07-24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754A KR101400857B1 (ko) 2012-07-24 2012-07-24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773A KR20140015773A (ko) 2014-02-07
KR101400857B1 true KR101400857B1 (ko) 2014-05-30

Family

ID=50265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754A KR101400857B1 (ko) 2012-07-24 2012-07-24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8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896B1 (ko) * 1999-03-05 2002-12-26 쿄코 타나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035153A (ko) * 2005-09-27 2007-03-30 강신봉 가정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 기계
KR20110008545A (ko) * 2009-07-20 2011-01-27 이한원 고성능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896B1 (ko) * 1999-03-05 2002-12-26 쿄코 타나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035153A (ko) * 2005-09-27 2007-03-30 강신봉 가정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 기계
KR20110008545A (ko) * 2009-07-20 2011-01-27 이한원 고성능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773A (ko) 201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44237A (zh) 一种餐厨垃圾处理方法及新型餐厨垃圾综合处理系统
KR10143802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41989A (ko) 음식물 및 하수 처리장치
CN210847609U (zh) 一种厨房垃圾专用处理设备
KR20140100823A (ko) 스크류 압축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CN202621542U (zh) 一种新型餐厨垃圾综合处理系统
KR10129000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8213047B (zh) 一种智能垃圾收集处理储存系统
KR10139949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308800B1 (ko) 압축탈수 기능이 향상된 음식물처리기
KR100753808B1 (ko) 음식물찌꺼기 건조 처리장치
KR101400857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19991A (ko) 음식물 쓰레기 종합 집합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188338B1 (ko) 음식물처리기의 압축탈수부재
KR101432666B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79764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N210253524U (zh) 一种干湿分离垃圾分类处理设备
CN213103735U (zh) 一种垃圾处理装置
KR10085360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7429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399421B1 (ko) 음식물 찌꺼기 자동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425758B1 (ko)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200397920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715273B1 (ko) 주택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1345231B1 (ko) 회수용 음식물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