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795B1 - Vehicle having the companion class - Google Patents

Vehicle having the companion cla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795B1
KR101400795B1 KR1020130163599A KR20130163599A KR101400795B1 KR 101400795 B1 KR101400795 B1 KR 101400795B1 KR 1020130163599 A KR1020130163599 A KR 1020130163599A KR 20130163599 A KR20130163599 A KR 20130163599A KR 101400795 B1 KR101400795 B1 KR 101400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space
trunk space
reflect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5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필웅
조필열
Original Assignee
조필열
조필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필열, 조필웅 filed Critical 조필열
Priority to KR1020130163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79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795B1/en
Priority to PCT/KR2014/011809 priority patent/WO201509931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05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for motor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Provided is a vehicle having a multipurpose trunk for a vehicle comprising a first transparent window formed at the rear side of a trunk door; a first reflector which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trunk door and which has a reflection side formed to be inclined to a virtual base line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inner side; a second reflector formed on the inner wall of a trunk space to reflect light reflected from the first reflector to the trunk; a second transparent window formed on a panda panel; a third reflector which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trunk door and which has a reflection side formed to be inclined to a virtual base line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cooling and heating part which is in connection with the trunk space to control temperature of the trunk space; and a camera part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runk space to obtain image information of the trunk space, thereby storing foods in the trunk space and raising pets and plants in the trunk space during driving, temporary residing, parking or stopping of the vehicle.

Description

다목적 트렁크를 포함하는 차량{Vehicle having the companion class}Vehicle having the companion class < RTI ID = 0.0 >

본 발명은 다목적 트렁크를 포함하는 차량과 다목적 화물칸을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트렁크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다목적 트렁크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전용 화물칸을 유용하게 활용하는 화물칸을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including a multi-purpose trunk and a vehicle including the multi-purpose cargo compart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including a cargo area.

통상적으로, 차량의 후방에는 물건들을 실을 수 있는 적재 공간을 가지는 트렁크 및 전용 화물칸을 포함한다. 차량의 후방 범퍼와 탐승 공간 사이에는 트렁크 도어로 덮이는 트렁크 공간이 형성되고, 차량의 탑승 공간과 분리된 전용 화물칸이 차량 후방에 있거나, 차량의 탑승 공간과 분리된 전용 화물칸이 차량 하방에 형성된 전용 화물칸을 포함한다. Typically, the rear of the vehicle includes a trunk and a dedicated luggage compartment having a loading space for loading objects. A trunk space covered with a trunk door is formed between the rear bumper of the vehicle and the exploration space, and a dedicated cargo space separate from the boarding space of the vehicle is located in the rear of the vehicle, or a dedicated cargo space separated from the boarding space of the vehicle is formed below the vehicle Includes a dedicated luggage compartment.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30840호(2009.03.25 공개,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서는 차량의 트렁크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본 문헌에서 기재하고 있는 트렁크 구조는 이러한 트렁크 공간을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상면부와 측면부를 구비하여 적재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구성을 기재하고 있으며, 전용 적재용 화물칸을 가지고 측면과 후방부를 가진 화물칸에 전부 또는 일부에 상면부 및 후방부를 구성시키고 적재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구성을 기재하고 있고, 차량 하부에 화물칸을 가지고 있는 차량에 있어서는 화물칸을 적정한 크기로 구획하여 적재 공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구성을 기재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030840 (published on March 25, 2009,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esent document") discloses a trunk structure of a vehicle. The trunk structure described in this document is intended to utilize such a trunk space for various purposes. Specifically, the trunk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top surface portion and a side surface portion so as to utilize the loading space in various way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in which a cargo compartment having a cargo compartment with a cargo compartment and a cargo compartment having a cargo compartment with a cargo compar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ways.

그러나 이러한 트렁크 구조나 전용화물칸의 구조는 트렁크 공간이나 전용 화물칸을 단순히 적재하기 위한 구조이다. 따라서, 차량에 화물이 없는 경우에는 트렁크 공간을 비워두거나 화물칸을 비워둔 채, 주행하기 때문에, 차량의 공간활용도 및 경제적, 정서적 수익 창출 측면에서 살펴보면 매우 비효율적인 구조일 수 밖에 없다.However, such a trunk structure or a structure of a dedicated luggage compartment is a structure for simply loading a trunk space or a dedicated luggage compartment. Therefore, when there is no cargo in the vehicle, the trunk space is left empty or the cargo space is left empty. Therefore, it is very inefficient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of the vehicle and economic and emotional profit generation.

특히, 최근의 차량의 구동원으로서 기존의 가솔린 엔진을 대신하여 전기를 사용하는 모터를 사용하는 차량이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통신장비와 전자장비가 차량에 장착되는 추세를 고려할 때, 차량이 단순히 사람이나 화물을 옮기는 수단이 아닌, 사용자나 탑승자의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서 역할이 커지고 있다.Particularly, in recent years, as a driving source of a vehicle,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vehicles using electric motors instead of conventional gasoline engines. Considering the trend that various communication equipments and electronic equipments are mounted on a vehicle, The role as a product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demands of the user and the passenger is increasing, not the means of moving the cargo.

이러한 차량의 역할을 감안할 때, 트렁크 공간이나 전용 화물칸을 단순히 화물 적재용으로만 사용하는 고정관념을 뛰어 넘어 차량의 이동성과 공간성을 활용하여 사용자나 탑승자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가치를 포함한 다목적 트렁크 및 화물칸에 대한 기술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Considering the role of such a vehicle, it is possible to use the mobility and space of the vehicle beyond the fixed idea of using the trunk space or the dedicated luggage compartment only for the cargo loading, and to incorporate new values that can accommodate various demands of the user and passengers It is urgent to develop technology for multi-purpose trunks and cargo space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30840호(2009.03.25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30840 (published on Mar. 25, 2009)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물을 적재하는 용도 이외에, 트렁크 공간 및 화물칸의 공간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트렁크 및 화물칸을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including a multi-purpose trunk and a cargo area which can use trunk space and space of a cargo space for various purposes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loading cargo .

구체적으로, 트렁크 공간이나 화물칸 공간에서 차량의 이동 및 주정차시에 반려 동물을 보호, 관찰하게 할 수 있고 식물을 키울 수 있는 다목적 트렁크 및 화물칸을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pecific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including a multi-purpose trunk and a cargo compartment which can protect and observe companion animals in a trunk space or a cargo compartment space at the time of vehicle movement and parking, and can raise plants.

또한, 트렁크 공간 및 화물칸 공간에 안전하고 쾌적한 공간을 구성하여 반려동물을 태우거나 임시 거주시킬 수 있으며, 어떠한 기후 지역이나 계절하에서도 장,단거리 차량 여행시나 이동시 필요에 의해 다목적 트렁크나 화물칸에 적재한 신선도 유지가 필요한 식품이나 중,장기 보관용으로 만들어진 식품들을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기간동안 부패나 산패, 동결을 방지할 수 있는 다목적 트렁크 및 다목적 화물칸을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afe and comfortable space in the trunk space and the cargo compartment space, so that the companion animal can be burned or temporarily occupied, and it can be stored in a multi-purpose trunk or a cargo compartment when traveling in any climate region or seas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including a multi-purpose trunk and a multi-purpose cargo compartment which can prevent foods that require freshness maintenance or foods made for medium or long-term storag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uch as corruption, rancidity and freezin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렁크도어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1 투명창과, 상기 트렁크도어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면에서 연장되는 제1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기준선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반사면을 구비한 제1 리플렉터와, 트렁크 공간의 안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빛을 상기 트렁크로 재반사하는 제2 리플렉터와, 상기 트렁크 도어의 양 측에 형성된 차량의 팬더패널(fender panel)에 형성되는 제2 투명창과, 상기 트렁크도어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기준선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반사면을 구비한 제3 리플렉터와, 상기 트렁크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트렁크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난방부 및 상기 트렁크 공간의 안벽에 형성되며 상기 트렁크 공간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다목적 트렁크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unk door comprising: a first transparent window formed on a rear surface of a trunk door; and a second transparent window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trunk door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reference line formed in a first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A second reflector formed on a sidewall of the trunk space and reflecting the light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or to the trunk, and a second reflecto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runk door, a third reflector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trunk door and having a reflection surface inclined at an imaginary reference line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cooling / heating unit communicating with the trunk space to regulate the temperature of the trunk space, and a cooling / heating unit disposed at the inner wall of the trunk space, It may provide a vehicle including a multi-purpose trunk including a camera for obtaining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렁크 공간의 안벽에 형성되어 상기 트렁크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측정부와, 상기 트렁크 공간의 안벽에 형성되어 상기 트렁크 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측정부와, 상기 트렁크 공간의 안벽에 형성되어 상기 트렁크 공간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기 및 상기 트렁크 공간의 안벽에 형성되며,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개폐되는 환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pparatus includes a temperature / humidity measuring unit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runk space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trunk space, a carbon dioxide measuring unit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runk space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trunk space, A water supply unit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runk space to supply moisture to the trunk space, and a ventilating unit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runk space and opened and closed to selectively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후방 범퍼 내부에 포함되는 에어백모듈을 포함하고, 에어백 쿠션이 전개시 파단되는 절개부가 상기 트렁크 공간 안벽에 형성되는 다목적 트렁크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airbag cushion includes an airbag module contained in the rear bumper of the vehicle, and may include a multipurpose trunk formed on the trunk space sidewall where the airbag cushion breaks upon deploy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렁크 도어 및 팬더패널에 각각 투명창을 형성하고, 투명창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트렁크 공간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포함함으로써, 차량의 트렁크 공간에서 식물을 키울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unk door and a panda panel are each formed with a transparent window, and a reflector that reflects the light coming in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to the trunk space,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raise plants in the trunk space of the vehicle Effect.

또한, 트렁크 공간의 온도,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트렁트 공간에서 반려 동물이 안전하게 지낼 수 있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트렁크 공간을 이루는 안벽 내측에 에어백 모듈을 포함하여 반려 동물의 안전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trunk space can be adjusted to provide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companion animal can safely stay in the trunk space. Particularly, the airbag module is incorporated inside the inner wall of the trunk space to provide an advantageous effect of enhancing safety of the companion anim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트렁크를 포함하는 차량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1 투명창을 통해 트렁크 공간에 들어오는 빛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2 투명창을 통해 트렁크 공간에 들어오는 빛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에어백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1 shows a vehicle including a multipurpose trun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path of light entering the trunk space through the first transparent window,
3 is a view showing the path of light entering the trunk space through the second transparent window,
4 is a view showing an airbag modu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화물 적재용도 이외에, 트렁트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트렁크를 포함하는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제1 투명창을 통해 트렁크 공간에 들어오는 빛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제2 투명창을 통해 트렁크 공간에 들어오는 빛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the trunk space in addition to the cargo loading application. FIG. 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including a multipurpose trun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path of light entering a trunk space through a first transparent window, FIG. 3 2 is a view showing the path of light entering the trunk space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s including ordinal, such as second, first,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도 1 내지 도 3을 병행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트렁크를 포함하는 차량(1)은 제1 투명창(110)과, 제1 리플렉터(120)와, 제2 리플렉터(130)와, 제2 투명창(140)과, 제3 리플렉터(150)와, 냉난방부(160)와, 카메라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a vehicle 1 including a multi-purpose trun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ransparent window 110, a first reflector 120, a second reflector 120, 130, a second transparent window 140, a third reflector 150, a cooling / heating unit 160, and a camera unit 170.

여기서, 제1 투명창(110)과 제2 투명창(140)은 차량(1)의 트렁크 도어(10)에 형성되며, 제1 리플렉터(120), 제2 리플렉터(130) 및 제3 리플렉터(150)는 트렁크 도어(10)의 내측면과 트렁크 공간의 안벽에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transparent window 110 and the second transparent window 140 are formed in the trunk door 10 of the vehicle 1, and the first reflector 120, the second reflector 130, and the third reflector 140 15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unk door 10 and the inner wall of the trunk space.

먼저, 제1 투명창(110)은 트렁크 도어(10)의 후면(11)에 형성될 수 있다. 차량(1)의 폭 방향을 기준할 때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투명창(110)은 차량(1)의 후방에서 들어오는 빛을 트렁크 공간(T)으로 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투명창(110)의 테두리와 트렁크 도어(10) 사이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는 완충재가 삽입될 수 있다. 완충재는 트렁크 도어(10)를 여닫는 과정에서 제1 투명창(1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First, the first transparent window 110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11 of the trunk door 10. And may be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1. [ The first transparent window 110 serves to transmit the light coming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1 to the trunk space T. [ A cushioning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may be inserted between the rim of the first transparent window 110 and the trunk door 10. The cushioning material serves to prevent the first transparent window 110 from being damaged in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trunk door 10.

한편, 제1 투명창(110)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투명창(110)은 트렁크 도어(10)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transparent window 110 may be formed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t this time, the first transparent window 110 may be formed to be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unk door 10.

제1 리플렉터(120)는 트렁크 도어(10)의 상면(12)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제1 투명창(110)로부터 입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 리플렉터(120)의 반사면(121)은 트렁크 도어(10)의 상면(12)의 내측면(12a)에서 연장 형성되는 가상의 기준선(C1)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반사된 빛이 트렁크 공간(T)을 향하게 한다.
The first reflector 12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12 of the trunk door 10 and reflects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transparent window 110. The reflecting surface 121 of the first reflector 12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a virtual reference line C1 extending from the inner side surface 12a of the upper surface 12 of the trunk door 10, The light is directed towards the trunk space (T).

제2 리플렉터(130) 제1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된 빛을 재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트렁크 공간에 놓이거나 식재된 화분에 빛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2 리플렉터(130)는 트렁크 도어(10)의 안벽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렁크 공간(T)의 안쪽에 위치한 트렁크 공간(T)과 탑승 공간을 구획하는 벽 앞에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reflector 130 serves to reflect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first reflector 120 again. This is to place light in the trunk space or to transmit the light more effectively to planted pots. The second reflector 130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runk door 10. Specifically, it may be formed in front of a wall partitioning a trunk space T and a boarding space located inside the trunk space T.

제2 투명창(140)은 트렁크 도어(10)의 양 측에 형성된 팬더패널(fender panel)(2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투명창(140)은 차량(1)의 측면에서 들어오는 빛을 트렁크 공간으로 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2 투명창(140)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투명창(140)은 차량(1)의 길이 방향(도면의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transparent window 140 may be formed on a fender panel 2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runk door 10. The second transparent window 140 serves to transmit the light coming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1 to the trunk space. The second transparent window 140 may be form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1 (y-axis direction in the drawing).

제3 리플렉터(150)는 트렁크 도어(10)의 상면(12)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제2 투명창(140)로부터 입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3 리플렉터(150)의 반사면(151)은 트렁크 도어(10)의 상면(12)의 내측면(12a)에서 차량의 폭 방향(도 3의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상의 기준선(C2)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반사된 빛이 트렁크 공간(T)을 향하게 한다. 이때, 가상의 기준선(C2)은 제1 리플렉터(120)의 반사면을 설명하면서 예시한 가상의 기준선(C1)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third reflector 15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12 of the trunk door 10 and reflects light incident from the second transparent window 140. At this time, the reflecting surface 151 of the third reflector 150 protrudes from the inner side surface 12a of the upper surface 12 of the trunk door 10 in a virtual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ing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C2), so that the reflected light is directed to the trunk space (T). At this time, the imaginary reference line C2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imaginary reference line C1, which is illustrated while describing the reflection surface of the first reflector 120. [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투명창(110)을 투과한 빛(L1)은 제1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되고, 반사된 빛은 제2 리플렉터(130)에서 재 반사되어 트렁크 공간(T)에 놓인 화분에 빛을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제1 투명창(110)을 투과한 빛(L2)은 제1 리플렉터(120)에서 반사되어 직접 트렁크 공간(T)에 놓인 화분에 빛을 전달 할 수 있다.
2, the light L1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transparent window 110 is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or 120, and the reflected light is reflected again by the second reflector 130, T). Or the light L2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transparent window 110 may be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or 120 and may transmit light directly to the flower pot placed in the trunk space T. [

한편, 제1 투명창(110) 및 제2 투명창(140)에는 개폐 가능한 스크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구비되어 트렁크 공간(T)으로 입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트렁크 공간(T)과 탑승 공간을 안벽은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transparent window 110 and the second transparent window 140 are provided with a screen capable of being opened and closed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same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trunk space T. [ In addition, the trunk space T and the boarding space can be formed so that the inner wall can be opened and closed.

냉난방부(160)는 트렁크 공간(T)과 연통되어 트렁크 공간(T)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카메라부(170)는 트렁크 공간(T)의 안벽에 형성되어 트렁크 공간(T)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트렁크 공간(T)의 안벽에는 트렁크 공간(T)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측정부(18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트렁크 공간(T)의 안벽에는 트렁크 공간(T)의 안벽에 형성되어 트렁크 공간(T)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측정부(190)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oling / heating unit 160 communicates with the trunk space T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trunk space T. The camera unit 170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runk space T to acquire image information of the trunk space T. [ A temperature and humidity measuring unit 180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trunk space T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runk space T. [ The carbon dioxide measuring unit 190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runk space T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trunk space T. The carbon dioxide measuring unit 190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runk space T,

한편, 트렁크 공간(T)의 안벽에는 트렁크(T) 공간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기(2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트렁크 공간(T)의 안벽에 형성되며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개폐되는 환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water supply unit 210 for supplying moisture to the trunk space T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runk space T. The water supply unit 210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runk space T, (220). ≪ / RTI >

냉난방부(160), 카메라부(170), 온습도 측정부(180), 이산화탄소 측정부(190), 수분공급기(210) 및 환기부(220)는 차량의 ECU에 연결될 수 있다. ECU는 냉난방부(160), 카메라부(170), 온습도 측정부(180), 이산화탄소 측정부(190), 수분공급기(210) 및 환기부(220) 등을 제어하여, 트렁크 공간(T)의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식물이 잘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한다. 또한, 트렁크 공간(T)에서 반려 동물이 안락하게 지낼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한다.The cooling / heating unit 160, the camera unit 170, the temperature / humidity measuring unit 180, the carbon dioxide measuring unit 190, the moisture supplier 210, and the ventilator 220 may be connected to the ECU of the vehicle. The ECU controls the cooling / heating unit 160, the camera unit 170, the temperature / humidity measurement unit 180, the carbon dioxide measurement unit 190, the water supply unit 210, and the ventilation unit 220,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he plant can grow well. In addition, it implement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companion animal can comfortably stay in the trunk space (T).

여기서, 냉난방부(160)는 찬 공기 또는 따뜻한 공기를 송출하는 벤틸레이션을 포함하고, 벤틸레이션에서 송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트렁크 공간(T)과 연통되는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oling / heating unit 160 includes a ventilation system for ventilating cold air or warm air, and may include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to be ventilated, and a piping communicating with the trunk space T have.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센터페시아에 형성된 터치 패널을 통해 트렁크 공간(T)의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ECU는 설정된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냉난방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driver or passenger can set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trunk space T through the touch panel formed on the center fascia and the ECU can control the cooling and heating unit 160 to reach the set target temperature.

도 4는 에어백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 airbag module.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범퍼(30) 내부에 에어백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백 쿠션이 전개시 파단되는 절개부(31)가 트렁크 공간(T)의 안벽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트렁크 공간(T)에 있는 반려 동물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As shown in FIG. 4, the rear bumper 30 may include an airbag module 230 therein. The cutout 31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runk space T when the airbag cushion is deployed. This is to increase the safety of companion animals in the trunk space (T).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렁크 공간(T)의 안벽에는 소리를 출력하거나 모으는 스피커(240)가 형성될 수 있다.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과 연결되는 스피커(240)를 통해 운전자 또는 동승자는 트렁크 공간(T) 안에 있는 반려 동물의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된다. 스피커(240)에는 통신모듈이 부가되어 스마트폰이나 블루통신을 통해 트렁크 공간(T) 안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 loudspeaker 240 for outputting sound or collecting sound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runk space T. The driver or the passenger can hear the companion animal in the trunk space T through the speaker 240 connected to the audio system of the vehicle. A communication module is added to the speaker 240 so that a sound generated in the trunk space T can be heard through a smart phone or a blue communication.

한편, 카메라부(170)는 획득한 트렁크 공간(T)의 영상 정보를 차량의 ECU에 전송하고 전송한 ECU는 센타페시아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네비게이션 패널을 통해 탑승자나 운전자는 트렁크 공간(T)의 현재 영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카메라부(170)에는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스마트폰이나 패드를 통해서 트렁크 공간(T)의 현재 영상을 확인할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amera unit 170 transmits video information of the obtained trunk space T to the ECU of the vehicle, and the ECU which transmits the information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trunk space T through the display panel or the navigation panel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The current image can be confirmed. Alternatively, the camera module 170 may b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to check the current image of the trunk space T through the user's smartphone or pad.

한편, 트렁크 공간의 안벽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 및 조도 변환되는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렁크의 개구부에 차량 강도 보강 및 도난 방지를 위한 철망(세목 스크린)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센서 및 카메라부(170)에는 반려 동물들의 습성에 따른 행위(?거나 긁어대는 행위)로 인하여 기기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투명 또는 반투명의 보호 안전 덮개가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may include illumination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runk space and lighted or turned off and illuminated by a user's operation. Further, a wire net (refractory screen) for reinforcing the vehicle strength and preventing theft can be installed in the opening of the trunk. In addition, the various sensors and the camera unit 170 may be provided with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protective safety cover for preventing the devices from being damaged due to the behavior (or scratching) of the companion animals.

또한, 버스 또는 픽업트럭의 경우, 외부 시건 장치 부착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 bus or a pickup truck, an external locking device may be attached.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트렁크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Hereinafter, a vehicle including a multipurpose trunk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투명창
120: 제1 리플렉터
130: 제2 리플렉터
140: 제1 투명창
150: 제3 리플렉터
160: 냉난방부
170: 카메라부
180: 온습도 측정부
190: 이산화탄소 측정부
210: 수분공급기
220: 환기부
230: 에어백모듈
240: 스피커
110: Transparent window
120: first reflector
130: Second reflector
140: 1st transparent window
150: Third reflector
160: Heating /
170:
180: Temperature and humidity measuring unit
190: Carbon dioxide measurement unit
210: moisture supplier
220: Ventilation part
230: airbag module
240: Speaker

Claims (4)

트렁크도어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1 투명창;
상기 트렁크도어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면에서 연장되는 제1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기준선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반사면을 구비한 제1 리플렉터;
트렁크 공간의 안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빛을 상기 트렁크로 재반사하는 제2 리플렉터;
상기 트렁크 도어의 양 측에 형성된 차량의 팬더패널(fender panel)에 형성되는 제2 투명창;
상기 트렁크도어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기준선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반사면을 구비한 제3 리플렉터;
상기 트렁크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트렁크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난방부;및
상기 트렁크 공간의 안벽에 형성되며 상기 트렁크 공간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를 포함하는 다목적 트렁크를 포함하는 차량.
A first transparent window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trunk door;
A first reflector having a reflective surfac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trunk door and formed to be inclined at a virtual reference line formed in a first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A second reflector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runk space and reflect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first reflector to the trunk;
A second transparent window formed on a fender panel of a vehic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runk door;
A third reflector having a reflecting surfac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trunk door and inclined at an imaginary reference line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 air conditioning unit communicating with the trunk space to adjust a temperature of the trunk space;
A camera unit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runk space and acquiring image information of the trunk space;
And a multi-purpose trun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공간의 안벽에 형성되어 상기 트렁크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측정부;
상기 트렁크 공간의 안벽에 형성되어 상기 트렁크 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측정부;
상기 트렁크 공간의 안벽에 형성되어 상기 트렁크 공간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기;및
상기 트렁크 공간의 안벽에 형성되며,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개폐되는 환기부
를 포함하는 다목적 트렁크를 포함하는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emperature and humidity measuring unit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runk space to measur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trunk space;
A carbon dioxide measuring unit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trunk space and measuring a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trunk space;
A moisture supplier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runk space to supply moisture to the trunk space;
A ventilation part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runk space and opened / closed to selectively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a multi-purpose trunk.
제2 항에 있어서,
차량의 후방 범퍼 내부에 포함되는 에어백모듈을 포함하고, 에어백 쿠션이 전개시 파단되는 절개부가 상기 트렁크 공간 안벽에 형성되는 다목적 트렁크를 포함하는 차량.
3. The method of claim 2,
A vehicle comprising a multi-purpose trunk including an airbag module contained within a rear bumper of a vehicle, wherein a cutout is formed in the trunk space sidewall from which the airbag cushion breaks upon deploymen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공간의 안벽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 및 조도 변환되는 조명을 포함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3,
And light that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runk space and is turned on or off and illuminated by a user's operation.
KR1020130163599A 2013-12-26 2013-12-26 Vehicle having the companion class KR1014007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599A KR101400795B1 (en) 2013-12-26 2013-12-26 Vehicle having the companion class
PCT/KR2014/011809 WO2015099311A1 (en) 2013-12-26 2014-12-04 Vehicle including multipurpose tru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599A KR101400795B1 (en) 2013-12-26 2013-12-26 Vehicle having the companion cla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795B1 true KR101400795B1 (en) 2014-05-29

Family

ID=50895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599A KR101400795B1 (en) 2013-12-26 2013-12-26 Vehicle having the companion clas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00795B1 (en)
WO (1) WO2015099311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977A (en) * 2019-04-05 2020-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status management apparatus and meht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9241B1 (en) 1996-12-10 1999-09-01 정몽규 Collision protection device
JP2001138796A (en) 1999-11-11 2001-05-22 Im Doboku Sekkei:Kk Private car for pet dog
KR20090010077U (en) * 2008-03-31 2009-10-06 주식회사 화인특장 Stackable Cattle Transport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641U (en) * 1992-11-28 1994-06-14 豊 廣野 Vehicle emergency displ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9241B1 (en) 1996-12-10 1999-09-01 정몽규 Collision protection device
JP2001138796A (en) 1999-11-11 2001-05-22 Im Doboku Sekkei:Kk Private car for pet dog
KR20090010077U (en) * 2008-03-31 2009-10-06 주식회사 화인특장 Stackable Cattle Transport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977A (en) * 2019-04-05 2020-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status management apparatus and mehtod
KR102645054B1 (en) * 2019-04-05 2024-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status management apparatus and meht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99311A1 (en)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6695B2 (en) Small storage pockets for a vehicle seat assembly
KR200488801Y1 (en) Module mounted type bag for carrying pet
CN107757729B (en) Device and method for subdividing a cab and/or a storage space, in particular of a vehicle, into a plurality of sub-sections
CN102582433B (en) Driver assistance system, automobile and the method being used for running driver assistance system
KR102577010B1 (en) Roof module comprising a sensor system and a roof opening system and/or solid roof elements for autonomous or semi-autonomous driving of a vehicle
US4633767A (en) Modular ventilation system for vehicles
CN208393051U (en) Electronic systems center
US20180186221A1 (en) Tonneau cover
US10252667B2 (en) Vehicle trim assembly comprising a storage compartment and a shutter
CN106255618A (en) There is the motor vehicles of the rear-view mirror device without rearview mirror
CN106027590B (en) The method and system using remote sensor data for vehicle
US8051904B1 (en) Vehicular temperature control device
KR101400795B1 (en) Vehicle having the companion class
US20230039653A1 (en) Modular Motor Vehicle Architecture
IT1319450B1 (en) CENTRAL STORAGE UNIT WITH VEHICLE VENTILATED STORAGE COMPARTMENT.
US7699375B2 (en) Glove compartment for a motor vehicle
JP5581744B2 (en) Vehicle power supply arrangement structure
US9315221B1 (en) Multi-purpose tailgate
GB2451126A (en) Vehicle with retractable cargo compartment
US20220080062A1 (en) Sanitizing sunshade
CN211107228U (en) A casing, annex and on-vehicle camera for annex
KR20200000039A (en) portable cage
KR20160058665A (en) Heating tent for sleep space of truck
US9789822B2 (en) Mirror controller unit for emergency vehicle warning devices
KR20190014831A (en) Inside the car Life pro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