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556B1 - Progressive lens having bi-aspherical surface - Google Patents
Progressive lens having bi-aspherical surfa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0556B1 KR101400556B1 KR1020110014309A KR20110014309A KR101400556B1 KR 101400556 B1 KR101400556 B1 KR 101400556B1 KR 1020110014309 A KR1020110014309 A KR 1020110014309A KR 20110014309 A KR20110014309 A KR 20110014309A KR 101400556 B1 KR101400556 B1 KR 1014005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progressive
- refractive
- lens
- refractive pow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진 굴절력 렌즈 전반에서 상의 비점수차를 적게 하며, 누진 굴절력 렌즈의 원용부와 근용부를 잇는 중간부에서 착용자가 보다 편리함을 느끼는 양면 누진 굴절력 렌즈를 제공한다.
원용부 도수 측정위치를 F 이라 하고, 근용부 도수 측정위치를 N 이라 하고, 볼록한 표면의 제 1 굴절 표면에서 원용도수 측정위치를 F1 이라 하고, 근용도수 측정위치를 N1 이라 하며, 오목한 표면의 제 2 굴절 표면에서 원용도수 측정위치를 F2 이라 하고, 근용도수 측정위치를 N2 이라 할 때, 각 위치에서의 수직 표면 굴절력을 각각 DFV1, DNV1, DFV2, DNV2 라 하며, 각 위치에서의 수평 표면 굴절력을 각각 DFH1, DNH1, DFH2, DNH2 라 할 때,
제 1 굴절 표면에서의 표면 굴절력은 DFV1 = DFH1 < DNV1 = DNH1,
또한 제 2 굴절 표면에서의 표면 굴절력은 -DFV2 < -DNV2을 만족시키거나,
제 1 굴절 표면에서의 표면 굴절력은 DFV1 = DFH1 > DNV1 = DNH1,
또한 제 2 굴절 표면에서의 표면 굴절력은 - DFV2 > -DNV2을 만족시키거나,
DFV1 = DFH1 및 DNV1 = DNH1,
또한 DNV1 - DFV1 > -DNV2 + DFV2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uble-side progressive-power lens which reduces the astigmatism of the image in the entire front side of the progressive-power lens and feels more convenient for the wearer in the middle portion connecting the distal portion and the near portion of the progressive-power lens.
The distance measurement point for the distance portion is F and the measurement position for the near portion diopter is N, the position for measuring the distance from the first refracting surface on the convex surface is F1, the position for measuring the number of myopia is N1, The vertical surface refractive power at each position is denoted by DFV1, DNV1, DFV2, and DNV2, respectively, and the vertical surface refractive power at each position is denoted by D2, When the horizontal surface power is DFH1, DNH1, DFH2, and DNH2, respectively,
The surface refractive power at the first refractive surface is DFV1 = DFH1 < DNV1 = DNH1,
Also, the surface refractive power at the second refractive surface satisfies -DFV2 < -DNV2,
The surface refractive power at the first refractive surface is DFV1 = DFH1 > DNV1 = DNH1,
Also, the surface refractive power at the second refractive surface satisfies - DFV2 > -DNV2,
DFV1 = DFH1 and DNV1 = DNH1,
And also satisfies DNV1 - DFV1> - DNV2 + DFV2.
Description
본 발명은 누진 안경 렌즈로서 사용되는 렌즈로서, 볼록한 표면인, 제 1 굴절 표면에서 또는, 오목한 표면인, 제 2 굴절 표면에서 누진 표면 굴절력이 생성되어 있고, 그 반대 표면에 의하여 원용도수와 부가도수(ADD)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는 양면 비구면형 누진 렌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used as a progressive spectacle lens, in which progressive surface power is generated at a first refraction surface, which is a convex surface, or at a second refraction surface, which is a concave surface, And a dioptric power (ADD).
누진 굴절력 다초점 렌즈(이하 '누진 렌즈'라 한다)는 노안 시력 보정용 렌즈로 원거리부터 근거리까지 연속되는 가시영역을 갖고 있으며, 외관상 경계선이 없어 노안 시력 보정용 렌즈로 보이지 않는 이점을 지니고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The progressive-power multifocal le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ogressive lens) is a lens for presbyopia and is widely used because it has a visible range continuous from a long distance to a near range and has no advantageous appearance as a lens for vision correction have.
누진 렌즈는 도 1에서와 같이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먼 곳을 보는 원용부(1), 가까운 곳을 보는 근용부(3), 그 중간을 보는 중간부(2)이다. 중간부의 길이는 주경선(M) 위에서 원용부 하단부터 근용부 상단까지를 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그 각 부분을 정확히 나눌 수 있는 경계선이 없기에, 각 부분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도 힘들다.
The progressive lens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as shown in Fig. 1, which is a
그래서 누진 렌즈에 지워지는 잉크를 이용하여 원용부 굴절력 측정위치와 근용부 굴절력 측정위치 및 안경테 조립을 위한 기타 조건을 인쇄하여 안경점에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인쇄상태를 기준으로 중간부의 길이를 측정할 수도 있다.
Therefore, it is common to use the ink that is erased on the progressive lens to print the far-field power measurement position, the near-field power measurement position, and other conditions for assembling the spectacle frame, and is provided to the optician. The length of the intermediate portion may be measured based on this printing state.
또는, 주경선 위에서 그 경계를 확인할 수 있다. 주경선은 여러 반경을 갖는 원들의 끊어지거나 꺾임이 없이, 또한 비점수차 없이 이어지는 부드럽게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원용부, 중간부, 근용부를 가로지른다. 단 오목면의 주경선은 처방에 따라 비점수차가 있을 수 있다. 도 2는 주경선이 중간부를 지나며 중심선을 벗어나 휘어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것은 근용부를 이용할 때, 시선이 모임을 감안한 것으로 코 쪽 방향으로 휘어진다. F는 원용부 도수 측정 위치를 나타내며, N은 근용부 도수 측정 위치를 나타낸다.
Alternatively, the boundary can be identified on the main meridian. The primary meridian is a smooth curved line that does not break or bend into circles with multiple radii, but without astigmatism, and traverses the distant, middle, and nearest parts. The main meridian of the concave surface may have astigmatism depending on the prescription. Fig. 2 shows that the main meridian passes through the middle portion and bends out of the center line. When the near portion is used, the line of sight is bent toward the nose in consideration of the gathering. F represents the position of the far-site frequency measurement, and N represents the near-field frequency measurement position.
볼록면인, 제 1 굴절 표면에서 누진 굴절력을 보일 때, 주경선(M)을 이루는 선에 접하는 반경(R)의 변화를 도 3a는 도시하고 있는데, R1은 원용부(1) 주경선 위 임의의 점에서의 반경, R2는 중간부(2) 주경선 위 임의의 점에서의 반경, R3은 근용부(3) 주경선 위 임의의 점에서의 반경을 나타내며, 원용부부터 근용부로의 반경이 줄어듬을 알 수 있다.
3A shows the change of the radius R in contact with the line constituting the main meridian M when the progressive power is seen on the first refracting surface which is a convex surface. (2) a radius at any arbitrary point on the median (2) circumference line, and R3 a radius at any arbitrary point on the near meridian (3), and the radius from the distant portion to the near portion You can see the reduction.
도 3b는 오목면인, 제 2 굴절 표면에서 누진 굴절력을 보일 때, 주경선(M)을 이루는 선에 접하는 반경(R)의 변화를 도시한 것으로, R1은 원용부(1) 주경선 위 임의의 점에서의 반경, R2는 중간부(2) 주경선 위 임의의 점에서의 반경, R3은 근용부(3) 주경선 위 임의의 점에서의 반경을 나타내며, 원용부부터 근용부로의 반경이 커짐을 알 수 있다.
FIG. 3B shows a change in radius R in contact with a line forming the main meridian M when the progressive power is seen at the second refracting surface, which is a concave surface. (2) a radius at any arbitrary point on the median (2) circumference line, and R3 a radius at any arbitrary point on the near meridian (3), and the radius from the distant portion to the near portion .
반경(R)은 곡률(C)로 표현되기도 하는데, 곡률은 반경과 다음의 관계를 갖고, 볼록면의 곡률은 (+)로 표시하며, 오목면의 곡률은 (-)로 표시한다.The radius R may be expressed by the curvature C, where the curvature has the following relationship with the radius, the curvature of the convex surface is represented by (+), and the curvature of the concave surface is represented by (-).
또한, 곡률은 표면 굴절력(D)을 표현하는데 이용되며, 볼록면의 표면 굴절력은 (+)로 표시하며, 오목면의 표면 굴절력은 (-)로 표시한다.Further, the curvature is used to express the surface refractive power (D), the surface refractive power of the convex surface is represented by (+), and the surface refractive power of the concave surface is represented by (-).
D = C x (n-1) D = C x (n-1)
n 은 물질의 굴절률이다.
n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aterial.
그리고, 렌즈의 도수는 볼록면의 표면 굴절력과 오목면의 표면 굴절력의 합이다.
The dioptric power of the lens is the sum of the surface refractive power of the convex surface and the surface refractive power of the concave surface.
볼록면인, 제 1 굴절 표면에서 누진 표면 굴절력을 갖는 경우(이하 '볼록면 누진'이라 한다)를 도 4a에서 도시하였는데, 전형적인 볼록면 누진 렌즈의 한 예다. 볼록면 위의 주경선을 따라서 보이는 볼록 표면 수직 굴절력(Dm1)과 오목면 위의 주경선을 따라 보이는 오목 표면 수직 굴절력(Dm2)을 보여준다. 볼록 표면 수직 굴절력(Dm1)은 원용부(1)에서 일정한 값을 갖고, 중간부(2)에서 근용부 방향으로 굴절력이 점점 변화하며, 근용부(3)에서 일정한 값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4A shows an example of a typical convex surface progressive lens having a progressive surface refractive pow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 convex surface progression ") on the first refractive surface, which is a convex surface. The convex surface vertical power (Dm1) along the main meridian on the convex surface and the concave surface vertical power (Dm2) along the main meridian on the concave surface are shown. The convex surface vertical power Dm1 has a constant value in the distance-
오목면인, 제 2 굴절 표면에서 누진 표면 굴절력을 갖는 경우(이하 '오목면 누진'이라 한다)를 도 4b에서 도시하였는데, 전형적인 오목면 누진 렌즈의 한 예다. 볼록면 위의 주경선을 따라서 보이는 볼록 표면 수직 굴절력(Dm1)과 오목면 위의 주경선을 따라 보이는 오목 표면 수직 굴절력(Dm2)을 보여준다. 오목 표면 수직 굴절력(Dm2)은 원용부(1)에서 일정한 값을 갖고, 중간부(2)에서 근용부 방향으로 굴절력이 점점 변화하며, 근용부(3)에서 일정한 값을 갖는다.
4B shows a case of a concave surface progressive lens having a progressive surface pow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 concave surface progression "), which is a concave surface, as an example of a typical concave progressive lens. The convex surface vertical power (Dm1) along the main meridian on the convex surface and the concave surface vertical power (Dm2) along the main meridian on the concave surface are shown. The concave surface vertical refractive power Dm2 has a constant value in the far-
도 5는 누진 렌즈의 주경선(M) 위에서 원용부 도수 측정 위치(F)에서 볼록면의 원용부 수직 표면 굴절력(DFV1)과 원용부 수평 표면 굴절력(DFH1), 그리고 근용부 도수측정 위치(N)에서 볼록면의 근용부 수직 표면 굴절력(DNV1)과 근용부 수평 표면 굴절력(DNH1)을 보여 준다.
5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ance portion vertical surface power (DFV1), the distance portion horizontal surface power (DFH1), and the near portion refractive power (DFH1) at the distal portion diopter measurement position (F) (DNV1) and the near horizontal surface power (DNH1) of the convex surface.
도 6은 누진 렌즈에서 볼록면인, 제 1 굴절 표면에서의 원용부 도수측정 위치(F1)에서의 원용부 수직 표면 굴절력(DFV1)과 원용부 수평 표면 굴절력(DFH1), 그리고 근용부 도수 측정 위치(N1)에서의 근용부 수직 표면 굴절력(DNV1)과 근용부 수평 표면 굴절력(DNH1)을 보여주며, 6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ant vertical surface power (DFV1), the distant portion horizontal surface power (DFH1), and the near portion dioptric power (DFV1) at the distant dioptric power measuring position F1 at the first refractive surface, (DNV1) and the near horizontal surface power (DNH1) at the point N1,
또한 오목면인, 제 2 굴절 표면에서의 원용부 도수 측정 위치(F2)에서의 원용부 수직 표면 굴절력(DFV2)과 원용부 수평 표면 굴절력(DFH2), 그리고 근용부 도수측정 위치(N2)에서의 근용부 수직 표면 굴절력(DNV2)과 근용부 수평 표면 굴절력(DNH2)을 보여 준다.The distance DFV2 of the far-site vertical surface power DFV2, the distance HF2 of the far-site use surface DFH2, and the near-field diopter measurement position N2 in the second dioptric surface, which is the concave surface, The near surface vertical surface power (DNV2) and the near horizontal surface power (DNH2) are shown.
종래의 누진 렌즈는 도 4a와 같이 볼록면인, 제 1 굴절 표면의 주경선 위에서 누진 굴절력이 생성되거나, 도 4b와 같이 오목면인, 제 2 굴절 표면의 주경선 위에서 누진 굴절력이 생성될 때, 렌즈 전반에 걸친 바람직하지 않은 비점수차가 생성된다. 그래서, 이 비점수차를 제거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사용되어왔다.
When the progressive power is generated on the principal meridian of the first refracting surface, which is a convex surface as shown in Fig. 4A, or when the progressive refracting power is generated on the principal meridian of the second refracting surface, which is concave as shown in Fig. 4B, Undesired astigmatism across the lens is created. Thus, several methods have been used to eliminate this astigmatism.
또한 종래의 누진 렌즈는 일반적으로 도 4a처럼 볼록면 누진 렌즈에서 볼록면의 중간부 주경선에서 수직 표면 굴절력(Dm1)이 산술급수적으로 증가되도록 설계한다. 예를 들어, 볼록면 원용부 표면 굴절력 +4.00에서 근용부 표면 굴절력 +6.00으로 산술급수적으로 증가되도록 한다. 반면, 오목면은 원용부 측정 위치부터 주경선을 따라서 근용부 측정 위치까지 표면 수직 굴절력(Dm2)은 같다. 따라서 렌즈의 도수는 원용부에서 근용부로 더 높아진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rogressive lens is generally designed such that the vertical surface power Dm1 is increased in an arithmetic series in the convex surface progressive center line of the convex surface progressive lens as shown in FIG. 4A. For example, it is arithmetically increased from +4.00 for the convex surface to +6.00 for the near-surface surface power. On the other hand, the concave surface has the same surface vertical power (Dm2) from the measurement position of the distance portion to the measurement position of the near por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ce. Therefore, the dioptric power of the lens becomes higher from the far-field portion to the near-field portion.
마찬가지로, 도 4b처럼 오목면 누진 렌즈에서 오목면 중간부 주경선에서 수직 표면 굴절력(Dm2)이 산술급수적으로 증가되도록 설계한다. 예를 들어, 오목면 원용부 표면 굴절력 -4.00에서 근용부 표면 굴절력 -2.00으로 산술급수적으로 증가되도록 한다. 반면, 볼록면은 원용부 측정 위치부터 주경선을 따라서 근용부 측정부분까지 수직 표면 굴절력(Dm1)은 같다. 따라서 렌즈의 도수는 원용부에서 근용부로 더 높아지게 된다.
Likewise, in the concave surface progressive lens as shown in FIG. 4B, the vertical surface refractive power (Dm2) is designed to increase arithmetically in the circumferential center line of the concave surface. For example, let the arithmetic mean increase from -4.00 for the concave surface power to -2.00 for the near-surface power. On the other hand, the convex surface has the same vertical surface refractive power (Dm1) from the measurement position of the far portion to the near portion measurement portion along the meridional line. Therefore, the dioptric power of the lens becomes higher from the distance portion to the near portion.
중간부에서 표면 굴절력이 산술급수적으로 증가되도록 설계하는 것은 안경 착용자가 중간부 영역에서 원하는 어떠한 거리라도 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기타 거리에서 보이는 명료한 시야가, 굴절력의 산술급수적이지 않은 변화에 해당하는 거리에서는 제공되지 않는다.
Designing the surface power to increase arithmetically in the middle is to allow the wearer to see whatever distance he wants in the middle area. Otherwise, a clear field of view seen at other distances is not provided at a distance corresponding to a non-arithmetic progression of refractivity.
도 7a의 종래의 볼록면 누진 렌즈에서 볼록면에 근용부 측정 위치를 N1(y1, z1)이라 할 때, 중간부의 거리는 원점(O)부터 N1(y1)까지다. 이 사이의 볼록면 표면 굴절력은 산술급수적으로 변화하게 되고, 근용부 측정위치인 N1에서의 도수는 의도된 부가 도수(ADD)를 보이게 된다. 그런데, 시선이 N1을 지나기 위하여 안구(E)으로부터 광선을 추적하면 오목면의 N2(y2, z2)를 지나게 된다. 그러므로 N1(y1)-N2(y2)만큼 중간부 거리는 줄어들게 되는 문제를 갖는다.
In the conventional convex surface progressive lens of FIG. 7A, when the nearest portion measurement position on the convex surface is N1 (y1, z1), the distanc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is from the origin O to N1 (y1). The convex surface refractive power between them changes in an arithmetic series, and the dioptric power at the near portion measurement position N1 shows the intended addition power ADD. However, if a ray traces a ray from the eye E to pass through N1, the ray passes through N2 (y2, z2) of the concave surface. Therefore, the intermediate distance is reduced by N1 (y1) -N2 (y2).
이것을 종래의 방법에서 수정하려 한다면, 오목면에서 N2'(y2', z2')을 지나 볼록면에서 N1'(y1', z1')을 지나게 되는데, 볼록면의 O부터 N1'까지 굴절력이 산술급수적으로 변화하며 N1'에서 최고 표면 굴절력을 보이게 해야 한다. 하지만 그렇게 되면, 근용부 굴절력 측정위치인 N1에서의 도수는 의도된 부가 도수 보다 낮게 나오는 문제를 보이게 된다.
If we try to modify this in the conventional method, we pass through N1 '(y1', z1 ') on the convex surface beyond N2' (y2 ', z2') on the concave surface. It should be changed in the order of N1 'to have the highest surface refractive power. However, in this case, the dioptric power at the near-field power measurement position N1 is lower than the intended dioptric power.
종래의 오목면 누진 렌즈 또한, 도 7b에서 보여지듯이, 볼록면 누진 렌즈와 같은 문제를 보인다.
The conventional concave surface progressive lens also presents the same problem as the convex surface progressive lens, as shown in Fig. 7B.
이처럼 한 면의 주경선 위의 누진 표면 굴절력이 산술급수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지만, 그 반대면 즉, 일정한 표면 굴절력을 갖는 면과의 프리즘 효과로 인하여 오차를 보인다. In this way, the progressive surface power on one side of the principal meridian increases or decreases arithmetically, but shows an error due to the prism effect on the opposite side, that is, the surface with constant surface power.
본 발명이 제시하는 첫 번째 방법은,The first method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양면 비구면형 누진 렌즈에 있어서 볼록면인, 물체 측 표면의, 제 1 굴절 표면에서 원용도수 측정위치를 F1, 근용도수 측정위치를 N1이라 하며, 오목면인, 안구 측 표면의, 제 2 굴절 표면에서 원용도수 측정위치를 F2, 근용도수 측정위치를 N2이라 할 때, 각 위치에서의 수직 표면 굴절력을 각각 DFV1, DNV1, DFV2, DNV2 라 하며, 각 위치에서의 수평 표면 굴절력을 각각 DFH1, DNH1, DFH2, DNH2 라 할 때,
The object-side surface, which is the convex surface of the double-side aspherical progressive lens, is referred to as F1, and the near-end-use-number measurement position is denoted by N1 on the first refractive surface, The vertical surface power at each position is denoted as DFV1, DNV1, DFV2, and DNV2, respectively, and the horizontal surface refractive power at each position is represented by DFH1, DNH1, DFH2 and DNH2,
제 1 굴절 표면에서의 표면 굴절력은 DFV1 = DFH1 < DNV1 = DNH1,The surface refractive power at the first refractive surface is DFV1 = DFH1 < DNV1 = DNH1,
또한 제 2 굴절 표면에서의 표면 굴절력은 -DFV2 < -DNV2
The surface refractive power at the second refractive surface is -DFV2 < -DNV2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비구면형 누진 렌즈로서, 하나의 예가 도 8a에 도시되어있다. 도 8a는 양면 비구면형 누진 렌즈의 볼록면에서, 도 4a의 볼록면의 Dm1과 같이 누진 수직 굴절력 표면을 보일 때의, 볼록면 위의 주경선 을 따라 보이는 볼록면 수직 표면 굴절력(Dm1)을 보이는 반면, 오목면 위의 주경선 을 따라 보이는 오목면 수직 표면 굴절력(Dm2)은 도 4a의 오목면의 Dm2와는 다른 형태를 보여준다.
As shown in Fig. 8A. Fig. 8A shows one example of the progressive-surface type aspherical surface progressive lens. Fig. 8A shows the convex surface vertical power Dm1 seen along the principal meridian on the convex surface when the progressive vertical refracting power surface is seen as Dm1 of the convex surface of Fig. 4A on the convex surface of the bi- On the other hand, the concave surface vertical power (Dm2) along the principal meridian on the concave surface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cave surface in Fig. 4A.
두 번째 방법은, In the second method,
양면 비구면형 누진 렌즈에 있어서 볼록면인, 물체 측 표면의, 제 1 굴절 표면에서 원용도수 측정위치를 F1, 근용도수 측정위치를 N1이라 하며, 오목면인, 안구 측 표면의, 제 2 굴절 표면에서 원용도수 측정위치를 F2, 근용도수 측정위치를 N2이라 할 때, 각 위치에서의 수직 표면 굴절력을 각각 DFV1, DNV1, DFV2, DNV2 라 하며, 각 위치에서의 수평 표면 굴절력을 각각 DFH1, DNH1, DFH2, DNH2 라 할 때,
The object-side surface, which is the convex surface of the double-side aspherical progressive lens, is referred to as F1, and the near-end-use-number measurement position is denoted by N1 on the first refractive surface, The vertical surface power at each position is denoted as DFV1, DNV1, DFV2, and DNV2, respectively, and the horizontal surface refractive power at each position is represented by DFH1, DNH1, DFH2 and DNH2,
제 1 굴절 표면에서의 표면 굴절력은 DFV1 = DFH1 > DNV1 = DNH1,The surface refractive power at the first refractive surface is DFV1 = DFH1 > DNV1 = DNH1,
또한 제 2 굴절 표면에서의 표면 굴절력은 - DFV2 > -DNV2
The surface refractive power at the second refractive surface is - DFV2 > -DNV2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비구면형 누진 렌즈로서, 하나의 예가 도 8b에 도시되어있다. 도 8b는 양면 비구면형 누진 렌즈의 오목면에서, 도 4b의 오목면의 Dm2와 같이 누진 굴절력 표면을 보일 때의, 오목면 위의 주경선 을 따라 보이는 오목면 수직 표면 굴절력(Dm2)을 보이는 반면, 볼록면 위의 주경선을 따라 보이는 볼록면 수직 표면 굴절력(Dm1)은 도 4b의 볼록면의 Dm1과는 다른 형태를 보여준다.
As shown in Fig. 8B. Fig. 8B shows one example of the progressive-surface type aspherical surface progressive lens. FIG. 8B shows the concave surface vertical surface power Dm2 along the principal meridian on the concave surface when the progressive power surface is seen as Dm2 of the concave surface of FIG. 4B on the concave surface of the double-sided aspherical progressive lens , The convex surface vertical surface power (Dm1) along the principal meridian on the convex surface differs from Dm1 of the convex surface in Fig. 4b.
세 번째 방법은, In the third method,
양면 비구면형 누진 렌즈에 있어서 볼록면인, 물체 측 표면의, 제 1 굴절 표면에서 원용도수 측정위치를 F1, 근용도수 측정위치를 N1이라 하며, 오목면인, 안구 측 표면의, 제 2 굴절 표면에서 원용도수 측정위치를 F2, 근용도수 측정위치를 N2이라 할 때, 각 위치에서의 수직 표면 굴절력을 각각 DFV1, DNV1, DFV2, DNV2 라 하며, 각 위치에서의 수평 표면 굴절력을 각각 DFH1, DNH1, DFH2, DNH2 라 할 때,
DFV1 = DFH1 및 DNV1 = DNH1,The object-side surface, which is the convex surface of the double-side aspherical progressive lens, is referred to as F1, and the near-end-use-number measurement position is denoted by N1 on the first refractive surface, The vertical surface power at each position is denoted as DFV1, DNV1, DFV2, and DNV2, respectively, and the horizontal surface refractive power at each position is represented by DFH1, DNH1, DFH2 and DNH2,
DFV1 = DFH1 and DNV1 = DNH1,
또한 DNV1 - DFV1 > -DNV2 + DFV2
DNV1 - DFV1> - DNV2 + DFV2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비구면형 누진 렌즈이다.Side aspherical surface progressive lens.
이와 같은 방법으로 누진 렌즈 전반에서 비점수차를 적게 하며, 누진 렌즈의 착용자의 시선에서 중간부에 산술급수적인 굴절력의 변화를 보여 효율적이며, 착용자가 보다 편안하고, 광범위한 유효시야를 제공하는 누진 렌즈가 제공된다.In this way, a progressive lens that reduces astigmatism across the progressive lens in the above manner, exhibits an arithmetic-grade refractive power change in the midpoint of the wearer's vision, and is more comfortable for the wearer, / RTI >
도 1 은 누진 굴절력 안경렌즈의 원용부(1), 중간부(2), 근용부(3) 및 주경선(M) 의 위치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2 는 누진 굴절력 안경렌즈의 주경선(M) 위에 위치한 원용부 도수 측정 위치(F)와 근용부 도수 측정 위치(N) 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3a 는 볼록면 누진 렌즈에서 주경선(M) 위의 원용부 임의의 점에서 반경(R1)과 중간부 임의의 점에서 반경(R2), 근용부 임의의 점에서 반경(R3) 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3b 는 오목면 누진 렌즈에서 주경선(M) 위의 원용부 임의의 점에서 반경(R1)과 중간부 임의의 점에서 반경(R2), 근용부 임의의 점에서 반경(R3) 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4a 는 종래의 볼록면에 누진 표면 굴절력을 갖는 렌즈에서 볼록면 주경선 위에서 y축에 따른 수직 표면 굴절력(Dm1)과 오목면 주경선 위에서 y축에 따른 수직 표면 굴절력(Dm2) 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4b 는 종래의 오목면에 누진 표면 굴절력을 갖는 렌즈에서 볼록면 주경선 위에서 y축에 따른 수직 표면 굴절력 (Dm1)과 오목면 주경선 위에서 y축에 따른 수직 표면 굴절력 (Dm2) 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5 는 누진 굴절력 안경렌즈의 볼록면에서 원용부 수평 표면 굴절력(DFH1) 과 원용부 수직 표면 굴절력(DFV1) 과 근용부 수평 표면 굴절력(DNH1) 과 근용부 수직 표면 굴절력(DNV1) 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6 은 누진 굴절력 안경렌즈의 볼록면에서 원용부 수평 표면 굴절력(DFH1) 과 원용부 수직 표면 굴절력(DFV1) 과 근용부 수평 표면 굴절력(DNH1) 과 근용부 수직 표면 굴절력(DNV1) 및 오목면 에서 원용부 수평 표면 굴절력(DFH2) 과 원용부 수직 표면 굴절력(DFV2) 과 근용부 수평 표면 굴절력(DNH2) 과 근용부 수직 표면 굴절력(DNV2)의 위치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7a 은 종래의 볼록면 누진 렌즈에서 시선이 프리즘 효과에 의하여 굴절되는 것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7b 는 종래의 오목면 누진 렌즈에서 시선이 프리즘 효과에 의하여 굴절되는 것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8a 은 본 발명의 누진 표면 굴절력을 갖는 렌즈에서 볼록면에 누진 굴절력이 있을 때, 볼록면 주경선 위에서 y축에 따른 수직 표면 굴절력(Dm1)과 오목면 주경선 위에서 y축에 따른 수직 표면 굴절력(Dm2) 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8b 은 본 발명의 누진 표면 굴절력을 갖는 렌즈에서 오목면에 누진 굴절력이 있을 때, 볼록면 주경선 위에서 y축에 따른 수직 표면 굴절력(Dm1)과 오목면 주경선 위에서 y축에 따른 수직 표면 굴절력(Dm2) 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9 는 비교예에서 종래의 누진 렌즈에서 y축에 따른 중간부 굴절력(점선)과 이상적인 중간부 굴절력(실선)의 비교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는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의한 누진 렌즈에서 y축에 따른 중간부 굴절력(점선)과 산술급수적인 변화를 보이는 중간부 굴절력(실선)의 비교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positions of the far-
Fig. 2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distance part measuring frequency F and a measuring part N of the near part frequency, which are located on the circumference M of the progressive-power spectacle lens.
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dius R1 at an arbitrary point on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n the circumferential meridian M in the convex surface progressive lens and a radius R2 at an arbitrary point in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a radius R3 at an arbitrary point near the meridian .
FIG.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dius R1 at an arbitrary point on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n the circumferential meridian M in the concave surface progressive lens, a radius R2 at an arbitrary point in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a radius R3 at an arbitrary point near the meridian .
FIG. 4A is a graph showing a vertical surface power Dm1 along the y-axis on the convex surface circumferential line and a vertical surface power Dm2 along the y-axis on the concave surface circumferential line in the lens having the progressive surface refractive power in the conventional convex surface. to be.
FIG. 4B is a graph showing the vertical surface power Dm1 along the y-axis on the convex surface circumferential line and the vertical surface power Dm2 along the y-axis on the concave surface circumferential line in the lens having the progressive surface refractive power on the conventional concave surface. to be.
5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distance portion horizontal surface power DFH1, the distance portion vertical surface power DFV1, the near portion horizontal surface power DNH1, and the near portion vertical surface power DNV1 in the convex surface of the progressive- to be.
6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ircular surface horizontal power (DFH1), the distance portion vertical surface power (DFV1), the near portion horizontal surface power (DNH1), the near portion vertical surface power (DNV1), and the concave surface in the convex surface of the progressive- (DFH2), DFV2 (DFV2), DNH2, and DNV2 of the near-field and the near-field, respectively.
FIG. 7A is an explanatory view of refraction of a line of sight by a prism effect in a conventional convex surface progressive lens. FIG.
FIG. 7B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refraction of a line of sight by a prism effect in a conventional concave surface progressive lens. FIG.
8A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rtical surface refractive power Dm1 along the y-axis on the convex surface circumferential line and the vertical surface refractive power Dm1 along the y-axis on the concave surface circumferential line when the convex surface has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in the lens having the progressive surface p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Dm2).
8B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rtical surface power (Dm1) along the y-axis on the convex surface circumferential line and the vertical surface refractive power (Dm2) along the y-axis on the concave surface circumferential line when there is a progressive power on the concave surface in the lens having the progressive surface p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Dm2).
FIG. 9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an intermediate refractive power (dotted line) along the y axis and an ideal middle refractive power (solid line) in a conventional progressive lens in the comparative example.
10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an intermediate refractive power (dotted line) along the y axis and an intermediate refractive power (solid line) showing an arithmetic series change in the progressive le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비교예
Comparative Example
볼록면 누진 렌즈에서 굴절력 1.56이고, 원용부 기본 곡률은 +4.00 이며, 원용부 도수 0.00, 중간부 거리는 15mm, 부가도수(ADD) +2.00 인 누진 렌즈를 설계하려 할 때, 볼록면 주경선의 원용부 기본 표면 굴절력(D)은 +4.00 이며, 원점부터 증가하여 y= -15mm 에서 표면 굴절력(D)은 +6.00 이 되고, 오목면의 원용부 및근용부의 표면 굴절력은 -4.00 으로 생성하였다.
For a progressive lens with a convex surface progressive lens of 1.56, a radius of curvature of +4.00 and a radius of 0.00, a median distance of 15 mm and an ADD of +2.00, (D) at the distance from the origin increases to +6.00 at y = -15mm, and the surface power of the far and near parts of the concave surface is -4.00.
이러한 렌즈에서 도 7a 와 같이 시선이 누진 렌즈 중간부의 오목면 주경선 위 y축의 각 점을 통과하여 볼록면을 통과할 때, 즉 안경 착용자가 사용하는 도수(D)를 나타낸 것으로, 도 9 의 범례 중 Line1 에 도시되어 있다. 도 9 의 범례 Line2 는 누진 렌즈 중간부의 산술급수적인 변화를 보이는 도수 분포를 나타낸다.
In this lens, as shown in FIG. 7A, the line of sight passes through each point of the y-axis on the concave circumferential center line of the progressive lens intermediate portion and passes through the convex surface, that is, the diopter D used by the wearer of glasses. Lt; / RTI > The
실시예
Example
비교예와 마찬가지로 볼록면 누진 렌즈에서 굴절력 1.56이고, 원용부 기본 곡률은 +4.00 이며, 원용부 도수 0.00, 중간부 거리는 15mm, 부가도수(ADD) +2.00 인 누진 렌즈를 설계하려 할 때, 볼록면 주경선 의 원용부 기본 표면 굴절력(D)은 +4.00 이며, 원점부터 증가하여 y= -15mm 에서 표면 굴절력(D)은 +7.00 이고, 오목면의 원용부 표면 굴절력(D)은 -4.00 이며, 표면 굴절력이 감소하여 y= -14mm 에서 표면 굴절력(D)은 -5.07 이고, 표면 굴절력이 증가하여 y= -15mm 에서 표면 굴절력(D)은 -5.00 으로 생성하였다
As in the comparative example, when a convex surface progressive lens has a refractive power of 1.56, a circular cylindrical basic curvature of +4.00, and a cylindrical lens having a circular part diopter of 0.00, an intermediate distance of 15 mm and an ADD of +2.00, (D) is +4.00 and the surface power (D) is +7.00 at y = -15mm from the origin and the source side surface power (D) of the concave surface is -4.00 , Surface refractive power (D) was -5.07 at y = -14 mm, surface refractive power increased and surface refractive power (D) was -5.00 at y = -15 mm
이러한 렌즈에서 시선이 누진 렌즈 중간부의 오목면 주경선 위y축의 각점을 통과하여 볼록면을 통과할 때, 즉 안경 착용자가 사용하는 도수(D)를 나타낸 것으로, 도 10 의 범례 중 Line1 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 의 범례 Line2 는 누진 렌즈 중간부의 산술급수적인 변화를 보이는 도수 분포를 나타낸다.In this lens, the line of sight passes through each point of the y-axis on the concave main circumferential line of the progressive lens intermediate portion and passes through the convex surface, that is, the diopter D used by the wearer of glasses. have. The
Claims (3)
제 1 굴절 표면에서의 표면 굴절력은 DFV1 = DFH1 > DNV1 = DNH1,
또한 제 2 굴절 표면에서의 표면 굴절력은 - DFV2 > -DNV2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비구면 누진 굴절력 렌즈.
In the double-faced aspheric surface progressive-power lens, the first abrasive number measurement position is denoted by F1 on the first refractive surface of the convex object side surface, the Ns number measurement position is denoted by N1, and the second abrasive surface of the concave eye- DNP1, DNV1, DFV2, and DNV2, respectively, and the horizontal surface refractive power at the first refractive surface is denoted by DFH1, DNH1 < / RTI >
The surface refractive power at the first refractive surface is DFV1 = DFH1 > DNV1 = DNH1,
The surface refractive power at the second refractive surface is - DFV2 > -DNV2
Plane aspherical surface progressive-power len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4309A KR101400556B1 (en) | 2011-02-18 | 2011-02-18 | Progressive lens having bi-aspherical surfa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4309A KR101400556B1 (en) | 2011-02-18 | 2011-02-18 | Progressive lens having bi-aspherical surfa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4969A KR20120094969A (en) | 2012-08-28 |
KR101400556B1 true KR101400556B1 (en) | 2014-05-28 |
Family
ID=46885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4309A KR101400556B1 (en) | 2011-02-18 | 2011-02-18 | Progressive lens having bi-aspherical surfa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0556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2850B1 (en) * | 2020-12-01 | 2021-03-04 | 한미스위스광학 주식회사 | Personalized double-faced non-spherical lens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WO2020067522A1 (en) * | 2018-09-28 | 2021-08-30 |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 Progressive power lens and its design method |
JPWO2020067524A1 (en) * | 2018-09-28 | 2021-08-30 |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 Progressive power lens design system, progressive power lens design method and progressive power lens group |
JPWO2020067523A1 (en) * | 2018-09-28 | 2021-08-30 |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 Progressive power lens and its design method |
WO2022118991A1 (en) * | 2020-12-01 | 2022-06-09 | 한미스위스광학 주식회사 | Customized bi-aspherical le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04878A (en) * | 2002-05-28 | 2005-01-12 |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 Double-sided aspheric varifocal power lens |
KR20060108689A (en) * | 2003-11-27 | 2006-10-18 |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 Both-sided aspherical varifocal refractive lens and method of designing it |
KR20080023342A (en) * | 2005-06-24 | 2008-03-13 |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 Method of designing both-plane aspherical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group and both-plane aspherical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group |
-
2011
- 2011-02-18 KR KR1020110014309A patent/KR10140055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04878A (en) * | 2002-05-28 | 2005-01-12 |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 Double-sided aspheric varifocal power lens |
KR20060108689A (en) * | 2003-11-27 | 2006-10-18 |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 Both-sided aspherical varifocal refractive lens and method of designing it |
KR20080023342A (en) * | 2005-06-24 | 2008-03-13 |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 Method of designing both-plane aspherical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group and both-plane aspherical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group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WO2020067522A1 (en) * | 2018-09-28 | 2021-08-30 |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 Progressive power lens and its design method |
JPWO2020067524A1 (en) * | 2018-09-28 | 2021-08-30 |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 Progressive power lens design system, progressive power lens design method and progressive power lens group |
JPWO2020067523A1 (en) * | 2018-09-28 | 2021-08-30 |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 Progressive power lens and its design method |
JP7264910B2 (en) | 2018-09-28 | 2023-04-25 |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 Progressive power lens, design method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2222850B1 (en) * | 2020-12-01 | 2021-03-04 | 한미스위스광학 주식회사 | Personalized double-faced non-spherical lens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WO2022118991A1 (en) * | 2020-12-01 | 2022-06-09 | 한미스위스광학 주식회사 | Customized bi-aspherical le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4969A (en) | 2012-08-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40699B1 (en) | Progressive-power lens | |
EP1336891B1 (en) | Production method for spectacle lens and supply system for spectacle lens | |
JP5496798B2 (en) | Progressive eyeglass lens having two aspheric surfaces, in particular a progressive surface, and method for calculating the eyeglass lens | |
JP4192899B2 (en) | Eyeglass lens design method | |
JP4437482B2 (en) | Double-sided aspherical progressive-power lens and design method thereof | |
KR100689206B1 (en) | Double-sided aspheric varifocal power lens | |
TWI402557B (en) | Design method, manufacturing method and supply system of spectacle lens for progressive refractive index lens | |
WO2005066696A1 (en) | Both-sided aspherical varifocal refractive lens and method of designing it | |
JP3617004B2 (en) | Double-sided aspherical progressive-power lens | |
KR101400556B1 (en) | Progressive lens having bi-aspherical surface | |
JP2008058576A (en) |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 |
EP3143457B1 (en) | A method of modifying an dioptric function of an ophthalmic lens surface | |
JP5017542B2 (en) | Aspheric spectacle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spheric spectacle lens | |
JP5789108B2 (en) | Progressive power lens and design method thereof | |
CN103842891A (en) |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 |
US9170432B2 (en) | Low distortion eyewear lens with low optical power | |
JP6059483B2 (en) |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and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method | |
JP4931669B2 (en) | Eyeglass lens ordering system | |
JP6126772B2 (en) | Progressive power lens | |
JP4404317B2 (en) | Double-sided aspherical progressive-power lens and design method thereof | |
JP4219148B2 (en) | Double-sided aspherical progressive-power lens | |
JP6038224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progressive power lens | |
EP2786200B1 (en) | Low distortion eyewear lens with low optical power | |
JP2008257272A (en) | Design method of eyeglasses lens | |
CN109964166B (en) | Method for providing a selection chart for an over-the-counter ophthalmic le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