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656B1 - Electromotive baby carriage - Google Patents

Electromotive baby carri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656B1
KR101399656B1 KR1020130008629A KR20130008629A KR101399656B1 KR 101399656 B1 KR101399656 B1 KR 101399656B1 KR 1020130008629 A KR1020130008629 A KR 1020130008629A KR 20130008629 A KR20130008629 A KR 20130008629A KR 101399656 B1 KR101399656 B1 KR 101399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sensor
motor
strolle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6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명태식
고준빈
방현석
최진우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08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65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6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59Propulsion aids facilitating hand propulsion when motor f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automatic
    • B62B5/041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automatic dead man's br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stroller comprising: a battery; a main switch for switching whether or not to supply a power supply supplied from the battery; a driving switch for switching whether or not to electrically drive the stroller using the power supply supplied through the main switch; a sensor operated by the power supply supplied through the main switch to detect whether or not a user grips a handle of the stroller; and a driving part for transferring rotation force to wheels corresponding to the power supply supplied through the driving switch and the detection signals transferred from the sensor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operate a brake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s received from the sensor. The present invention can fundamentally prevent accidents due to the carelessness of the user by automatically operating the brake when the user does not grip the handle of the stroller. Als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lectrically or manually driven according to driving situations in a state where the user grips the handle of the stroller.

Description

전동식 유모차{ELECTROMOTIVE BABY CARRIAGE}[0001] ELECTROMOTIVE BABY CARRIAGE [0002]

본 발명은 전동식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운전 가능하며, 유모차 손잡이의 파지 여부에 따라 안전운전 및 편리성을 제공하는 전동식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baby strol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stroller which can be operated electrically or manually and which provides safe operation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grip of the stroller handle.

유모차는 유아를 태워서 밀거나 끌고 다니는 차의 일종으로서, 안전성 및 기능성 등을 고려한 다양한 종류의 유모차가 제안되고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A baby carriage is a kind of car that pushes and drives an infant, and various types of baby carriages are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safety and functionality.

안전성을 고려한 측면에서는 바퀴 또는 바퀴휠을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부착한 유모차가 개시된 바 있으며, 기능성을 고려한 측면에서는 바퀴 또는 바퀴회전축에 전동장치를 연결하여 경사지 등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유모차가 개시된 바 있다.In view of safety, a stroller with a fixing device for fixing a wheel or a wheel is disclosed. In view of functionality, a stroller is disclosed in which a power transmission device is connected to a wheel or a wheel rotation shaft to smoothly move a slant or the like have.

그러나, 고정장치를 구비한 유모차는 고정장치를 수동으로 사용자가 조작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부주의할 경우에 경사지 등에서의 사고를 피할 수 없게 된다.However, since the fixing device is manually operated by the user, the baby carriage having the fixing device can not avoid an accident on a slope or the like when the user is careless.

한편, 전동장치를 구비한 유모차는 전동장치로 인해 경사지 등에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으나, 이 역시 안전을 위해서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사용자가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전동장치와 고정장치는 별개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baby carriage having a power transmission device can receive a great deal of assistance from an inclined place due to a power transmission device, but also requires a separate fixing device to be operated by a user for safety. That is,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are configured to operate separately.

이에 유모차의 안전성(고정장치)과 기능성(전동장치)을 조합하여 일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onfiguration capable of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combination of the safety (fixing device) and the functionality (transmission device) of the stroller.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2478호(공개일 2010.03.26.)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32478 (published on March 26, 201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모차 손잡이가 파지된 상태를 센싱하여 전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유모차를 운전할 수 있으며, 유모차 손잡이의 파지 여부에 따라 유모차 바퀴의 제동 여부가 제어될 수 있는 전동식 유모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oller which can operate the stroller in an electric or manual manner by sensing the gripped state of the stroller handle, Wherein the braking force of the wheel can be controll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식 유모차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 여부를 스위칭하는 메인 스위치; 상기 메인 스위치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한 전동식 구동 여부에 대해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구동 스위치; 상기 메인 스위치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어 유모차 손잡이의 파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구동 스위치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과 상기 센서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바퀴로 회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 발생 여부에 대응하여 브레이크의 제동 여부가 결정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 stroller including: a battery; A main switch for switching whether or not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is supplied; A drive switch for performing switching on whether electric power is supplied using a power supplied through the main switch; A sensor which is operated by a power supplied through the main switch and detects whether the grip of the stroller is gripped; And a driving unit that transmits a rotational force to the wheel in response to a power supplied through the driving switch and a sens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and determines whether the brake is to be braked in response to whether or not a sensing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sensor .

이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 상기 회전력의 단속이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신호가 발생할 경우에는 브레이크의 해제가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신호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 브레이크의 제동이 이루어지는 클러치 브레이크; 및 상기 클러치 브레이크를 통해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바퀴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motor generating the rotational force; A clutch brake for interrupting the rotational force, releasing a brake when the sensing signal is generated, and braking the brake when the sensing signal is not generated; And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clutch brakes to the wheels.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클러치 브레이크의 회전축에 결합된 휠과 상기 바퀴의 회전축에 결합된 휠을 연결하는 벨트를 이용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use a belt that connects a wheel coupled to a rotary shaft of the clutch brake and a wheel coupled to a rotary shaft of the wheel.

상기 모터 및 클러치 브레이크는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후륜을 갖는 한 쌍의 후각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tor and the clutch brake are fixed to a plate, and the plate is preferably coupled to a pair of rear axles having rear wheels.

한편,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 상기 회전력의 단속이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신호가 발생할 경우에는 브레이크의 해제가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신호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 브레이크의 제동이 이루어지는 클러치 브레이크; 및 상기 클러치 브레이크를 통해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바퀴로 전달하는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motor for generating the rotational force; A clutch brake for interrupting the rotational force, releasing a brake when the sensing signal is generated, and braking the brake when the sensing signal is not generated; And a gear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clutch brake to the wheel.

상기 모터의 회전력보다 상기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크며, 상기 센서는 손잡이 레버에 형성된 포토센서 또는 터치센서일 수 있고, 상기 구동 스위치는 푸시버튼이 바람직하고, 상기 메인 스위치 및 상기 모터구동 스위치는 손잡이에 연결 설치된 스위치보드에 형성될 수 있다.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 is larger tha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nd the sensor may be a photo sensor or a touch sensor formed on the handle lever, and the drive switch is preferably a push button, and the main switch and the motor drive switch are connected to a handle May be formed on the installed switchboar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유모차에 따르면, 유모차 손잡이의 파지 여부에 따라 유모차 바퀴의 제동 여부가 결정되므로, 즉 유모차 손잡이를 파지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브레이크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부주의에 의한 사고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lectric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or not the stroller wheel is braked is determined depending on whether the stroller handle is grasped or not, that is, when the stroller handle is not gripped, the brake is automatically operated, The accident can be fundamentally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모차 손잡이가 파지된 상태에서 전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유모차를 운전할 수 있으므로 운전상황에 따라 다양한 운전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by carriage can be operated electrically or manually while the stroller handle is grasped, various operations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유모차의 정측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유모차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유모차의 후측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동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유모차의 제어회로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유모차의 제어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tor-driven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n electric s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s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circuit of an electric baby s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trol flowchart of an electric baby s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전동식 유모차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lectric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유모차의 정측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유모차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유모차의 후측면 사시도이다.2 is a side view of an electric baby s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the electric baby s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동식 유모차는, 전륜(1)을 갖는 좌우 한 쌍의 전각(2)과, 후륜(3)을 갖고 굴곡된 좌우 한 쌍의 후각(4)과, 한 쌍의 전각(2) 단부와 한 쌍의 후각(4) 굴곡부를 연결하는 연결축(5)과, 한 쌍의 후각(4) 하단을 연결하며 후륜(3)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후륜축(6)과, 한 쌍의 후각(4) 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한 쌍의 손잡이 프레임(7)과, 한 쌍의 손잡이 프레임(7)에 결합된 U자 형상으로 굴곡된 손잡이 레버(8)와, 손잡이 레버(8) 사이에 연결 설치된 스위치보드(9)와, 손잡이 레버(8)의 굴곡부 양측에 설치되어 손잡이 파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0)와, 한 쌍의 후각(4) 단부 및 한 쌍의 손잡이 프레임(7) 단부의 일축상에 결합된 시트 프레임(11)과, 시트 프레임(11)에 결합된 시트 파이프(12)와, 시트 파이프(12)에 결합되는 가드(13)와, 시트 파이프(12)에 체결되는 시트(14)와, 연결축(5)과 후륜축(6) 사이에 결합된 플레이트(15)와, 플레이트(15)에 결합되며 회전력을 발생시켜 후륜(3) 또는 후륜축(6)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16)와, 한 쌍의 전각(2) 및 한 쌍의 후각(4)에 결합된 배터리 수납함(17)을 포함한다.1 to 3, an electric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angles 2 having front wheels 1,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angles 4 bent with rear wheels 3, A connecting shaft 5 connecting a pair of full-angle ends 2 and a pair of odd-numbered bends 4, a rear wheel 3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odors 4, A pair of knobs 7 that are rotatably fastened at the ends of the pair of horns 4 and a knob lever 8 bent in a U shape coupled to the pair of knobs 7, A switch board 9 connected between the knob lever 8 and a sensor 1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ent portion of the knob lever 8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knob is gripped, And a seat frame 12 coupled to the seat frame 11 and a guard (not shown) coupled to the seat pipe 12. The seat frame 12 includes a seat frame 11, A seat 14 fastened to the seat pipe 12; a plate 15 coupled between the connecting shaft 5 and the rear wheel shaft 6; A driving part 16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rear wheel 3 or the rear wheel shaft 6 and a battery accommodation box 17 coupled to the pair of front and rear angles 2 and 4.

여기서, 스위치보드(9)에는 메인 스위치(91)와 모터구동 스위치(92)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구동 스위치(92)는 푸시버튼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main switch 91 and the motor drive switch 92 are formed on the switch board 9. It is preferable that the motor drive switch 92 is constituted by a push button.

한편, 센서(10)는 포토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ensor 10 preferably uses a photosensor.

그리고, 스위치보드(9) 및 센서(10)는 하나의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손잡이 레버(8)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0)는 터치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고, 메인 스위치(91) 및 모터구동 스위치(92)는 특정손가락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The switch board 9 and the sensor 10 are shown as an example and can be installed in various forms on the handle lever 8. [ For example, the sensor 10 may use a touch sensor, and the main switch 91 and the motor drive switch 92 may be installed at specific finger positions.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동식 유모차는, 메인 스위치(91)를 온(on)시킨 후, 유모차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수동식으로 운전하거나, 모터구동 스위치(92)를 눌러 구동부(16)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동식으로 운전한다. 한편, 유모차 손잡이를 파지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구동부(16)의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In the electric baby s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fter the main switch 91 is turned on, it is manually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stroller handle is grasped, or when the motor driving switch 92 is pressed, And operated by electric motor. 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le of the stroller is not gripped, the driver 16 is automatically brake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동부의 확대사시도이다.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동부(16)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61)와, 모터(161)의 회전력 전달의 단속을 수행하는 클러치 브레이크(클러치 제어회로 포함)(162)와, 클러치 브레이크(162)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휠(163)과, 후륜축(6)에 결합된 후륜휠(164)과, 구동휠(163)과 후륜휠(164)을 연결하는 벨트(165)를 포함한다.4, the driving unit 16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or 161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a clutch brake (including a clutch control circuit) 162 for interrupting the transmission of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61, A driving wheel 163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clutch brake 162, a rear wheel wheel 164 coupled to the rear wheel shaft 6, a belt 165 connecting the driving wheel 163 and the rear wheel 164, .

본 실시예에서는 벨트(165)를 이용하여 구동휠(163)과 후륜휠(164)을 연결하는 동력전달방식을 예시하고 있으나, 기어 맞물림에 의한 동력전달방식도 이용할 수 있다. 즉, 구동휠(163)과 후륜휠(164)을 기어로 대체하여 동력전달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that connects the driving wheel 163 and the rear wheel wheel 164 using the belt 165 is illustrated, but a power transmission system based on the gear engagement may also be used. That is, the power transmission may be performed by replacing the driving wheel 163 and the rear wheel wheel 164 with gears.

이와 같이 구성된 구동부(16)는, 모터(161)의 회전에 대응하여 클러치 브레이크(162)를 통해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고, 벨트(165)을 통한 동력전달을 통해 후륜축(6)을 회전시킨다.The drive unit 16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ransmits power through the clutch brake 162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161 and rotates the rear wheel shaft 6 through power transmission through the belt 165.

한편, 클러치 브레이크(162)는 통상의 동력전달의 단속을 수행함과 아울러, 예를 들어 차량 등에 이용하는 사이드 브레이크와 같이 브레이크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브레이크의 제동력은 모터(161)의 구동력보다 크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유모차 손잡이를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수나 오작동으로 인해 모터구동 스위치(92)가 눌릴 경우에도 제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lutch brake 162 performs brake control such that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 161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161 . The braking state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motor drive switch 92 is depressed due to a mistake or a malfunction without holding the stroller handl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유모차의 제어회로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circuit of an electric baby s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동식 유모차의 제어회로는, 배터리(18)와, 배터리(18)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 여부를 스위칭하는 메인 스위치(91)와, 메인 스위치(91)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대하여 모터(161)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스위칭하는 모터구동 스위치(92)와, 유모차 손잡이의 파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0)와, 모터구동 스위치(92)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과 센서(10)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구동이 이루어지는 모터(161)와, 센서(10)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브레이크의 제동 여부를 제어하는 클러치 제어회로(162)를 포함한다.
5, the control circuit of the electric baby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18, a main switch 91 for switching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18 is supplied, A motor drive switch 92 for switching whether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161 with respect to the supplied power source, a sensor 10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handle of the stroller is gripped, a power source supplied through the motor drive switch 92, A motor 161 that is driven in response to the sens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10 and a clutch control circuit 162 that controls whether or not the brake is braked in response to the sens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10. [

모터구동 스위치(92)과 센서(10)의 구동 여부에 따른 모터(161)와 클러치 브레이크(162)의 브레이크의 동작 상태는 아래 [표1]과 같다.The operation states of the brakes of the motor 161 and the clutch brake 162 depending on whether the motor drive switch 92 and the sensor 10 are driven are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112013007455672-pat00001
Figure 112013007455672-pat00001

상기한 [표1]에서와 같이, 센서(10) 및 모터구동 스위치(92)가 모두 동작하는 경우에는, 유모차를 전동식으로 운전할 수 있는 경우이며, 센서(10)는 동작하고 모터구동 스위치(92)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모차를 수동식으로 운전할 수 있는 경우이고, 센서(10)는 동작하지 않고 모터구동 스위치(92)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이 경우는 오작동의 한 예로서, 모터(161)가 구동되더라도 브레이크의 제동력에 의해 브레이크의 제동상태가 계속 유지되는 상태이며, 센서(10) 및 모터구동 스위치(92)가 모두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브레이크의 제동상태가 유지된다.
When both the sensor 10 and the motor drive switch 92 are operated as in the above-mentioned Table 1, the stroller can be driven electrically, and the sensor 10 operates and the motor drive switch 92 The motor 10 is not operated and the motor drive switch 92 is operated. In this case, as an example of a malfunction, the motor 161 The braking state of the brake is maintained by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 and when the sensor 10 and the motor driving switch 92 are both not operated, the braking state of the brake is maintained.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유모차의 제어흐름도이다.6 is a control flowchart of an electric baby s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메인 스위치(91)의 동작 여부에 있어(S1), 메인 스위치(91)가 온되지 않으면, 클러치 브레이크(162)는 브레이크 제동이 이루어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유모차는 운전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S2). 물론, 클러치 브레이크의 기구적인 조작을 통해 수동식의 운전이 가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f the main switch 91 is operated (S1) and the main switch 91 is not turned on, the clutch brake 162 maintains the brake braked state, (S2). Of course, manual operation of the clutch brakes may be possible through mechanical operation of the clutch brakes.

메인 스위치(91)가 온되면, 센서(10)로 전원이 공급된다.When the main switch 91 is turned on, power is supplied to the sensor 10.

센서(10)는 유모차 손잡이의 파지 여부를 감지한다(S3).The sensor 10 detects whether the grip of the stroller is grasped (S3).

유모차 손잡이를 파지하지 않을 경우에는 센서(10)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되지 않게 되며, 이에 클러치 브레이크(162)는 브레이크 제동이 이루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모터구동 스위치(92)가 눌려지지 않는 이상, 모터(161)는 구동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4~S5).When the knob of the stroller is not gripped, a sensing signal is not generated from the sensor 10, so that the clutch brake 162 is maintained in a braked state. As long as the motor drive switch 92 is not pressed, The motor 161 maintains the driving stop state (S4 to S5).

이때, 유모차 손잡이를 파지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오작동 또는 실수 등에 의하여 모터구동 스위치(92)가 눌릴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동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유모차의 진행을 방지한다(S6). 이는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모터의 구동력보다 크기 때문에 유모차의 제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if the motor drive switch 92 is depressed due to a malfunction or a mistake even though the stroller handle is not gripped, the brake braking state is maintained to prevent the stroller from advancing (S6). This is because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 is greater than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so that the braking state of the baby carriage can be maintained.

한편, 유모차 손잡이를 파지한 경우에는 센서(10)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하게 되며, 이에 모터(161)는 구동 준비 상태를 유지하고, 클러치 브레이크(162)는 브레이크 제동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troller handle is grasped, a sensing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sensor 10, so that the motor 161 is maintained in the driving preparation state and the clutch brake 162 is maintained in the released state of the brake braking .

이때, 모터구동 스위치(92)가 눌러지면 모터(161)가 구동된다. 이에 유모차가 전동식으로 운전되게 된다(S7~S9).At this time, when the motor drive switch 92 is pressed, the motor 161 is driven. Thereby, the baby carriage is driven electrically (S7 to S9).

한편, 모터구동 스위치(92)가 눌려지지 않았더라도, 클러치 브레이크(162)는 브레이크 제동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수동식으로 유모차를 조작할 수 있다(S10).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motor drive switch 92 is not pressed, the clutch brake 162 maintains the state in which the brake braking is released, so that the baby carriage can be manually operated (S10).

한편, 이렇게 전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이동하는 중에 유모차 손잡이를 놓치거나 파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센서(10)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클러치 브레이크(162)는 브레이크 제동 상태로 전환된다. 이에 경사지 등에서의 유모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roller knob is not missed or grasped while moving in the electric or manual manner, the detection signal is not generated from the sensor 10, and the clutch brake 162 is switched to the brake braking state.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of a baby carriage on a slope or the like.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6 : 구동부
161 : 모터
162 : 클러치 브레이크
163 : 구동휠
164 : 후륜휠
165 : 벨트
16:
161: Motor
162: Clutch brake
163: driving wheel
164: rear wheel
165: Belt

Claims (9)

배터리(18);
상기 배터리(18)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 여부를 스위칭하는 메인 스위치(91);
상기 메인 스위치(91)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한 전동식 구동 여부에 대해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모터구동 스위치(92);
상기 메인 스위치(91)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어 유모차 손잡이의 파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0); 및
상기 모터구동 스위치(92)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과 상기 센서(10)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바퀴로 회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센서(10)로부터의 감지신호 발생 여부에 대응하여 브레이크의 제동 여부가 결정되는 구동부(16)를 포함하며,
(a) 상기 센서(10)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하지 않고, 상기 모터구동 스위치(92)가 온 스위칭 상태일 경우에, 모터 구동 및 브레이크 작동 상태로 되며;
(b) 상기 센서(10)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하지 않고, 상기 모터구동 스위치(92)가 오프 스위칭 상태일 경우에, 모터 정지 및 브레이크 작동 상태로 되며;
(c) 상기 센서(10)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모터구동 스위치(92)가 온 스위칭 상태일 경우에, 모터 구동 및 브레이크 해제 상태로 되며;
(d) 상기 센서(10)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모터구동 스위치(92)가 오프 스위칭 상태일 경우에, 모터 정지 및 브레이크 해제 상태로 되며;
상기 (a)에서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보다 상기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큰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c)에서는 전동식 운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d)에서는 수동식 운전이 가능한 전동식 유모차.
A battery 18;
A main switch 91 for switching whether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18 is supplied or not;
A motor drive switch 92 for performing switching on whether electric power is supplied using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main switch 91;
A sensor (10) operated by a power supplied through the main switch (91)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grip of the stroller is gripped; And
And transmits a rotational force to the wheel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motor drive switch 92 and the sens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10 and controls the braking of the brake 10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10. [ (16) in which a determination is made,
(a) when a sensing signal is not generated from the sensor 10 and the motor drive switch 92 is in the on-switching state, the motor drive and brake operation are performed;
(b) when no sensing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sensor (10) and the motor drive switch (92) is in an off-switching state, the motor is brought to a stop and brake operation state;
(c) when a sensing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sensor 10 and the motor drive switch 92 is in an on-switching state, the motor is driven and released;
(d) when a sensing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sensor 10 and the motor drive switch 92 is in the off-switching state, the motor is brought to a stop and unblock state;
In (a),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 is kept larger tha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n the above (c), the electric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above (d), the electric stroller capable of manual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6)는,
상기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161);
상기 회전력의 단속이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신호가 발생할 경우에는 브레이크의 해제가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신호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 브레이크의 제동이 이루어지는 클러치 브레이크(162); 및
상기 클러치 브레이크(162)를 통해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바퀴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전동식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16)
A motor 161 for generating the rotational force;
A clutch brake 162 for interrupting the rotational force, releasing the brake when the sensing signal is generated, and braking the brake when the sensing signal is not generated; And
And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clutch brake (162) to the whee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클러치 브레이크(162)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휠(163)과 상기 바퀴의 회전축에 결합된 후륜휠(164)을 연결하는 벨트(165)인 전동식 유모차.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is a belt (165) connecting a driving wheel (163) coupled to a rotating shaft of the clutch brake (162) and a rear wheel wheel (164) coupled to a rotating shaft of the whee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61) 및 클러치 브레이크(162)는 플레이트(15)에 고정되며, 상기 플레이트(15)는 후륜을 갖는 한 쌍의 후각(4)에 결합되는 전동식 유모차.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otor (161) and the clutch brake (162) are fixed to a plate (15), and the plate (15) is coupled to a pair of rear horns (4) having rear wheel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08629A 2013-01-25 2013-01-25 Electromotive baby carriage KR1013996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629A KR101399656B1 (en) 2013-01-25 2013-01-25 Electromotive baby carri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629A KR101399656B1 (en) 2013-01-25 2013-01-25 Electromotive baby carri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9656B1 true KR101399656B1 (en) 2014-05-27

Family

ID=50895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629A KR101399656B1 (en) 2013-01-25 2013-01-25 Electromotive baby carri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656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142B1 (en) 2014-08-22 2015-12-1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or baby carriage
KR20160109260A (en) 2015-03-10 2016-09-21 박종혁 Safety baby carriage
KR101689088B1 (en) * 2015-09-11 2016-12-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Stroller
KR102193735B1 (en) * 2019-07-31 2020-12-2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Safety reinforcement type smart stroller
CN114340972A (en) * 2019-07-16 2022-04-12 赛贝克斯有限公司 Stroller frame, stroller,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230064804A (en) 2021-11-04 2023-05-11 주식회사 자모 Personal mobility aids equipment having occupant seating posture detecting function
KR20230153574A (en) 2022-04-29 2023-11-07 류석원 Power Supply Device Mountable to a Vehicle and Method for Equipping Vehicle with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416Y1 (en) 2002-11-02 2003-02-07 이의식 Electromotive a baby carriage
KR20110105450A (en) * 2010-03-19 2011-09-27 김진영 Safety apparatus for rickshaw and pram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416Y1 (en) 2002-11-02 2003-02-07 이의식 Electromotive a baby carriage
KR20110105450A (en) * 2010-03-19 2011-09-27 김진영 Safety apparatus for rickshaw and pram having the sam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142B1 (en) 2014-08-22 2015-12-1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or baby carriage
KR20160109260A (en) 2015-03-10 2016-09-21 박종혁 Safety baby carriage
KR101689088B1 (en) * 2015-09-11 2016-12-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Stroller
CN114340972A (en) * 2019-07-16 2022-04-12 赛贝克斯有限公司 Stroller frame, stroller,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2193735B1 (en) * 2019-07-31 2020-12-2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Safety reinforcement type smart stroller
KR20230064804A (en) 2021-11-04 2023-05-11 주식회사 자모 Personal mobility aids equipment having occupant seating posture detecting function
KR20230153574A (en) 2022-04-29 2023-11-07 류석원 Power Supply Device Mountable to a Vehicle and Method for Equipping Vehicle with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656B1 (en) Electromotive baby carriage
KR101408162B1 (en) electromotive baby carriage
CN111032478B (en) Children's vehicle frame and children's vehicle
EP2762395A1 (en) Electric kick scooter
JP2017170943A (en) Stopping device for vehicle
JP5442899B1 (en) Safety system for baby carriage or nursing vehicle
JP6316155B2 (en) Electric assist cart
US20150152928A1 (en) Electronic parking brake
CN106458285A (en) Auxiliary drive and method for providing torque assistance
CN107416006B (en) Automatic braking mechanism, baby stroller and braking method of baby stroller
GB2563573A (en) Motorised pram
JP2011031706A (en) Traveling vehicle with assist motor
KR101723297B1 (en) Safety braking apparatus for baby carriage
KR20100120527A (en) Adjusting handle for electrical type equipment
JP2017043332A (en) Brake device and cycle
CN201961360U (en) Electronic brake device of baby carrier
KR102002465B1 (en) Automatic brake apparatus for baby carriage
CN105083059B (en) Seat for a driver of a road construction machine, road construction machine and method for adjusting a seat
TWI474814B (en) Wheelchair constant speed safety device
CN205344875U (en) MCU voltage monitoring circuit of EPB controller
KR101460701B1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for a disabled person
KR200303416Y1 (en) Electromotive a baby carriage
JP2021020567A (en) Vehicle stop device
JP5885516B2 (en) Air conditioner
CN114302841A (en) Baby carri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