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018B1 - 근력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근력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018B1
KR101399018B1 KR1020130012289A KR20130012289A KR101399018B1 KR 101399018 B1 KR101399018 B1 KR 101399018B1 KR 1020130012289 A KR1020130012289 A KR 1020130012289A KR 20130012289 A KR20130012289 A KR 20130012289A KR 101399018 B1 KR101399018 B1 KR 101399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iston
load
press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승환
Original Assignee
허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승환 filed Critical 허승환
Priority to KR1020130012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of the piston-cylinder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이나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는 근력 운동기구에 관한 기술로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는 피스톤; 어느 하나가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되,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형성되는 절개홈을 따라 좌우로 움직일 수 있고, 서로 연동되는 한 쌍의 가압유닛;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의 좌우 이동시에 부하를 발생시키는 작용을 하는 부하형성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근력운동기구{EXECISING DEVICE}
본 발명은 팔이나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는 근력 운동기구에 관한 기술이다.
적당한 운동은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임에도 많은 사람들이 바쁜 일과 때문에 꾸준히 운동을 하지 못하고 있다. 특별한 운동기구가 없더라도 일주일에 몇 회만이라도 달리기를 하거나 걷기운동을 한다면 건강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나, 이를 실천하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다.
운동의 필요성을 느끼는 사람들 중 일부는 가정에 운동기구를 마련하여 틈틈이 운동을 하기도 하고, 매월 비용을 지불하면서 헬스클럽에서 운동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정작 운동기구를 구입하거나 헬스클럽에 등록을 하여도 오래가지 않아 싫증을 느껴서 지속적으로 운동을 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따라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업무 중에도 틈틈이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가 있다면 현대인들의 부족한 운동량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359316호(2004.08.07 등록)의 "다리오므림 운동장치가 설치된 다리운동기구"가 있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다리운동기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다리오므림 운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은 등받이와 시트를 갖는 의자에 다리를 오므릴 때 다수의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운동이 될 수 있도록 한 기술로서, 의자에 앉은 채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경우 의자에 고정될 수 있게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지나치게 비싸게 되고, 오로지 다리 운동만을 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다리를 오므릴 때에 운동효과가 크지만 다리를 벌릴 때에는 그다지 효과적인 운동효과를 거둘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은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사용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이 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운동시 부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359316호(2004.08.07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사무실이나 가정 어디에서도 앉은 채로 다리 운동이나 팔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어느 한 방향이 아니라 양 방향으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는 근력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부피가 크지 않도록 하여 보관이나 사용이 간편한 근력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운동시 본인의 체력에 적당하게 발생 부하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한 근력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근력 운동기구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는 피스톤; 어느 하나가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되,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형성되는 절개홈을 따라 좌우로 움직일 수 있고, 서로 연동되는 한 쌍의 가압유닛;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의 좌우 이동시에 부하를 발생시키는 작용을 하는 부하형성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길이방향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을 기준으로 좌우에 하나씩 마련되되,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기어부와, 상기 랙기어부의 말단에 형성되는 연결뭉치부로 이루어지고, 어느 일측 연결뭉치부는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는 좌우 커넥터;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뭉치부와 연결되는 가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연결뭉치부에 형성되는 브라켓에 핀으로 연결되어 세워지거나 눕혀질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상기 가압부가 세워졌을 때 상기 가압부의 상단을 눌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레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부는 일단이 가압부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뭉치에 연결되는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부하형성유닛은, 공기의 유출입량이나 오일의 유출입량의 조절을 통해서 부하형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부하형성유닛은, 공기의 유출입량의 제어를 통해 부하형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실린더의 일측 단부를 밀폐시키는 마개와, 상기 마개와 연결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와 연결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에 마련되는 배출용 체크밸브와, 상기 밸브바디에 마련되는 흡입용 체크밸브와, 상기 배출용 체크밸브와 흡입용 체크밸브에 부착되어 유로면적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조절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린더는 알루미늄 압출로 제작되며, 상기 실린더의 하면 일부 구간은 절개되어 상기 가압유닛과 상기 피스톤이 연결되어 움직일 수 있는 작동공간을 제공하게 되고,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가이드 터널에 상기 랙기어부가 삽입되어 직선이동이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근력 운동기구는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보관이나 운반이 용이하며, 팔이나 다리 운동을 할 수 있고, 앉은 채로 운동이 가능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틈틈이 운동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다리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다리오므림 운동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근력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대한 투시도.
도 5는 도 3에 대한 하부측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근력운동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투시도.
도 8은 도 7에 대한 하부측 사시도.
도 9는 가압부가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실린더의 사시도.
도 11은 실린더의 하부측 사시도.
도 12는 피스톤의 사시도.
도 13은 가압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어느 일측 커넥터의 사시도.
도 15는 또 다른 커넥터의 사시도.
도 16과 도 17은 연결뭉치부에 가압부가 연결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8은 연결뭉치부에 피스톤이 연결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9는 가압부의 사시도.
도 20은 부하형성유닛의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22는 또 다른 형태의 부하형성유닛에 대한 개념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근력운동기구는 비교적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고 앉은 자세에서 팔이나 다리 운동을 할 수 있어 그 유용성이 크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운동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직장인들이 근무 중에도 업무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틈틈이 팔,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첨부되는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근력운동기구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대한 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대한 하부측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근력운동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대한 하부측 사시도이고, 도 9는 가압부가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린더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실린더의 하부측 사시도이며, 도 12는 피스톤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가압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4는 어느 일측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또 다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도 16과 도 17은 연결뭉치부에 가압부가 연결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8은 연결뭉치부에 피스톤이 연결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9는 가압부의 사시도이며, 도 20은 부하형성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22는 또 다른 형태의 부하형성유닛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력운동기구는 케이스(100), 실린더(200), 피스톤(300), 가압유닛(400) 및 부하형성유닛(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00)는 길다란 막대 형상이며, 하부 케이스(110)와 상부 케이스(120)가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부 케이스(110)에는 좌우 길이방향으로 두 개의 개구된 절개홈(111)이 형성된다.
케이스(100)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실린더(200)가 마련되며, 도 10은 실린더의 개략적인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실린더의 하부측 형상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00)는 대략 사각 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고, 하부 케이스(110) 상면에 고정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실린더(200)는 알루미늄 압출로 제작될 수 있고, 실린더(200)의 하면 일부 구간은 절개되어 후술될 가압유닛(400)과 피스톤(300)이 연결된 채 움직일 수 있는 작동공간(210)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실린더(200)의 정면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형태로 가이드 터널(220)이 마련되며, 가이드 터널(220)에는 후술될 랙기어부(420a)가 삽입되어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실린더(200)의 하면에는 연결뭉치부(420b)가 끼워져 직선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 리브(230)가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200)에 피스톤(300)이 삽입되며, 도 12는 피스톤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피스톤(300)의 일측 단부에 피스톤 헤드(310)가 결합되며, 피스톤 헤드(310)의 외면에 밀폐를 위한 오링홈(311)이 형성되고, 피스톤(300)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실린더(200)를 따라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한편, 피스톤(300)의 타측 단부에는 후술될 어느 일측 연결뭉치부와 결합을 위한 결합홈(320)이 형성된다.
케이스(100)의 하면측으로 한 쌍의 가압유닛(400)이 마련되며, 가압유닛(400)은 하부 케이스(110)에 형성되는 절개홈(111)을 따라 좌우로 움직이되, 서로 연동되고 어느 하나의 가압유닛(400)은 피스톤(300)에 형성된 결합홈(32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가압유닛(400)은 피니언(410), 좌우 커넥터(420) 및 가압부(430)를 포함하며, 피니언(410)은 케이스(100)의 내부에 마련되되, 길이방향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좌우 커넥터(420)는 피니언(410)을 기준으로 좌우로 하나씩 마련되며, 각 커넥터(420)는 랙기어부(420a)와 연결뭉치부(420b)로 이루어진다.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좌우 커넥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랙기어부(420a)는 피니언(410)에 맞물리게 되며, 랙기어부(420a)의 말단에 일체로 연결뭉치부(420b)가 형성되고, 어느 일측 연결뭉치부(420b)의 상단이 피스톤(300)에 형성되는 결합홈(320)에 끼워져 연결된다. 어느 하나의 연결뭉치부(420b)의 상단에 결합홈(320)에 끼워지도록 돌출되는 결합돌기(424)가 형성되어 피스톤과 연결뭉치부는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케이스(100) 내부에 마련되는 좌우 커넥터(420)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방향에 따라 좌우로 움직이게 되는데, 좌우 커넥터(420)가 안정적으로 직선 슬라이딩 운동될 수 있도록 실린더(20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터널(220)이 마련되며, 실린더(200)의 하면에는 가이드 리브(230)가 마련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터널(220)에 랙기어부(420a)가 삽입되며, 가이드 리브(230)에 연결뭉치부(420b)가 끼워져 좌우 커넥터(420)가 직선이동시에 가이드 터널(220)과 가이드 리브(230)에 의해 보다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연결뭉치부(420b)의 하면쪽에 돌출되는 브라켓(421)이 형성되며, 브라켓(421)에 가압부(430)가 연결된다. 가압부(430)의 상단이 브라켓(421) 사이에 끼워져 핀(422)으로 구속되는 형태로 결합되며, 가압부(430)는 케이스(100)의 하면에 노출되는 형태가 된다.
바람직하게 가압부(430)는 연결뭉치부(420b)에 대해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며, 가압부(430)는 연결뭉치부(420b)에 대해 회동되어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브라켓(421)에 핀(422)을 통해 연결되는 가압부(430)는 회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운동을 할 때에는 가압부(430)를 세워 고정되게 해야 하는 바, 브라켓(421)의 일측에 고정용 레버(423)를 두도록 한다.
고정용 레버(423)는 연결뭉치부(420b)의 하면에 마련되며,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가압부(430)가 세워졌을 때 가압부(430)의 상단을 눌러 가압부를 고정되게 한다. 도 19와 같이 가압부(430)의 상단에 돌출된 플랜지(431)가 형성되며, 플랜지(431)에 절개된 레버홈(432)이 형성되고, 레버홈(432)에 고정용 레버(423)를 돌려서 맞춘 후 고정용 레버(423)를 들어올리면서 회전시키면 고정용 레버(423)가 레버홈(432)과 교차되면서 가압부(43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가압부(430)는 밴드(4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밴드(433)의 일단은 가압부(430) 하단과 연결되며, 밴드(433)의 타단은 연결뭉치부(420b)의 하면에 연결됨으로써 가압부(430)와 밴드(433)로 인해 하나의 폐쇄고리를 형성하게 된다. 가압부(430)와 밴드(433)에 의해 형성되는 폐쇄고리에 운동을 하고자 하는 부위, 즉, 팔이나 다리를 끼워서 힘을 작용시키게 된다.
한편, 가압부(430) 하단에는 밴드(433)의 일단을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밸크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밴드(433)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가압부(430)에 팔이나 다리로 힘을 작용시킬 때 적당한 부하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하형성유닛(500)이 마련된다.
기본적으로 부하형성유닛(500)은 사용자가 자신의 체력을 고려하여 부하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하며, 이러한 부하형성유닛(500)은 실린더(200)와 연결되고 공기 또는 오일의 유출입량의 조절을 통해서 부하가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인 부하형성유닛(500)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공기의 유출입량 제어를 통해서 부하 정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마개(510), 튜브(520), 밸브바디(530), 배출용 체크밸브(540), 흡입용 체크밸브(550) 및 유량조절핸들(5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개구된 실린더(200)의 일측 단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마개(510)가 마련되며, 따라서 실린더(200) 내부는 마개(510)와 피스톤(300)에 의해 밀폐된 공간이 된다. 마개(510)에 튜브(520)의 일단이 연결되며, 튜브(520)의 타단은 밸브바디(530)와 연결된다. 밸브바디(530)는 대략 케이스(100) 내부 길이방향 중간 근처에 고정되게 마련되며, 밸브바디(530)에 배출용 체크밸브(540)와 흡입용 체크밸브(550)가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배출용 체크밸브(540) 및 흡입용 체크밸브(550)에는 배출되거나 흡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조절핸들(560)이 마련되며, 유량조절핸들(560)은 케이스(100)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유량조절핸들(560)을 회전시키게 되면 배출용 체크밸브(540)나 흡입용 체크밸브(550)와 연결되는 유로의 면적을 변경시킬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서 운동시 작용되는 부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케이스(100) 상면에는 유량조절핸들(560)과 인접하여 운동량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D)가 마련될 수 있고, 운동횟수가 표시되거나 부하 정도가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스톤(300)이 압축되게 할 때뿐 아니라 피스톤(300)이 팽창되게 할 때에도 사용자가 힘을 작용시켜서 피스톤(300)을 이동시켜야하므로 양방향으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도 22는 부하형성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 다른 형태의 부하형성유닛(500)의 경우는 오일을 이용한 유압 방식의 부하형성유닛을 제시한다. 실린더(200) 내부로 유출입되는 오일의 양을 조절하여 부하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소정량의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탱크(501)가 마련되고 오일탱크(501)와 유로로 연결되는 배출용 체크밸브(540)와 흡입용 체크밸브(550)가 마련된다. 배출용 체크밸브(540) 및 흡입용 체크밸브(550)는 별도의 튜브(520)로 실린더(200)에 결합된 마개(510)와 연결된다.
피스톤(300)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배출용 체크밸브(540)만이 열리면서 실린더(200) 내부의 오일이 오일탱크(501)로 배출되며, 반대로 피스톤(300)이 팽창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흡입용 체크밸브(550)만이 열리면서 오일탱크(501)의 오일이 실린더(200) 내부로 이동된다. 배출용 체크밸브(540)와 흡입용 체크밸브(550)에 마련되는 유량조절핸들(560)을 조정하면 배출용 체크밸브(540)와 흡입용 체크밸브(550)를 통해 유동되는 오일의 유량이 조정될 수 있으며, 유량이 적게할 수록 부하가 많이 발생되어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근력운동기구는 비교적 소형으로 제작되어 보관이 용이하고 언제라도 쉽게 팔이나 다리에 연결하여 운동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어느 일방향이 아니라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부하가 발생되므로 양방향 운동이 가능하여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근력운동기구는 팔이나 다리운동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100 : 케이스 110 : 하부 케이스
111 : 절개홈 120 : 상부 케이스
200 : 실린더 210 : 작동공간
220 : 가이드 터널 230 : 가이드 리브
300 : 피스톤 310 : 피스톤 헤드
311 : 오링홈 320 : 결합홈
400 : 가압유닛 410 : 피니언
420 : 커넥터 420a: 랙기어부
420b: 연결뭉치부 421 : 브라켓
422 : 핀 423 : 고정용 레버
430 : 가압부 431 : 플랜지
432 : 레버홈 433 : 밴드
500 : 부하형성유닛 510 : 마개
520 : 튜브 530 : 밸브바디
540 : 배출용 체크밸브 550 : 흡입용 체크밸브
560 : 유량조절핸들 501 : 오일탱크
D : 디스플레이부

Claims (7)

  1.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는 피스톤;
    어느 하나가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되,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형성되는 절개홈을 따라 좌우로 움직일 수 있고, 서로 연동되는 한 쌍의 가압유닛;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의 좌우 이동시에 부하를 발생시키는 작용을 하는 부하형성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며,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길이방향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을 기준으로 좌우에 하나씩 마련되되,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기어부와, 상기 랙기어부의 말단에 형성되는 연결뭉치부로 이루어지고, 어느 일측 연결뭉치부는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는 좌우 커넥터;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뭉치부와 연결되는 가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운동기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연결뭉치부에 형성되는 브라켓에 핀으로 연결되어 세워지거나 눕혀질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상기 가압부가 세워졌을 때 상기 가압부의 상단을 눌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레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운동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일단이 가압부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뭉치에 연결되는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운동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형성유닛은,
    공기의 유출입량이나 오일의 유출입량의 조절을 통해서 부하형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운동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형성유닛은,
    공기의 유출입량의 제어를 통해 부하형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실린더의 일측 단부를 밀폐시키는 마개와, 상기 마개와 연결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와 연결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에 마련되는 배출용 체크밸브와, 상기 밸브바디에 마련되는 흡입용 체크밸브와, 상기 배출용 체크밸브와 흡입용 체크밸브에 부착되어 유로면적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조절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운동기구.
  7. 제 1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알루미늄 압출로 제작되며, 상기 실린더의 하면 일부 구간은 절개되어 상기 가압유닛과 상기 피스톤이 연결되어 움직일 수 있는 작동공간을 제공하게 되고,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가이드 터널에 상기 랙기어부가 삽입되어 직선이동이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운동기구.
KR1020130012289A 2013-02-04 2013-02-04 근력운동기구 KR101399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289A KR101399018B1 (ko) 2013-02-04 2013-02-04 근력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289A KR101399018B1 (ko) 2013-02-04 2013-02-04 근력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9018B1 true KR101399018B1 (ko) 2014-05-27

Family

ID=50895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289A KR101399018B1 (ko) 2013-02-04 2013-02-04 근력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0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4630A (en) * 1990-12-26 1991-09-03 Stephen Ventimiglia Portable exercise device
JPH0373521B2 (ko) * 1983-05-16 1991-11-22 Tokyo Juki Industrial Co Ltd
WO1997026050A1 (en) * 1996-01-15 1997-07-24 Henry Patynowski Hip, thigh and chest workout device
KR200358973Y1 (ko) * 2003-11-26 2004-08-21 김정화 양방향 운동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3521B2 (ko) * 1983-05-16 1991-11-22 Tokyo Juki Industrial Co Ltd
US5044630A (en) * 1990-12-26 1991-09-03 Stephen Ventimiglia Portable exercise device
WO1997026050A1 (en) * 1996-01-15 1997-07-24 Henry Patynowski Hip, thigh and chest workout device
KR200358973Y1 (ko) * 2003-11-26 2004-08-21 김정화 양방향 운동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9864B2 (en) Arm exercising device
US9895567B2 (en) Comprehensive fitness equipment leg press
US6733426B2 (en) Leg stretching device
US20050266973A1 (en) Exercise device
JP2017511738A (ja) 首運動のための首運動支持体を備えた椅子
TW201924748A (zh) 攀爬訓練器
CN203329269U (zh) 健身器
KR101399018B1 (ko) 근력운동기구
US9017234B2 (en) Water resistance upper body reciprocating exerciser
CN109925664A (zh) 一种健腿平推健身装置
CN209475117U (zh) 一种腿部按摩健身装置
CN203634721U (zh) 一种带加热丝的腰腿力量训练装置
CN201668917U (zh) 脚踏式健身器
CN203873358U (zh) 具有前伸,及前伸和健身功能的老板椅
CN207492433U (zh) 一种沙发椅结构
KR101631798B1 (ko) 다리와 허리의 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
CN204745510U (zh) 一种腰部力量锻炼装置
KR200275320Y1 (ko) 복합 운동기구
CN220655196U (zh) 一种零重力零靠墙零位移的椅架
CN203899056U (zh) 肢体运动健身装置
CN204563481U (zh) 便携健身凳
US20220387243A1 (en) Stretching Machine
CN110339532B (zh) 步态模拟踏步训练器
CN206852406U (zh) 零重力沙发
CN210991585U (zh) 一种站立式下肢运动康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