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675B1 - 방폭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방폭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675B1
KR101398675B1 KR1020120156568A KR20120156568A KR101398675B1 KR 101398675 B1 KR101398675 B1 KR 101398675B1 KR 1020120156568 A KR1020120156568 A KR 1020120156568A KR 20120156568 A KR20120156568 A KR 20120156568A KR 101398675 B1 KR101398675 B1 KR 101398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ed module
mounting space
space
tempered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회
Original Assignee
(주)정신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신전자 filed Critical (주)정신전자
Priority to KR1020120156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6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12Flameproof or explosion-proof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폭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부와 후면부가 각각 개방되고 내부에 장착공간이 마련되며 장착공간을 상호 독립적인 제1장착공간과 제2장착공간으로 각각 구획하는 격벽이 마련된 본체와; 본체의 전면부에 결합되고 본체의 외측에서 제1장착공간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광창이 마련된 프런트커버와; 본체의 후면부에 결합되어 제2장착공간을 폐쇄하는 리어커버와; 제1장착공간에 설치되는 LED모듈과, 제2장착공간에 설치되어 LED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조명부와; 본체의 전면부와 프런트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LED모듈을 보호하는 강화유리와; LED모듈과 강화유리 사이에 설치되어 LED모듈에서 방출된 빛을 강화유리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폭조명장치에 의하면, LED모듈이 장착되는 공간과, LED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설치되는 공간을 격벽을 통해 상호 독립적인 공간으로 각각 구획함으로써 일 측에 작용하는 압력이나 가스, 수분 등이 타 측의 공간으로 유입되지 하여 가스의 폭발 위험성이 있는 곳에서도 안전하게 조명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LED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격벽 및 방열날개를 통해 신속하게 방열시킬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 및 물론 교체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폭조명장치{Explosion proof type lamp}
본 발명은 방폭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을 받아도 파손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광도가 높고, 외부와의 기밀이 보장되어 인화성이 높고 수분이 많은 분위기에서 사용가능한 방폭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폭발성 가스 및 증기 또는 분진에 의한 폭발 위험 분위기가 형성되는 곳이나 각종 인화성 물질을 취급하는 공장 등은 상시 위험성이 상존하는 지역이다. 이러한 위험 지역은 위험 상태에 따라 위험 장소를 0종, 1종, 2종 등으로 구분하여 분류하고 있는데, 이러한 위험 지역 중 0종과 1종 장소는 항상 화재, 폭발 및 열 발생으로 인한 위험성이 높다.
이와 같이 폭발 위험 분위기가 형성된 곳에서 사용되는 전기기구 및 조명기구는 내부에서 전기적인 결합에 의해 발생하는 스파크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가스, 수분, 압력이 내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방폭 구조를 가지도록 규정되어 있다.
일 예로, 폭발성 가스는 조명기구를 점멸할 때 일어나는 팽창과 수축에 의해 생긴 작은 틈새로 침투할 수 있어 기구를 밀폐하더라도 방폭 효과를 얻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종래에는 방폭등은 폭발성 가스가 침투해서 폭발을 일으키더라도 인화되지 않도록 내부에 불활성 가스를 유입시킨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폭등은 일반적으로 나트륨등, 할로겐등, 백열등, 형광등, 삼파장등 등을 광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크기가 크고 전력소비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나트륨등과 같은 방전등을 광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과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안정기를 사용하고 있는바, 부피가 커지고 전력소모가 많으며, 진동이 많은 장소에서는 불안정한 상태에 노출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방폭등은 광원과 안정기의 방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과열로 인해 수명이 단축되고 매우 위험한 상황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폭등은 통상 고압 수은등, 고압 나트륨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과 같이 유리구를 구비하는 램프를 구비하고, 과열 등에 의한 스파크 발생시 램프의 폭발이 2차 폭발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내압 케이싱이 구비된다.
상기 내압 케이싱은 내부에서 전기적인 결함에 의해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할 때 그 압력에 견디는 내압력을 가지며, 접합면, 개구부 등을 통해 외부의 폭발성 가스에 인화될 우려가 없는 기밀이 요구된다. 방폭등의 케이싱은 금속재로 되는 케이싱 본체에 유리 글로브 또는 강화유리가 긴밀하게 결착되는 구조를 갖고, 유리 글로브 또는 강화유리 외부에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망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램프가 유리구를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유리 글로브 또는 강화유리가 유리구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내부공간을 확보해야 되고, 유리구 폭발시의 파괴력에 대한 내압력을 가져야 하므로 글로브 또는 강화유리를 포함하는 케이싱 전체의 두께가 두껍고 크기가 큰 육중한 형태의 방폭 구조를 갖는다.
한편, LED를 광원으로 적용한 경우에는 열에 의한 램프의 스파크 발생위험이 거의 없고, 따라서 LED램프를 이용하여 방폭등을 구성한다면 강한 내압구조가 불필요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도 LED를 이용하는 방폭등이 국내등록특허공보 10-0910539호 및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06648호에 제시된 바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방열성능이 뒷받침되지 못하여 조도가 떨어지고 수명이 짧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가스의 폭발 위험성이 있는 곳에서도 안전하게 조명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폭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LED에서 발생하는 열을 신속하게 방열시킬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 및 물론 교체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는 방폭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폭조명장치는 전면부와 후면부가 각각 개방되고 내부에 장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장착공간을 상호 독립적인 제1장착공간과 제2장착공간으로 각각 구획하는 격벽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제1장착공간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광창이 마련된 프런트커버와;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장착공간을 폐쇄하는 리어커버와; 상기 제1장착공간에 설치되는 LED모듈과, 상기 제2장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LED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조명부와; 상기 본체의 전면부와 상기 프런트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LED모듈을 보호하는 강화유리와; 상기 LED모듈과 상기 강화유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LED모듈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강화유리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전면부와 상기 프런트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제1패킹부재와, 상기 프런트커버와 상기 강화유리 사이에 개재되는 제2패킹부재와, 상기 본체의 후면부와 상기 리어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제3패킹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는 상기 강화유리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커버에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강화유리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부는 상기 본체 가장자리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제1결합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프런트커버는 상기 제1결합플랜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플랜지에 밀착결합되는 제2결합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제1결합플랜지는 상기 제2결합플랜지와 마주하는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제1패킹부재가 삽입되는 제1패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홈에는 상기 제2패킹부재가 삽입되는 제2패킹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플랜지와 상기 제2결합플랜지에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어커버에는 상기 제3패킹부재와 상기 본체 후면부가 삽입되는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ED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상기 LED모듈로 연장된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게 상기 격벽을 관통하는 관통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과 상기 관통홀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밀봉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밀봉유닛은 상기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게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나사결합되는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의 상부로부터 상기 중공부와 멀어지게 확장된 헤드부와,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과 상기 케이블 사이의 공간에 충전된 충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부와 상기 격벽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관통홀에 상기 소켓부가 나사결합될 때 상기 헤드부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격벽과 상기 헤드부 사이의 틈을 폐쇄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폭조명장치에 의하면, LED모듈이 장착되는 공간과, LED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설치되는 공간을 격벽을 통해 상호 독립적인 공간으로 각각 구획하고, 전후면이 개방된 본체를 프런트커버와 리어커버를 통해 완전하게 밀봉함으로써 본체 내부에서 전기적인 결함에 기인한 스파크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반대로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폭발 압력이나 폭발성 가스 또는 수분 등이 본체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차단할 수 있어 가스의 폭발 위험성이 있는 곳에서도 안전하게 조명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LED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격벽 및 방열날개를 통해 신속하게 방열시킬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 및 물론 교체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폭조명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폭조명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방폭조명장치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폭조명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폭조명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폭조명장치는 전면부와 후면부가 각각 개방되고 내부에 장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장착공간을 상호 독립적인 제1장착공간(101)과 제2장착공간(102)으로 각각 구획하는 격벽(130)이 마련된 본체(100)와, 본체(100)의 전면부에 결합되고 본체(100)의 외측에서 상기 제1장착공간(101)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광창(201)이 마련된 프런트커버(200)와, 본체(100)의 후면부에 결합되고 제2장착공간(102)을 폐쇄하는 리어커버(300)와, 제1장착공간(101)에 설치되는 LED모듈(150)과, 제2장착공간(102)에 설치되어 LED모듈(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60)을 포함하는 조명부와, 본체(100)의 전면부와 프런트커버(200) 사이에 설치되어 LED모듈(150)을 보호하는 강화유리(400)와, LED모듈과 강화유리 사이에 설치되어 LED모듈에서 방출된 빛을 강화유리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155)와; LED모듈(1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모듈(160)로부터 LED모듈(150)로 연장된 케이블(C)이 통과할 수 있게 격벽(130)을 관통하는 관통홀(131)에 결합되어 케이블(C)과 관통홀(131)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밀봉유닛(170)을 구비한다.
본체(100) 내부에는 조명부를 장착할 수 있게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호 대향하고 있는 전면부와 후면부가 각각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된 구조를 가지며, 구조적인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게 금속소재로 이루어진다.
본체(100)의 외주면에는 LED모듈(150)의 LED칩(152)이 발광하면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의 방열날개(105)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방열날개(105)의 일 측에는 후술하는 리어커버(300)와 체결을 위한 제1체결브라켓(미도시)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으며, 개방된 전면부에는 본체(100)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제1결합플랜지(110)가 마련되어 있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 '151'은 LED칩(152)가 장착되는 기판이다.
본체(100)의 전면부에는 강화유리(400)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106)이 형성되어 있고, 제1결합플랜지(110)의 표면에는 내측으로 인입되어 전면부와 프런트커버(200) 사이에 개재되는 제1패킹부재(114)를 삽입하기 위한 제1패킹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100)에는 벽체나 지주 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지지브라켓(1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지지걸이(500)가 더 구비된다.
프런트커버(200)는 개방된 본체(100)의 전면부와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분에 투광창(201)이 마련되어 있다.
프런트커버(200)에는 안착홈(106)에 안착된 강화유리(400)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홈(206)이 형성되어 있고, 가압홈(206)에는 내측으로 인입되어 프런트커버(200)와 강화유리(400) 사이에 개재되는 제2패킹부재(221)를 삽입하기 위한 제2패킹홈(222)이 형성되어 있다.
프런트커버(200)는 본체(100)의 제1결합플랜지(110)와 결합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제2결합플랜지(2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제1결합플랜지(110)와 제2결합플랜지(210)에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23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패킹부재(114)와 제2패킹부재(221)는 프런트커버(200)와 본체(100)를 결합시킬 때 즉, 제1결합플랜지(110)와 제2결합플랜지(210)를 고정볼트(240)를 통해 밀착결합시킬 때, 제1결합플랜지(110)와 제2결합플랜(210) 그리고 제2결합플랜지(210)와 강화유리(400)에 의해 각각 가압되면서 탄성 변형되므로 제1결합플랜지(110)와 제2결합플랜지(210) 사이의 간극 그리고 가압홈(206)과 강화유리(400)사이의 간극을 밀봉할 수 있어 제1장착공간(101)으로 수분 또는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어커버(300)는 개방형성된 본체(100)의 후면부와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서 제1체결브라켓과 체결을 위한 제2체결브라켓(330)들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체결브라켓과 제2체결브라켓(330)은 고정볼트에 의해 밀착결합된다.
리어커버(300)는 본체(100)의 제2장착공간으로 삽입되어 본체(10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내측장벽(310)과, 본체(10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본체(10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측장벽(320)을 구비한다. 상기 리어커버(300)의 내측 및 외측장벽(310, 320)은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리어커버(300)에는 본체(100)의 후면부 및 리어커버(300)와 본체(100)의 후면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3패킹부재(미도시)를 삽입하기 위한 제3패킹홈(3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패킹홈(350)은 상기 내측 및 외측장벽(310, 320)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며 그 폭은 본체(100)의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제3패킹부재는 리어커버(300)를 본체(100)에 결합시킬 때 즉, 제1체결브라켓과 제2체결브라켓(330)을 고정볼트(340)를 통해 밀착결합시킬 때, 제3패킹홈으로 진입되는 본체(100)의 후면부에 의해 가압되어 제3패킹홈을 밀봉하게 되므로 제2장착공간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명부는 제2장착공간(102)에 장착되어 본체(100)의 전면부 측을 향하여 빛을 방출하기 위한 것으로, 기판(151)상에 LED(152)가 매트릭스 상으로 배치된 LED모듈(150)과, 상기 LED모듈(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60)을 포함한다.
본체(100)의 일 측에는 상기 제어모듈(16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이 통과할 수 있게 통과구멍(108)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통과구멍(108)에는 전력선과의 틈을 밀봉하기 위한 별도의 패킹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격벽(130)은 본체(100) 내부의 장착공간을 LED모듈(150)이 설치되는 제1장착공간(101)과, 상기 제1장착공간(101)과 격리되고 제어모듈(160)이 설치되는 제2장착공간(102)으로 각각 구획하고, LED모듈(1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어모듈(160)로부터 LED모듈(150)로 연장된 케이블(C)이 통과할 수 있게 관통홀(13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격벽(130)은 본체(100)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격벽(130)의 일 측면 즉, 전면부를 향하는 측면에는 LED모듈(150)이 고정되어 있고, 타 측면에는 제어모듈(160)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격벽(130)은 LED모듈(150)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게 금속소재, 일 예로 알루미늄합금 또는 구리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조명부의 기판은 격벽(130)을 통해 방열성능을 높일 수 있게 메탈PCB를 적용할 수 있다.
안내부(155)는 LED모듈(150)과 강화유리(400) 사이에 설치되어 LED모듈(150)에서 방출된 빛 즉, 다수의 LED칩(152)에서 방출되는 빛을 각각 강화유리(400)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서, 평판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부(154)와, 플레이트부(154)를 관통하는 다수의 안내홈(154a)을 구비한다.
상기 안내홈(154a)은 LED칩(152)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안내홈(154a)의 내주면에는 반사물질이 도포되어 LED칩(154a)에서 출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층(미도시)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155)는 LED모듈(150)과 강화유리(4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충진하여, 외부로부터 가스 및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차지함으로써, 방폭성능을 높이고 LED모듈(150)에서 방출되는 빛이 강화유리(400)로 향하도록 안내하여 조명성능 또한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밀봉유닛(170)은 케이블(C)이 통과할 수 있게 중공부(171)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31)에 나사결합되는 소켓부(172)와, 상기 소켓부(172)의 상부로부터 상기 중공부(171)와 멀어지게 확장된 헤드부(173)와, 상기 중공부(171)의 내주면과 상기 케이블(C) 사이의 공간에 충전된 충전부(174)를 구비한다.
소켓부(172)와 관통홀(131)은 나사결합되고, 상기 헤드부(173)는 소켓부(172)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171)는 소켓부(172)와 헤드부(173)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LED모듈(15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C)의 직경보다 조금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충전부(174)는 케이블(C)과 중공부(171)의 내주면 사이의 틈을 밀봉할 수 있도록 중공부(171)에 충전된 것으로, 열경화성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계열의 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충전부(174)는 제1장착공간(101)으로부터 제2장착공간(102) 또는 제2장착공간(102)으로부터 제1장착공간(101)으로 가스 또는 수분의 이동을 차단한다.
밀봉유닛(170)은 헤드부(173)와 격벽(130) 사이에 개재되고, 관통홀(131)에 소켓부를 나사결합시킬 때 헤드부(173)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격벽(130)과 헤드부(173) 사이의 틈을 폐쇄하는 탄성부(18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폭조명장치는 본체(100)의 내부공간이 상호 격리된 제1장착공간(101)과 제2장착공간(102)으로 구획하고, 제1장착공간(101)과 제2장착공간(102)을 연통시키는 관통홀(131)을 밀봉유닛(170)을 통해 완벽하게 밀봉하고 있으므로, 어느 일 측의 공간으로 수분 또는 가스의 침투가 이루어지더라도 다른 타 측의 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반대의 경우 즉, 방폭조명장치 내부의 전기적인 결함에 의하여 내부로부터 발생하는 폭발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폭발의 위험성이 있는 지역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방폭조명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01 : 제1장착공간
102 : 제2장착공간 105 : 방열날개
106 : 안착홈 110 : 제1결합플랜지
200 : 프런트커버 201 : 투광창
206 : 가압홈 210 : 제2결합플랜지
300 : 리어커버 310 : 내측장벽
320 : 외측장벽 330 : 제2체결브라켓
400 : 강화유리 500 : 지지걸이

Claims (5)

  1. 전면부와 후면부가 각각 개방되고, 내부에 장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장착공간을 상호 독립적인 제1장착공간과 제2장착공간으로 각각 구획하는 격벽이 마련되고, 외주면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의 방열날개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지지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걸이와;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제1장착공간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광창이 마련된 프런트커버와;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장착공간을 폐쇄하는 리어커버와;
    상기 제1장착공간에 설치되는 LED모듈과, 상기 제2장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LED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조명부와;
    상기 본체의 전면부와 상기 프런트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LED모듈을 보호하는 강화유리와;
    상기 LED모듈과 상기 강화유리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LED모듈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강화유리로 향하도록 안내하면서, 상기 LED모듈과 상기 강화유리 사이의 공간을 점유하는 안내부와;
    상기 LED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상기 LED모듈로 연장된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게 상기 격벽을 관통하는 관통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과 상기 관통홀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밀봉유닛과;
    상기 본체의 전면부와 상기 프런트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제1패킹부재와;
    상기 프런트커버와 상기 강화유리 사이에 개재되는 제2패킹부재와;
    상기 본체의 후면부와 상기 리어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제3패킹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전면부는 상기 강화유리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과, 상기 본체 가장자리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제1결합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프런트커버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강화유리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홈과, 상기 제1결합플랜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플랜지에 밀착결합되는 제2결합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제1결합플랜지는 상기 제2결합플랜지와 마주하는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제1패킹부재가 삽입되는 제1패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홈에는 상기 제2패킹부재가 삽입되는 제2패킹홈이 형성되며,
    상기 리어커버는 상기 본체의 제2장착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내측장벽과,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측장벽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장벽과 상기 외측장벽 사이에는 상기 제3패킹부재와 상기 본체 후면부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봉유닛은 상기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게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나사결합되는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의 상부로부터 상기 중공부와 멀어지게 확장된 헤드부와,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과 상기 케이블 사이의 공간에 충전된 충전부 및 상기 헤드부와 상기 격벽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관통홀에 상기 소켓부가 나사결합될 때 상기 헤드부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격벽과 상기 헤드부 사이의 틈을 폐쇄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조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156568A 2012-12-28 2012-12-28 방폭조명장치 KR101398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568A KR101398675B1 (ko) 2012-12-28 2012-12-28 방폭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568A KR101398675B1 (ko) 2012-12-28 2012-12-28 방폭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675B1 true KR101398675B1 (ko) 2014-05-28

Family

ID=5089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568A KR101398675B1 (ko) 2012-12-28 2012-12-28 방폭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6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839A (ko) * 2018-04-30 2019-11-07 (주)프라우텍 엘이디 방폭등
KR102102081B1 (ko) * 2019-10-23 2020-04-17 주식회사 바이더엠 Led 방폭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9611A (ja) * 2002-03-28 2003-10-10 Iwatsu Electric Co Ltd 防爆電気機器のケーブル引込構造
KR20100030334A (ko) * 2008-09-10 2010-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110008249U (ko) * 2010-02-17 2011-08-24 김은덕 컬러 조명장치
KR101142029B1 (ko) * 2010-02-11 2012-04-30 주식회사 도시환경이엔지 가로등용 엘이디 반사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9611A (ja) * 2002-03-28 2003-10-10 Iwatsu Electric Co Ltd 防爆電気機器のケーブル引込構造
KR20100030334A (ko) * 2008-09-10 2010-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142029B1 (ko) * 2010-02-11 2012-04-30 주식회사 도시환경이엔지 가로등용 엘이디 반사유닛
KR20110008249U (ko) * 2010-02-17 2011-08-24 김은덕 컬러 조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839A (ko) * 2018-04-30 2019-11-07 (주)프라우텍 엘이디 방폭등
KR102180248B1 (ko) * 2018-04-30 2020-11-19 (주)프라우텍 엘이디 방폭등
KR102102081B1 (ko) * 2019-10-23 2020-04-17 주식회사 바이더엠 Led 방폭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274B1 (ko) 내압 방폭 엘이디 조명등
US83484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lighting module
KR101683137B1 (ko) 해양플랜트용 방폭조명등
KR100910539B1 (ko) 엘이디 방폭등
KR101864138B1 (ko) 내압 방폭 엘이디 조명등
KR101322468B1 (ko) Led 방폭조명기구
KR101600006B1 (ko) 독립 제어형 엘이디 방폭등
KR20110095863A (ko) 조명 기구
KR101398673B1 (ko) 방폭조명기구
KR200459504Y1 (ko) 방폭등용 엘이디 광원 모듈
KR20160000244U (ko) 엘이디 방폭등
KR101398675B1 (ko) 방폭조명장치
KR200454751Y1 (ko) Led 방폭등
CN101881396B (zh) 一种防爆灯
KR101625160B1 (ko) 엘이디 방폭등
KR102316371B1 (ko) 항공기용 등기구
KR101615348B1 (ko) 해양플랜트용 led 방폭등
KR102353691B1 (ko) 방열 성능이 향상된 방폭등
KR102580998B1 (ko) 방폭용 led 조명장치 및 그 구성 방법
KR20150080374A (ko) 엘이디 방폭등
CN212204175U (zh) 一种照明效果好的方形led防爆灯
EP3995734A1 (en) Lighting apparatus and corresponding production method
CN211399436U (zh) 一种led防爆平台灯
CN212456768U (zh) 一种led防爆灯具
KR200462057Y1 (ko) 엘이디 방폭 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