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995B1 - 게이트웨이에서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 및 게이트웨이 - Google Patents

게이트웨이에서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 및 게이트웨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995B1
KR101396995B1 KR1020070082304A KR20070082304A KR101396995B1 KR 101396995 B1 KR101396995 B1 KR 101396995B1 KR 1020070082304 A KR1020070082304 A KR 1020070082304A KR 20070082304 A KR20070082304 A KR 20070082304A KR 101396995 B1 KR101396995 B1 KR 101396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packet
destination address
gateway
proto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7827A (ko
Inventor
윤찬필
손지호
김선량
이병욱
강기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2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995B1/ko
Publication of KR20090017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네트워크 내의 발신 장치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패킷으로부터 제1 수신처주소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제1 수신처주소에 해당하는 수신 장치가 제2 네트워크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1 수신처주소를 제2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2 수신처주소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수신처주소를 포함하는 제2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상기 제2 패킷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부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토콜이 다른 이종 네트워크에서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동일한 정보를 다수의 수신 장치에 각각 별개로 전송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Description

게이트웨이에서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 및 게이트웨이{METHOD FOR CONVERTING PROTOCOL IN A GATEWAY, AND GATEWAY THEREOF}
본 발명은 게이트웨이에서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 및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토콜이 서로 달라 호환성이 없는 복수의 네트워크를 상호 접속하여 프로토콜의 변환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에서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 및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랜(WLA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이더넷(ethernet), 초광대역 통신(UWB) 등 각각 고유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장치들은,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장치들끼리 정보를 주고받을 뿐만 아니라, 이종의 프로토콜의 장치들간에도 상호 접속이 필요하다. 따라서, 게이트웨이가 이러한 다른 종류의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여, 통신망 간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게이트웨이는 특정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정보를 다른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정보로 변환하여 수신 장치에 전송하는 데, 이때 발신 장치에서 보내오는 수신장치의 주소는 실제 수신 장치에 부합하는 주소 체계와 전혀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발신 장치가 동일한 정보를 다수의 수신 장치에 전송하고자 할 경우, 각각의 수신처 주소를 포함하는 패킷을 복수 개를 구성하여 각각 별개로 전송하여야하기 때문에, 통신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프로토콜이 다른 이종 네트워크에서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에서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 및 게이트웨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일한 정보를 다수의 수신 장치에 각각 별개로 전송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에서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 및 게이트웨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에서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은 제1 네트워크 내의 발신 장치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패킷으로부터 제1 수신처주소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제1 수신처주소에 해당하는 수신 장치가 제2 네트워크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1 수신처주소를 제2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2 수신처주소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수신처주소를 포함하는 제2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상기 제2 패킷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부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패킷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1 수신처주소를 추출하는 단계이고, 상기 변환하는 단계 및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수신처주소의 개수만큼 반복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패킷 및 제2 패킷은 발신 장치의 주소, 메시지 아이디, 및 메시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발신 장치의 주소는, 2 바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게이트웨이에 의해 할당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네크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은, 블루투스 표준, 지그비 표준, 초광대역 통신 표준, 무선랜 표준, 이더넷 표준, 무선통신 표준 중 하나를 따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네트워크 내의 발신 장치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제1 통신모듈; 상기 제1 패킷으로부터 제1 수신처주소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수신처주소가 제2 네트워크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1 수신처주소를 제2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2 수신처주소로 변환한 후, 상기 제2 수신처주소를 포함하는 제2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2 패킷을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제2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상기 제2 패킷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부합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로토콜이 다른 이종 네트워크에서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장치에서 게이트웨이를 통해 지그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일한 정보를 다수의 수신 장치에 각각 별개로 전송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 자원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와 발신 장치 및 수신 장치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100)는 다양한 통신기술(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초광대역 통신(UWB), 무선랜 표준(WLAN), 이더넷(Ethernet), 무선통신(RFID) 등)이 적용된 장치(10.1, 10.2, 등)와 연계되어 있는 데, 이러한 장치들(10.1, 10.2, 등)은, 경우에 따라서 그룹(Group1, Group2)을 형성하기도 한다. 게이트웨이(100)는 발신 장치(10.1)로부터 발송된 패킷을 수신한 후, 이 패킷에 해당하는 정보를 수신 장 치(10.2)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100)의 구성에 관해서는 도 2와 함께 후술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통신모듈(110.1), 제2 통신모듈(110.2), 메모리(120), 제어부(130), 제3 통신모듈(110.3), 및 제N 통신모듈(110.N)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통신모듈(110.1) 내지 제N 통신모듈(110.N)은 각각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초광대역 통신(UWB), 무선랜 표준(WLAN), 이더넷(Ethernet), 무선통신(RFID) 중 하나의 기술이 적용된 통신 모듈이다. 제1 네트워크에 속하는 발신 장치(10.1) 및 제1 통신모듈(110.1)이 서로 동일한 기술에 해당하고, 제2 네트워크에 속하는 수신장치(10.2) 및 제2 통신모듈(110.2)이 서로 동일한 기술에 해당하고,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 통신모듈(110.1)은 제1 네트워크 내 발신 장치(10.1)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한다. 도 3은 수신된 제1 패킷의 타입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패킷은 발신 장치(10.1)의 주소(Sender ADDR), 수신 장치(10.2)의 주소(Receiver ADDR), 메시지 아이디(Msg ID), 시퀀스 넘버(Seq NO), 패킷 길이정보(MsgLen), 데이터(Data)를 포함한다. 여기서, 발신 장치(10.1)의 주소(Sender ADDR)는, 2 바이트로 구성되며, 게이트웨이(100)에 의해 할당된 것일 수 있다. 수신 장치(10.2)의 주소(Receiver ADDR)는 제어부(130)에 의해 추출되어 제1 수신처주소가 된다. 또한 수신 장치(10.2)의 주소는 하나 이상의 수신처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수신처 주소 변환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이다. 도 4는 수신처 주소 변환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제1 수신처주소(addr_1, addr_2, 등) 는, 제1 패킷에 포함된 수신 장치(10.2)의 주소(Receiver ADDR)와 동일한 것으로서, 제1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의 체계에 부합하는 주소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제2 수신처주소(addr_a, addr_b 등)는 제2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예: Bluetooth, Zigbee 등)에 부합하는 것이다.
제어부(130)는 제1 통신모듈(110.1)에 의해 수신된 제1 패킷으로부터 제1 수신처주소를 추출한다. 추출된 제1 수신처주소가 제2 네트워크 내에 속하는 경우,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는 수신처 주소 변환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제1 수신처주소를 제2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2 수신처주소로 변환한 후, 제2 수신처주소를 포함하는 제2 패킷을 생성하여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만약, 제1 수신처주소가 하나 이상인 경우, 제2 패킷은 제1 수신처주소의 개수만큼 생성되어 제2 네트워크로 전송된다.
제2 통신모듈(110.2)은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된 제2 패킷을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제3 통신모듈(110.3) 및 제N 통신모듈(110.N)은 제1 통신모듈(110.1) 및 제2 통신모듈(110.2)이외의 통신방식에 따른 모듈로서, 만약 제1 수신처주소가 제2 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네트워크에 속하는 경우 제3 통신모듈(110.3) 또는 제N 통신모듈(110.N)을 통해 제2 패킷을 해당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에서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각 단계를 네트워크 주체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제1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발신 장치(10.1)가 게이트웨이(100)에 제1 패킷을 생성한다(S110 단계). 그런 다음, 제1 패킷을 게이트웨이(100)에 전송하면, 게이트웨이(100)는 이를 수신한다(S120 단계). 게이트웨이(100)는 제1 패킷으로부터 제1 수신처주소를 추출한다(S130 단계). 그런 다음, 제1 수신처주소에 해당하는 상대 장치 즉, 수신 장치(10.2)가 어떤 네트워크에 속하는지를 조회한다. 만약, 수신 장치(10.2)가 제2 네트워크에 속하는 경우(S140 단계의 '예'), 게이트웨이(100)는 제1 수신처주소를 제2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제2 수신처주소로 변환한다(S150 단계). 그런 다음, S150 단계에서 변환된 제2 수신처주소를 포함하는 제2 패킷을 생성한다(S160 단계). 게이트웨이(100)는 S160 단계에서 생성된 제2 패킷을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한다(S170 단계). 그러면, 제2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상대 장치 즉, 수신 장치(10.2)는 제2 패킷을 수신한다(S180 단계).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와 발신 장치 및 수신 장치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구성도.
도 3은 수신된 제1 패킷의 타입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수신처 주소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에서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의 순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각 단계를 네트워크 주체별로 나타낸 도면.

Claims (6)

  1. 제1 네트워크 내의 발신 장치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패킷으로부터 제1 수신처주소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제1 수신처주소에 해당하는 수신 장치가 제2 네트워크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1 수신처주소를 제2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2 수신처주소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수신처주소를 포함하는 제2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상기 제2 패킷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부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에서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패킷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1 수신처주소를 추출하는 단계이고,
    상기 변환하는 단계 및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수신처주소의 개수만큼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에서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킷 및 제2 패킷은 발신 장치의 주소, 메시지 아이디, 및 메시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에서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장치의 주소는, 2 바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게이트웨이에 의해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에서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크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은, 블루투스 표준, 지그비 표준, 초광대역 통신 표준, 무선랜 표준, 이더넷 표준, 무선통신 표준 중 하나를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에서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
  6. 제1 네트워크 내의 발신 장치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제1 통신모듈;
    상기 제1 패킷으로부터 제1 수신처주소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수신처주소가 제2 네트워크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1 수신처주소를 제2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2 수신처주소로 변환한 후, 상기 제2 수신처주소를 포함하는 제2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2 패킷을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제2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상기 제2 패킷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부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KR1020070082304A 2007-08-16 2007-08-16 게이트웨이에서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 및 게이트웨이 KR101396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304A KR101396995B1 (ko) 2007-08-16 2007-08-16 게이트웨이에서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 및 게이트웨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304A KR101396995B1 (ko) 2007-08-16 2007-08-16 게이트웨이에서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 및 게이트웨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827A KR20090017827A (ko) 2009-02-19
KR101396995B1 true KR101396995B1 (ko) 2014-05-21

Family

ID=40686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304A KR101396995B1 (ko) 2007-08-16 2007-08-16 게이트웨이에서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 및 게이트웨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9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259B1 (ko) * 2009-04-06 2011-04-18 주식회사 옥타컴 서로 다른 wpan 간의 통신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71995A (ko) 2009-12-22 2011-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더넷-모스트 게이트웨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969A (ko) * 2002-09-18 2004-03-24 전자부품연구원 이기종 프로토콜과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통합처리 방법 및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969A (ko) * 2002-09-18 2004-03-24 전자부품연구원 이기종 프로토콜과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통합처리 방법 및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827A (ko) 200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2212B2 (en) Autoconfiguration system for wireless sensor network and its method, and gateway apparatus for wireless sensor network
CN107006045A (zh) 网络地址中依赖于传输设备的上下文
CN101640645B (zh) 报文传输方法和系统
CN102598595B (zh) 在包括无电池ZigBee设备的网络中通信的方法及用于其的网络和设备
CA2650735A1 (en) Method of reserving resources with a maximum delay guarantee for multi-hop transmission in a distributed access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CN101877826A (zh) 在多个站中支持隧道化直接链路建立(tdls)的组合的设备和服务发现技术
EP1571790A3 (en) Secure routing method for ad hoc networks, corresponding mobile node and network system
FR2855697B1 (fr) SYSTEME DE CONVERSION DE DONNEES BASEE SUR IPv4 EN DONNEES BASEES SUR IPv6 A TRANSMETTRE A TRAVERS UN RESEAU COMMUTE IP
WO2011106984A1 (zh) 移动终端并行传输数据的方法和移动终端
CN101005418A (zh) 以太网络与无线传感器网络之间的通信方法及装置
US20060045119A1 (en) Main station and substation in a network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network
CN104168273A (zh) 一种瘦ap模式下实现tcp代理的方法及系统
KR101396995B1 (ko) 게이트웨이에서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 및 게이트웨이
CN101272326A (zh) 一种聚合链路传输报文的方法和通信设备
von Hoyningen-Huene et al. Comparison of wireless gateway concepts for industrial real-time-communication
CN100464547C (zh) 一种实现不同通信协议设备间信息传输的方法
CN109905897A (zh) 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JP6014441B2 (ja) 無線通信装置
CN101986647A (zh) Vrrp的兼容方法及装置
KR101598852B1 (ko) 함정 네트워크 통합용 게이트웨이
CN102238084A (zh) 一种跨域报文的转发方法、装置、路由设备和客户端
CN110943897A (zh) PPPoE数据报文传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Álamos et al. 6LoRa: Full Stack IPv6 Networking with DSME-LoRa on Low Power IoT Nodes
CN108668326A (zh) 虚拟漫游方法及装置
US20120155371A1 (en) Method for accessing wireless distribution system, system and wireless repeater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