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608B1 -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 - Google Patents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608B1
KR101396608B1 KR1020130040980A KR20130040980A KR101396608B1 KR 101396608 B1 KR101396608 B1 KR 101396608B1 KR 1020130040980 A KR1020130040980 A KR 1020130040980A KR 20130040980 A KR20130040980 A KR 20130040980A KR 101396608 B1 KR101396608 B1 KR 101396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rectangular frame
frame
sliding
storage clo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승구
Original Assignee
곽승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승구 filed Critical 곽승구
Priority to KR1020130040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6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adaptation of compartments or drawers for receiving or holding foodstuffs; by provision of rotatable or extensible containers f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양념통 수납장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양념통을 꺼내거나 다시 집어넣는 것이 매우 편리한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장 측면에 고정되는 한쌍의 슬라이딩 장치, 슬라이딩 장치를 따라 활주이동 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장치의 이동부재에 고정되며 양념통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이 부착될 수 있는 사각형 프레임, 일측은 수납장 도어에 다른 일측은 사각형 프레임에 고정되는 도어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은 슬라이딩 장치의 이동부재에 고정되어 슬라이딩 장치를 따라 활주이동 할 수 있는 한쌍의 링크부재를 더욱 포함하되, 이 링크부재에는 사각형 프레임이 축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링크부재는 하나의 수평면과 이 수평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면, 또는 상호 나란히 연장되는 상,하 수평면과 이 수평면들 사이로 연장되는 수직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사각형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이 수납장 측면에 고정되는 롤러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사각형 프레임이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되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롤러가 구름운동할 수 있는 트랙이 구비된다.

Description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Cabinet containing cruets}
본 발명은 수납장의 도어를 잡아당기면 양념통 수납함이 인출되는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양념통 수납함이 인출 후 축회전될 수 있는 인출식 양념통 수납방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싱크대 하부에는 부엌살림에 필요한 다양한 물건을 비치할 수 있도록 여러 형태와 종류의 수납장들이 구비되며, 그 하나로 양념통 수납장이 있다.
도 1은 공지의 양념통 수납장(1)을 도시한 것으로, 수납장은 싱크대 하부에 위치하며 편의상 수납장의 측면(2)만을 도시하였다.
이 수납장(1)사각형 프레임(3)이 도어(8)를 따라 인출, 인입될 수 있도록 부착된다. 즉, 수납장 측면(2)에는 상,하 한쌍의 슬라이드 장치(9)가 고정되며, 상기 사각형 프레임(3)이 슬라이딩 장치(9)의 이동부재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고 또한 일측은 도어(10)에 다른 일측은 사각형 프레임(3)에 고정되는 도어 고정부재(8)에 의해 도어(10)에 고정된다. 사각형 프레임(3)은 단면이 사각형이며 중공부를 갖는 봉재로 구성되며, 와이어 바스켓 형태의 수납함 또는 플라스틱제 수납함 등과 같이 양념통들을 수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수납함(7))이 부착된다. 따라서, 도어(10)의 손잡이(11)를 잡아당기면, 사각형 프레임(3)이 도어를 따라 인출되어 사용자는 수납함(7)에 위치된 양념통(미도시)을 꺼내 사용할 수 있고, 다시 도어를 밀면, 사각형 프레임(3)이 수납장(1) 내로 인입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공지의 양념통 수납장(1)은 사용이 편리하고 그 구성부품들이 비교적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도어를 최대로 인출 후에도 일부 양념통이 수납장(1) 내측에 위치하므로 이를 꺼내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양념통 수납장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양념통을 꺼내거나 다시 집어넣는 것이 매우 편리한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납장 측면에 고정되는 한쌍의 슬라이딩 장치, 슬라이딩 장치를 따라 활주이동 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장치의 이동부재에 고정되며 양념통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이 부착될 수 있는 사각형 프레임, 일측은 수납장 도어에 다른 일측은 사각형 프레임에 고정되는 도어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은 슬라이딩 장치의 이동부재에 고정되어 슬라이딩 장치를 따라 활주이동 할 수 있는 한쌍의 링크부재를 더욱 포함하되, 이 링크부재에는 사각형 프레임이 축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링크부재는 하나의 수평면과 이 수평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면, 또는 상호 나란히 연장되는 상,하 수평면과 이 수평면들 사이로 연장되는 수직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사각형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이 수납장 측면에 고정되는 롤러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사각형 프레임이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되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롤러가 구름운동할 수 있는 트랙이 구비된다.
도 1은 공지의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에 따른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납장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납장의 도어가 최대로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어가 회전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수납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원 발명에 사용되는 링크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원 발명에 따른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납장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1')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수납장(1)의 기본적인 구성을 그대로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부는 동일한 참조범호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본원 발명의 특유한 구성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1')은 수납장 측면(2)에 고정되는 한쌍의 슬라이딩 장치(9), 슬라이딩 장치를 따라 활주이동 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장치의 이동부재(10)에 고정되며 양념통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7)이 부착될 수 있는 사각형 프레임(3'), 일측은 수납장 도어(10)에 다른 일측은 사각형 프레임(3')에 고정되는 도어 고정부재(8)를 포함하여서, 종래와 마찬가지로, 도어(10)의 손잡이(11)를 잡아당기거나 밀면 사각형 프레임(3')이 도어를 따라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원 발명에 사용되는 프레임(3')은 일측 단부(도어로부터 먼 곳의 단부)에 후술될 링크부재(20)가 나사(29)에 의해 고정될 구멍(19)이 형성되며, 후술될 가이드 부재(35)를 구비한다는 것 외에는 그 기본적인 구성과 역할은 종래의 프레임(3)과 동일하다. 또한, 도어 고정부재(8)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프레임(3')의 중공부 내로 삽입된 채로 나사로 고정되나, 프레임(33)의 일측에 나사로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1')이 종래의 수납장(1)과 다른 구성의 하나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1')이 슬라이딩 장치의 이동부재(10)에 고정되어 슬라이딩 장치를 따라 활주이동 할 수 있는 한쌍의 링크부재(20)를 갖는다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링크부재(20)는 상호 나란히 연장되는 상,하측 수평면과 이 수평면들 사이로 연장되는 수직면으로 구성되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20')가 하나의 수평면과 이 수평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면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링크 부재(20,20')는 그 수직면의 일측이 슬라이딩 장치의 이동부재(10)에 용접, 나사 등 적당한 방법으로 고정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용접으로 고정되나, 이해의 편의상, 이동부재(10)와 링크부재(20,20')를 별도의 부재처럼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이 링크부재(20,20')에는 프레임(3')의 구멍(19)에 상응하는 구멍(23)이 형성되며, 프레임(3')이 나사(29)에 의해 링크부재(20,20')에 고정되되, 이 나사(29)를 축으로 하여 사각형 프레임(3')이 축회전 할 수 있다. 링크부재(20,20')에는 그 수직면 상에 프레임(3')의 축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홈(27)이 형성되어 있다(축회전에 간섭하지 않음은 도 5 참조). 또한 링크부재(20)에는 링크부재(20)를 프레임(3')의 일측 단부(도어로부터 먼 곳의 단부)에 고정할 때 프레임(3')의 기둥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측 수평면에 홈(25)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1')이 종래의 수납장(1)과 또 다른 구성의 하나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1')이 수납장 측면(2)에 고정되는 롤러(30)를 더욱 포함한다는 것이다. 롤러(30)는 수납장 측면(2)에 회전(구름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롤러(30)는 수납장 측면(2)에 고정되는 사각형 판(33)에 그 중심축이 고정되고 이 중심축 둘레를 따라 바퀴부가 회전하는 타입의 롤러이나, 수납장 측면(2)에 회전(구름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어떠한 타입이라도 무방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사용되는 프레임(3')은 종래의 프레임(3)과 달리 가이드 부재(35)를 구비한다. 이 가이드 부재(3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30)가 구름운동할 수 있는 트랙(37)이 형성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프레임(3')이 프레임의 링크부재(20)가 롤러(30)와 중첩되는 위치까지 인출된 상태에서 본 부분단면도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롤러(30)의 바퀴부 중앙에 오목 홈이 형성되며, 트랙(37)은 이 오목 홈에 상응하도록 볼록부로 형성된다. 가이드 부재(35)는 롤러(30)가 트랙(37)을 따라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프레임(3')의 적당한 위치에 고정된다. 이 고정은 용접, 나사 등 적당한 방법으로 고정되며,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용접으로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도 2, 4 및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1')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어(10)가 밀폐되는 경우 프레임(3')은 수납장(1') 내부에 인입된 상태(도 2 상태)에 있게 되며, 도어(10)를 잡아당기는 경우 프레임(3')은 슬라이딩 장치(9)의 작동에 의해 도어를 따라 인출된다. 도 4는 프레임(3')이 최대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하며, 이때 롤러(30)는 프레임(3')의 가이드 부재(35)와 분리된 채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프레임(3')은 롤러(30)의 간섭없이 나사(29)를 축으로 하여 축회전 할 수 있으며, 이 축회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에 의하면, 극히 간단한 구성에 의해 프레임(3')이 롤러의 가이드에 의해 인출될 수 있으며 프레임(3')은 인출 후에는 축회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프레임(3')에 부착된 수납함(7)의 양념통과 같은 물품을 꺼내거나 다시 집어넣는 것이 매우 편리하다. 인출된 프레임(3')은 전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다시 인입된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후술될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3)

  1. 수납장 측면에 고정되는 한쌍의 슬라이딩 장치, 슬라이딩 장치를 따라 활주이동 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장치의 이동부재에 고정되며 양념통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이 부착될 수 있는 사각형 프레임, 일측은 수납장 도어에 다른 일측은 사각형 프레임에 고정되는 도어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에 있어서,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이 슬라이딩 장치의 이동부재에 고정되어 슬라이딩 장치를 따라 활주이동 할 수 있는 한쌍의 링크부재를 더욱 포함하되, 이 링크부재에는 사각형 프레임이 축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되며,
    상기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이 수납장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롤러를 더욱 포함하되, 상기 사각형 프레임이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롤러가 구름운동할 수 있는 트랙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가 하나의 수평면과 이 수평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면, 또는 상호 나란히 연장되는 상,하 수평면과 이 수평면들 사이로 연장되는 수직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사각형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
  3. 삭제
KR1020130040980A 2013-04-15 2013-04-15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 KR101396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980A KR101396608B1 (ko) 2013-04-15 2013-04-15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980A KR101396608B1 (ko) 2013-04-15 2013-04-15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608B1 true KR101396608B1 (ko) 2014-05-16

Family

ID=50894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980A KR101396608B1 (ko) 2013-04-15 2013-04-15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6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005A (ko) * 2016-11-15 2018-05-25 명진실업 주식회사 주방가구 하부수납장의 서랍용 걸이형 선반
KR20220021141A (ko) * 2020-08-13 2022-02-22 주식회사 오엠티 인출 및 회전 가능한 수납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799Y1 (ko) * 2006-09-30 2006-12-13 박윤식 슬라이드식 수납기구
KR100917977B1 (ko) * 2009-04-21 2009-09-28 임연준 힌지 회전되는 주방용 다용도 걸이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799Y1 (ko) * 2006-09-30 2006-12-13 박윤식 슬라이드식 수납기구
KR100917977B1 (ko) * 2009-04-21 2009-09-28 임연준 힌지 회전되는 주방용 다용도 걸이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005A (ko) * 2016-11-15 2018-05-25 명진실업 주식회사 주방가구 하부수납장의 서랍용 걸이형 선반
KR101886927B1 (ko) * 2016-11-15 2018-08-09 명진실업 주식회사 주방가구 하부수납장의 서랍용 걸이형 선반
KR20220021141A (ko) * 2020-08-13 2022-02-22 주식회사 오엠티 인출 및 회전 가능한 수납장
KR102369860B1 (ko) 2020-08-13 2022-03-03 주식회사 오엠티 인출 및 회전 가능한 수납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7577B2 (en) Storage and serving cart
US6484893B1 (en) Shelving apparatus
US6253568B1 (en) Refrigerator with enhanced freeze compartment access
US20060163984A1 (en) Refrigerator
WO2004102492A3 (en) Secured dispensing cabinet and methods
US1961394A (en) Tray carriage
US20100006524A1 (en) Rotatable organizer
KR101396608B1 (ko) 인출식 양념통 수납장
KR101454633B1 (ko) 서랍장
RU2535169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выдвижным контейнером для хранения охлаждаемых продуктов
ITAN960007U1 (it) Intelaiatura componibile porta-cestelli per mobili d'angolo destri o sinistri
CN210043619U (zh) 一种多功能抽拉式玻璃陈列中岛柜结构
KR20100010738U (ko) 낚시용품 거치대
US9821720B1 (en) Slideout truck box cover and shelving assembly
CN204450483U (zh) 组合式工具柜
CN209359835U (zh) 一种可变容积家庭药箱
CN206416146U (zh) 一种可展开取放的工具手推车
CN207860872U (zh) 一种果蔬包装罐的存放装置
CN205019671U (zh) 一种滚轮可倾斜收纳的高尔夫球袋
CN215532894U (zh) 一种高度可调节的抽屉架
CN219323272U (zh) 一种易于取放文件的收纳柜
CN109247728A (zh) 一种拉篮
CN210407874U (zh) 一种便于折叠收纳的展柜
KR20100004945U (ko) 슬라이딩 수납부를 갖는 선반
CN211268954U (zh) 一种新型拉杆行李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