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290B1 -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290B1
KR101396290B1 KR1020120124886A KR20120124886A KR101396290B1 KR 101396290 B1 KR101396290 B1 KR 101396290B1 KR 1020120124886 A KR1020120124886 A KR 1020120124886A KR 20120124886 A KR20120124886 A KR 20120124886A KR 101396290 B1 KR101396290 B1 KR 101396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region
station
composite material
fiber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8176A (ko
Inventor
최원
공창덕
박현범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4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290B1/ko
Publication of KR20140058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1/00Propellers, e.g. of ducted type; Features common to propellers and rotors for rotorcraft
    • B64C11/16Blades
    • B64C11/20Constructional features
    • B64C11/22Solid bla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보프롭 항공기 프로펠러 블레이드에 복합재를 적용하여 경량화 구조이면서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는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는 블레이드의 외주면을 이루는 스킨부(skin portion)와, 상기 스킨부의 하면과 면접하면서 상기 스킨부 중의 일정 영역을 둘러싸는 구조의 스파부(spar portion)와, 상기 스킨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을 충진하면서 상기 스파부에 의해 샌드위치된 폼부(foam portion)로 이루어지는 스킨-스파-폼 샌드위치 구조를 갖고, 상기 스킨부와 상기 스파부는 탄소섬유 복합재가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블레이드의 익단(wing tip)측 소정 영역(station 5)은 상기 스파부가 형성됨 없이 상기 스킨부만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파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방향(Z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의 적층수가 감소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BLADE OF PROPELLER FOR TURBOPROP AIRCRAFT}
본 발명은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보프롭 항공기 프로펠러 블레이드에 복합재를 적용하여 경량화 구조이면서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는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프로펠러는 엔진 구동에 의해 다량의 공기에 운동량 변화를 주어 추력을 발생시키는 추진 장치로서 그 특성상 중저속 이하에서 고 추진 효율을 나타내며, 초기 항공기 추진 장치로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프로펠러는 타 추진기관에 비해 저속에서 고 추진 효율을 나타내기 때문에 경제적이므로, 최근 다시 관심 대상으로 전망되어 국외를 중심으로 연구 중이다.
항공기 공력 설계 기술, 구조 설계 기술 및 경량 고강도 복합재 적용 기술이 발달되면서 경량화 및 성능 극대화로 에너지 절감을 위해 중소형 여객기는 물론 대형 여객기의 추진기관도 터보 프롭의 진보 형태인 프롭팬 등으로 대체될 전망이다.
따라서, 최신 복합재 설계 기법을 적용하여 고속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프로펠러 블레이드가 장착되었을 때 높은 응력을 견딜 수 있는 고강도 블레이드 설계 기법 개발이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게다가, 고유가, 친환경 요구 조건에 의해 터보프롭 항공기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터보프롭 항공기는 프로펠러 회전 속도의 한계 때문에, 기존의 대형 항공기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프로펠러 기술이 향상되어 엔진 및 프로펠러의 효율이 우수해졌으며, 중형 및 대형 항공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터보프롭 항공기 프로펠러 블레이드에 복합재를 적용하여 경량화 구조이면서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는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는 블레이드의 외주면을 이루는 스킨부(skin portion)와, 상기 스킨부의 하면과 면접하면서 상기 스킨부 중의 일정 영역을 둘러싸는 구조의 스파부(spar portion)와, 상기 스킨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을 충진하면서 상기 스파부에 의해 샌드위치된 폼부(foam portion)로 이루어지는 스킨-스파-폼 샌드위치 구조를 갖고, 상기 스킨부와 상기 스파부는 탄소섬유 복합재가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블레이드의 익단(wing tip)측 소정 영역(station 5)은 상기 스파부가 형성됨 없이 상기 스킨부만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파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방향(Z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의 적층수가 감소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는 날개 뒷전(Trailing edge) 영역을 제외한 해당 블레이드의 전체 영역을 총 5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되, 상기 5 개의 영역 중의 해당 블레이드의 익근(wing root)쪽 제 1 영역(station 1)의 스파부는, 해당 블레이드의 상방(X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해당 블레이드의 날개 평면(Y-Z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해당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축(Z 방향 축)을 기준으로 [±45,04,90,±45,04,90,±45,04,90,±45,02]s 로 적층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5 개의 영역 중의 상기 제 1 영역(station 1)으로부터 해당 블레이드의 익단(wing tip) 부위쪽으로 이웃하는 제 2 영역(station 2)의 스파부는, 해당 블레이드의 상방(X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해당 블레이드의 날개 평면(Y-Z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해당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축(Z 방향 축)을 기준으로 [±45,04,90,±45,04,90,±45,04,90,±45]s 로 적층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5 개의 영역 중의 상기 제 2 영역(station 2)으로부터 익단 부위쪽으로 이웃하는 제 3 영역(station 3)의 스파부는, 해당 블레이드의 상방(X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해당 블레이드의 날개 평면(Y-Z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해당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축(Z 방향 축)을 기준으로 [±45,04,90,±45,04,90,±45]s 로 적층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5 개의 영역 중의 상기 제 3 영역(station 3)으로부터 익단 부위쪽으로 이웃하는 제 4 영역(station 4)의 스파부는, 해당 블레이드의 상방(X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해당 블레이드의 날개 평면(Y-Z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해당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축(Z 방향 축)을 기준으로 [±45,04,90,±45,04,90]s 로 적층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5 개의 영역 중의 상기 제 4 영역(station 4)으로부터 익단 부위쪽으로 이웃하는 제 5 영역(station 5)에는, 상기 스파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5 개의 영역 중의 상기 제 2 영역(station 2) 내지 상기 제 5 영역(station 5)은 해당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Z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을 갖도록 구획되고, 상기 5 개의 영역 중의 상기 제 1 영역(station 1)은 상기 균등한 간격보다 더 넓은 간격을 갖도록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는, 상기 제 1 영역(station 1) 내지 상기 제 5 영역(station 4)의 스킨부는, 해당 블레이드의 상방(X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해당 블레이드의 날개 평면(Y-Z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해당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축(Z 방향 축)을 기준으로 [±452,0,90,±452]s 로 적층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날개 뒷전(Trailing edge) 영역의 스킨부는, 해당 블레이드의 상방(X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해당 블레이드의 날개 평면(Y-Z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해당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축(Z 방향 축)을 기준으로 [±452,0,90,±452]s 로 적층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의 전체 직경은 4.09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는, 상기 스킨부와 상기 스파부를 구성하는 탄소섬유 복합재는 카본/에폭시 UD 프리프레그(carbon/epoxy UD prepreg)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보프롭 항공기 프로펠러 블레이드에 복합재를 적용하여 경량화 구조이면서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는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를 획득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의 스킨부의 응력 분포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의 스파부의 응력 분포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의 좌굴 해석에 의한 1차 모드 형상 및 하중 배수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의 고유 진동수 해석을 통한 캠벨(campbell) 선도 검토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연결부의 허브측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의 공력 설계]
본 발명자들은 차세대 고속 운송 시스템으로 연구 중인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의 구조 설계를 수행하였고, 그 구조 해석을 통해 경량화 및 구조 안전성을 검토하였으며, 이에 따라 스킨-스파-폼 샌드위치 구조의 블레이드를 갖는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1)는 허브(hub)(10)와, 허브(10)의 원주 상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8개의 블레이드(20)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8개의 블레이드(20)를 갖는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1)는 6개의 블레이드를 갖는 기존 프로펠러에 비해 공력 소음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추진 효율은 상대적으로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소음 및 추진 효율의 관점에서 여러 단계의 설계 변경을 수행한 결과, 최적의 형상 조건인 8개의 블레이드 형태를 최종 선택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1)에 적용되는 블레이드(20)의 구조 결정을 위한 공력 설계는 와류이론과 깃 요소 이론으로 설계하였으며, 블레이드(20)의 익근으로부터 75% 지점의 시위(chord) 길이와 블레이드 각(blade angle) 및 피치를 계산하였다. 블레이드(20)의 구조 결정을 위해 적용된 수식은 아래의 식 (1) ~ (5) 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시위 길이의 계산*
Figure 112012091083211-pat00001
*블레이드 각의 결정*
Figure 112012091083211-pat00002
*피치의 계산*
Figure 112012091083211-pat00003
*단면 추력계수 계산*
Figure 112012091083211-pat00004
*단면 동력계수 계산*
Figure 112012091083211-pat00005
한편, 상술한 수식 (1) ~ (2)에 적용된 변수들을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2091083211-pat00006
또한, 상술한 수식 (3) ~ (5)에 적용된 변수들을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2091083211-pat00007
본 발명에 따른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1)의 공력 설계 결과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12091083211-pat00008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1)는 전체 직경(D)을 4.09m 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1)는 기본적으로 순항 영역이 17,000 피트(ft)인 중형 항공기에 적용되는 것을 예정하여 설계되었으며, 다음의 표 2에 나타낸 설계 요구 조건을 만족한다.
[표 2]
Figure 112012091083211-pat00009
[블레이드(20)의 구조 설계]
본 발명자들은 공력 형상을 분석함으로써,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1)에 적용되는 블레이드(20)의 구조 형상으로서 스킨-스파-폼 샌드위치 구조 형태를 채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1)에 적용되는 블레이드(20)는, 블레이드(20)의 외주면을 이루는 스킨부(skin portion; 210)와, 스킨부(210)의 하면과 면접하면서 스킨부(210) 중의 일정 영역을 둘러싸는 구조의 스파부(spar portion; 220)와, 스킨부(21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을 충진하면서 스파부(220)에 의해 샌드위치된 폼부(foam portion; 230)로 이루어지는 스킨-스파-폼 샌드위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1)에 적용되는 블레이드(20)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블레이드(20)와 허브(10)를 연결시키는 블레이드 연결부(110; 도 8 참조)는 고강도 금속재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블레이드 연결부(110)에 대해서는 도 8의 관련 부분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1)에 있어서는, 블레이드(20)가 회전체 구조물이기 때문에 블레이드(20)의 내부(공간)에 대해 진동을 흡수해주는 폼(foam; 230)을 적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블레이드의 구조 설계를 위하여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석하면 공력 하중에 의한 전단력과 굽힘 모멘트 및 원심 하중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구조 설계 하중을 위해 공력 설계에서 계산된 추력과 토크에 의한 하중을 분석하여 설계 하중을 계산하였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스킨부(210) 및 스파부(220)에 적용되는 복합재로서는 고강도 및 고강성의 특성을 갖는 카본/에폭시 UD 프리프레그(carbon/epoxy UD prepreg)를 고려할 수 있으며, 또한 폼부(230)에 적용되는 재료로서는 PMI(Polymethacrylimide) 경질 발포체를 고려할 수 있다.
블레이드(20)를 구성하는 스킨부(210)는 주로 전단하중을 담당하기에 적합한 구조로서 탄소섬유 복합재(예를 들면, 카본/에폭시 UD 프리프레그)가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고, 스파부(220)는 주로 굽힘 하중을 담당하기에 적합한 구조로서 탄소섬유 복합재(예를 들면, 카본/에폭시 UD 프리프레그)가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대형 풍력터빈 블레이드의 구조 설계에 관한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주 응력 방향으로 탄소섬유를 적층하는 PS(Principal Stress) 설계를 수행하여 블레이드(20)를 최대한 경량화하였다. 이하, 도 3 및 표 3을 참조하여, 블레이드(20)를 구성하는 스킨부(210)와 스파부(22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스킨-스파-폼 샌드위치 구조를 갖는 블레이드(20)의 구조 설계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다음의 표 3은 스킨부(210)와 스파부(220)를 구성하는 탄소섬유 복합재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표 3]
Figure 112012091083211-pat00010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날개 뒷전(Trailing edge) 영역을 제외한 블레이드(20)의 전체 영역을 총 5개의 영역, 즉 제 1 영역(station 1) 내지 제 5 영역(station 5)으로 구획하여 블레이드(20)의 익근(wing root) 부위는 탄소섬유 복합재의 적층수를 증가시키고, 블레이드(20)의 익단(wing tip) 부위는 탄소섬유 복합재의 적층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통하여 각 영역에 적용된 하중을 담당하는 범위 내에서 경량화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과 표 3을 함께 참조하면, 표 3의 블레이드(20)의 제 1 영역(station 1) 내지 제 5 영역(station 5)은 제 1 영역(station 1)을 제외한 제 2 영역(station 2) 내지 제 5 영역(station 5)을 블레이드(20)의 길이 방향(Z 방향)으로 균등하게 4개 영역으로 구획한 것이다. 한편, 제 1 영역(station 1)은, 블레이드 연결부(110; 도 8 참조)가 삽입될 깊이를 고려하여 나머지 영역들(제 2 영역(station 22) 내지 제 5 영역(station 5))보다 상기 블레이드 연결부(110)의 삽입 깊이 치수만큼 더 연장되어 있다.
상기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20)의 익근(wing root)쪽 제 1 영역(station 1)의 스파부(220)는 블레이드(20)의 상방(X 방향)에서 봤을 때, 탄소섬유 복합재(예를 들면, 카본/에폭시 UD 프리프레그)가 블레이드(20)의 날개 평면(Y-Z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블레이드(20)의 길이 방향 축(Z 방향 축)을 기준으로 [±45,04,90,±45,04,90,±45,04,90,±45,02]s 로 적층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블레이드(20)의 제 1 영역(station 1)으로부터 익단(wing tip) 부위쪽으로 이웃하는 제 2 영역(station 2)의 스파부(220)는 블레이드(20)의 상방(X 방향)에서 봤을 때, 탄소섬유 복합재(예를 들면, 카본/에폭시 UD 프리프레그)가 블레이드(20)의 날개 평면(Y-Z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블레이드(20)의 길이 방향 축(Z 방향 축)을 기준으로 [±45,04,90,±45,04,90,±45,04,90,±45]s 로 적층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블레이드(20)의 제 2 영역(station 2)으로부터 익단(wing tip) 부위쪽으로 이웃하는 제 3 영역(station 3)의 스파부(20)는 블레이드(20)의 상방(X 방향)에서 봤을 때, 탄소섬유 복합재(예를 들면, 카본/에폭시 UD 프리프레그)가 블레이드(20)의 날개 평면(Y-Z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블레이드(20)의 길이 방향 축(Z 방향 축)을 기준으로 [±45,04,90,±45,04,90,±45]s 로 적층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블레이드(20)의 제 3 영역(station 3)으로부터 익단(wing tip) 부위쪽으로 이웃하는 제 4 영역(station 4)의 스파부(220)는 블레이드(20)의 상방(X 방향)에서 봤을 때, 탄소섬유 복합재(예를 들면, 카본/에폭시 UD 프리프레그)가 블레이드(20)의 날개 평면(Y-Z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블레이드(20)의 길이 방향 축(Z 방향 축)을 기준으로 [±45,04,90,±45,04,90]s 로 적층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블레이드(20)의 제 4 영역(station 4)으로부터 익단 부위쪽으로 이웃하는 제 5 영역(station 5)에는 스파부(220)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20)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20)의 제 1 영역(station 1) 내지 제 5 영역(station 5)의 스킨부(210)는 블레이드(20)의 상방(X 방향)에서 봤을 때, 탄소섬유 복합재(예를 들면, 카본/에폭시 UD 프리프레그)가 블레이드(20)의 날개 평면(Y-Z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블레이드(20)의 길이 방향 축(Z 방향 축)을 기준으로 [±452,0,90,±452]s 로 적층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블레이드(20)의 날개 뒷전(Trailing edge) 영역에는, 블레이드(20)의 상방(X 방향)에서 봤을 때, 탄소섬유 복합재(예를 들면, 카본/에폭시 UD 프리프레그)가 블레이드(20)의 날개 평면(Y-Z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블레이드(20)의 길이 방향 축(Z 방향 축)을 기준으로 [±452,0,90,±452]s 로 적층되는 구조로 스킨부(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스파부(220)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블레이드(20)의 중량을 검토한 결과 기존의 유사 블레이드보다 13% 경량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블레이드(20)의 구조 해석]
본 발명자들은 유한 요소 해석 코드, 예를 들면 나스트란(NASTRAN)을 활용하여 블레이드(20)의 구조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도 4는 블레이드(20)의 스킨부(210)의 응력 분포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5는 블레이드(20)의 스파부(220)의 응력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블레이드(20)의 선형 정적 해석 결과, 스킨부(210)의 최대 압축 응력은 55.7MPa 이며, 인장 응력은 199MPa 로 확인되었다. 또한, 스파부(220)의 압축 응력은 50.3MPa, 인장 응력은 132MPa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변형 해석 결과는 24㎜로 블레이드(20)의 익단 부위에서 확인되었으며, 전체 응력을 검토한 결과 충분히 안전율을 확보한 구조로 설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은 블레이드(20)의 좌굴 해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좌굴 해석 결과 1차 모드의 좌굴 하중 배수는 2.67로서 좌굴에도 충분히 안정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도 7은 고유 진동수 해석을 통한 블레이드(20)의 캠벨(campbell) 선도를 검토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유 진동수 해석을 통해 캠벨(campbell) 선도를 검토한 결과 블레이드(20)의 다양한 회전 환경에서 공진에 대한 안전성도 확보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블레이드 연결부(110)의 구조 해석]
도 8은 블레이드 연결부(110)의 허브(10)측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블레이드 연결부(110)는 블레이드(2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과 공력 하중에 의한 모멘트 및 비틀림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블레이드 연결부(110)는 허브(10)와 블레이드(20)를 물리적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수단으로서, 블레이드 연결부(110) 중의 허브(10)측과 연결되는 부위(A)는 연결부(110)가 외부의 물리력에 의해 강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8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블레이드 연결부(110) 중의 블레이드(20)측과 연결되는 부위는 민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블레이드 연결부(110)에 적용되는 재질로서는 고강도 스틸을 고려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이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함이 자명하다.
1 :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10 : 허브
20 : 블레이드
210 : 스킨부(skin portion)
220 : 스파부(spar portion)
230 : 폼부(foam portion)

Claims (5)

  1. 블레이드의 외주면을 이루는 스킨부(skin portion)와, 상기 스킨부의 하면과 면접하면서 상기 스킨부 중의 일정 영역을 둘러싸는 구조의 스파부(spar portion)와, 상기 스킨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을 충진하면서 상기 스파부에 의해 샌드위치된 폼부(foam portion)로 이루어지는 스킨-스파-폼 샌드위치 구조를 갖고,
    상기 스킨부와 상기 스파부는 탄소섬유 복합재가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블레이드의 익단(wing tip)측 소정 영역(station 5)은 상기 스파부가 형성됨 없이 상기 스킨부만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파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방향(Z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의 적층수가 감소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블레이드는 날개 뒷전(Trailing edge) 영역을 제외한 해당 블레이드의 전체 영역을 총 5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되,
    상기 5 개의 영역 중의 해당 블레이드의 익근(wing root)쪽 제 1 영역(station 1)의 스파부는, 해당 블레이드의 상방(X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해당 블레이드의 날개 평면(Y-Z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해당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축(Z 방향 축)을 기준으로 [±45,04,90,±45,04,90,±45,04,90,±45,02]s 로 적층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5 개의 영역 중의 상기 제 1 영역(station 1)으로부터 해당 블레이드의 익단(wing tip) 부위쪽으로 이웃하는 제 2 영역(station 2)의 스파부는, 해당 블레이드의 상방(X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해당 블레이드의 날개 평면(Y-Z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해당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축(Z 방향 축)을 기준으로 [±45,04,90,±45,04,90,±45,04,90,±45]s 로 적층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5 개의 영역 중의 상기 제 2 영역(station 2)으로부터 익단 부위쪽으로 이웃하는 제 3 영역(station 3)의 스파부는, 해당 블레이드의 상방(X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해당 블레이드의 날개 평면(Y-Z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해당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축(Z 방향 축)을 기준으로 [±45,04,90,±45,04,90,±45]s 로 적층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5 개의 영역 중의 상기 제 3 영역(station 3)으로부터 익단 부위쪽으로 이웃하는 제 4 영역(station 4)의 스파부는, 해당 블레이드의 상방(X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해당 블레이드의 날개 평면(Y-Z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해당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축(Z 방향 축)을 기준으로 [±45,04,90,±45,04,90]s 로 적층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5 개의 영역 중의 상기 제 4 영역(station 4)으로부터 익단 부위쪽으로 이웃하는 제 5 영역(station 5)에는, 상기 스파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5 개의 영역 중의 상기 제 2 영역(station 2) 내지 상기 제 5 영역(station 5)은 해당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Z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을 갖도록 구획되고, 상기 5 개의 영역 중의 상기 제 1 영역(station 1)은 상기 균등한 간격보다 더 넓은 간격을 갖도록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station 1) 내지 상기 제 5 영역(station 4)의 스킨부는, 해당 블레이드의 상방(X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해당 블레이드의 날개 평면(Y-Z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해당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축(Z 방향 축)을 기준으로 [±452,0,90,±452]s 로 적층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날개 뒷전(Trailing edge) 영역의 스킨부는, 해당 블레이드의 상방(X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해당 블레이드의 날개 평면(Y-Z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탄소섬유 복합재가 해당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축(Z 방향 축)을 기준으로 [±452,0,90,±452]s 로 적층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전체 직경은 4.09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부와 상기 스파부를 구성하는 탄소섬유 복합재는 카본/에폭시 UD 프리프레그(carbon/epoxy UD prepreg)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
KR1020120124886A 2012-11-06 2012-11-06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 KR101396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886A KR101396290B1 (ko) 2012-11-06 2012-11-06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886A KR101396290B1 (ko) 2012-11-06 2012-11-06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176A KR20140058176A (ko) 2014-05-14
KR101396290B1 true KR101396290B1 (ko) 2014-05-19

Family

ID=50888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886A KR101396290B1 (ko) 2012-11-06 2012-11-06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2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8065A (ko) 2022-03-22 2023-10-0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무인항공기용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로펠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4800B (zh) * 2016-06-13 2018-10-02 亿航智能设备(广州)有限公司 螺旋桨和机身
CN107235144B (zh) * 2017-07-17 2023-06-30 上海未来伙伴机器人有限公司 一种飞行器防护罩及飞行器
CN108757270B (zh) * 2018-07-10 2024-01-09 江苏新扬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体化成型复合材料桨叶结构
CN112937819B (zh) * 2021-03-30 2024-05-14 大连海事大学 一种耐蚀耐冲击的船用混杂纤维复合材料螺旋桨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9596A (ja) * 1984-12-08 1986-06-26 ロ−ルス・ロイス・ピ−エルシ− ロ−タ−翼
JP2009126507A (ja) * 2007-11-22 2009-06-11 Hajime Ito 後退翼形状半中空メインローターブレード回転翼
KR20120037194A (ko) * 2010-10-11 2012-04-19 유로캅터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일체형 응력-토크-전달 요소를 구비한 회전체 날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9596A (ja) * 1984-12-08 1986-06-26 ロ−ルス・ロイス・ピ−エルシ− ロ−タ−翼
JP2009126507A (ja) * 2007-11-22 2009-06-11 Hajime Ito 後退翼形状半中空メインローターブレード回転翼
KR20120037194A (ko) * 2010-10-11 2012-04-19 유로캅터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일체형 응력-토크-전달 요소를 구비한 회전체 날개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제181면 내지 제184면(2011. 4. 3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8065A (ko) 2022-03-22 2023-10-0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무인항공기용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로펠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176A (ko)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290B1 (ko) 터보프롭 항공기용 프로펠러 블레이드
US8870547B2 (en) Structural element for an aircraft and spacecraft and method for producing a structural element of this type
CA2967974C (en) Structurally biased proprotor blade assembly
EP2079634B1 (en) Propeller blade retention
EP2376328B1 (en) Aerofoil structure with corrugated reinforcing member
CN106167086B (zh) 用于飞机机身的耐压舱壁以及包括这种耐压舱壁的飞机
US20120034093A1 (en) Blade
US8882469B2 (en) Structural element for an aircraft or spacecraft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structural element
US10501163B2 (en) Pressure bulkhead for an aircraft fuselage, and an aircraft comprising such a pressure bulkhead
EP2700574A1 (en) Passive load alleviation for a fiber reinforced wing box of an aircraft with a stiffened shell structure
EP3038813B1 (en) High modulus hybrid material rotor blade spar
McVeigh et al. Influence of tip shape, chord, blade number, and airfoil on advanced rotor performance
US20190092458A1 (en) Inertia Weight Assemblies for Rotorcraft
KR20130114859A (ko) 터보프롭 항공기용 복합재 프로펠러 블레이드
KR101392257B1 (ko) 고효율 복합재 블레이드를 갖는 터보프롭 항공기용 어드밴스드 프로펠러
JP6301461B2 (ja) ブレード取り付け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ong et al. A study on structural design and analysis of composite propeller blade of turboprop for high efficiency and light weight
Yun et al. Hub Parametric Investigation of Main Rotor Stability of Bearingless Helicopter
KR20140023686A (ko) 터보프롭 항공기용 어드밴스드 프로펠러
Ramesh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helicopter rotor blades
Bostan et al. Optimization of the strength structure or 10 kw wind turbine blades
Choi et al. The Design and Analysis of Composite Advanced Propeller Blade for Next Generation Turboprop Aircraft
Lefebvre et al. An overview of the ANIBAL project: a new low-noise and efficient propeller for light aircraft applications
Gilchrist High speed propeller for the Lear Fan 2100
Billman et al. Large scale prop-fan structural design study. Volume 1: Initial concep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