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230B1 - self-generation typed ligh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self-generation typed ligh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230B1
KR101396230B1 KR1020120081038A KR20120081038A KR101396230B1 KR 101396230 B1 KR101396230 B1 KR 101396230B1 KR 1020120081038 A KR1020120081038 A KR 1020120081038A KR 20120081038 A KR20120081038 A KR 20120081038A KR 101396230 B1 KR101396230 B1 KR 101396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magnet
moving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0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13552A (en
Inventor
박병재
고경탁
진영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즈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즈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즈파워
Priority to KR1020120081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230B1/en
Publication of KR20140013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5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2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01K85/015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with light e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13/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built-in electric generators
    • F21L13/06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built-in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e, e.g.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발전형 발광체에 관한 것으로서, 발광다이오드가 실장되어 외부로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된 본체와, 본체 내에서 본체에 대해 상대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운동자석과, 본체에 대해 상대 이동될 수 있도록 운동자석이 진퇴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본체내에 설치된 자석 이동관과, 자석 이동관 내의 운동자석의 진퇴경로의 일측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운동자석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척력을 인가하는 고정자석과, 자석 이동관내에서 이동되는 운동자석의 이동에 감응하여 유도 기전력을 발생하고 발생된 유도 기전력을 발광다이오드에 공급하도록 결선되되 자석 이동관내에서 운동자석의 진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자석 이동관에 설치된 제1코일 및 제2코일을 구비하고, 제1코일과 제2코일은 운동자석의 진퇴운동에 대해 제1코일에서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과 제2코일에서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이 발광다이오드에 공통 전원이 될 수 있도록 상호 병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자가 발전형 발광체에 의하면, 자석의 미세한 움직임에도 발광이 가능하면서 발광지속성을 연장시키고,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powered luminous bod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lf-generating luminous body, which comprises a body mounted with a light emitting diode and capable of emitting light to the outside, a moving magnet installed in the body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body, A stationary magnet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a moving path of the moving magnet in the magnet moving tube to apply a repulsive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oving magnet moves away from the magnet moving tube; A first coil connected to the magnet moving tube so as to generate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 response to movement of the moving magnet moving in the moving tube and to be connected to supply the generated induced electromotive force to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a second coil, wherein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are fixed to the first coil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and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in the second coil that occurs in a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allel so as to be a common power supply to the LED. According to such a self-generating luminous body, it is possible to emit light even with a fine movement of the magnet, thereby prolonging the luminous intensity and improving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Description

자가 발전형 발광체{self-generation typed lighting apparatus} [0001] Self-generating typed lighting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자가 발전형 발광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발전효율 및 발광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자가 발전형 발광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generating luminous bod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lf-generating luminous body capable of improving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d luminous continuity.

낚시로 물고기를 잡는 낚기 어법 중에서 집어등을 이용하여 오징어, 갈치 등을 잡는 채낚기 어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Among fishing methods of catching fish by fishing, fishing techniques such as catching squid, hawk, etc. are widely used by using ear picks.

이러한 채낚기 어법에서 선박에 설치하는 집어등 방식 이외에 채낚시에 자체 발광이 가능한 발광체를 적용하는 방식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In addition to the pick-and-place method of installing on a ship in such a fishing technique, there have been various proposals for applying a self-emitting luminous body to fishing.

자체발광 방식으로 자가 발전방식 발광모듈이 국내등록특허 제10-1049860호에 개시되어 있다.Self-power generation type light emitting module as self-emission typ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049860.

이러한 채낚시용 자가 발전식 발광모듈의 경우 채낚시에 적합하게 이용되기 위해서는 발광모듈 본체의 허용가능한 크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제한된 본체 크기 범위내에서 자석의 미세한 움직임에도 발광이 가능하면서 발광지속성을 연장시키고,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self-powered light emitting module for fishing, since the allowable size of the main body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limited in order to be suitably used for fishing, it is possible to emit light even in a minute movement of the magnet within a limited body size range, , A structure capable of increasing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자석의 미세한 이동에 의한 자가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발광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가 발전형 발광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lf-generating luminous body capable of improving the self-power generation efficiency due to the fine movement of magnets and improving the luminous continuity while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가 발전형 발광체는 발광다이오드가 실장되어 외부로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본체에 대해 상대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운동자석과; 상기 본체에 대해 상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운동자석이 진퇴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내에 설치된 자석 이동관과; 상기 자석 이동관 내의 상기 운동자석의 진퇴경로의 일측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운동자석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척력을 인가하는 고정자석과; 상기 자석 이동관내에서 이동되는 상기 운동자석의 이동에 감응하여 유도기전력을 발생하고 발생된 유도 기전력을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공급하도록 결선되되 상기 자석 이동관내에서 상기 운동자석의 진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상기 자석 이동관에 설치된 제1코일 및 제2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은 상기 운동자석의 진퇴운동에 대해 상기 제1코일에서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과 상기 제2코일에서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이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공통 전원이 될 수 있도록 상호 병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lf-generating luminous body comprising: a body mounted with a light emitting diode and capable of emitting light to the outside; A moving magnet install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main body; A magnet moving tube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form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moving magnet advances and retracts relative to the main body; A stationary magnet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oving path of the moving magnet in the magnet moving tube to apply a repulsive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oving magnet moves away; Wherein the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by generating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magnet moving in the magnet moving tube and is connected to supply the generated induced electromotive force to the light emitting diode, A first coil and a second coil provided in the magnet moving tube, wherein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generate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in the first coil and a second coil generated in the second coil,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can be a common power supply to the light emitting diodes.

또한,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은 제1이격거리를 갖게 권선되어 있고, 상기 진퇴경로와 나란한 방향에서의 상기 운동자석의 길이는 상기 제1이격거리 보다 마이너스 6mm 이상 플러스 4mm 이하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length of the moving magnet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advancing / retreating path is set to a length of minus 6 mm or more and less than or equal to 4 mm, which is less than the first distance, from the first coil to the second coil,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본체에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들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들은 상기 운동자석의 이동방향의 변경에 따라 상기 제1코일의 양단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발생되는 유도 기전력에 각각 발광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코일의 양단에 제1방향으로 도통되게 접속된 제1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1코일의 양단에 상기 제1발광다이오드와는 전류도통경로가 반대가 되게 접속된 제2발광다이오드를 갖는 제1군발광부와; 상기 제2코일의 양단에서 상기 운동자석의 이동방향의 변경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발생되는 유도 기전력에 각각 발광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코일의 양단에 제1방향으로 도통되게 접속된 제3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2코일의 양단에 상기 제1발광다이오드와는 전류도통경로가 반대가 되게 접속된 제4발광다이오드를 갖는 제2군발광부;를 포함한다.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and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are capable of emitting light according to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in both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of the first coil, A first light emitting diod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coil so as to be conductive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light emitting diode connected to opposite ends of the first coil such that a current conduction path is opposite to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A first group light emitting portion having a first light emitting portion; And a third light emitting diod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coil in a first direction so as to emit light at both ends of the second coil to emit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in a forward direction or a reverse direc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magnet, And a second group of light emitting units each having a fourth light emitting diod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coil in such a manner that a current conduction path is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중앙부분에서부터 상기 자석 이동관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상하방향으로 진행될 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계란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제3 및 제4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에는 낚시줄 또는 채낚시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홀이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s formed in an egg-shaped shape such that its outer diameter progressively decreases from a central portion toward a vertical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gnet moving tube, and the first and second A light emitting diode is mounted, and the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diodes are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connection hole for connecting a fishing line or fishing line is formed on the main body.

본 발명에 따른 자가 발전형 발광체에 의하면, 자석의 미세한 움직임에도 발광이 가능하면서 발광지속성을 연장시키고,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self-generating luminous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mit light even with a fine movement of the magnet, thereby prolonging the light emission duration and improving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발전형 발광체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가 발전형 발광체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1 및 제2코일의 이격거리와 운동자석의 길이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부분 발췌하여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자가 발전형 발광체의 제1 및 제2코일과 발광다이오드들과의 결선구조를 나타내 보인 회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회로도에서 운동자석이 제1코일내로 상승할 때의 전류도통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는 도 4의 회로도에서 운동자석이 제1코일로부터 하강하여 제2코일내로 진입할 때의 전류도통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자가 발전형 발광체에 낚시요소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lf-generating luminous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self-generating luminous body of Fig. 1,
FIG. 3 is a partially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ils of FIG. 2 and the length of the moving magnet,
FIG. 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ils of the self-generating luminous body of FIG. 1 and the light emitting diodes,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urrent conduction path when the moving magnet ascends into the first coil in the circuit diagram of FIG. 4,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urrent conduction path when the moving magnet descends from the first coil and enters the second coil in the circuit diagram of FIG. 4,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shing element is coupled to the self-generating luminous body of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형 발광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elf-generating luminous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발전형 발광체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가 발전형 발광체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1 및 제2코일의 이격거리와 운동자석의 길이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부분 발췌하여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자가 발전형 발광체의 제1 및 제2코일과 발광다이오드들과의 결선구조를 나타내 보인 회로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lf-powered luminous body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lf-generating luminous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wiring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coils of the self-generating luminous body of FIG. 1 and the light emitting diodes.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가 발전형 발광체(100)는 본체(110), 자석 이동관(120), 고정자석(125), 운동자석(130), 제1코일(141), 제2코일(146), 제1 내지 제 4발광다이오드(151)(152)(161)(162)를 구비한다.1 to 4, a self-powered luminous bod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 magnet moving tube 120, a stationary magnet 125, a moving magnet 130, a first coil 141, A second coil 146, and first to fourth light emitting diodes 151, 152, 161 and 162.

본체(110)는 중앙부분에서부터 상하방향으로 진행될 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계란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장착된 제1 내지 제4발광다이오드(151)(152)(161)(162)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외부로 출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main body 110 is formed in an egg shape such that its outer diameter progressively decreases from the central portion toward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nd is generated from the first to fourth light emitting diodes 151, 152, 161, So that the light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본체(110)는 메인 몸통부분(110a)과 투광부분(110b)(110c)로 구분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can be divided into a main body portion 110a and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110b and 110c.

메인 몸통부분(110a)은 후술되는 자석이동관(120), 제1 및 제2코일(141)(146), 제 1 내지 제4발광다이오드(151)(152)(161)(162)가 수용되게 장착될 수 있는 메인 내부공간(111)이 형성되어 있다.The main body portion 110a is formed so that the magnet moving tube 120, the first and second coils 141 and 146 and the first to fourth LEDs 151 to 152 A main inner space 111 which can be mounted is formed.

투광부분(110a)(110b)은 투광이 가능한 투명소재로 형성되어 메인 몸통부분(110a)의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메인 내부공간(111)을 실링상태로 폐쇄되게 결합되어 있다.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s 110a and 110b are formed of transparent materials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and are coupled to the main inner space 111 in a sealed state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body portion 110a.

자석 이동관(120)은 본체(110)의 상하로 이어지는 길이방향을 따라 본체(110)의 메인 내부공간(111)내에 설치되어 있다.The magnet moving tube 120 is installed in the main inner space 111 of the main body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ing up and down the main body 110.

자석 이동관(120)은 후술되는 운동자석(130)이 본체(110)에 대해 상대 이동될 수 있도록 운동자석(130)이 상하방향으로 진퇴될 수 있게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수용공간(122)을 형성한다.The magnet moving tube 120 forms an accommodating space 122 extend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so that the moving magnet 130 can be moved up and down so that the moving magnet 13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main body 110 do.

자석 이동관(120)의 수용공간(122) 상부 및 하부에서 결합되는 상부플레이트(123) 및 하부플레이트(124)는 운동자석(130)의 상하방향에 대한 진퇴가능 길이를 제한함과 아울러 후술되는 제1 내지 제4발광다이오드(151)(152)(161)(162) 및 고정자석(125)을 실장하는 영역을 제공한다.The upper plate 123 and the lower plate 124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ceiving space 122 of the magnet moving tube 120 restrict the movable length of the moving magnet 13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1 to the fourth light emitting diodes 151, 152, 161, 162, and the fixed magnet 125 are mounted.

운동자석(130)은 자석 이동관(120)의 길이방향인 상하방향을 따라 진퇴될 수 있게 자석 이동관(120) 내에 설치되어 있다.The moving magnet 130 is installed in the magnet moving tube 120 so that it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gnet moving tube 120.

고정자석(125)은 자석 이동관(120) 내의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운동자석(130)의 진퇴경로의 하측인 하부 플레이트(124)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운동자석(130)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척력을 인가한다.The fixed magnet 125 i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lower plate 124 below the forward and backward path of the moving magnet 130 tha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magnet moving tube 120 to apply a repulsive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ing magnet 130 moves away do.

즉, 고정자석(125)은 운동자석(130)과 대향되는 부분이 운동자석(130)과 동일한 극석을 갖게 되어 있다. 일 예로서, 운동자석(130)의 하부가 N극인 경우 고정자석의 대향되는 상부는 N극을 갖게 설치되면 된다.That is, the stationary magnet 125 has the same polarity as the moving magnet 130 at a portion opposed to the moving magnet 130. For example,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magnet 130 is an N pole, the opposing upper portion of the fixed magnet may be provided with an N pole.

이러한 고정자석(125)은 운동자석(130)을 척력에 의해 상방으로 부양하는 부양력을 제공하여 운동자석(130)의 자중에 의한 하강력을 감쇠시킴으로써 미세한 본체(110)의 상하 움직에 대해서도 운동자석(130)의 진퇴 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한다.The fixed magnet 125 provides a lifting force for lifting the moving magnet 130 upward by the repulsive force to attenuate the lowering force due to the self weight of the moving magnet 130, (130) is smoothly moved.

제1코일(141)과 제2코일(146)은 자석 이동관(120)내에서의 운동자석(130)의 진퇴방향 즉, 본체(11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자석 이동관(120) 외측에 권선되어 설치되어 있다.The first coil 141 and the second coil 14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magnet 130 in the magnet moving tube 120, And is wound around the outside.

제1코일(141)과 제2코일(146)은 자석 이동관(120)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운동자석(130)의 이동에 감응하여 유도 기전력을 발생하고 발생된 유도 기전력을 제1 내지 제4발광다이오드(151)(152)(161)(162)에 공급하도록 결선되어 있다.The first coil 141 and the second coil 146 generate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magnet 130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in the magnet moving tube 120, Emitting diode 151 (152) 161 (162).

여기서, 제1코일(141)과 제2코일(146)은 운동자석(130)의 진퇴운동에 대해 제1코일(141)에서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과 제2코일(146)에서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이 각각 제1 내지 제4발광다이오드(151)(152)(161)(162)에 공통 전원이 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극성 끼리 상호 병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The first coil 141 and the second coil 146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il 141 and the second coil 146 in such a manner that the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by the first coil 141 and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by the second coil 146 The first to fourth light emitting diodes 151, 152, 161, and 162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o have a common polarity as shown in FIG.

즉, 제1코일(141)의 양단인 제1단(141a) 및 제2단(141b)과, 제2코일(146)의 양단인 제3단(146a) 및 제4단(146b)이 상호 비결선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자석(130)이 상방으로 진행할 때 제1단(141a) 및 제3단(146a)이 제2단(141b) 및 제4단(146b)에 비해 전위가 높은 플러스 전위를 형성하는 경우 동일한 극성이 되는 제2단(141b)과 제4단(146b)이 상호 공통접속되게 하고, 역시 동일한 극성이 되는 제1단(141a)과 제3단(146a)을 상호 공통되게 접속하는 방식으로 병렬 접속하면 된다.That is, the first end 141a and the second end 141b of the first coil 141 and the third end 146a and the fourth end 146b, both ends of the second coil 146, 5, when the moving magnet 130 moves upward, the first end 141a and the third end 146a are engaged with the second end 141b and the fourth end 146b, The second stage 141b and the fourth stage 146b, which have the same polarity, are mut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stage 141a and the third stage 146a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코일(141)과 제2코일(146)이 제1이격거리(d)를 갖게 권선되어 있는 경우 진퇴경로와 나란한 방향에서의 운동자석(130)의의 길이는 제1이격거리(d) 보다 마이너스 6mm 이상 플러스 4mm 이하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3, when the first coil 141 and the second coil 146 are wound to have the first distance d, the length of the moving magnet 130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advancing / retreating path Is formed to have a length of minus 6 mm or more and plus 4 mm or less than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

즉, 제1코일(141)과 제2코일(146) 사이의 제1이격거리(d) 중심에 운동자석(130)의 중심이 일치되게 배치되었을 때 운동자석(130)의 길이는 실선으로 표기된 길이부터 점섬으로 표기된 길이 내에서 길이가 결정된다. That is, when the center of the moving magnet 130 is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first distance d between the first coil 141 and the second coil 146, the length of the moving magnet 130 is represented by a solid line The length is determined from the length to the length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따라서, 운동자석(130)의 길이가 제1이격거리(d)보다 긴 경우에는 제1코일(141)과 제2코일(146) 사이의 제1이격거리(d) 중심에 운동자석(130)의 중심이 일치되게 배치되었을 때 운동자석(130)의 상단은 제1코일(141)의 하단보다 상부에 위치되고, 운동자석(130)의 하단이 제2코일(146)의 상단보다 하부에 위치되며, 이 경우 운동자석(130)의 상단이 제1코일(141)의 하단보다 상부로 연장되는 길이(a)는 2mm이하가 되고, 운동자석(130)의 하단이 제2코일(146)의 상단보다 하부로 연장되는 길이(a)도 대칭되게 2mm이하가 되게 형성한다. Therefore, when the length of the moving magnet 130 is longer than the first distance d, the moving magnet 13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distance d between the first coil 141 and the second coil 146, The upper end of the moving magnet 130 is position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il 141 and the lower end of the moving magnet 130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il 146 The length a of the upper end of the moving magnet 130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il 141 is 2 mm or less and the lower end of the moving magnet 130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il 146 The length (a)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end is symmetrically formed to be 2 mm or less.

또한, 운동자석(130)의 길이가 제1이격거리(d)보다 짧은 경우에는 제1코일(141)과 제2코일(146) 사이의 제1이격거리(d) 중심에 운동자석(130)의 중심이 일치되게 배치되었을 때 운동자석(130)의 상단은 제1코일(141)의 하단보다 하부에 위치되고, 운동자석(130)의 하단이 제2코일(146)의 상단보다 상부에 위치되며, 이 경우 운동자석(130)의 상단과 제1코일(141)의 하단과의 간극(b)이 3mm이하가 되고, 운동자석(130)의 하단과 제2코일(146)의 상단과의 간극(b)도 대칭되게 3mm이하가 되게 형성한다. When the length of the moving magnet 130 is shorter than the first distance d, the moving magnet 13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distance d between the first coil 141 and the second coil 146, The upper end of the moving magnet 130 is locat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il 141 and the lower end of the moving magnet 130 is position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il 146 The gap b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moving magnet 130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il 141 is 3 mm or less and the gap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moving magnet 13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il 146 The gap (b) is symmetrically formed to be 3 mm or less.

이와 같이 운동자석(130)의 길이가 제1이격거리(d)를 기준으로 P1으로 표기된 길이 내지 P2로 표기된 길이에 대해 제1이격거리(d) 보다 짧은 정도가 6mm 이하가 되고, 제1이격거리(d) 보다 길은 정도가 4mm를 넘지 않게 되면 운동자석(130)의 양단이 제1코일(141) 또는 제2코일(146) 내로 진입되는 시점 또는 이탈되는 경계 시점의 위치에서 순간 유도 기전력이 가장 크게 발생하고, 이러한 제1코일(141) 및 제2코일(146)과 운동자석(130)의 진입 및 진출이 경계 부근에서 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전효율이 향상되고, 미세한 운동자석(130)의 이동에 의해서도 발광을 위해 요구되는 유도 기전력을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of the moving magnet 130 is shorter than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 by 6 mm or less with respect to the length indicated by P1 to P 2 on the basis of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 If the length of the distance d does not exceed 4 mm, the instantaneous induced electromotive force at the point of time when both ends of the moving magnet 130 enter the first coil 141 or the second coil 146,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s improved by allowing the first coil 141 and the second coil 146 and the moving magnet 130 to mainly enter and advance in the vicinity of the boundary,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required for the light emission.

또한, 채낚시용으로 적용하고 할 때 제1이격거리(d)는 10mm 내지 50mm 범위내에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t is preferable to apply the first separation distance d within the range of 10 mm to 50 mm when applying for fishing.

제1 및 제2발광다이오드(151)(152)는 본체(110)의 상부가 되는 상부플레이트(123) 상면에 설치되어 외부로 광을 발광하는 제1군발광부(150)에 해당하며, 운동자석(130)의 이동방향의 변경에 따라 제1코일(141)의 양단(141a)(141b)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발생되는 유도 기전력에 각각 발광할 수 있도록 전류도통경로가 상호 반대가 되게 제1코일(141)에 병렬접속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diodes 151 and 152 correspond to the first group light emitting unit 150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23 and emits light to the outside, The current conduction paths are mutually opposite so as to emit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at both ends 141a and 141b of the first coil 141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gnet 130, And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coil 141.

즉, 제1발광다이오드(15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코일(141)의 제1단(141a)이 제2단(141b)에 대해 양의 전위가 형성되었을 때 전류가 정방향으로 도통되는 제1방향(155)으로 도통되게 제1단(141a)과 제2단(141b) 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제2발광다이오드(152)는 제1코일(141)의 제1단(141a)과 제2단(141b) 사이에 제1발광다이오드(151)와는 전류도통경로가 반대가 되게 접속되어 도 6에 도시된 ㅂ와 같이 제1코일(141)의 제1단(141a)이 제2단(141b)에 대해 음의 전위가 형성되었을 때 전류가 제1방향(155)과 반대인 역방향인 제2방향(157)으로 도통되게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제1단(141a)에서 제2단(141b)으로 전류가 흐를때를 정방향으로 표현한다.5, when the first terminal 141a of the first coil 141 has a positive potential with respect to the second terminal 141b, the current flows in the positive direction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152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end 141a and the second end 141b so as to be conductive in the first direction 155 in which the first coil 141 is conducted, And the first end 141a of the first coil 141 is connected to the first end 141a of the first coil 141 as shown in FIG. 6, and the second end 141b of the first coil 141 is connected to the first light- When a negative potential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stage 141b, the current is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157, which is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155, in a reverse direction. He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ime when a current flows from the first stage 141a to the second stage 141b is expressed in a forward direction.

제3 및 제4발광다이오드(161)(162)는 본체(110)의 하부가 되는 하부플레이트(124) 저면에 설치되어 외부로 광을 발광하는 제2군발광부(160)에 해당하며, 운동자석(130)의 이동방향의 변경에 따라 제2코일(146)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발생되는 유도 기전력에 각각 발광할 수 있도록 전류도통경로가 상호 반대가 되게 제2코일(146)에 병렬접속되어 있다.The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diodes 161 and 162 correspond to a second group light emitting unit 160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late 124 which is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and emit light to the outside, The current conduction path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econd coil 146 so that the current conduction paths are mutually opposite so as to emit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in the second coil 146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gnet 130 have.

즉, 제3발광다이오드(161)는 제2코일(146)의 제3단(146a)이 제4단(146b)에 대해 양의 전위가 인가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155)으로 도통되게 접속되어 있고, 제4발광다이오드(162)는 제2코일(146)의 양단(146a)(146b)에 제3발광다이오드(161)와는 전류도통경로가 반대가 되게 접속되어 있다.That is, the third light emitting diode 161 is arranged such that when the third end 146a of the second coil 146 is applied with a positive potential with respect to the fourth end 146b, And the fourth light emitting diode 162 is connected to both ends 146a and 146b of the second coil 146 so as to be opposite to the third light emitting diode 161 in the current conduction path .

이 경우, 운동자석(130)이 상방으로 이동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발광다이오드(151) 및 제3발광다이오드(161)가 발광하고, 운동자석(130)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2발광다이오드(152) 및 제4발광다이오드(162)가 발광한다. 따라서, 운동자석(130)의 상하 진퇴운동시 운동방향의 변경과 관계없이 발광이 지속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moving magnet 130 moves upward,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151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diode 161 emit light as shown in FIG. 5, and when the moving magnet 130 moves downward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152 and the fourth light emitting diode 162 emit light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light emission can be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change in the direction of motion when the moving magnet 130 moves up and down.

참고로 도 5 및 도 6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발생되는 유도 기전력에 따라 제1 내지 제4발광다이오드(151)(152)(161)(162)중 발광되는 요소만 발광화살표시를 기재하고, 비발광되는 요소는 발광화살표시를 생략하였다.For reference, in FIGS. 5 and 6, only light emitting elements among the first to fourth light emitting diodes 151, 152, 161 and 162 are indicated by arrows of light emission according to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omits the light emitting arrow.

한편, 본체(110)의 투명부분(110b)(110c)에 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연결홀(115)(116)을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줄(210)(220)을 통해 원줄과낚시가 연결된 목줄을 연결하여 채낚시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6 through the coupling holes 115 and 116 formed in the transparent portions 110b and 110c of the main body 110 so as to pass throug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fishing line is connected to the collar can be used for fishing.

또한, 도시된 예와 다르게 본체(110)에 연결홀(115)(116) 대신 타요소와의 연결을 위한 각종 연결구조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instead of the connection holes 115 and 116, various connecting structures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110 for connection with other elements.

이러한 발광체(100)는 채낚시용 뿐만 아니라, 장난감 완구를 비롯하여 스포츠 레저용 등 다양한 용도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luminous body 100 can be applied not only for fishing, but also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toy toys, sports leisure and the like.

110: 본체 120: 자석 이동관
125: 고정자석 130: 운동자석
141: 제1코일 146: 제2코일
150: 제1군발광부 160: 제2군발광부
110: main body 120: magnet moving tube
125: stationary magnet 130: moving magnet
141: first coil 146: second coil
150: first group light emitting portion 160: second group light emitting portion

Claims (4)

삭제delete 발광다이오드가 실장되어 외부로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본체에 대해 상대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운동자석과;
상기 본체에 대해 상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운동자석이 진퇴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내에 설치된 자석 이동관과;
상기 자석 이동관 내의 상기 운동자석의 진퇴경로의 일측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운동자석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척력을 인가하는 고정자석과;
상기 자석 이동관내에서 이동되는 상기 운동자석의 이동에 감응하여 유도기전력을 발생하고 발생된 유도 기전력을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공급하도록 결선되되 상기 자석 이동관내에서 상기 운동자석의 진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상기 자석 이동관에 설치된 제1코일 및 제2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은 상기 운동자석의 진퇴운동에 대해 상기 제1코일에서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과 상기 제2코일에서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이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공통 전원이 될 수 있도록 상호 병렬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은 제1이격거리를 갖게 권선되어 있고, 상기 진퇴경로와 나란한 방향에서의 상기 운동자석의 길이는 상기 제1이격거리 보다 마이너스 6mm 이상 플러스 4mm 이하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형 발광체.
A body mounted with a light emitting diode and capable of emitting light to the outside;
A moving magnet install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main body;
A magnet moving tube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form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moving magnet advances and retracts relative to the main body;
A stationary magnet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oving path of the moving magnet in the magnet moving tube to apply a repulsive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oving magnet moves away;
Wherein the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by generating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magnet moving in the magnet moving tube and is connected to supply the generated induced electromotive force to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a first coil and a second coil provided in the magnet moving tube,
Wherein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in the first coil and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in the second coil with respect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moving magnet can be a common power source to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length of the moving magne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dvancing / retreating path is set to a length of minus 6 mm or more and plus 4 mm or less than the first spacing distance, so that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are wound with a first spacing distance Wherein the light-emitting portion is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들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들은
상기 운동자석의 이동방향의 변경에 따라 상기 제1코일의 양단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발생되는 유도 기전력에 각각 발광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코일의 양단에 제1방향으로 도통되게 접속된 제1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1코일의 양단에 상기 제1발광다이오드와는 전류도통경로가 반대가 되게 접속된 제2발광다이오드를 갖는 제1군발광부와;
상기 제2코일의 양단에서 상기 운동자석의 이동방향의 변경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발생되는 유도 기전력에 각각 발광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코일의 양단에 제1방향으로 도통되게 접속된 제3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2코일의 양단에 상기 제1발광다이오드와는 전류도통경로가 반대가 되게 접속된 제4발광다이오드를 갖는 제2군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형 발광체.
The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And a second coil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coil in a first direction so as to emit light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first coil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magnet, And a second light emitting diode having opposite ends of the first coil connected to a current conduction path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And a third light emitting diod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coil in a first direction so as to emit light at both ends of the second coil to emit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in a forward direction or a reverse direc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magnet, And a second group of light emitting units having a fourth light emitting diod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coil so that the current conduction path is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중앙부분에서부터 상기 자석 이동관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상하방향으로 진행될 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계란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제3 및 제4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에는 낚시줄 또는 채낚시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형 발광체.
[5]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main body is formed in an egg-shaped shape such that its outer diameter progressively decreases from a central portion toward a vertical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gnet moving tube,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diodes are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diodes are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hole for connecting a fishing line or fishing line.
KR1020120081038A 2012-07-25 2012-07-25 self-generation typed lighting apparatus KR1013962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038A KR101396230B1 (en) 2012-07-25 2012-07-25 self-generation typed ligh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038A KR101396230B1 (en) 2012-07-25 2012-07-25 self-generation typed ligh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552A KR20140013552A (en) 2014-02-05
KR101396230B1 true KR101396230B1 (en) 2014-05-16

Family

ID=50263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038A KR101396230B1 (en) 2012-07-25 2012-07-25 self-generation typed ligh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23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6134B2 (en) * 2017-06-23 2022-03-08 Benjamin J. Folkersen Magnetic field powered fishing l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6220A (en) 2006-03-06 2007-09-20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Vibration power generation type underwater fishing light apparatus
KR101049860B1 (en) 2010-06-23 2011-07-19 대한민국 Power self-genneration radiation module and luminous jigging hook having the same modu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6220A (en) 2006-03-06 2007-09-20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Vibration power generation type underwater fishing light apparatus
KR101049860B1 (en) 2010-06-23 2011-07-19 대한민국 Power self-genneration radiation module and luminous jigging hook having the same mod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6134B2 (en) * 2017-06-23 2022-03-08 Benjamin J. Folkersen Magnetic field powered fishing l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552A (en)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72469T3 (en) Electric lighting devices that simulate a flickering flame
HK1082984A1 (en) High power, high luminous flux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making same
EP2949989A1 (en) Electronic light-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real fire
US10422516B1 (en) Lamp structure
KR101049860B1 (en) Power self-genneration radiation module and luminous jigging hook having the same module
KR101396230B1 (en) self-generation typed lighting apparatus
KR20170104576A (en) A kind of self-emitting floodlight
KR101801768B1 (en) private power station type LED light emitting indicator
US20160201860A1 (en) Self-powered wearable luminous device
KR20110012288A (en) Light emitting diode street lamp
CN102613765A (en) Self-generating lighting shoes
KR101293582B1 (en) Light emitting net system for gathering fish and float having the same
KR20150074380A (en) positioning device for fishing hooks
JP3622925B2 (en) Luminous lure
KR101380792B1 (en) Accelerator using electromagnetic force
CN215982047U (en) LED lamp pearl with heat radiation structure
KR200271301Y1 (en) Jumprope decorative illumination with centrifugal force switch
KR200362742Y1 (en) A rope light emitting diode
PL72780Y1 (en) A candle with a smoking simulator
KR101488354B1 (en) Optical semiconductor illuminating apparatus
KR200233001Y1 (en) Sports goods decorative illumination
ES2401500B1 (en) Device and light system.
JP5875631B2 (en) SMDLED heat dissipation structure
US20190162375A1 (en) Electronic candle
JP3131996U (en) Luminous road f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