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917B1 - Cultivating system of aquatic biomass using independent power generator - Google Patents

Cultivating system of aquatic biomass using independent power gen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917B1
KR101395917B1 KR1020120112897A KR20120112897A KR101395917B1 KR 101395917 B1 KR101395917 B1 KR 101395917B1 KR 1020120112897 A KR1020120112897 A KR 1020120112897A KR 20120112897 A KR20120112897 A KR 20120112897A KR 101395917 B1 KR101395917 B1 KR 101395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generator
culture
energy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8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46795A (en
Inventor
신현웅
조지영
정상목
이한성
추민규
홍인기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12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917B1/en
Publication of KR20140046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7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9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5/00Means for application of stress for stimulat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or the generation of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Means for electroporation or cell fusion
    • C12M35/02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means, e.g. for electroporation or for cell fu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독립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생 바이오매스 배양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파력발전장치와, 연결로드에 의해 상기 파력발전장치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배양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해양 환경의 수중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파동에너지를 이용한 오일 압축식 파력발전기로 지속적인 전기에너지 전환이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파력 발전기에 미세조류 대량 배양 수조를 발전기와 연결 시켜 수생바이오 메스 미세조류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 aquatic biomass culture system using an independent power generation device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n oil pressure in a marine environment, comprising at least one wave power generation device and at least one culture device coupled to the wave power generation device by a connection rod, As a device that enables continuous electric energy conversion by a type wave power generator, it is possible to produce a microbial biomes by connecting a large-scale microbial cultivation tank with a generator to a wave generator.

Figure R1020120112897
Figure R1020120112897

Description

독립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생 바이오매스 배양시스템{CULTIVATING SYSTEM OF AQUATIC BIOMASS USING INDEPENDENT POWER GENERAT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quatic biomass culture system using an independent power gene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독립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생 바이오매스 배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양 환경에서 발생하는 파동에너지를 이용한 파력 에너지 발생장치를 활용하여 독립발전에너지를 생성하고 수생 바이오 메스인 해양 미세조류의 대량 배양 장치를 융합 적용하여 두가지 이상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독립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생 바이오매스 배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quatic biomass culture system using an independent power gener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independent power generation energy utilizing a wave energy generating apparatus using wave energy generated in a marine environment, To an aquatic biomass culture system using an independent power generation apparatus capable of implementing two or more functions by applying a mass cultur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전 세계는 석탄, 석유, 가스 등의 화석에너지 사용으로 연간 50억톤이 넘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있으며 이산화탄소들이 대기권 내에서 두텁게 막을 형성하여 태양열이 지구표면에 닿았다가 다시 대기권 밖으로 빠져나가야 되는 복사열 현상을 차단하기 때문에 지구의 온도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현상을 온실효과라고 하며, 온실효과는 대부분 화석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이 원인이 되고 있다. 2030년경에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산업혁명 이전의 2배에 이르고 지구 평균기온이 1.5~4.5℃ 상승하여 해수면이 20cm 정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100년경에는 기온이 3~6.5℃ 상승하고 해수면이 약 65cm높아지며 기상이변, 강수량의 변화, 농작물 및 각종 식물의 피해, 지표면의 감소 등이 유발되며 인간에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The world uses more than 5 billion tons of carbon dioxide annually through the use of fossil energy such as coal, oil, and gas. The carbon dioxide forms a thick film in the atmosphere, blocking the radiant heat that the solar heat reaches the surface of the Earth and then escapes back into the atmosphere. The temperature of the earth is increasing. This phenomenon is called the greenhouse effect, and the greenhouse effect is mostly caused by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the use of fossil energy. By 2030, the CO2 concentration is twice as high as before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average global temperature is expected to rise by 1.5 to 4.5 degrees Celsius, bringing about 20 cm of sea level rise. By 2100, the temperature will rise by 3 to 6.5 degrees Celsius and the sea level will rise to about 65 cm, causing changes in weather, changes in precipitation, damage to crops and plants, and reduction in surface area.

따라서 국내외에서는 지구환경보전과 관련하여 국제적인 에너지사용 규제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국제환경경영체계(ISO 14000)에서는 이산화탄소 영향으로 인해 기업의 제품생산 과정과 기업 경영활동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평가, 이를 객관적으로 인증해 기업활동의 신뢰성을 확보해 주는 국제기준으로 제품생산을 위한 원료채취, 제품의 생산, 사용, 재활용, 폐기 등의 전 과정에서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과 환경보호에의 기여도 등이 주요 평가 기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Therefore, at home and abroad, international energy use regulation movements are taking place in relation to glob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SO 14000), products are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that ensure the credibility of corporate activities by objectively certifying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company's product production process and business management activities in advance due to the influence of carbon dioxide The main evaluation criteria are expected to be the efficient use of energy and contribution to environmental protection in all processes such as raw material extraction, product production, use, recycling and disposal.

또한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에너지원은 석유로서 중동지역이 전세계 매장량의 66.3%를 차지하고 있고, 국가별 생산량은 사우디아라비아, 구소련, 미국, 중국, 멕시코 순으로 편중되어 있으므로 에너지자원이 없어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항상 불안한 상황이기도 하다.In addition, the Middle East region accounts for 66.3% of the world's oil reserves, and the country's output is concentrated in the following order: Saudi Arabia, the former Soviet Union, the United States, China and Mexico. In Korea, which relies on stable supply of energy, it is always uneasy.

따라서 국내에서는“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2조의 규정에 의거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지열, 강수,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여 재생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로 11개분야로 구분하고, 재생 에너지 8개 분야인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수력, 해양, 폐기물, 지열과, 신에너지 3개 분야 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 및 중질잔사유가스화, 수소에너지로 정의하여 산업을 촉진하고 있다. Therefore, in accordance with Article 2 of the "Promotion of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New Energy and Renewable Energy Act", domestic fossil fuels are converted or converted into renewable energy including sunlight, water, geothermal, Energy, and energy to be used in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The eight categories of renewable energy are solar, solar, bio, wind, hydro, marine, waste, geothermal, Gasification, gasification, and hydrogen energy.

그 중 해양에 의한 파동에 의한 파력 에너지는 파도가 멈추는 일이 없기 때문에 풍력이나 태양 에너지 보다도 안정적인 수급이 가능한 해양 청정에너지로 각광 받고 있다.Among them, the wave energy due to ocean wave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marine clean energy that can supply and receive more stable than wind power or solar energy because the waves do not stop.

또한 최근에는 미세조류 수생바이오매스를 활용한 바이오 에탄올 또는 바이오 디젤 전환 기술도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미세조류는 이산화 탄소와 빛을 이용하여 성장할 수 있으며, 단위 면적당 생산량도 육상의 식물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양 미세조류에는 지방, 탄수화물 등 여러 가지 유용 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전세계적으로 육상에 대량 배양장을 설립하여 미세조류 대량 배양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다. 그러나 해양 미세조류 대량 배양 설비는 미세조류를 배양할 수 있는 광 반응배양기가 필요하고, 이를 설치 할 수 있는 육상 용지가 필요한 실정으로 대체 에너지 전환에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다. Recently, bioethanol or biodiesel conversion technology using microalgae aquatic biomass has also been attracting attention. In particular, microalgae can be grown using carbon dioxide and light, and the production per unit area is known to be superior to that of terrestrial plants. Since marine microalgae contains a large amount of various useful substances such as fat and carbohydrate, it is developing large-scale microalgae culture technology by establishing a large-scale culture field all over the world. However, a large scale culture facility for marine microalgae requires a photoreactive incubator capable of culturing microalgae, and land land for installing the microalgae is required.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해양 수중 표면에 파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 시킬 수 있는 파력을 이용한 독립발전기와 미세조류 배양 공간 제약에 따라 미세조류 대량 배양 수조 및 장치를 파력을 이용한 독립발전기에 채용하여 지속적인 전기 에너지 생산과 수생 바이오 메스 환경을 발전시킬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였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 independent generator using a wave to convert wave energy into electric energy on the surface of the ocean, and a micro-algae culture tank and apparatus as independent generators To develop a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producing electrical energy and developing an aquatic biome environment.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양환경에서 발생하는 파동을 이용한 파력 에너지 발생 장치를 활용하여 독립적인에너지를 생성하고 수생 바이오 메스인 해양 미세조류의 대량 배양 장치를 융합 적용하여 두가지 이상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독립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생 바이오매스 배양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method of generating independent energy by utilizing a wave energy generating device using waves generated in a marine environment and fusing a mass culture device of an aquatic biomas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quatic biomass culture system using an independent power generation apparatus capable of implementing two or more functio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력의 재생 가능한 청정 에너지 생산과 해양 미세조류 대량 배양 시 필요한 설비들을 별도로 설치할 육상 공간이 필요 없도록 한 독립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생 바이오매스 배양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quatic biomass cultivation system using an independent power generation apparatus that does not require a land space to separately install facilities for producing clean renewable energy of a wave and mass culture of marine microalga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독립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생 바이오매스 배양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파력발전장치와, 연결로드에 의해 상기 파력발전장치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배양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quatic biomass culture system using an independent gene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wave power generation device and at least one culture device coupled to the wave power generation device by a connection rod .

상기 파력발전장치는, 파동 에너지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오일압축 발전기; 상기 오일압축 발전기의 오일을 파력의 작용에 따라 압축 및 해제시키기 위한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부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ave power generator includes: an oil compression generator for producing electric energy by wave energy; A piston for compressing and releasing oil of the oil compression and generator according to the action of a wave; And at least one buoyancy device for supporting the piston.

상기 오일압축 발전기는, 전기를 생산하는 터빈; 및 상기 터빈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는 다수의 오일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il compression generator includes: a turbine that produces electricity; And a plurality of oil pipes connected to the turbine and into which the piston is inserted.

상기 배양장치는, 미세조류를 배양시키기 위해, 개폐장치를 구비하는 수조; 및 상기 수조를 안정되게 안착 및 지지하기 위해, 연결로드에 의해 상기 부력장치에 연결되며 하부에 다수의 홀이 형성된 배양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ulture apparatus includes a water tank having an opening / closing device for culturing microalgae; And a culture platform connected to the buoyancy device by a connection rod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t a lower portion thereof for stably holding and supporting the water tank.

상기 배양시스템을 둘 이상 설치하고, 그 둘 사이에 미세조류를 배양할 수 있는 대형 배양기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wo or more culture systems are provided, and a large-scale incubator capable of culturing microalgae is connected between the two.

본 발명은 해양 환경의 수중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파동에너지를 이용한 오일 압축식 파력발전기로 지속적인 전기에너지 전환이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파력 발전기에 미세조류 대량 배양 수조를 발전기와 연결 시켜 수생바이오 메스 미세조류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il compression type wave power generator using wave energy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marine environment and capable of continuously switching electric energy. The wave power generator is connected to a generator of a micro- It is possible to produce microalga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청정 에너지인 파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 시켜 이용할 수 있으며, 바이오 에너지 전환체인 해양 미세조류를 대량으로 해상에서 생산할 수 있으므로, 육상 생산으로 인한 배양 공간 확보와 파동 에너지로 인한 해양 수조의 진동으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높은 효율성을 얻을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vert waving energy, which is clean energy, into electric energy, and to produce marine microalgae, which are converted into bioenergy, in large quantities at sea.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high efficiency as a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the contact area of carbon dioxide in the air by the vibration of the water tan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생 바이오매스 배양시스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독립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생 바이오매스 배양시스템에서 독립발전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독립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생 바이오매스 배양시스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quatic biomass culture system using an independent power ge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n independent power generation device in an aquatic biomass culture system using the independent generation device of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n aquatic biomass culture system using an independent power ge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독립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생 바이오매스 배양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quatic biomass culturing system using independent generation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라 획기적인 파력 발전장치와 융합된 해양 미세조류 대량 배양 장치는 파동에너지가 있는 해양 환경에 설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파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오일 압축식 파력 발전장치에 해양 미세조류 대량 배양시스템을 융합 적용시켜, 지속적인 전기 에너지 생산할 수 있는 독립발전과 공간적 제약이 없이 파동에 의해 미세조류가 이산화탄소와의 접촉을 극대화하여 바이오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구조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rine microalgae mass culture device fused with a breakthrough wave power generation device should be installed in a marine environment having wave energ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fusion of a marine microalgae mass culture system to an oil compression type wave power generation device that converts wave energy into electric energy to generate independent electric power capable of producing continuous electric energy, It is a structure capable of producing bio energy by maximizing conta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생 바이오매스 배양시스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독립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생 바이오매스 배양시스템에서 독립발전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독립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생 바이오매스 배양시스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n aquatic biomass culturing system using an independent power ge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n independent power generation apparatus in an aquatic biomass culturing system using the independent power generation apparatus of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n aquatic biomass culture system using an independent power ge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독립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생 바이오매스 배양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파력발전장치(10)와, 상기 파력발전장치(10)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배양장치(20)를 포함한다. 상기 파력발전장치(10)와 상기 배양장치(20)는 연결로드(25)에 의해 상호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력발전장치(10)에는 그로부터 얻어진 전력을 이송하기 위한 전력이송선(30)이 연결되어 있다.1, an aquatic biomass culture system using an independent gene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wave power generation device 10, at least one culture device 20 (not shown) coupled to the wave power generation device 10, ). The wave power generator 10 and the culture apparatus 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rod 25. [ A power transmission line 30 is connected to the wave power generator 10 so as to transfer electric power obtained therefrom.

상기 파력발전장치(10)는 파동 에너지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오일압축 발전기(13), 상기 오일압축 발전기(13)의 오일을 파력의 작용에 따라 압축 및 해제시키기 위한 피스톤(12), 및 상기 피스톤(12)을 지지하는 부력장치(11)를 구비한다. The wave power generator 10 includes an oil compression generator 13 for producing electric energy by wave energy, a piston 12 for compressing and releasing oil of the oil compression generator 13 according to a wave action, And a buoyancy device (11) for supporting the piston (12).

상기 부력장치(11)는 상기 피스톤(12)을 지지함과 동시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부력장치(11)를 통해 상기 파력발전장치(10) 및 배양장치(20)가 해양에 떠있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부력장치(11)는 부력 기능과 지지대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인장 강도가 우수한 스테인리스, 철재 또는 가벼운 탄소강으로 고정시키며, 해수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수 처리한 것이다. 즉, 외부표면에는 효과적인 부력을 위해 네오프렌, 발포폴리스타이렌, 다공성 부력 소재 등 으로 표면 처리를 하여 파력발전장치의 부력 안정성을 유지시키는 장치이다.
The buoyancy device 11 can support the piston 12 and provide buoyancy. Therefore, the wave power generator 10 and the culture apparatus 20 may float in the ocean through the buoyancy device 11. The buoyancy device (11) is made of stainless steel, steel or light carbon steel excellent in tensile strength so that buoyancy function and support function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nd is waterproofed so that seawater can not penetrate. That is, it is a device that maintains the buoyancy stability of the wave power generator by surface treatment with neoprene, foam polystyrene, porous buoyant material, etc. for effective buoyancy on the outer surface.

상기 오일압축 발전기(13)는 그 내부에 터빈(18)을 구비하고, 상기 터빈(18)에는 다수의 오일관(17)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오일관(17)에는 상기 피스톤(12)이 삽입되어 있어서, 파력에 의해 피스톤(12)이 도 2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병진운동하면서, 상기 오일관(17) 내부에 있는 오일을 압축시키거나 압축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러한 오일의 압축 및 해제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터빈(18)이 작동하면서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The oil compression generator 13 has a turbine 18 therein and a plurality of oil pipes 17 are connected to the turbine 18. The piston 12 is inserted into the oil pipe 17 so that the oil in the oil pipe 17 is compressed while the piston 12 is translationally mov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Decompression. By continuously compressing and releasing the oil, the turbine 18 can operate and produce electric energy.

또한, 상기 오일관(17)의 일측에는 고정장치(16)이 구비되어서, 상기 오일관(17)을 상기 오일압축 발전기(13)의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A fixing device 16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oil pipe 17 so that the oil pipe 17 can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oil pressure generator 13. [

상기 배양장치(20)는 미세조류(14)를 배양시키기 위한 수조(22)와, 상기 수조(22)를 안정되게 안착 및 지지하기 위한 배양대(21)을 포함한다. 상기 배양대(21)는 상기 연결로드(25)에 의해 상기 부력장치(11)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배양대(21)는 상기 부력장치(11)의 부력에 의해 해양에 부유할 수 있는 것이다.The culture apparatus 20 includes a water tank 22 for culturing the microalgae 14 and a culture table 21 for stably holding and supporting the water tank 22. The culture platform (21) is connected to the buoyancy device (11) by the connection rod (25). Therefore, the culture platform 21 can float on the ocean due to the buoyancy of the buoyancy device 11.

또한, 상기 배양대(21)의 하부에는 다수의 홀(24)이 형성되어 있어서, 해수가 배양대의 내부에 충진되지 못하도록 한다. In addition, a large number of holes 24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ulture platform 21 to prevent the seawater from being filled in the culture platform.

이와 같이, 파력이 발생하는 바다에서 미세조류를 배양하는 가장 큰 이유는 파동 에너지에 의해 해양 미세조류가 이산화탄소와 효과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이오 에너지 생산을 위한 미세조류의 성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Thus,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cultivating microalgae in a sea where waves are generated is that marine microalgae can effectively make contact with carbon dioxide by wave energy,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growth of microalgae for bioenergy production will be.

또한, 상기 수조(22)는 개폐장치(23)를 구비함으로써, 강우나 강설 시에 덮개를 덮을 수 있도록 한다. 즉, 평상시에는 이산화탄소와의 접촉을 크게 하고 햇빛을 투과시키기 위하여 개폐장치(23)를 개방하다가, 유사시에는 덮개를 폐쇄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The water tank 22 is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device 23 so that it can cover the lid during rainfall or snowfall. That is, in the normal state, the opening / closing device 23 is opened to increase the contact with carbon dioxide and to transmit sunlight, and the lid is closed in case of emergency.

상기 오일압축 발전기(13)의 양측에 설치되는 부력장치(11)는 설치 목적에 따라 개수 및 크기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The buoyancy devices 11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oil compression and dynamo generators 13 may vary in the number and size depending on the purpose of installation.

상기 배양대(15)의 구조는 인장 강도가 우수한 스테인리스 또는 철재 소재로 배양대의 프레임을 장치하고, 피스톤(12) 또는 연결로드(25)는 유동적이게 하여, 미세조류(14)의 배양액이 유동하여 이산화탄소의 접촉면적이 우수하게 하며, 배양대(21)에 설치할 수조(22)는 아크릴, FRP, PVC, 철재 등으로 강우 및 강설에 대비하여 보호가 가능한 개폐 장치(23)를 설치하도록 한다.
The structure of the culture platform 15 is made of stainless steel or iron material having excellent tensile strength and the frame of the culture platform is installed so that the piston 12 or the connection rod 25 is made to flow so that the culture liquid of the microalgae 14 flows And the water tank 22 to be installed on the culture platform 21 is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device 23 which can be protected against rainfall and snowfall by using acrylic, FRP, PVC, steel or the like.

해양 미세조류 대량 배양대가 장치된 파동 에너지를 이용한 오일 압축식 파력발전에서 발생된 전기 에너지는 전력이송선(20)을 통해 육상으로 수송한다.
The electric energy generated from the oil compression type wave power generation using the wave energy of the marine microalgae is transported to the land via the transmission line 20.

도 3는 본 발명에 독립발전 장치인 오일 압축식 파력발전장치와 융합 적용된 해양 미세조류 대량 배양시스템를 응용한 것으로서, 두 개 이상의 파력발전장치(10)와 융합된 미세조류 대량 배양장치를 이용하여 해양 미세조류 대량 배양 효능을 극대화시키는 방법을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것이다.FIG. 3 shows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mass culture system for marine microalgae, which is applied to an oil-pressurized wave power generator, which is an independent power generation apparatus, and which is fused with two or more wave power generators 10, The method of maximizing microbial mass-production efficiency is shown in another embodimen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독립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생 바이오매스 배양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시스템들 사이에 대형 배양기(40)를 설치하여, 대량의 미세조류를 생산하는 것이다.3, an aquatic biomass culture system using an independent power ge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rge-scale incubator 40 installed between culture sys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oduce large amounts of microalgae.

따라서, 대형 배양기(40)를 연결로드(45)를 통해 파력발전장치(10)에 연결시키는 구조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생 바이오매스 배양시스템의 구성요소 및 동작과 유사하다.
Therefore, except for a structure in which the large-scale incubator 40 is connected to the wave power generator 10 through the connecting rod 45,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aquatic biomass culture system using the independent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peration.

즉, 도 1에서 도시된 파력발전장치와 융합된 미세조류 대량 배양 장치 구조를 두 개 이상 이용하여 한쪽 측면에 대형 수중 배양기(40)를 양 끝에 연결시켜 해상 위에서 해양 미세조류를 대량 배양하는 장치로써, 소재는 외부에 부력 기능을 가한 아크릴, FRP, PVC 소재 사용하여 미세조류를 대량 배양 효능을 높이게 된다.That is, a large-scale underwater incubator (40) is connected to both ends by using two or more structures of micro-algae mass culture apparatus fused with the wave power generator shown in FIG. 1 to massively cultivate marine microalgae on the sea , The materials use acrylic, FRP, and PVC materials that have buoyancy function on the outside, and the effect of mass culture of microalgae is enhanced.

도 3에서 도시한 그림은 하나의 예시이며, 연속 배양 및 분산 배양을 위해 미세조류 대량 배양 수조 장치는 두 개 이상 다양하게 모두 응용할 수 있다.
The illustration shown in FIG. 3 is one example, and a micro-algae culture tank can be applied to two or more of various applications for continuous cultivation and dispersion culture.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파력발전장치 11: 부력장치
12: 피스톤 13: 오일압축 발전기
16: 고정장치 17: 오일관
18: 터빈 20: 배양장치
21: 배양대 22: 수조
23: 개폐장치 25: 연결로드
30: 전력이송선
10: Wave power generator 11: Buoyancy device
12: piston 13: oil compression generator
16: Fixing device 17: Oil pipe
18: turbine 20: incubator
21: culture stand 22: aquarium
23: opening / closing device 25: connecting rod
30: Power transmission

Claims (5)

하나 이상의 파력발전장치와, 연결로드에 의해 상기 파력발전장치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배양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파력발전장치는, 파동 에너지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오일압축 발전기; 상기 오일압축 발전기의 오일을 파력의 작용에 따라 압축 및 해제시키기 위한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부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오일압축 발전기는,
전기를 생산하는 터빈; 및
상기 터빈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는 다수의 오일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생 바이오매스 배양시스템.
At least one wave generator, and at least one incubator coupled to the wave generator by a connecting rod,
The wave power generator includes: an oil compression generator for producing electric energy by wave energy; A piston for compressing and releasing oil of the oil compression and generator according to the action of a wave; And at least one buoyancy device for supporting the piston,
The oil compression /
Turbines producing electricity; And
And a plurality of oil pipes connected to the turbine and into which the piston is inser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장치는,
미세조류를 배양시키기 위해, 개폐장치를 구비하는 수조; 및
상기 수조를 안정되게 안착 및 지지하기 위해, 연결로드에 의해 상기 부력장치에 연결되며 하부에 다수의 홀이 형성된 배양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생 바이오매스 배양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lture apparatus comprises:
A water tank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device for culturing microalgae; And
And a culture bed connected to the buoyancy device by a connection rod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t a lower portion thereof for stably holding and supporting the water tank.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시스템을 둘 이상 설치하고, 그 둘 사이에 미세조류를 배양할 수 있는 대형 배양기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생 바이오매스 배양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at least two culture systems are installed, and a large-scale incubator capable of culturing microalgae is connected between the two.
KR1020120112897A 2012-10-11 2012-10-11 Cultivating system of aquatic biomass using independent power generator KR1013959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897A KR101395917B1 (en) 2012-10-11 2012-10-11 Cultivating system of aquatic biomass using independent power ge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897A KR101395917B1 (en) 2012-10-11 2012-10-11 Cultivating system of aquatic biomass using independent power gen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795A KR20140046795A (en) 2014-04-21
KR101395917B1 true KR101395917B1 (en) 2014-05-15

Family

ID=50653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897A KR101395917B1 (en) 2012-10-11 2012-10-11 Cultivating system of aquatic biomass using independent power gen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91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306A (en) * 2009-07-01 2011-01-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for marine microalgae cultivation with multi-power generation
KR20110015261A (en) * 2009-08-07 2011-02-15 한국전력공사 High efficiency wave energy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306A (en) * 2009-07-01 2011-01-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for marine microalgae cultivation with multi-power generation
KR20110015261A (en) * 2009-08-07 2011-02-15 한국전력공사 High efficiency wave energ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795A (en) 201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labban et al. Renewable energy resources: Current status, future prospects and their enabling technology
kumar Nath et al. A comparative review on renewable energy application, difficulties and future prospect
Amir et al. Wave energy convertors (WEC): A review of the technology and power generation
Karabegović et al.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the world and European Union
CN103288285A (en) Tower type concentrated solar photo-thermal energy storage, power generation, seawater desalination, salt preparation and beach culture system
KR101395916B1 (en) Cultivating system of aquatic biomass using independent power plant
KR101395917B1 (en) Cultivating system of aquatic biomass using independent power generator
JP2016043719A (en) Electric power generation/consumption system
Tyagi Advances in Alternative Sources of Energy: Opening New Doors for Energy Sustainability
Xiong et al. Harnessing the power of floating photovoltaic: A global review
JP6573385B2 (en) Energy utilization device
Mahboob et al. Types and applications of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and their effect on environment in Pakistan
Adeosun et al. Renewable energ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developing countries: benefits to the environment
Banerjee et al. Application on solar, wind and hydrogen energy-a feasibility review for an optimised hybrid renewable energy system
CN101881249A (en) Novel method for generating electricity by electrolyzing water
KA et al. Renewable Energy Resources and Their Types
Krasteva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Yunchang et al. Development situation and policy suggestions of Chinese renewable energy
Dzhonova-Atanasova et al. Challenges of marine power in the Balkan Region
Kaur Review on Non-Conventional Energy Resources
CN204677364U (en) A kind of floating type novel energy conversion equipment
Pavlík et al. Vision of the Project DESERTEC
Vigneshwaran Naveen Kumar KA
Sharma et al. An eco-friendly novel technique for power generation utilising municipal waste water and sludge recycling
Joshal et al. Renewable Energy Scenario of the World and Future Patte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