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620B1 - 포펫밸브 - Google Patents

포펫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620B1
KR101395620B1 KR1020120053205A KR20120053205A KR101395620B1 KR 101395620 B1 KR101395620 B1 KR 101395620B1 KR 1020120053205 A KR1020120053205 A KR 1020120053205A KR 20120053205 A KR20120053205 A KR 20120053205A KR 101395620 B1 KR101395620 B1 KR 101395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pet
hole
opening
inclined surfac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964A (ko
Inventor
이경환
Original Assignee
하이파워유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파워유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이파워유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3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620B1/ko
Publication of KR20130128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6Attachment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1Damping of valv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발명은 포펫밸브에 관한 것으로, 몸체(10) 내부에 포펫(20)이 왕복운동하며 유로를 개폐하는 포펫밸브에 있어서, 상기 포펫밸브는 몸체(10)의 선단구멍(11)에 몸체경사면(12)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게 포펫(20)의 선단부에도 포펫경사면(22)이 형성되며, 또한 내부에 충격완화공간(30)이 형성되어 닫힐 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것으로, 본발명은 몸체와 포펫의 선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부에 충격완화공간이 형성되어 닫힐 시의 충격을 완화하고 개폐동작을 부드럽게 하므로, 포펫밸브의 수명이 오래가고 고장이 없으며 유지보수 경비가 절약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펫밸브{poppet valve}
본발명은 포펫밸브에 관한 것으로, 닫힐시의 충격을 완화하여 개폐동작을 부드럽게 하는 포펫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펫밸브는 특허공개공보 10-2008-0007440호 종래기술로 기재된 바와 같이, 밸브 몸체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특허공개공보 10-2008-0007440호에는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를 가지는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에 배치되고, 상기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사이의 유체의 유동 경로에 배치된 구멍을 가지는 밸브시트;상기 밸브 몸체에 배치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밸브 시트를 작동이 가능하게 맞물기 위한 밸브부 및 상기 밸브부로부터 신장하는 밸브 신장부를 가지는 유동 제어 부재로서, 상기 밸브 신장부는 상기 샤프트로부터 떨어진 상기 밸브 시트를 통해 흐르는 유체를 휘어지게 하고 상기 샤프트를 둘러싸며, 상기 밸브부와 상기 밸브 신장부는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부재인 유동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02635호에는 공압에 의해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클러치부스터의 고압공기 제어용 포펫밸브에 있어서, 하우징과 커넥터의 내부에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채 대단면이 상기 하우징의 공기출구를 막게되며, 직경이 감소되는 소단면과의 사이에 단이 형성된 포펫과; 상기 포펫의 소단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면부에 스프링이 안착될 편평한 스프링좌가 구비되는 포펫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펫밸브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포펫밸브는 몸체내부에서 포펫이 왕복운동하면서 유로를 개폐할 시, 닫히는 순간의 충격이 포펫밸브에 가해져서 포펫밸브가 고장이 발생하게 되거나 수명이 짧아지며 그에 따라 유지보수 경비가 과다하게 소모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몸체와 포펫의 선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부에 충격완화공간이 형성되어 닫힐 시의 충격을 완화하고 개폐동작을 부드럽게 하므로, 포펫밸브의 수명이 오래가고 고장이 없으며 유지보수 경비가 절약되는 포펫밸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포펫밸브에 관한 것으로, 몸체(10) 내부에 포펫(20)이 왕복운동하며 유로를 개폐하는 포펫밸브에 있어서, 상기 포펫밸브는 몸체(10)의 선단구멍(11)에 몸체경사면(12)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게 포펫(20)의 선단부에도 포펫경사면(22)이 형성되며, 또한 내부에 충격완화공간(30)이 형성되어 닫힐 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몸체와 포펫의 선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부에 충격완화공간이 형성되어 닫힐 시의 충격을 완화하고 개폐동작을 부드럽게 하므로, 포펫밸브의 수명이 오래가고 고장이 없으며 유지보수 경비가 절약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 포펫밸브의 닫힌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발명 포펫밸브의 열린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발명 포펫밸브의 닫히기 직전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발명 포펫밸브의 닫히기 직전 상태의 단면 전체도
도 5는 본발명 포펫밸브의 포펫 단면도
도 6은 본발명 포펫밸브의 몸체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좌측면도
도 8은 도 6의 우측면도
본발명은 포펫밸브에 관한 것으로, 몸체(10) 내부에 포펫(20)이 왕복운동하며 유로를 개폐하는 포펫밸브에 있어서, 상기 포펫밸브는 몸체(10)의 선단구멍(11)에 몸체경사면(12)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게 포펫(20)의 선단부에도 포펫경사면(22)이 형성되며, 또한 내부에 충격완화공간(30)이 형성되어 닫힐 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전방부에 선단구멍(11)이 형성되고, 상기 선단구멍(11) 후방에 개폐구멍(13)이 형성되되, 상기 개폐구멍(13) 지름은 상기 선단구멍(11)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개폐구멍(13) 후방에는 단턱(14)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14) 후방에는 이송구멍(15)이 형성되되, 상기 이송구멍(15)은 상기 선단구멍(11) 지름보다 크며 개폐구멍(13)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이송구멍(15) 후방에는 후단구멍(16)이 형성되되, 상기 후단구멍(16)은 상기 개폐구멍(13)과 동일하며, 또한 상기 선단구멍(11)에는 몸체경사면(12)이 형성되고, 상기 포펫(20) 선단부에도 포펫경사면(22)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 선단구멍(11)에 포펫(20)이 접촉하는 순간, 몸체경사면(12)과 포펫경사면(22)이 서로 접촉되어 개폐동작이 부드럽게 작동되어 닫힐 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펫(20)은 선단부에 포펫경사면(22)이 형성되고, 상기 포펫경사면(22)후부에는 외주면에 다수 개의 유로홈이 형성된 평면부(23)가 형성되되, 상기 평면부(23)에는 유체인입구멍(24)이 수직방향으로 내부구멍으로 통하게 형성되며, 상기 내부구멍은 포펫 후단부(26)에까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평면부(23) 후방에는 돌출부(25)가 형성되되, 돌출부(25)의 지름이 상기 평면부(23)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5) 후방에는 후단부(26)가 형성되며, 상기 후단부(26)의 지름은 상기 평면부(23)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닫힐 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펫(20)이 몸체(10) 전방으로 이동하여 포펫밸브가 닫힐 경우, 상기 몸체(10)의 단턱(14)과 포펫(20)의 후방 돌출부(25) 사이에 고압이 형성되는 충격완화공간(30)이 형성되어 닫힐 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경사면(12)과 포펫경사면(22)의 각도는 모두 4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 포펫밸브의 닫힌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발명 포펫밸브의 열린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발명 포펫밸브의 닫히기 직전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발명 포펫밸브의 닫히기 직전 상태의 단면 전체도, 도 5는 본발명 포펫밸브의 포펫 단면도, 도 6은 본발명 포펫밸브의 몸체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좌측면도, 도 8은 도 6의 우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은 포펫밸브중 역지별브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포펫이 설치된 역지밸브는 일방향으로만 열리는 것으로, 평소 우측에 설치된 코일스프링의 압축력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 좌측에서 힘이 가해지고 상기 힘이 스프링의 힘을 이겨내면, 포펫이 우측으로 움직이게 되며, 좌측 선단구멍(11)이 열기게 되고, 또한 선단구멍을 통과하여 유입된 유체는 포펫에 형성된 개폐구멍을 통해 포펫내부로 들어온 후, 내부구멍을 통해 포펫후부로 빠져나온 후, 몸체 후단구멍으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좌측에서 가해지는 힘이 약해지면, 스프링의 힘이 가해지는 힘을 이겨내고 포펫은 다시 좌측으로 이동되며, 포펫의 선단부의 포펫경사면이 몸체의 선단구멍에 형성된 몸체경사면과 맞닿으며 유로플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흐름은 상기와 같이 포펫경사면이 몸체의 선단구멍에 형성된 몸체경사면과 맞닿아 있으므로 불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발명 포펫밸브는 몸체(10) 내부에 포펫(20)이 왕복운동하며 유로를 개폐하는 것으로, 몸체(10)의 선단구멍(11)에 몸체경사면(12)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게 포펫(20)의 선단부에도 포펫경사면(22)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에 충격완화공간(30)이 형성되어 닫힐 시의 충격을 완화하게 되는 것이다.
곧, 본발명의 상기 몸체(10)는 전방부에 유체가 인입되는 선단구멍(11)이 형성되고, 상기 선단구멍(11) 후방에 개폐구멍(13)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구멍(13) 지름은 상기 선단구멍(11)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구멍(13) 후방에는 단턱(14)이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포펫의 돌출부와 함께 충격완화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충격완화공간으로의 유체흐름은 포펫 평면부 외주면에 다수 개의 유로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포펫의 좌우움직임에 따라서 유체가 충격완화공간 으로 인입 또는 배출된다.
그리고 본발명의 상기 단턱(14) 후방에는 이송구멍(15)이 형성되되, 상기 이송구멍(15)은 상기 선단구멍(11) 지름보다 크며 개폐구멍(13)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이송구멍(15) 후방에는 후단구멍(16)이 형성되고, 상기 후단구멍(16)은 상기 개폐구멍(13)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이송구멍(15) 후방과 후단구멍(16)에는 스톱링이 삽입설치된다.
그리고 본발명의 상기 선단구멍(11)에는 몸체경사면(12)이 형성되고, 상기 포펫(20) 선단부에도 포펫경사면(22)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 선단구멍(11)에 포펫(20)이 접촉하는 순간, 몸체경사면(12)과 포펫경사면(22)이 서로 접촉되어 개폐동작이 부드럽게 작동되어 닫힐 시의 충격을 완화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발명의 상기 포펫(20)은 선단부에 상기 몸체의 몸체경사면에 대응되는 포펫경사면(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포펫경사면(22)후부에는 외주면에 다수 개의 유로홈이 형성된 평면부(23)가 형성되되, 상기 평면부(23)에는 유체인입구멍(24)이 수직방향으로 내부구멍으로 통하게 형성되며, 상기 내부구멍은 포펫 후단부(26)에까지 연결되어 있으므로, 유체가 원활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유체인입구멍(24)은 포펫 평면부 주위에 4개를 서로 대칭되게 동일 간격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본발명은 상기 평면부(23) 후방에는 상기 몸체의 단턱과 함께 충격완화공간을 형성하는 돌출부(25)가 형성되되, 돌출부(25)의 지름이 상기 평면부(23)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포펫(20)이 몸체(10) 전방으로 이동하여 포펫밸브가 닫힐 경우, 상기 몸체(10)의 단턱(14)과 포펫(20)의 후방 돌출부(25) 사이에 고압이 형성되는 충격완화공간이 형성되어 닫힐 시의 충격을 완화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발명 포펫은 상기 돌출부(25) 후방에 후단부(26)가 형성되며, 상기 후단부(26)의 지름은 상기 평면부(23)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발명에서 상기 몸체경사면(12)과 포펫경사면(22)의 각도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하되, 45°로 형성하는 것이 적정하다.
그리고 본발명의 또 다른 충격완화구조를 설명하면, 포펫(20)의 후단부(26)와 상기 포펫 후방의 스톱링(40) 사이에 충격완화공간부가 형성되어 열릴 시의 충격을 완화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포펫(20)의 후단부(26)가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되는 스톱링 전면 상부단부에도 대응되게 단차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포펫(20)의 후단부(26)의 단차와, 스톱링 전면의 단차가 충격완화공간부를 형성하게 되어 열릴 시의 충격을 완화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몸체와 포펫의 선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부에 충격완화공간이 형성되어 닫힐 시의 충격을 완화하고 개폐동작을 부드럽게 하므로, 포펫밸브의 수명이 오래가고 고장이 없으며 유지보수 경비가 절약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 몸체 20 : 포펫
11 : 선단구멍 12 : 몸체경사면
22 : 포펫경사면
13 : 개폐구멍 14 : 단턱
15 : 이송구멍 16 : 후단구멍
23 : 평면부 24 : 유체인입구멍
25 : 돌출부 26 : 후단부
27 : 내부구멍
30 : 충격완화공간 40 : 스톱링
50 : 충격완화공간부 60 : 스프링

Claims (5)

  1. 몸체(10) 내부에 포펫(20)이 왕복운동하며 유로를 개폐하는 포펫밸브에 있어서, 상기 포펫밸브는 몸체(10)의 선단구멍(11)에 몸체경사면(12)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게 포펫(20)의 선단부에도 포펫경사면(22)이 형성되며, 상기 포펫(20)이 몸체(10) 전방으로 이동하여 포펫밸브가 닫힐 경우, 상기 몸체(10)의 단턱(14)과 포펫(20)의 후방 돌출부(25) 사이에 고압이 형성되는 충격완화공간(30)이 형성되어 닫힐 시의 충격을 완화하되,
    상기 몸체(10)는 전방부에 선단구멍(11)이 형성되고, 상기 선단구멍(11) 후방에 개폐구멍(13)이 형성되되, 상기 개폐구멍(13) 지름은 상기 선단구멍(11)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개폐구멍(13) 후방에는 단턱(14)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14) 후방에는 이송구멍(15)이 형성되되, 상기 이송구멍(15)은 상기 선단구멍(11) 지름보다 크며 개폐구멍(13)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이송구멍(15) 후방에는 후단구멍(16)이 형성되되, 상기 후단구멍(16)은 상기 개폐구멍(13)과 동일하며, 또한 상기 선단구멍(11)에는 몸체경사면(12)이 형성되고, 상기 포펫(20) 선단부에도 포펫경사면(22)이 형성되어, 구멍 선단구멍(11)에 포펫(20)이 접촉하는 순간, 몸체경사면(12)과 포펫경사면(22)이 서로 접촉되어 개폐동작이 부드럽게 작동되어 닫힐 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것이며,
    상기 포펫(20)은 선단부에 포펫경사면(22)이 형성되고, 상기 포펫경사면(22)후부에는 외주면에 다수 개의 유로홈이 형성된 평면부(23)가 형성되되, 상기 평면부(23)에는 유체인입구멍(24)이 수직방향으로 내부구멍(27)으로 통하게 형성되며, 상기 내부구멍은 포펫 후단부(26)에까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평면부(23) 후방에는 돌출부(25)가 형성되되, 돌출부(25)의 지름이 상기 평면부(23)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5) 후방에는 후단부(26)가 형성되며, 상기 후단부(26)의 지름은 상기 평면부(23)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닫힐 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포펫(20)의 후단부(26)와 상기 포펫 후방의 스톱링(40) 사이에 충격완화공간부(50)가 형성되어 열릴시의 충격을 완화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포펫(20)의 후단부(26)가 단차가 형성되어, 이와 대응되는 스톱링(40) 전면 상부단부에도 대응되게 단차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포펫(20)의 후단부(26)의 단차와, 스톱링(40) 전면의 단차가 충격완화공간부(50)를 형성하게 되어 열릴 시의 충격을 완화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펫밸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53205A 2012-05-18 2012-05-18 포펫밸브 KR101395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205A KR101395620B1 (ko) 2012-05-18 2012-05-18 포펫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205A KR101395620B1 (ko) 2012-05-18 2012-05-18 포펫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964A KR20130128964A (ko) 2013-11-27
KR101395620B1 true KR101395620B1 (ko) 2014-05-16

Family

ID=4985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205A KR101395620B1 (ko) 2012-05-18 2012-05-18 포펫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6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094B1 (ko) 2020-11-17 2022-04-19 한국기계연구원 포펫 밸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950A (ja) * 1992-06-30 1994-01-25 Toyooki Kogyo Co Ltd 逆止め弁
JPH11325285A (ja) * 1998-05-11 1999-11-26 Hirose Valve Kogyo Kk 直動形リリーフバルブ
JP2001108125A (ja) * 1999-08-02 2001-04-20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弁装置
JP2010236691A (ja) 2009-03-31 2010-10-21 Toyota Motor Corp 可変油圧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950A (ja) * 1992-06-30 1994-01-25 Toyooki Kogyo Co Ltd 逆止め弁
JPH11325285A (ja) * 1998-05-11 1999-11-26 Hirose Valve Kogyo Kk 直動形リリーフバルブ
JP2001108125A (ja) * 1999-08-02 2001-04-20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弁装置
JP2010236691A (ja) 2009-03-31 2010-10-21 Toyota Motor Corp 可変油圧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094B1 (ko) 2020-11-17 2022-04-19 한국기계연구원 포펫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964A (ko)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10382A (zh)
US10094157B2 (en) Variable shock-absorbing damper for furniture hinge, with built-in pressure control means
US10641397B2 (en) Valve seat
KR20170065830A (ko) 체크밸브
CN103256393A (zh) 压力平衡式气体喷射数字阀
KR101395620B1 (ko) 포펫밸브
CN104011441A (zh) 溢流阀
CN104728509A (zh) 一种电磁阀及应用该电磁阀的制冷系统
CN103912697A (zh) 地铁风源系统吸气阀
CN108105435A (zh) 先导式安全阀
CN105042177B (zh) 带缓冲机构的气体喷射阀
CN102410200B (zh) 具有阀的活塞阀的泵元件
RU2015135601A (ru) Высокочастотный ударный молоток, приводимый в действие давлением текучей среды,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бурения твердых пород
CN216742867U (zh) 一种截止阀
CN206429479U (zh) 一种磁耦式无杆气缸
KR101387642B1 (ko) 완충기
CN104110564A (zh) 打钉机枪头润滑结构
CN102734249B (zh) 一种过载阀
WO2016063831A1 (ja) ガイド機構付きロッドレスシリンダ
KR101373716B1 (ko) 조리개 링 형태의 쿠션 부재가 구비된 유압 실린더 장치
US20150362085A1 (en) Check valve
WO2015169621A1 (en) High-pressure pump for feeding fuel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781814B2 (en) Piston pump comprising a piston with a profiled front face
CN212745175U (zh) 一种气体阀
CN103216672A (zh) 一种静音的活塞式阀瓣及止回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