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443B1 - 반송파 집성을 위한 통신 디바이스들의 제어 - Google Patents

반송파 집성을 위한 통신 디바이스들의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443B1
KR101395443B1 KR1020117025506A KR20117025506A KR101395443B1 KR 101395443 B1 KR101395443 B1 KR 101395443B1 KR 1020117025506 A KR1020117025506 A KR 1020117025506A KR 20117025506 A KR20117025506 A KR 20117025506A KR 101395443 B1 KR101395443 B1 KR 101395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component carriers
subset
remote communication
ope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126A (ko
Inventor
자그딥 싱 알루왈리아
로버트 아노트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8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groups of terminals or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4Scheduled or contention-free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7Timing of allocation when data requirements 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이 이용가능한 부대역들 중 하나 또는 그 부집합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신호들을 송신하며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이 제안되는데, 기지국은 부대역들 사이에서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앵커 부대역 대신에 또는 이 앵커 부대역에 부가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부대역들로 이동될 때까지, 유휴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이 캠핑하는 앵커 부대역이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반송파 집성을 위한 통신 디바이스들의 제어{CONTROL OF COMMUNICATION DEVICES FOR CARRIER AGGREGATION}
본 발명은 통신 디바이스들, 특히 3GPP 표준들 또는 그 동등물들이나 파생물들에 따라 동작하는 디바이스들만이 아닌 통신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3GPP 표준 문서 TR 36.814에 현재 정의되어 있는 LTE-Advanced에서 이용되어야 하는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의 영향들에만 관련되지는 않는다.
LTE Rel 8에 있어서, 20MHz의 전송 대역이 정의되었다. LTE-Advanced에서, 최대 100MHz까지의 시스템 대역폭들을 지원하는데 반송파 집성이 이용될 것이다. 이는 5개의 20MHz 부대역들로 시스템 대역폭을 분할하는 것을 수반하는데, 각각의 부대역은 각각의 컴포넌트 반송파에 중심을 둔다. LTE Rel 8 사용자 장비(UE)와 역호환가능하기 위해서, 이들 부대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대역이 LTE Rel 8 순응형이어야 한다.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기 위해서, 새로운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구조가 최대 100MHz까지의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어드레싱하는데 필요하다. 2가지 상이한 접근법들, 각각의 반송파를 위한 개별 PDCCH 및 다수의 반송파들을 위한 공통 PDCCH가 RAN 1에서 고려 중이다. 이들 2가지 방법들 중 하나는 LTE-Advanced 시스템에 채택되도록 합의될 것이다. 이러한 결정과 무관하게, 임의의 주어진 시점에, UE는 모든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기지국(LTE 문서에서는 eNB라고 함)은 희망하는 컴포넌트 반송파들 중 임의의 컴포넌트 반송파에서 UE를 스케줄링하도록 유연성(flexibility)을 가져야 하며, 요구되는 경우에 상이한 컴포넌트 반송파들로 UE를 이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한편, UE는 어떤 부집합의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모니터링해야 하는지를 미리 알고, 다른 컴포넌트 반송파들에 대해 그 RF 트랜시버 회로를 턴오프해야 한다. 이는 UE에서 상당한 전력을 절약하게 한다.
본 발명은, eNB 스케줄러가 상이한 컴포넌트 반송파들 사이에서 UE를 스위칭할 수 있는 단순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일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의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이용하여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트랜시버; 및 통신 디바이스가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다른 부집합이 아닌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앵커 부집합(anchor subset)을 통해 브로드캐스트 및 페이징 채널들을 송신하게 트랜시버를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어기는,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다른 부집합에서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모니터링하도록 원격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제어 데이터를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이는 앵커 부집합에서의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에 부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기는, 모니터링하도록 원격 디바이스에 명령되지 않은 컴포넌트 반송파들에 대해 트랜시버 회로들을 스위치 오프하게 하기 위해서 DRX 제어 데이터를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기는 MAC 계층 통신 메시지 내에 제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RRC 계층 시그널링에 비해 고속이며 비교적 신뢰성이 있기 때문이다.
제어기는, 다른 부집합에 속한 컴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응답하여 상이한 컴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원격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제어기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반송하는데 이용할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원격 통신 디바이스에 통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통해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트랜시버 -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앵커 부집합은 브로드캐스트 및 페이징 채널들을 포함함 -; 및 유휴 모드 중에, 통신 디바이스가 앵커 부집합에서의 컴포넌트 반송파들 중 하나 이상에 캠핑(camp)하도록 동작가능하게 트랜시버를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통신 디바이스는 유휴 모드에 있는 경우에 시스템 및 페이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기는,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다른 부집합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모니터링하도록 통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제어 데이터를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제어기는 그 다른 부집합의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모니터링하도록 트랜시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는,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어기가 모니터링되지 않아야 하는 컴포넌트 반송파들에 대해 구성된 트랜시버의 부분들을 스위치 오프할 때를 결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DRX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제어 데이터는 바람직하게는 MAC 계층 통신 메시지 내에서 수신된다.
통신 디바이스가 접속하기를 희망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전화를 거는 것을 희망하는 경우, 제어기는, 디바이스가 캠핑되는 컴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접속 요청을 송신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하도록 통신 디바이스에 명령된 상이한 컴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배터리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서, 제어기는, 통신 디바이스가 캠핑되지 않거나 모니터링하고 있지 않은 컴포넌트 반송파들에 대해 트랜시버의 부분들을 스위치 오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부집합을 이용하여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트랜시버; 및 i) 제1 구간 중에, 통신 디바이스가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제1 부집합을 통해 원격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하게, ii) 통신 디바이스가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제1 부집합을 이용하여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게 - 이 제어 데이터는,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제2 부집합을 이용하여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원격 통신 디바이스에 명령함 -, iii) 제2 구간 중에, 통신 디바이스가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제2 부집합을 통해 원격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하게, 트랜시버를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부집합을 이용하여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트랜시버; 및 i) 제1 구간 중에, 통신 디바이스가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제1 부집합을 통해 원격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하게 트랜시버를 제어하도록, ii)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제1 부집합을 이용하여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 이 제어 데이터는,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제2 부집합을 이용하여 원격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통신 디바이스에 명령함 -, iii) 제2 구간 중에, 통신 디바이스가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제2 부집합을 통해 원격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하게 트랜시버를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개시된 모든 방법들에 대하여, 대응하는 장비 상에서의 실행을 위한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 장비 그 자체(사용자 장비, 노드들 또는 그 컴포넌트들) 및 장비를 갱신하는 방법들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타입의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무선 링크들을 통한 통신에서 이용되는 일반적인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b는 주파수 부반송파들이 리소스 블록들로 분할되는 방식 및 타임 슬롯이 다수의 OFDM 심볼들로 분할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반송파 집성이 최대 100MHz까지의 시스템 대역폭을 제공하는데 이용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모바일 전화기를 위해 기지국에 의해 생성되며, 모바일 전화기가 슬립 상태(asleep) 및 웨이크 상태(awake)에 있는 때를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DRX 타이밍 패턴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부분을 형성하는 기지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부분을 형성하는 모바일 전화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모바일 전화기의 부분을 형성하는 트랜시버 회로의 주요 컴포넌트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개요
도 1은 모바일 전화기들(MT)(3-0, 3-1 및 3-2)의 사용자들이 기지국들(5-1 또는 5-2) 중 하나 및 전화 네트워크(7)를 통해 다른 사용자들(도시되지 않음)과 통신할 수 있는 모바일(셀룰러)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다수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 리소스들(부반송파들, 타임 슬롯들 등)이 모바일 전화기들(3)과 기지국들(5) 사이의 무선 링크에 대해 이용가능하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지국들(5)은 모바일 전화기(3)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에 따라 각각의 모바일 전화기(3)에 다운링크 리소스들을 할당한다. 유사하게, 기지국들(5)은 모바일 전화기(3)가 기지국(5)으로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 및 타입에 따라 각각의 모바일 전화기(3)에 업링크 리소스들을 할당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시스템 대역폭은 각각의 컴포넌트 반송파에 의해 각각 반송되는 5개의 20MHz 부대역들로 분할된다. 기지국(5)은, 관련된 모바일 전화기(3)의 능력 및 기지국(5)과 그 모바일 전화기(3)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에 따라, 컴포넌트 반송파들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각각의 모바일 전화기(3)에 대해 리소스들을 할당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모바일 전화기들(3)은 상이한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통해 신호들을 수신하며 송신할 수 있는 트랜시버 회로를 갖고, 모바일 전화기(3)가 특정 컴포넌트 반송파를 이용하도록 스케줄링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는 배터리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서 대응하는 트랜시버 회로를 파워다운할 수 있다.
LTE 서브-프레임 데이터 구조
기지국(5)이 상이한 모바일 전화기들(3)을 스케줄링하는 특정 방식들을 논하기 전에, LTE Rel 8에 대해 합의된 일반적인 프레임 구조 및 액세스 방식이 설명될 것이다. 모바일 전화기들(3)이 기지국(5)과의 무선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다운링크에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이 이용된다. 모바일 전화기(3)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에 따라 기지국(5)에 의해 (미리결정된 시간 동안) 각각의 모바일 전화기(3)에 상이한 부반송파들이 할당된다. 이들은 LTE 규격에서 물리 리소스 블록(PRB)들이라고 한다. 따라서, PRB들은 시간 및 주파수 차원을 갖는다. 이를 위해, 기지국(5)은 서빙 중인 각각의 디바이스에 대해 PRB들을 동적으로 할당하고, 제어 채널에서 스케줄링된 모바일 전화기들(3) 각각으로 각각의 서브-프레임(TTI)에 대한 할당들을 시그널링한다.
도 2a는 기지국(5)과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LTE Rel 8 통신들에 대해 합의된 일반적인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13)은 10msec 길이이며, 1msec 지속기간(전송 시간 구간(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고 공지됨)의 서브-프레임들(15) 10개를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프레임 또는 TTI는 0.5msec 지속기간의 2개의 슬롯들(17)을 포함한다. 정규의 주기적 프리픽스(cyclic prefix)(CP)가 이용되는지 또는 확장된 주기적 프리픽스(CP)가 이용되는지에 따라, 각각의 슬롯(17)은 6개 또는 7개의 OFDM 심볼들(19)을 포함한다. 이용가능한 부반송파들의 총 수는 시스템의 전체 전송 대역폭에 좌우된다. LTE 규격은 1.4MHz 내지 20MHz의 시스템 대역폭들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정의하며, 하나의 PRB는 하나의 슬롯(17)에 대해 12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현재 정의되어 있다. 2개의 슬롯들에 대한 PRB는 또한 기지국 스케줄러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 할당의 최소 요소로서 LTE 규격에 의해 정의되어 있다. 그러면, 이들 부반송파들은 컴포넌트 반송파로 변조되어, 신호를 원하는 전송 대역폭으로 업컨버팅한다. 따라서, 전송된 다운링크 신호는 Nsymb개의 OFDM 심볼들의 지속기간 동안 NBW개의 부반송파들을 포함한다. 이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소스 그리드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드의 각각의 박스는 하나의 심볼 주기에 대한 단일 부반송파를 나타내며, 리소스 요소라고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PRB(21)는 12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들 및 (이 경우에) 각각의 부반송파에 대해 7개의 심볼들로부터 형성되지만, 실제로 동일한 할당들이 또한 각각의 서브-프레임(15)의 제2 슬롯(17)에서 이루어진다.
각각의 서브-프레임(15)의 시작에서, 기지국(5)은 처음의 3개의 심볼들을 통해 PDCCH(23)(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송신한다. 나머지 심볼들은 모바일 전화기들(3)에 대한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반송하는데 이용되는 PDSCH(25)(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형성한다. 특히, PDCCH 채널은, 모바일 전화기(3)가 그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어 있거나 또는 그 서브-프레임에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모바일 전화기들(3) 각각에 대한 데이터; 및 그러한 경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이용될 PRB들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LTE-Advanced
제안된 LTE-Advanced 시스템에서, 보다 광범위한 전송 대역폭들을 지원하기 위해서 다수의 개별 부대역들이 제공될 것인데, 부대역들 각각은 상술한 LTE 구조와 적어도 유사한 구조이다. 각각의 부대역의 부반송파들은 개별 컴포넌트 반송파로 변조되어, 전송된 부대역들이 서로 인접하거나 인접하지 않는다. 이는 반송파 집성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5개의 부대역들(25-1 내지 25-5)에 대해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그 각각은 20MHz 폭이며, 100MHz의 총 시스템 대역폭을 제공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부대역 및 컴포넌트 반송파라는 용어들은 상호교환가능하게 이용될 것이다.
LTE-Advanced 모바일 전화기들(3)은 최대 100MHz까지의 대역폭들을 지원하지만, 이들은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전체 스펙트럼에서 송/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모바일 전화기들(3)이 배터리 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시스템은, 모바일 전화기들(3)이 우선 컴포넌트 반송파들 중 하나 또는 그 부집합을 모니터링한 다음, 모바일 전화기(3)의 액티비티에 기초하여, 기지국 스케줄러가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상이한 (아마도 오버랩되는) 부집합을 모니터링하도록 모바일 전화기(3)에 지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컴포넌트 반송파들(부대역들(25))이 LTE Rel 8 호환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전체 시스템 정보 및 페이징은 각각의 컴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브로드캐스트된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이것을 시스템 리소스들의 낭비라고 인식한다. 본 발명자는, 이들 모든 컴포넌트 반송파들이 (기지국(5)의) 하나의 셀에 속하기 때문에, 페이징 및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컴포넌트 반송파들(부대역들(25)) 각각에 배치하는 것은 실제로 이익이 없다고 인식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셀의 컴포넌트 반송파들 중 하나 또는 그 부집합만이 브로드캐스트 및 페이징 정보를 반송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나의 컴포넌트 반송파(부대역(25))는 이 시스템 정보를 반송하며, 이를 앵커 또는 주 반송파 컴포넌트라고 할 것이다. 이는, 부대역(25-3)이 앵커 반송파 컴포넌트이며 이것이 셀의 브로드캐스트 및 페이징 정보를 반송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모든 모바일 전화기들(3)은 유휴 모드에 있는 경우에 이 앵커 반송파 컴포넌트에 캠핑하며, 그것으로부터 시스템 및 페이징 정보를 판독할 것이다.
Release 8 모바일 전화기들(3)은 앵커 반송파 컴포넌트들 중 하나를 통해서만 스케줄링될 것인데, 그 이유는 이들이 LTE Release 8에 정의된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이다. LTE-Advanced 모바일 전화기(3)에 있어서, 이는 유휴 상태인 경우에 셀의 앵커 반송파 컴포넌트에 캠핑할 것이므로, 본 발명자는, 이러한 모바일 전화기(3)가 접속하기를 원하는 경우에(예를 들어, 전화를 거는 것을 원하는 경우에) 앵커 반송파 컴포넌트를 통해 RRC 접속 확립 프로시저를 개시하는 것을 제안한다. 일단 RRC 접속 또는 EPS 베어러가 확립되면, 기지국(5)은 적합한 인스턴스에서 하나 이상의 상이한 컴포넌트 반송파들로 이동하도록 모바일 전화기(3)에 명령할 수 있다. 이는 셀 내의 상이한 컴포넌트 반송파들 사이의 로드 밸런싱에 도움이 되며, 모바일 전화기(3)의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키는데, 그 이유는 모바일 전화기가 앵커 반송파 컴포넌트와 함께 반송파 컴포넌트들의 부집합만을 모니터링해야 하기 때문이다.
기지국(5)은,
Figure 112011084391719-pct00001
PDCCH 시그널링
Figure 112011084391719-pct00002
MAC 시그널링
Figure 112011084391719-pct00003
RRC 시그널링
에 의해, 모바일 전화기(3)가 컴포넌트 반송파들 중 어떤 컴포넌트 반송파를 모니터링해야 하며 모바일 전화기(3)가 어떤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해야 하는지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3가지 경우 모두에서, 5 비트 길이의 정보 요소(IE)가 필요한데, 각각의 비트는 컴포넌트 반송파들 중 하나에 대응하며, 모바일 전화기(3)가 대응하는 컴포넌트 반송파를 모니터링해야 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PDCCH 시그널링: PDCCH를 통해 어떤 컴포넌트 반송파를 모니터링해야 하는지를 모바일 전화기(3)에 시그널링하는 것은 가장 신속한 기술이다. 그러나, 이는 또한 가장 신뢰성이 없다(그 이유는 정보의 ACK 수신에 대해 모바일 전화기(3)에 의해 기지국(3)으로 어떠한 ACK도 송신되지 않기 때문임). PDCCH 시그널링은, 추가 변경이 시그널링될 때까지, 모바일 전화기(3)가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 나아가서 비트가 "1"로 설정되는 컴포넌트 반송파들에 대해 리스닝하는 것을 개시해야 함을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n-1)에서 각각의 모바일 전화기(3)에 대한 5-비트 비트맵 표시를 갖는 특별 PDCCH 포맷을 시그널링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MAC 시그널링: MAC 제어 요소를 통해 어떤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모니터링해야 하는지를 각각의 모바일 전화기(3)에 시그널링하는 것은 신속하며 상당히 신뢰성이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비트가 "1"로 설정되는 대응하는 컴포넌트 반송파들에 대해 리스닝하는 것을 모바일 전화기(3)가 개시해야 함을 나타내는, 각각의 모바일 전화기(3)에 대한 5-비트 비트맵 표시를 갖는, DRX Command MAC Control Element에서의 IE를 가짐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러면, 기지국(5)은, 일단 모바일 전화기(3)가 DRX Command MAC Control Element를 수신했음을 나타내는 ACK를 수신했으면, 모바일 전화기(3)가 새로운 구성을 적용했다고 가정할 수 있다.
RRC 시그널링: RRC 메시지를 통해 어떤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모니터링해야 하는지를 각각의 모바일 전화기(3)에 시그널링하는 RRC 계층 시그널링은 느리지만 매우 신뢰성이 있다. 그러나, 모바일 전화기(3)가 모니터링할 수 있는 컴포넌트 반송파들이 자주 변할 수 있으므로, RRC 시그널링은 이 목적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어떤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모니터링해야 하는지를 각각의 모바일 전화기(3)에 나타내는데 MAC 시그널링이 이용된다. 모니터링하지 않거나 또는 다른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따라, LTE-Advanced 모바일 전화기들(3)은 모니터링하지 않을 컴포넌트 반송파들에 대해 그 트랜시버 회로를 스위치 오프할 수 있다.
DRX 핸들링
LTE Rel 8에서, 각각의 모바일 전화기(3)는 불연속 시간 주기들에서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지속기간 및 주파수는 기지국(5)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불연속 수/송신은 DRX/DTX라고 하며, 모바일 전화기(3)가 기지국(5)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하거나 기지국(5)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것으로 가정되지 않는 주기들 중에 그 트랜시버 회로를 턴오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감소시킨다. 기지국(5)은, 모바일 전화기(3)가 on-지속기간 동안 웨이크 상태로 유지하며 PDCCH를 모니터링한 다음에 슬립 상태로 되도록 DRX 패턴을 정의한다. 이러한 개념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LTE-Advanced 모바일 전화기들(3)이 심지어 정의된 "On-지속기간" 중에도 모니터링하지 않는 컴포넌트 반송파들에 대해 트랜시버 회로를 스위치 오프하도록, 유사하지만 보다 복잡한 DRX 프로시저가 이 LTE-Advanced 모바일 전화기들(3)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실제로, LTE-Advanced 모바일 전화기들에 대한 DRX를 구성하는 2가지 가능한 방식들이 있다.
대안 1: 동일한 기본적인 LTE Rel-8 메커니즘이 LTE-Advanced에 이용되는데, 이는 시스템을 단순하며 역호환가능하게 유지하도록 일부 변경된다. 특히, 2 레벨 DRX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제1 레벨에서, 하나의 DRX 구성(On 지속기간, DRX 사이클)이 모바일 전화기(3)에 대한 기지국(5)의 RRC 계층에 의해 구성된다(LTE Rel 8에 대해 정의된 바와 동일함). 제2 레벨에서, "On-지속기간" 중에, 모바일 전화기(3)는 MAC 제어 요소(DRX Command MAC Control Element)에 의해 표시된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모니터링할 것이다. 따라서, 심지어 on-지속기간 중에, UE는 실제로 모니터링될 필요가 있는 반송파들만을 모니터링할 것이며, 다른 반송파들을 수신하기 위한 그 트랜시버 회로를 스위치 오프할 수 있다. 이는 배터리 수명의 상당한 절약을 제공할 것이다.
모바일 전화기의 액티비티가 증가하는 경우, 모바일 전화기(3)는 증가된 수의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통해 송/수신하는 것을 시작하지만, "On 지속기간"은 변경되지 않은 채로 유지될 것이다. 모바일 전화기(3)가 모든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통해 이미 송/수신하고 있으며 액티비티가 더 증가하는 경우, 기지국(5)은 그 모바일 전화기(3)에 대해 정의된 On-지속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대안 2: 다른 대안은, 컴포넌트 반송파당 하나의 DRX 구성(On 지속기간, DRX 사이클)을 갖는 것이다. 이 경우, 모바일 전화기(3)는 전체 DRX 패턴 - 모바일 전화기(3)가 웨이크 상태 및 슬립 상태여야 하는 때를 정의함 - 을 결정하기 위해서 모든 컴포넌트 반송파들에 대한 DRX 구성들의 불 "OR"를 수행하며; 웨이크 상태 주기들 중에 모니터링되지 않는 컴포넌트 반송파들에 대해 트랜시버 회로의 스위치 오프를 제어하기 위해서 개별 DRX 구성들을 이용한다. 그러나, 컴포넌트 반송파들에 대한 On 지속기간들의 개시 인스턴스들 및 DRX 사이클들이 시간 정렬되지 않는 경우에 이러한 대안에 있어서 모바일 전화기(3)의 배터리 절약은 보다 적을 것이다. 따라서, 양호한 방식은, 상이한 On 지속기간들에서 모든 컴포넌트 반송파들에 대해 동일한 DRX 사이클을 갖는 것이다. 또한, 이는, 컴포넌트 반송파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DRX 사이클이 다른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DRX 사이클의 정수배인 경우에도 적용된다.
기지국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기지국들(5) 각각의 주요 컴포넌트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기지국(5)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33)을 통해 모바일 전화기들(3)로 신호들을 송신하고 모바일 전화기들(3)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5)를 통해 전화 네트워크(7)로 신호들을 송신하고 전화 네트워크(7)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트랜시버 회로(31)를 포함한다. 제어기(37)는 메모리(3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따라 트랜시버 회로(31)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소프트웨어는, 오퍼레이팅 시스템(41)과, 리소스 할당 모듈(45) 및 스케줄러 모듈(47)을 갖는 통신 제어 모듈(43)을 포함한다. 통신 제어 모듈(43)은 모바일 전화기들(3)로부터/모바일 전화기들(3)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상이한 부대역들(25)의 서브-프레임들의 생성을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리소스 할당 모듈(45)은, 기지국(5)과 모바일 전화기들(3)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에 따라, 모바일 전화기들(3) 각각과의 통신에서 트랜시버 회로(31)에 의해 이용될 상이한 부대역들(25)의 리소스 블록들을 할당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스케줄러 모듈(47)은, 모바일 전화기들(3)로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시간들 및 모바일 전화기(3)가 기지국(5)으로 그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들을 스케줄링하도록 동작가능하다. 통신 제어 모듈(43)은, 유휴 모드에 있는 경우에 모바일 전화기가 어떤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모니터링해야 하는지를 식별하는 데이터를 모바일 전화기들(3) 각각으로 시그널링하고; RRC 접속 모드에 있는 경우에 상이한 컴포넌트 반송파들 사이에서 모바일 전화기들(3)을 이동시키며; 모바일 전화기들(3)이 그 트랜시버 회로를 스위치 오프할 수 있는 시간들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DRX 패턴들을 정의하는 책임이 있다.
모바일 전화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전화기들(3) 각각의 주요 컴포넌트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전화기들(3)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73)을 통해 기지국(5)으로 신호들을 송신하며 기지국(5)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트랜시버 회로(71)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전화기(3)는, 모바일 전화기(3)의 동작을 제어하며 트랜시버 회로(71), 확성기(77), 마이크로폰(79), 디스플레이(81) 및 키패드(83)에 접속되는 제어기(75)를 더 포함한다. 제어기(75)는 메모리(85)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에 따라 동작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은 특히 오퍼레이팅 시스템(87)과, 리소스 할당 모듈(91) 및 트랜시버 제어 모듈(93)을 포함하는 통신 제어 모듈(89)을 포함한다. 통신 제어 모듈(89)은 기지국(5)과의 통신을 제어하며, 유휴 모드 중에 앵커 컴포넌트 반송파(25-3)를 모니터링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리소스 할당 모듈은, 상이한 부대역들(25)에서 업링크가 송신되어야 하며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어야 하는 리소스들을 식별하는 책임이 있다. 트랜시버 제어 모듈(93)은, 예를 들어 기지국(5)으로부터 수신된 DRX 구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또는 모바일 전화기(3)가 모니터링해야 하는 부대역들(25)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인스턴스에서 스위치 오프될 수 있는 트랜시버 회로(71)의 부분들을 식별하는 책임이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기지국(5) 및 모바일 전화기들(3)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리소스 할당 모듈, 스케줄러 모듈, 트랜시버 제어 모듈 등과 같은) 다수의 별개의 모듈들을 갖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이들 모듈들이, 예를 들어 기존의 시스템이 본 발명을 구현하도록 변경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이러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지만,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예를 들어 처음부터 본 발명의 특징들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시스템들에서, 이들 모듈들은 전체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코드에 빌트인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들 모듈들은 별개의 엔티티들로서 인식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LTE-Advanced 모바일 전화기들(3)은 다수의 상이한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트랜시버 회로(71)를 갖는다. 도 7은 이용될 수 있는 적합한 트랜시버 회로(71)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시버 회로(71)는 5개의 업컨버터/다운컨버터 회로들(95-1 내지 95-5)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5개의 부대역들(25) 각각을 위한 것으로, 부반송파들을 대응하는 컴포넌트 반송파(C1 내지 C5)로 변조 및 복조하기 위한 것이다. 트랜시버 회로(71)는 5개의 부대역들(25) 각각에서 업링크 데이터 및 다운링크 데이터를 각각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5개의 인코딩/디코딩 회로들(97-1 내지 97-5)을 더 포함한다. 인코딩/디코딩 회로들(97)은 제어기(75)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며, 디코딩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어기(75)로 전달한다. 제어기(75)는 또한 개별 전력 제어 신호들을 (파선 신호 라인들을 통해) 인코딩/디코딩 회로들(97) 및 업컨버터 회로들(95)로 공급하여, 개별 회로들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이들은 파워다운될 수 있으며, 회로들 중 어떠한 것도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기(3)가 슬립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에) 이들은 모두 파워다운될 수 있다.
변경들 및 대안들
상세한 실시예가 상술되었다. 당업자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에 대한 다수의 변경들 및 대안들이 이루어질 수 있는 한편, 본 명세서에서 구현된 본 발명들로 여전히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예시로서, 이하 다수의 이들 대안들 및 변경들만이 설명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전화기 기반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 설명되었다. 당업자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에서 설명된 시그널링 및 전력 제어 기술들은 임의의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에, 기지국들 및 모바일 전화기들은 서로 통신하는 통신 노드들 또는 디바이스들로서 고려될 수 있다. 다른 통신 노드들 또는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랩톱 컴퓨터들, 웹 브라우저들 등과 같은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이 설명되었다. 당업자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컴파일된 형태 또는 컴파일되지 않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기록 매체 상에서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로서 기지국 또는 모바일 전화기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이 소프트웨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은 하나 이상의 전용 하드웨어 회로들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기능을 갱신하기 위해서 기지국(5) 및 모바일 전화기들(3)의 갱신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이다. 유사하게, 상술한 실시예들이 트랜시버 회로를 이용했지만, 트랜시버 회로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각종 변경들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서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다음은, 현재 제안된 3GPP LTE 표준에서 본 발명들이 구현될 수 있는 방식의 상세한 설명이다. 각종 특징들은 필수적이거나 필요한 것으로 설명되지만, 이는 예를 들어 표준에 의해 부과되는 다른 요건들로 인해 단지 제안된 3GPP LTE 표준에 대한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들은 본 발명을 임의의 방식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서론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기 위해서, 새로운 PDCCH 구조가 최대 100MHz까지의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어드레싱하는데 필요하다. 2가지 상이한 접근법들, 각각의 반송파를 위한 개별 PDCCH 및 다수의 반송파들을 위한 공통 PDCCH가 RAN 1에서 고려 중이다. 이들 방법들 중 하나는 LTE Advance 시스템에 채택되도록 합의될 것이다. 이러한 결정과 무관하게, 임의의 주어진 시점에, UE는 모든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eNB 스케줄러는 희망하는 임의의 컴포넌트 반송파에서 UE를 스케줄링하도록 유연성을 가져야 하며, 이 UE를 이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한편, UE는 어떤 부집합의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모니터링해야 하는지를 미리 알고, 다른 컴포넌트 반송파들에 대해 RF를 턴오프해야 한다. 이는 UE들에서 상당한 전력을 절약하게 한다.
이러한 설명에서, eNB 스케줄러가 상이한 컴포넌트 반송파들 사이에서 UE를 스위칭할 수 있는 단순한 메커니즘이 논의된다.
논의
LTE Advance 시스템에서, 반송파 집성이 인식되는데, 여기서 2개 이상의 컴포넌트 반송파들은 스펙트럼 집성을 위해 그리고 예를 들어 최대 100MHz까지의 보다 광범위한 전송 대역폭들을 지원하기 위해서 집성된다. 이들 반송파 집성들은 연속일 수도 있으며 불연속일 수도 있다. LTE Advanced UE들이 100MHz BW를 지원할 것이지만, 이는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전체 스펙트럼에서 송/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UE가 배터리 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UE가 우선 컴포넌트 반송파들 중 일부에 대해서만 리스닝한 다음, UE의 액티비티에 기초하여, eNB 스케줄러가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부집합을 모니터링하도록 UE에 지시할 수 있는 것이 현명하다.
4.1. 유휴 모드 캠핑
모든 컴포넌트 반송파들이 R8 호환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전체 시스템 정보 및 페이징은 각각의 컴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브로드캐스트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것을 리소스들의 낭비로서 인식한다. 이들 모든 컴포넌트 반송파가 하나의 셀에 속하기 때문에, 페이징 및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컴포넌트 반송파 각각에 배치하는 것은 어떠한 이익도 없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브로드캐스트 및 페이징 정보를 반송하는 셀의 컴포넌트 반송파의 부집합만이 존재해야 한다고 제안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반송파 컴포넌트는 앵커 또는 주 반송파 컴포넌트라고 지칭된다. 또한, 이는 유휴 모드 UE가 이 앵커 컴포넌트에 캠핑하며, 그것으로부터 시스템 및 페이징 정보를 판독할 것임을 의미한다.
4.2. 접속 모드에 있는 UE
Release 8 UE는 앵커 반송파들에 대해서만 스케줄링될 것인데, 그 이유는 이들이 LTE Release 8과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이다.
Release 9의 경우, UE가 셀의 앵커 반송파 컴포넌트에 캠핑할 것이므로, UE가 앵커 반송파 컴포넌트를 통해 RRC 접속 확립 프로시저를 개시하는 것이 논리적이라고 제안된다. 일단 RRC 접속 또는 EPS 베어러가 확립되면, 적합한 인스턴스에서 상이한 컴포넌트 반송파로 이동하도록 네트워크에 의해 UE에 명령될 것이다. 이는 셀 내의 상이한 반송파들 사이의 로드 밸런싱에 도움이 되며, UE의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킬 것인데, 그 이유는 UE가 앵커 반송파 컴포넌트와 함께 반송파 컴포넌트들의 부집합만을 모니터링할 것이기 때문이다.
제안 2: UE가 상이한 컴포넌트 반송파들에서 이동되어야 하는 이용가능한 메커니즘이 존재해야 한다.
Figure 112011084391719-pct00004
PDCCH 시그널링
Figure 112011084391719-pct00005
MAC 시그널링
Figure 112011084391719-pct00006
RRC 시그널링
에 의해, UE가 어떤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모니터링해야 하며 어떤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것인지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3가지 경우 모두에서, 5 비트 길이의 IE가 필요한데, 각각의 비트는 UE가 모니터링해야 하는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응한다.
PDCCH 시그널링: PDCCH를 통해 어떤 컴포넌트 반송파를 모니터링해야 하는지를 UE에 시그널링하는 것은 가장 신속하지만 신뢰성이 없다. 추가 변경이 시그널링될 때까지, UE가 서브-프레임 n으로부터 나아가서 비트가 1로 설정되는 컴포넌트 반송파들에 대해 리스닝하는 것을 개시해야 하는, 서브-프레임 (n-1)에서 UE에 대한 5 비트 비트맵 표시를 갖는 특별 PDCCH 포맷을 가질 수 있다.
MAC 시그널링: MAC 제어 요소를 통해 어떤 컴포넌트 반송파를 모니터링해야 하는지를 UE에 시그널링하는 것은 신속하며 상당히 신뢰성이 있다. 비트가 1로 설정되는 컴포넌트 반송파들에 대해 리스닝하는 것을 UE가 개시해야 하는, UE에 대한 5 비트 비트맵 표시를 갖는 DRX Command MAC Control Element에서의 IE를 가질 수 있다. eNB는, UE로부터 ACK를 수신한 이후에 UE가 새로운 구성을 적용했다고 가정할 것이다.
RRC 시그널링: RRC 메시지를 통해 어떤 컴포넌트 반송파를 모니터링해야 하는지를 UE에 시그널링하는 RRC 계층 시그널링은 느리지만 매우 신뢰성이 있다. UE가 모니터링할 수 있는 컴포넌트 반송파들이 자주 변할 수 있으므로, RRC 시그널링은 이 목적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모니터링해야 하는지를 UE에 나타내는데 MAC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이 선호된다.
제안 3: 어떤 반송파 컴포넌트를 모니터링해야 하는지를 UE에 나타내는데 MAC 시그널링이 이용된다.
또한, UE가 모든 반송파들을 모니터링한다고 해도 아무런 의미가 없는데, 그 이유는 UE가 이들 반송파들을 통해 송신하거나 수신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각각의 반송파에 대해 각각의 HARQ 엔티티들 상에서 재송신이 수행될 것이므로, UE가 모니터링하고 있지 않은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RF 회로를 스위치 오프하는 것이 합당하다.
제안 4: UE는 앵커 반송파 및 반송파들의 부집합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4.3. DRX 핸들링
Rel 8에서, UE가 on-지속기간 동안 웨이크 상태로 유지하며 PDCCH를 모니터링한 다음에 슬립 상태로 되도록 DRX가 정의된다. 이러한 개념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LTE Advance에 대한 DRX를 구성하는 2가지 가능한 방식들이 있을 수 있다.
대안 1: 일부 변경되는 LTE advance에 대한 기본적인 Rel-8 메커니즘이 여전히 유지되며, 시스템을 단순하며 역호환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다. LTE에서 2 레벨 DRX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레벨에서, UE에 대해 RRC에 의해 구성된 단 하나의 DRX 구성(On 지속기간, DRX 사이클)을 가질 것이다(Release 8에서 가졌던 것과 동일함). 제2 레벨에서, "On-지속기간" 중에, UE가 MAC 제어 요소(DRX Command MAC Control Element)에 의해 표시된 반송파들을 모니터링할 것이다. 따라서, 심지어 on-지속기간 중에, UE는 실제로 모니터링될 필요가 있는 반송파들만을 모니터링할 것이며, 다른 반송파들을 수신하기 위한 RF 회로를 스위치 오프할 수 있다. 이는 배터리 수명의 상당한 절약을 제공할 것이다.
UE의 액티비티가 증가하는 경우, UE는 증가된 수의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통해 송/수신하는 것을 시작하지만, On 지속기간은 변경되지 않은 채로 유지될 것이다. UE가 모든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통해 이미 송/수신하고 있으며 액티비티가 더 증가하는 경우, on-지속기간은 증가할 것이다.
대안 2: 다른 일반적인 대안은, 컴포넌트 반송파당 하나의 DRX 구성(On 지속기간, DRX 사이클)을 갖는 것이며, UE는 전체 DRX 패턴을 결정하기 위해서 컴포넌트 반송파마다 DRX 구성을 "OR"한다. 그러나,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On 지속기간의 개시 인스턴스 및 DRX 사이클들이 정렬되지 않는 경우에 UE의 배터리 절약은 보다 적을 것이다. 따라서, 양호한 방식은, 상이한 on 지속기간에서 모든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해 동일한 DRX 사이클을 갖는 것이다.
또한, 하나의 컴포넌트 반송파에서의 DRX 사이클은 다른 컴포넌트 반송파에서의 DRX 사이클의 정수배일 수 있다.
결론
이 문헌에서, 유휴 및 접속 모드에 있는 UE가 어떻게 반송파들의 부집합을 모니터링하도록 할당되는지가 논의된다. 본 설명의 주요 제안은 다음과 같다.
제안 1: 유휴 모드 UE가 앵커 컴포넌트에 캠핑하며, 그것으로부터 시스템 및 페이징 정보를 판독할 것이다.
제안 2: UE가 상이한 컴포넌트 반송파들에서 이동되어야 하는 이용가능한 메커니즘이 존재해야 한다.
제안 3: 어떤 반송파 컴포넌트를 모니터링해야 하는지를 UE에 나타내는데 MAC 시그널링이 이용된다.
제안 4: UE는 앵커 반송파 및 반송파들의 부집합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논의하기 위해서 RAN 2가 요구되며, NEC는 TR에서의 합의를 얻기 위해서 기꺼이 TR에 대한 텍스트 제안을 기안할 것이다.
본원은, 2009년 4월 27일자로 출원된 영국 특허 출원 제0907180.4호에 기초하며 이 특허 출원으로부터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는데, 그 개시물은 참조로서 완전히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Claims (25)

  1. 통신 디바이스로서,
    복수의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이용하여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트랜시버;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다른 부집합이 아닌 상기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앵커 부집합(anchor subset)을 통해 브로드캐스트 및 페이징 채널들을 송신하게 상기 트랜시버를 제어하고, 상기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다른 부집합에서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모니터링하도록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제어 데이터를 상기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앵커 부집합을 통해 상기 트랜시버가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 송신하게 하도록 동작가능한 제어기
    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가 모니터링하고 있지 않은 컴포넌트 반송파들에 대해 트랜시버 회로들을 스위치 오프하도록 하기 위해서 DRX 제어 데이터를 상기 트랜시버가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 송신하게 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시버가 MAC 계층 통신 메시지, 물리 계층 통신 메시지 또는 RRC 계층 통신 메시지 내에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게 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디바이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앵커 부집합의 컴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트랜시버가 상이한 컴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게 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디바이스.
  5. 통신 디바이스로서,
    복수의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통해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트랜시버 - 상기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앵커 부집합은 브로드캐스트 및 페이징 채널들을 포함함 -; 및
    유휴 모드 중에,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앵커 부집합에서의 컴포넌트 반송파들 중 하나 이상에 캠핑(camp)하도록 동작가능하게 상기 트랜시버를 제어하고, 상기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다른 부집합에서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모니터링하도록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제어 데이터를 상기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앵커 부집합을 통해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제어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른 부집합에서의 상기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모니터링하게 상기 트랜시버를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DRX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신된 DRX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니터링되지 않아야 하는 컴포넌트 반송파들에 대해 구성된 상기 트랜시버의 부분들을 스위치 오프할 때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RX 제어 데이터는 ON 지속기간 및 DRX 사이클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DRX 제어 데이터에 의해 정의된 ON 지속기간들 중에 모니터링되지 않아야 하는 상기 트랜시버의 부분들을 스위치 오프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RX 제어 데이터는 각각의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이한 컴포넌트 반송파들에 대해 트랜시버 회로가 스위치 오프될 수 있는 시간들을 정의하는 통신 디바이스.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MAC 계층 통신 메시지, 물리 계층 메시지 또는 RRC 계층 메시지 내에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디바이스.
  10.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디바이스가 캠핑되는 컴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접속 요청을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모니터링하도록 명령받은 상이한 컴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디바이스.
  11.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캠핑되지 않은 컴포넌트 반송파들에 대해 상기 트랜시버의 부분들을 스위치 오프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디바이스.
  12. 통신 디바이스로서,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부집합을 이용하여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트랜시버; 및
    i) 제1 구간 중에,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제1 부집합을 통해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하게,
    ii)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제1 부집합을 이용하여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게 - 상기 제어 데이터는,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제2 부집합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에 명령함 -,
    iii) 제2 구간 중에,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제2 부집합을 통해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하게
    상기 트랜시버를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한 제어기
    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13. 통신 디바이스로서,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부집합을 이용하여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트랜시버; 및
    i) 제1 구간 중에,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제1 부집합을 통해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하게 상기 트랜시버를 제어하도록,
    ii) 상기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제1 부집합을 이용하여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 상기 제어 데이터는,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제2 부집합을 이용하여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명령함 -,
    iii) 제2 구간 중에,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제2 부집합을 통해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하게 상기 트랜시버를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한 제어기
    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제2 부집합의 이용을 명령하는 상기 제어 데이터는 MAC 계층 메시지, 물리 계층 통신 메시지 또는 RRC 계층 통신 메시지로 제공되는 통신 디바이스.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데 이용되어야 하는 부집합에 포함되지 않는 컴포넌트 반송파들에 대해 상기 트랜시버의 부분들을 스위치 오프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DRX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신된 DRX 제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데 이용되어야 하는 부집합에 포함되지 않는 컴포넌트 반송파들에 대해 상기 트랜시버의 부분들을 스위치 오프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DRX 제어 데이터는 ON 지속기간 및 DRX 사이클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DRX 제어 데이터에 의해 정의된 ON 지속기간들 중에 모니터링되지 않아야 하는 상기 트랜시버의 부분들을 스위치 오프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디바이스.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DRX 제어 데이터는 각각의 컴포넌트 반송파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이한 컴포넌트 반송파들에 대해 트랜시버 회로가 스위치 오프될 수 있는 시간들을 정의하는 통신 디바이스.
  19.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이용하여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다른 부집합이 아닌 상기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앵커 부집합을 통해 브로드캐스트 및 페이징 채널들을 송신하도록 트랜시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다른 부집합에서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모니터링하도록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제어 데이터를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방법.
  20.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통해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앵커 부집합은 브로드캐스트 및 페이징 채널들을 포함함 -; 및
    유휴 모드 중에,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앵커 부집합에서의 컴포넌트 반송파들 중 하나 이상에 캠핑하고, 상기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다른 부집합에서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모니터링하도록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제어 데이터를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다른 부집합에서의 컴포넌트 반송파들을 모니터링하도록 트랜시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부집합을 이용하여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i) 제1 구간 중에,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제1 부집합을 통해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ii)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제1 부집합을 이용하여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 상기 제어 데이터는,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제2 부집합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에 명령함 -,
    iii) 제2 구간 중에,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제2 부집합을 통해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트랜시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부집합을 이용하여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i) 제1 구간 중에,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제1 부집합을 통해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ii) 상기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제1 부집합을 이용하여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 상기 제어 데이터는,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상이한 제2 부집합을 이용하여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명령함 -,
    iii) 제2 구간 중에,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컴포넌트 반송파들의 제2 부집합을 통해 상기 원격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트랜시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3. 프로그램가능한 컴퓨터 디바이스가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어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24. 삭제
  25. 삭제
KR1020117025506A 2009-04-27 2010-04-26 반송파 집성을 위한 통신 디바이스들의 제어 KR101395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907180.4 2009-04-27
GB0907180A GB2469800A (en) 2009-04-27 2009-04-27 Communications system
PCT/JP2010/057781 WO2010126154A1 (en) 2009-04-27 2010-04-26 Control of communciation devices for carrier aggreg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126A KR20120018126A (ko) 2012-02-29
KR101395443B1 true KR101395443B1 (ko) 2014-05-21

Family

ID=40791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506A KR101395443B1 (ko) 2009-04-27 2010-04-26 반송파 집성을 위한 통신 디바이스들의 제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6) US20120014257A1 (ko)
EP (2) EP3809787A1 (ko)
JP (11) JP2012519984A (ko)
KR (1) KR101395443B1 (ko)
CN (3) CN102415189B (ko)
ES (1) ES2847291T3 (ko)
GB (1) GB2469800A (ko)
WO (1) WO20101261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69800A (en) * 2009-04-27 2010-11-03 Nec Corp Communications system
WO2011021152A1 (en) * 2009-08-17 2011-02-24 Nokia Corporation Discontinuous reception for multi-component carrier system
GB2472789A (en) 2009-08-17 2011-02-23 Nec Corp In a lte-advanced network a target enb sends a source enb information to indicate to the ue which of multiple component carriers is to be used for initail acc
KR101785997B1 (ko) 2009-10-30 2017-10-17 주식회사 골드피크이노베이션즈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 전송방법 및 그 기지국, 단말의 수신방법
KR20110052418A (ko) * 2009-11-11 2011-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1083991A2 (ko) * 2010-01-07 2011-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성 반송파 설정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854976B2 (en) * 2010-01-08 2014-10-0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iscontinuous reception and/or discontinuous transmission for a multi-carrier/multi-cell operation
US9450735B2 (en) * 2010-11-16 2016-09-2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over multiple communications links
US9271281B2 (en) * 2011-05-06 2016-02-23 Innovation 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improve inter-band carrier aggregation (CA) in TDD (time division duplex) mode
JP5917962B2 (ja) 2012-03-15 2016-05-18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装置及び間欠受信制御方法
ES2725447T3 (es) 2012-03-21 2019-09-24 Huawei Tech Co Ltd Método para establecer un soporte de sistema de paquete evolucionado y estación base
CN104272830B (zh) 2012-05-02 2018-10-02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分配无线介质资源或操作与其他客户端站共享信道带宽的客户端站的方法和通信设备
CN103458509B (zh) * 2012-05-28 2016-12-28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基站和用户设备
US9894713B2 (en) * 2013-08-07 2018-02-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of controlling a base station system
CN104684050B (zh) * 2013-11-26 2019-05-07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非连续接收控制方法及设备
WO2016014733A1 (en) * 2014-07-23 2016-0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and home care treatment compositions
JP6394249B2 (ja) * 2014-09-30 2018-09-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WO2016068072A1 (ja) 2014-10-31 2017-08-10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US10028279B2 (en) * 2014-12-19 2018-07-17 Futurewei Technologies, Inc.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network for carrier selection and switching
CN113194514A (zh) * 2015-10-13 2021-07-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子带切换的方法、设备及系统
GB2552838B (en) * 2016-08-12 2018-08-08 Tcl Communication Ltd Non-Anchor carrier utilisation
CN108632908B (zh) * 2017-03-24 2021-10-26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一种部分带宽无线传输方法、装置、基站及用户设备
BR112019025560A2 (pt) 2017-06-09 2020-06-1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de alocação de largura de banda e dispositivo terminal
CN110651526B (zh) * 2017-07-31 2021-10-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固定信道传输方法、装置及通信装置
US11323961B2 (en) * 2019-03-08 2022-05-03 Parallel Wireless, Inc. Energy-efficient base station with synchronization
CN112738903B (zh) * 2019-10-28 2022-08-09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Drx实现方法、用户终端及基站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9777A (en) * 1994-05-03 1999-09-07 George Uyesugi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or system
US8094595B2 (en) * 2005-08-26 2012-01-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communications in wireless systems
ES2371719T3 (es) * 2005-12-22 2012-01-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étodo para una operación de transmisión/recepción discontinua para reducir el consumo de energía en un sistema celular.
US20070155390A1 (en) * 2006-01-04 2007-07-05 Ipwireless, Inc. 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B2439367A (en) * 2006-06-20 2007-12-27 Nec Corp Separate ACK/NACK channel from a control channel
US8848618B2 (en) * 2006-08-22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Semi-persistent scheduling for traffic spurts in wireless communication
US7734264B2 (en) * 2006-08-29 2010-06-0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frame number (SFN) evaluator
ATE472918T1 (de) * 2006-12-01 2010-07-15 Interdigital Tech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von diskontinuierlichem senden und empfangen
US8169957B2 (en) * 2007-02-05 2012-05-01 Qualcomm Incorporated Flexible DTX and DRX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80225772A1 (en) * 2007-03-12 2008-09-18 Shugong Xu Explicit layer two signaling for discontinuous reception
ES2762246T3 (es) * 2007-08-03 2020-05-2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étodo de tratamiento de información de nivel de sistema
EP3860034B1 (en) * 2007-08-08 2023-11-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hannel sounding using multiple sounding signal configurations
US7978646B2 (en) * 2007-10-19 2011-07-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ybrid contention-based and schedule-based access to a communication link
US8711785B2 (en) * 2008-03-25 2014-04-29 Qualcomm Incorporated Fast carrier allocation in multi-carrier systems
US8526377B2 (en) * 2008-03-25 2013-09-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RX functionality in multi-carrier wireless networks
US20090253470A1 (en) * 2008-04-02 2009-10-08 Shugong Xu Control of user equipment discontinuous reception setting via mac lcid
US8184599B2 (en) * 2008-06-23 2012-05-22 Qualcomm Incorporated Management of UE operation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US8687545B2 (en) * 2008-08-11 2014-04-01 Qualcomm Incorporated Anchor carrier in a multiple 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15481B2 (en) * 2008-09-05 2013-08-20 Mediatek Inc. Power management for multi-carrier transmission
KR101197389B1 (ko) * 2008-10-20 2012-11-0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캐리어 집적
JP2012507959A (ja) * 2008-10-31 2012-03-29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速パケットアクセス通信において多重搬送波を利用する方法と装置
US8514793B2 (en) * 2008-10-31 2013-08-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processing component carriers
CN101404526B (zh) * 2008-11-03 2013-05-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下行控制信息处理方法
CN101404539A (zh) * 2008-11-18 2009-04-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混合时分双工大带宽系统数据传输方法
US20100130218A1 (en) * 2008-11-21 2010-05-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ggregation of multiple component carriers
WO2010088536A1 (en) 2009-01-30 2010-08-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onent carrier aggreg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EP2405691B1 (en) 2009-03-06 2019-12-18 Sharp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system and discontinuous reception method
US8620334B2 (en) * 2009-03-13 2013-12-3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ier assignment, configuration and switching for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s
KR20100106243A (ko) 2009-03-23 2010-10-01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반송파 관리 방법 및 통신장치
CN102450060B (zh) * 2009-03-31 2015-05-27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电信系统中的方法和装置
GB2469800A (en) * 2009-04-27 2010-11-03 Nec Corp Communications system
EP2425566B1 (en) * 2009-06-12 2018-02-14 LG Electronics Inc. -1- Method of managing carriers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MCC, "Discussions on Carrier Aggregation in RAN2," 3GPP TSG-RAN WG2 Meeting #65bis R2-092411, 23rd March - 27th March 2009, Seoul Korea *
CMCC, "Discussions on Carrier Aggregation in RAN2," 3GPP TSG-RAN WG2 Meeting #65bis R2-092411, 23rd March - 27th March 2009, Seoul Ko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21792A1 (en) 2024-04-11
JP6919739B2 (ja) 2021-08-18
CN103945468A (zh) 2014-07-23
JP6680385B2 (ja) 2020-04-15
US11889524B2 (en) 2024-01-30
US20210392629A1 (en) 2021-12-16
JP2015167419A (ja) 2015-09-24
US9888464B2 (en) 2018-02-06
JP2023033616A (ja) 2023-03-10
JP7147936B2 (ja) 2022-10-05
EP2425672A1 (en) 2012-03-07
JP5831717B2 (ja) 2015-12-09
JP2021168511A (ja) 2021-10-21
CN103945468B (zh) 2019-07-12
CN102415189B (zh) 2015-02-18
US10542532B2 (en) 2020-01-21
GB2469800A (en) 2010-11-03
JP6361901B2 (ja) 2018-07-25
CN102415189A (zh) 2012-04-11
CN104602345A (zh) 2015-05-06
JP2012519984A (ja) 2012-08-30
US20120014257A1 (en) 2012-01-19
WO2010126154A1 (en) 2010-11-04
JP2020127205A (ja) 2020-08-20
JP2014099894A (ja) 2014-05-29
JP2019110611A (ja) 2019-07-04
JP6512420B2 (ja) 2019-05-15
CN104602345B (zh) 2019-06-11
EP3809787A1 (en) 2021-04-21
JP2022177185A (ja) 2022-11-30
JP2018166332A (ja) 2018-10-25
JP2017139805A (ja) 2017-08-10
GB0907180D0 (en) 2009-06-10
ES2847291T3 (es) 2021-08-02
US20200145969A1 (en) 2020-05-07
KR20120018126A (ko) 2012-02-29
US11147054B2 (en) 2021-10-12
JP7218833B2 (ja) 2023-02-07
JP2023107920A (ja) 2023-08-03
EP2425672B1 (en) 2020-12-09
JP6132110B2 (ja) 2017-05-24
US20180124759A1 (en) 2018-05-03
JP7298792B2 (ja) 2023-06-27
US20160029355A1 (en)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8792B2 (ja) 移動局、基地局、及び、方法
DK2991259T3 (en) PROCEDURE FOR DISCONTINUOUS RECEIVING FUNCTION FOR LONG-TERMEVOLUTION-ADVANCED CARRIER REGREGATION
CN112088548A (zh) 不连续接收的提早启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