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397B1 -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의 이름을 표기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의 이름을 표기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397B1
KR101395397B1 KR1020110053186A KR20110053186A KR101395397B1 KR 101395397 B1 KR101395397 B1 KR 101395397B1 KR 1020110053186 A KR1020110053186 A KR 1020110053186A KR 20110053186 A KR20110053186 A KR 20110053186A KR 101395397 B1 KR101395397 B1 KR 101395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mage
name
communication service
nam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4340A (ko
Inventor
최준균
송석현
양진홍
안나경
오현택
박상민
Original Assignee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3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397B1/ko
Publication of KR20120134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7/14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camera and display on the same optical axis, e.g. optically multiplexing the camera and display for eye to eye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consisting of a wireless interrogation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device for optically marking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의 이름을 표기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은 카메라에 의한 포커싱 영상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을 인식하는 인식부; 및 식별 수단을 통해 식별된 사용자의 이름 정보를 포커싱 영상에 믹싱하는 믹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름 정보가 믹싱된 포커싱 영상은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의 이름을 표기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RKING NAME OF USERS PARTICIPATE IN VIDEO COMMUNICATION SER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상 통신 솔루션에서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의 이름을 자동으로 표기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통신 회선을 통해 원격의 상대방과 얼굴을 바라보면서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 화상 강의, 화상 회의 등 화상 통신 서비스가 활성화 되고 있다.
일반적인 화상 통신 솔루션에서는 상호 간에 원격에 있는 사용자의 신원(identity)을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 상에 사용자의 이름이 나타나게 서비스 하고 있다.
기존의 화상 통신 솔루션에서 사용자 이름을 제공하는 방법으로는 화면에 자막을 따로 만들어서 자막에 상대방의 이름을 수동으로 넣어주는 방식, 명패, 명찰 등 물리적인 수단을 활용하여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와 함께 잡아주는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자막에 상대방의 이름을 수동 기입하는 방식의 경우 이름을 직접 작성해야 하는 불편은 물론, 작성 과정에서 오기가 발생하여 잘못된 정보를 전달할 우려가 있다. 또한, 명패나 명찰을 카메라로 잡아주는 방식의 경우 카메라의 화질이 떨어지거나 카메라의 포커스 문제로 인한 화면 연출에 오류가 발생하면 화상 화면에서 사용자의 이름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화상 강의, 화상 회의 등 화상 통신 솔루션에서 CV(computer vision) 기술을 활용하여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들의 이름을 자동으로 표기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의 이름을 표기하는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은 카메라에 의한 포커싱 영상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을 인식하는 인식부; 및 식별 수단을 통해 식별된 사용자의 이름 정보를 포커싱 영상에 믹싱하는 믹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름 정보가 믹싱된 포커싱 영상은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이름을 표기하는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름 정보와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카메라에 의한 포커싱 영상에서 식별 수단을 인식하는 인식부; 및 데이터베이스에서 식별 수단에 매핑된 이름 정보를 검색한 후 검색된 이름 정보를 포커싱 영상에 믹싱하는 믹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름 정보가 믹싱된 포커싱 영상은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식별 수단은 이름 정보를 포함하는 다차원 코드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식별 수단은 사용자의 이름 정보가 매핑된 마커 또는 오브젝트를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인식부는 카메라의 시점이 변경될 때마다 식별 수단을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믹싱부는 사용자의 통신 단말로 화상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버로 이름 정보가 믹싱된 포커싱 영상을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름 정보는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을 표시하는 통신 단말의 화면 상에 오버레이 된 자막 형태로 표기될 수 있다.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를 식별하는 인식 시스템은 카메라에 의한 포커싱 영상으로부터 포커싱 영상에 포착된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을 인식하는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식별 수단은 사용자의 이름 정보를 포함하는 다차원 코드를 의미하거나 사용자의 이름 정보가 매핑된 마커 또는 오브젝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커싱 영상은 식별 수단을 통해 식별된 사용자의 이름 정보가 믹싱되어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의 이름을 표기하는 사용자 이름 표기 방법은 카메라에 의한 포커싱 영상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을 인식하는 인식 단계; 및 식별 수단을 통해 식별된 사용자의 이름 정보를 포커싱 영상에 믹싱하는 믹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이름을 표기하는 사용자 이름 표기 방법은 사용자의 이름 정보와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카메라에 의한 포커싱 영상에서 식별 수단을 인식하는 인식 단계; 및 데이터베이스에서 식별 수단에 매핑된 이름 정보를 검색한 후 검색된 이름 정보를 포커싱 영상에 믹싱하는 믹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 강의, 화상 회의 등 화상 통신 솔루션에서 CV 기술을 활용하여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를 식별함으로써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에 사용자의 이름을 자동으로 표기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통신 서비스에서 카메라에 포착된 사용자의 이름을 자동으로 표기함으로써 카메라의 화질이나 포커스 문제에 제약 없이 정확한 이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많은 사용자가 참여하는 화상 통신 서비스에서 상호 간에 신원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의 이름을 표기하는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과 화상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버 간의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를 식별하여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에 사용자의 이름을 자동으로 표기하는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의 이름을 자동 표기하는 사용자 이름 표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상 강의, 화상 회의 등 화상 통신 솔루션에서 카메라에 포착된 사용자의 이름을 자동 표기하기 위하여 CV(computer vision) 기술을 활용하여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를 인식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버(102)와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의 이름을 표기하는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101) 간의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스트리밍 서버(102)는 화상 강의, 화상 회의 등의 화상 통신 서비스를 목적으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03)로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는 강의 공간 또는 회의 공간에 설치된 것이거나,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의 통신 단말(103)에 장착된 카메라를 의미할 수도 있다. 스트리밍 서버(102)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에게 스트리밍 방식으로 서비스 할 수 있다. 즉,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사용자에게 서비스 되는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을 의미한다. 예컨대, 스트리밍 서버(102)는 카메라로부터 화상 강의 또는 화상 회의 중에 현재의 화자(話者)를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입력 받아 이를 참여자의 통신 단말(103)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101)은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영상에 포착된 사용자를 식별하여 식별된 사용자의 이름 정보가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에 자동 표기되도록 서비스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101)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사용자의 이름 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이름 정보가 믹싱된 카메라 영상을 스트리밍 서버(102)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스트리밍 서버(102)는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에 사용자의 이름 정보가 자동 표기되도록 카메라 영상에 포착된 사용자의 이름 정보가 믹싱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103)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101)은 스트리밍 서버(102)와 결합된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되거나, 스트리밍 서버(102)와 별도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스트리밍 서버(102)와 상호 연동하여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에 사용자의 이름 정보를 자동 표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101)이 스트리밍 서버(102)와 별도의 시스템으로 구성된 경우 시스템 구현이나 서비스 형태에 따라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101)의 일부 구성이 스트리밍 서버(102)에 상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101)이 스트리밍 서버(102)와는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101)을 구축하는 형태나 방식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에 사용자의 이름 정보가 자동 표기되도록 하는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의 구성 및 그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200)은 인식부(210), 믹싱부(220),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200)이 데이터베이스(230)의 구성을 제외하고 인식부(210) 및 믹싱부(220)로 구성된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인식부(210)는 카메라에 의한 포커싱 영상에서 포커싱 영상 내에 식별 수단을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포커싱 영상은 화상 통신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화상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카메라에서 촬영된 포커싱 영상은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1) 일례로, 식별 수단은 컴퓨터 기반의 비전 기술을 통해 인식 가능한 것으로, 컴퓨터 환경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마커 또는 오브젝트(이하, '마커'라 통칭함)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마커의 경우 컴퓨터 환경에서 인식 가능한 형태로 특수 도안된 것이며,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한 마커를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하는 사용자 별로 각기 다른 도안으로 제작된 마커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별 각기 다른 도안의 마커를 사용자의 신체 또는 사용자와 인접한 곳에 위치시키게 되면, 인식부(210)는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사용자를 식별하는 마커를 구분 및 인식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으로서 마커를 이용하는 경우, 카메라 영상에 사용자의 포착 여부만을 식별할 뿐 카메라에 포착된 사용자의 이름 정보를 마커가 직접 가지고 있기 않기 때문에 사전에 마커의 도안과 사용자의 이름 정보를 매핑(mapping)시켜 저장한 데이터베이스(230)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다른 일례로, 정보를 직접 수록할 수 있는 다차원 코드를 식별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다차원 코드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데이터 매트릭스(Data Matrix), 맥시 코드(Maxi Code) 등 정보를 기록하여 제공하는 정보 제공 수단을 의미한다. 상기한 다차원 코드를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하는 각각의 사용자 이름을 다차원 코드로 생성하여 이를 카메라에 포착 가능한 형태(예컨대, 다차원 코드가 프린트 된 명찰 등)로 만든 후 사용자의 신체 또는 사용자와 인접한 곳에 위치시켜 놓으면, 인식부(210)는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사용자를 식별하는 다차원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으로서 다차원 코드를 이용하는 경우, 다차원 코드가 사용자의 이름 정보를 그대로 수록하고 있기 때문에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230)를 구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인식부(210)는 컴퓨터 비전에 의한 영상처리 기술을 통해 카메라의 포커싱 영상을 분석하여 포커싱 영상에 포착된 식별 수단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부(210)는 카메라의 시점이 무작위적으로 바뀐다는 것을 고려하여 포커싱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통해 카메라의 시점을 인식하여 카메라의 시점이 변경될 때마다 식별 수단의 인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믹싱부(220)는 인식부(210)에서 인식된 식별 수단을 통해 식별된 사용자의 이름 정보를,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카메라의 포커싱 영상에 믹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1)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으로서 마커를 이용하는 경우, 믹싱부(220)는 인식부(210)에서 인식된 마커의 도안에 매핑되어 있는 이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30)에서 검색한 후 마커의 도안과 매칭된 이름 정보를 카메라의 포커싱 영상과 믹싱할 수 있다. (2)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으로서 다차원 코드를 이용하는 경우, 믹싱부(220)는 다차원 코드를 해독하는 코드 리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믹싱부(220)는 인식부(210)에서 인식된 다차원 코드를 해독하여 다차원 코드에 담긴 이름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 있으며, 다차원 코드에 담긴 이름 정보를 카메라의 포커싱 영상과 믹싱할 수 있다. 상기한 믹싱부(220)는 카메라 영상에 포착된 사용자의 이름 정보가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에 오버레이 자막으로 표기되는 형태로 사용자의 이름 정보와 카메라의 포커싱 영상을 믹싱할 수 있다. 그리고, 믹싱부(220)는 화상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인 스트리밍 서버로 사용자의 이름 정보가 믹싱된 포커싱 영상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스트리밍 서버는 믹싱부(220)로부터 받은 포커싱 영상을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으로서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의 통신 단말로 서비스 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단말에서는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 상에 영상에 포착된 사용자의 이름 정보가 오버레이 자막 형태로 표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의 이름 정보를 직접 수록하는 다차원 코드 혹은 미리 입력해둔 사용자의 이름 정보와 마커의 매핑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무작위적으로 바뀌는 카메라 시점에 따라 카메라에 포착되는 사용자 이름이 오버레이 자막 형태로 자동 표기되는 화상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인식부(210)와 믹싱부(220)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하였으나, 인식부(210)만을 분리하여 카메라 영상에 포착된 사용자에 대한 식별 수단을 인식하는 인식 시스템으로서 독립된 구성으로 구현하고 사용자의 이름을 카메라 영상에 믹싱하는 믹싱부(220)의 구성이나 기능은 스트리밍 서버 측에 상주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의 이름을 자동 표기하는 사용자 이름 표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름 표기 방법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200)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301)에서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200)은 카메라로부터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카메라 영상을 입력 받는다.
단계(302)에서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200)은 컴퓨터 비전 기술에 기반한 영상 분석을 통해 카메라 영상에서 영상에 포착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식별 수단을 인식한다. 본 실시예에서 식별 수단은 카메라 영상에 사용자의 포착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컴퓨터 환경에서 인식 가능한 마커 또는 다차원 코드를 활용할 수 있다. 식별 수단으로 마커를 이용하는 경우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하는 사용자 별로 각기 다른 도안의 마커를 사용하고, 마커의 도안과 사용자의 이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한편, 다차원 코드를 식별 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각 사용자의 이름을 다차원 코드로 생성한다.
단계(303)는 마커를 식별 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해당되는 과정으로, 단계(302)에서 식별 수단으로 인식된 마커의 도안에 매칭되어 있는 이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다차원 코드를 식별 수단으로 이용한 경우에는 단계(302)에서 식별 수단으로 인식된 다차원 코드를 해독하여 다차원 코드에 담긴 이름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 있다.
단계(304)에서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200)은 식별 수단을 통해 얻은 사용자의 이름 정보를 카메라 영상과 믹싱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200)은 카메라 영상에 포착된 사용자의 이름 정보가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에 오버레이 자막 형태로 표기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이름 정보와 카메라 영상을 믹싱할 수 있다.
단계(305)에서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200)은 화상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인 스트리밍 서버로 사용자의 이름 정보가 믹싱된 포커싱 영상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스트리밍 서버는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200)으로부터 받은 포커싱 영상을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으로서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의 통신 단말로 서비스 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단말에서는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 상에 영상에 포착된 사용자의 이름 정보가 오버레이 자막 형태로 표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화상 강의, 화상 회의 등 화상 통신 솔루션에서 컴퓨터 비전 기술을 활용하여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 이름을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에 자동 표기함으로써 많은 사용자가 참여하는 화상 통신 서비스에서 상호 간에 신원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
210: 인식부
220: 믹싱부
230: 데이터베이스

Claims (15)

  1.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의 이름을 표기하는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에 의한 포커싱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을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식별 수단을 통해 식별된 상기 사용자의 이름 정보를 상기 포커싱 영상에 믹싱(mixing)하는 믹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사용자의 이름 정보를 포함하는 다차원 코드이며,
    상기 믹싱부는,
    상기 다차원 코드를 해독하여 상기 다차원 코드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이름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획득한 사용자의 이름 정보를 상기 포커싱 영상과 믹싱하고,
    상기 인식부는,
    상기 카메라의 시점이 변경될 때마다 카메라에 포착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진 상기 식별 수단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통신 단말로 상기 화상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버로 상기 사용자의 이름 정보가 믹싱된 상기 포커싱 영상을 전달하며,
    상기 사용자의 이름 정보가 믹싱된 상기 포커싱 영상은 상기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으로 제공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름 정보는,
    상기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통신 단말의 화면 상에 오버레이(overlay)된 자막 형태로 표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이름 표기 시스템.
  8.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를 식별하는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에 의한 포커싱 영상으로부터 상기 포커싱 영상에 포착된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을 인식하는 인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사용자의 이름 정보를 포함하는 다차원 코드이며,
    상기 인식부는,
    상기 카메라의 시점이 변경될 때마다 카메라에 포착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진 상기 식별 수단을 인식하고,
    상기 포커싱 영상은,
    상기 식별 수단인 상기 다차원 코드의 해독을 통해 획득하게 된 상기 사용자의 이름 정보가 믹싱되고, 상기 사용자의 통신 단말로 상기 화상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버로 전달되어 상기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으로 제공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 시스템.
  9.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의 이름을 표기하는 사용자 이름 표기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에 의한 포커싱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을 인식하는 인식 단계; 및
    상기 식별 수단을 통해 식별된 상기 사용자의 이름 정보를 상기 포커싱 영상에 믹싱하는 믹싱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사용자의 이름 정보를 포함하는 다차원 코드이며,
    상기 인식 단계는,
    상기 카메라의 시점이 변경될 때마다 카메라에 포착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진 상기 식별 수단을 인식하고,
    상기 믹싱 단계는,
    상기 다차원 코드를 해독하여 상기 다차원 코드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이름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획득한 사용자의 이름 정보를 상기 포커싱 영상과 믹싱하고,
    상기 사용자의 통신 단말로 상기 화상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버로 상기 사용자의 이름 정보가 믹싱된 상기 포커싱 영상을 전달하고,
    상기 이름 정보가 믹싱된 상기 포커싱 영상은 상기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으로 제공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이름 표기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름 정보는,
    상기 화상 통신 서비스의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통신 단말의 화면 상에 오버레이된 자막 형태로 표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이름 표기 방법.
KR1020110053186A 2011-06-02 2011-06-02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의 이름을 표기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395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186A KR101395397B1 (ko) 2011-06-02 2011-06-02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의 이름을 표기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186A KR101395397B1 (ko) 2011-06-02 2011-06-02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의 이름을 표기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340A KR20120134340A (ko) 2012-12-12
KR101395397B1 true KR101395397B1 (ko) 2014-05-14

Family

ID=47902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186A KR101395397B1 (ko) 2011-06-02 2011-06-02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의 이름을 표기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3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3061B (zh) * 2021-06-10 2022-08-12 荣耀终端有限公司 视频通话的方法与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2350A (ja) * 1999-04-27 2000-11-07 Nec Home Electronics Ltd テレビ会議装置
JP2007168099A (ja) * 2005-12-19 2007-07-05 Denso Wave Inc 名刺および端末装置
KR20110044065A (ko) * 2009-10-22 2011-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통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2350A (ja) * 1999-04-27 2000-11-07 Nec Home Electronics Ltd テレビ会議装置
JP2007168099A (ja) * 2005-12-19 2007-07-05 Denso Wave Inc 名刺および端末装置
KR20110044065A (ko) * 2009-10-22 2011-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통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340A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79092B (zh) 在视频中获取人物信息的方法和装置
CN102598055A (zh) 视频会话的自动标记
KR20110096500A (ko) 위치 기반의 통신 방법 및 시스템
US20080255840A1 (en) Video Nametags
TWI571833B (zh) 監測服務裝置、電腦程式產品、藉由影像監測提供服務之方法及藉由影像監測啓用服務之方法
CN105571583B (zh) 一种用户位置定位方法以及服务器
CN102999844A (zh) 防伪防窜货查询智能取证方法
CN102147684B (zh) 一种触摸屏屏幕扫描方法及其系统
JP5316248B2 (ja) テレビ会議装置、テレビ会議方法、そのプログラム
CN102749966A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系统和图像处理方法
CN106851395B (zh) 视频播放方法和播放器
CN103237165A (zh) 实时查看名片扩展信息的方法及电子设备
US20160117553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alizing visual identification
JP4964833B2 (ja) 情報提示制御装置及び情報提示制御方法
KR101395397B1 (ko) 화상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 사용자의 이름을 표기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0272054A (ja) 建築物関連情報提供装置、建築物関連情報提供方法および建築物関連情報提供プログラム
US20220222449A1 (en) Presentation transcripts
KR20170075032A (ko) 타로점 인터넷 방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타로점 인터넷 방송 방법
CN115761567A (zh) 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7097859A (ja) 情報処理装置と、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137639A (ja) 動画像処理システム、並びに、符号化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復号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8694682B (zh) 一种用户头像的设置方法及系统
CN111339964A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1091035A (zh) 一种科目识别方法及电子设备
KR20190020887A (ko) 오프라인 체험학습 운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