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670B1 -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 - Google Patents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670B1
KR101394670B1 KR1020130011333A KR20130011333A KR101394670B1 KR 101394670 B1 KR101394670 B1 KR 101394670B1 KR 1020130011333 A KR1020130011333 A KR 1020130011333A KR 20130011333 A KR20130011333 A KR 20130011333A KR 101394670 B1 KR101394670 B1 KR 101394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s
hole
convex portion
convex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식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11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01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using swirlflowme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14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differences of pressure in the fluid
    • G01P5/16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differences of pressure in the fluid using Pitot tubes, e.g. Machmeter
    • G01P5/165Arrangements or constructions of Pitot tu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3Interference mitigation, e.g. reducing or avoiding non-intentional interference with other HF-transmitters, base station transmitters for mobile communication or other radar systems, e.g. u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reduction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Indicating Or Recording The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및 좌우 방향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 가능한 유동각의 범위를 최대화할 수 있는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는, 유체의 속도를 측정하는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로서,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홀에 각각 연결되는 튜브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바디는, 상기 복수의 홀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홀 중 일부가 최외각 둘레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나머지가 상기 최외각 둘레면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둥근 형상의 헤드부; 상기 헤드부를 지지하는 스템부; 및 상기 헤드부와 상기 스템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헤드부와 상기 스템부보다 가는 경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Probe of measuring velocity of fluid}
본 발명은 유체의 속도를 측정하는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는 터보기계(압축기, 터빈, 펌프, 팬 등)의 유동 및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항공, 조선, 자동차 등 유체의 속도 측정이 필요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는, 두 개의 홀(hole)을 갖는 2공 프로브와, 세 개의 홀을 갖는 3공 프로브와, 다섯 개의 홀을 갖는 5공 프로브와, 일곱 개의 홀을 갖는 7공 프로브와, 열두 개의 홀을 갖는 12공 프로브와, 열여섯 개의 홀을 갖는 16공 프로브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먼저, 2공 프로브는 일명 피토 프로브(pitot probe)라고도 하며, 유체가 흐르는 방향으로 프로브를 정열하고, 정열된 방향의 홀압력(PT)과 이와 직각인 홀압력(Ps)의 차이로 유체의 속도를 측정한다. 하지만, 2공 프로브는 거의 0도의 유동각을 갖는 직선 유동에 대해서만 측정이 가능한 단점을 갖는다.
3공 프로브는 일명 코브라 프로브(cobra probe), 2-D 프로브, 또는 웨지 프로브(wedge probe)라고도 하며, 가운데 홀의 압력과 좌우 각각 1개씩의 홀의 압력을 측정하여 유체의 좌우방향의 속도[즉, 평면(plane)에서의 속도, 2-D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가운데 홀을 기준으로 좌우에 대해 약 45도 또는 프로브의 형상에 따라 50도까지의 유동각을 갖는 유동에 대해 측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3공 프로브는 ±45도 내지 ±50도의 유동각을 갖는 좌우 유동에 대해서만 측정이 가능한 단점을 갖는다.
5공 프로브는 일명 피라미드 프로브(pyramid probe) 또는 콘 프로브(cone probe)라고도 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 홀(H1)의 압력과 좌우 각각 1개씩의 홀(H2, H3)의 압력, 상하 각각 1개씩의 홀(H4, H5)의 압력을 측정하여 유체의 상하 및 좌우 방향의 속도(입체속도, 3-D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가운데 홀(H1)을 기준으로 상하 및 좌우에 대해 약 45도 또는 프로브의 형상에 따라 50도까지의 유동각을 갖는 유동에 대해 측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5공 프로브는 좌우 및 상하 유동에 대해 측정이 가능하나 ±45도 내지 ±50도로 그 유동각이 제한되어 있어 측정의 한계를 갖는다.
7공 프로브는 가운데 홀의 압력과 이를 둘러싼 6개의 홀의 압력을 측정하여 유체의 상하 및 좌우 방향의 속도(입체속도, 3-D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5공 프로브에 비하여 더 넓은 각도(약 ±70도)의 유동에 대해 측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7공 프로브는 5공 프로브에 비해 측정 가능한 유동각의 범위가 넓어졌기는 하나 여전히 ±70로 그 유동각이 제한되어 있어 측정의 한계를 갖는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하 및 좌우 방향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 가능한 유동각의 범위를 최대화할 수 있는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는, 유체의 속도를 측정하는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로,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홀에 각각 연결되는 튜브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바디는, 상기 복수의 홀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홀 중 일부가 최외각 둘레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나머지가 상기 최외각 둘레면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둥근 형상의 헤드부; 상기 헤드부를 지지하는 스템부; 및 상기 헤드부와 상기 스템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헤드부와 상기 스템부보다 가는 경부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경부의 반대편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갖는 제1 볼록부; 상기 경부를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경부와 연결되는 제2 볼록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볼록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최외각 둘레면을 이루는 원기둥 형상의 천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이부와 상기 스템부는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천이부의 둘레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홀; 상기 제1 볼록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7 홀; 및 상기 제2 볼록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8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7 및 제8 홀은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홀 중 어느 하나와 동일 가상선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가상선은 상기 스템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홀은 서로 동일하게 60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1 볼록부의 단부 중심에 형성되는 제9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복수의 홀은, 상기 천이부의 둘레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및 제8 홀; 상기 제1 볼록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9 홀; 및 상기 제2 볼록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10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9 및 제10 홀은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및 제8 홀 중 어느 하나와 동일 가상선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가상선은 상기 스템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및 제8 홀은 서로 동일하게 45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 제9 및 제10 홀과 더불어 상기 제1 볼록부의 단부 중심에 형성되는 제11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둥근 형상의 헤드부가 경부에 의해 스템부로부터 이격된 형상을 갖는 바디를 포함하고, 헤드부에 복수의 홀이 형성되되 복수의 홀 중 일부가 헤드부의 최외각 둘레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나머지가 최외각 둘레면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므로, 상하 및 좌우 방향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 가능한 유동각의 범위를 최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5공 프로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a)에는 사시도를, (b)에는 정면도를, (c)에는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a)에는 정면도를, (b)에는 배면도를, (c)에는 평면도를, (d)에는 내부를 보이기 위한 부분 절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a)에는 정면도를, (b)에는 배면도를, (c)에는 평면도를, (d)에는 내부를 보이기 위한 부분 절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a)에는 정면도를, (b)에는 배면도를, (c)에는 평면도를, (d)에는 내부를 보이기 위한 부분 절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a)에는 정면도를, (b)에는 배면도를, (c)에는 평면도를, (d)에는 내부를 보이기 위한 부분 절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a)에는 정면도를, (b)에는 배면도를, (c)에는 평면도를, (d)에는 내부를 보이기 위한 부분 절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와 감지 튜브(200)를 포함한다.
바디(100)는, 복수의 홀(101)이 형성되는 곳으로, 속이 빈 중공 형상[도 2의 (d) 참조]을 가지며 도 2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바디(100)는 헤드부(110)와, 스템부(120)와, 그리고 경부(130)(頸部, neck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계속 참조하여, 헤드부(110), 스템부(120) 및 경부(13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헤드부(110)는 둥근 형상을 가지며, 그 최외각 둘레면(113 참조)에 상술한 복수의 홀(101) 중 일부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나머지가 최외각 둘레면(113 참조)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헤드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부(130)의 반대편을 행해 볼록한 형상을 갖는 제1 볼록부(111)와, 경부(130)를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경부(130)와 연결되는 제2 볼록부(112)와, 그리고 제1 및 제2 볼록부(111)(112) 사이에 구비되어 상술한 최외각 둘레면(113 참조)을 이루는 원기둥 형상의 천이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템부(120)는 원기둥 형상 등을 가지며 경부(130)를 통해 헤드부(1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템부(120)의 길이는 유체의 속도 측정을 요하는 장소(예를 들어, 터보기계의 압축기, 터빈, 펌프, 팬 등)의 조건에 따라 길거나 짧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경부(130)는 헤드부(110)와 스템부(120) 사이에 구비되며 헤드부(110)와 스템부(120)보다 가는 형상을 갖는다.
상술한 감지 튜브(200)는 바디(100)의 내부에 구비되되 복수의 홀(101)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둥근 형상의 헤드부(110)가 경부(130)에 의해 스템부(120)로부터 이격된 형상을 갖는 바디(100)를 포함하고, 헤드부(110)에 복수의 홀(101)이 형성되되 복수의 홀(101) 중 일부가 헤드부(110)의 최외각 둘레면(113 참조)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나머지가 최외각 둘레면(113 참조)을 기준으로 도면상 상하부에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상하 및 좌우 방향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 가능한 유동각의 범위를 최대화할 수 있다. 나아가, 원기둥 형상의 천이부(113)가 포함되고 그 천이부(113)에 복수의 홀 중 일부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므로, 구(sphere) 형상의 헤드부(미도시)에 홀을 형성하는 것에 비해 가공상의 어려움을 대폭 줄일 수 있음과 함께 가공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위치에 따른 제작 공차를 줄일 수 있어 궁극적으로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천이부(113)의 길이(폭)는 복수의 홀(101)의 직경보다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으며, 길이가 0일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천이부(113)와 상술한 스템부(120)는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스템부(120)가 좌우 방향[요(yaw) 방향, 즉 스템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놓이는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방향, 이하 "요 방향"이라 함]으로 임의의 각도로 회전되더라도 천이부(113)에 형성된 홀들(101a, 101b, 101c, 101d, 101e, 101f 참조)은 천이부(113)의 동일한 원주 위에 위치하게 된다.
나아가, 상술한 복수의 홀(10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및 제8 홀(101a)(101b)(101c)(101d)(101e)(101f)(101g)(101h)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홀(101a)(101b)(101c)(101d)(101e)(101f)은 천이부(113)의 둘레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고, 제7 홀(101g)은 제1 볼록부(111)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8 홀(101h)은 제2 볼록부(112)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7 및 제8 홀(101g)(101h)은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홀(101a)(101b)(101c)(101d)(101e)(101f) 중 어느 하나(101b 참조)와 동일 가상선(L1)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여기서 가상선(L1)은 스템부(12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홀(101a)(101b)(101c)(101d)(101e)(101f)은 서로 동일하게 60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홀(101a)(101b)(101c)(101d)(101e)(101f)이 천이부(113)의 둘레면에 형성되므로, 요 방향의 유동에 대해서는 360도까지 측정 가능한 유동각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특히, 터보기계(압축기, 터빈, 펌프, 팬 등)(미도시)에서는 에너지의 전달과 관련된 요 방향의 각도가 가장 큰 고려 대상임을 감안할 때 요 방향에 대해 360도인 전 방향에서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은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7 홀(101g) 및 제8 홀(101h)이 천이부(113)를 기준으로 상부에 있는 제1 볼록부(111)의 둘레 및 하부에 있는 제2 볼록부(112)의 둘레에 각각 형성되므로, 상하 방향[피치(pitch) 방향, 즉 스템부(1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하고 제7 및 제8 홀(101g)(100h)이 향하는 방향과도 수직하게 놓이는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방향, 이하 "피치 방향"이라 함]의 유동에 대해서는 ±60도의 측정 가능한 유동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널링(nulling) 기법을 사용할 경우, 모든 방향에서 피치 방향으로 ±60도의 측정 가능한 유동각을 가질 수 있고, 또한 널링 기법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요 방향으로 ±60도 내의 유동에 대해서는 피치 방향으로도 ±60도의 측정 가능한 유동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a)에는 정면도를, (b)에는 배면도를, (c)에는 평면도를, (d)에는 내부를 보이기 위한 부분 절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9 홀(101i)이 추가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는 제9 홀(101i)의 추가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복수의 홀(101)은 상술한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및 제8 홀(101a)(101b)(101c)(101d)(101e)(101f)(101g)(101h)과 더불어 제1 볼록부(111)의 단부 중심에 형성되는 제9 홀(101i)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볼록부(111)의 단부 중심에 제9 홀(101i)이 더 형성되므로, 피치 방향의 유동에 대해 ±90도까지 측정 가능한 유동각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비해 피치 방향으로 더 큰 범위의 측정 가능한 유동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a)에는 정면도를, (b)에는 배면도를, (c)에는 평면도를, (d)에는 내부를 보이기 위한 부분 절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홀(201)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는 복수의 홀(201)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복수의 홀(20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 제9 및 제10 홀(201a)(201b)(201c)(201d)(201e)(201f)(201g)(201h)(201i)(201j)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및 제8 홀(201a)(201b)(201c)(201d)(201e)(201f)(201g)(201h)은 천이부(113)의 둘레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고, 제9 홀(201i)은 제1 볼록부(111)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10 홀(201j)은 제2 볼록부(112)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9 및 제10 홀(201i)(201j)은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및 제8 홀(201a)(201b)(201c)(201d)(201e)(201f)(201g)(201h) 중 어느 하나(201c 참조)와 동일 가상선(L2)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여기서 가상선(L2)은 스템부(12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및 제8 홀(201a)(201b)(201c)(201d)(201e)(201f)(201g)(201h)은 서로 동일하게 45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및 제8 홀(201a)(201b)(201c)(201d)(201e)(201f)(201g)(201h)이 천이부(113)의 둘레면에 형성되므로, 요 방향의 유동에 대해서는 360도까지 측정 가능한 유동각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및 제8 홀(201a)(201b)(201c)(201d)(201e)(201f)(201g)(201h)이 천이부(113)의 둘레면에 45도 간격으로 배치되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비해 보다 정밀한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a)에는 정면도를, (b)에는 배면도를, (c)에는 평면도를, (d)에는 내부를 보이기 위한 부분 절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홀(201k)이 추가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는 제11 홀(201k)이 추가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복수의 홀은 상술한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 제9 및 제10 홀(201a)(201b)(201c)(201d)(201e)(201f)(201g)(201h)(201i)(201j)과 더불어 제1 볼록부(111)의 단부 중심에 형성되는 제11 홀(201k)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볼록부(111)의 단부 중심에 제11 홀(201k)이 더 형성되므로, 피치 방향의 유동에 대해 ±90도까지 측정 가능한 유동각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비해 피치 방향으로 더 큰 범위의 측정 가능한 유동각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둥근 형상의 헤드부(110)가 경부(130)에 의해 스템부(120)로부터 이격된 형상을 갖는 바디(100)를 포함하고, 헤드부(110)에 복수의 홀(101, 201)이 형성되되 복수의 홀(101, 201) 중 일부가 헤드부(110)의 최외각 둘레면(113 참조)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나머지가 최외각 둘레면(113 참조)을 기준으로 도면상 상하부에 형성되므로, 상하 및 좌우 방향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 가능한 유동각의 범위를 최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바디 101, 201: 복수의 홀
101a, 201a: 제1 홀 101b, 201b: 제2 홀
101c, 201c: 제3 홀 101d, 201d: 제4 홀
101e, 201e: 제5 홀 101f, 201f: 제6 홀
101g, 201g: 제7 홀 101h, 201h: 제8 홀
201i: 제9 홀 201j: 제10 홀
201k: 제11 홀 110: 헤드부
111: 제1 볼록부 112: 제2 볼록부
113: 천이부 120: 스템부
130: 경부

Claims (11)

  1. 유체의 속도를 측정하는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로서,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홀에 각각 연결되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제1 볼록부와, 상기 제1 볼록부에 연결된 천이부와, 상기 천이부에 연결된 제2 볼록부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홀 중 일부가 상기 천이부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홀 중 나머지가 상기 천이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둥근 형상의 헤드부;
    상기 헤드부를 지지하는 스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상기 제2 볼록부와 상기 스템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헤드부와 상기 스템부보다 가는 경부를 포함하는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
  2. 제1항에서,
    상기 제1 볼록부는 상기 경부의 반대편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볼록부는 상기 경부를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천이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
  3. 제2항에서,
    상기 천이부와 상기 스템부는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
  4. 제2항에서,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천이부의 둘레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홀;
    상기 제1 볼록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7 홀; 및
    상기 제2 볼록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8 홀을 포함하는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
  5. 제4항에서,
    상기 제7 및 제8 홀은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홀 중 어느 하나와 동일 가상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가상선은 상기 스템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
  6. 제4항에서,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홀은 서로 동일하게 60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
  7. 제4항에서,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1 볼록부의 단부 중심에 형성되는 제9 홀을 더 포함하는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
  8. 제2항에서,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천이부의 둘레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및 제8 홀;
    상기 제1 볼록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9 홀; 및
    상기 제2 볼록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10 홀을 포함하는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
  9. 제8항에서,
    상기 제9 및 제10 홀은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및 제8 홀 중 어느 하나와 동일 가상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가상선은 상기 스템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
  10. 제8항에서,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및 제8 홀은 서로 동일하게 45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
  11. 제8항에서,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1 볼록부의 단부 중심에 형성되는 제11 홀을 더 포함하는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
KR1020130011333A 2013-01-31 2013-01-31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 KR101394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333A KR101394670B1 (ko) 2013-01-31 2013-01-31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333A KR101394670B1 (ko) 2013-01-31 2013-01-31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4670B1 true KR101394670B1 (ko) 2014-05-12

Family

ID=50894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333A KR101394670B1 (ko) 2013-01-31 2013-01-31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6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1056A (zh) * 2017-12-26 2018-05-04 北京航天益森风洞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五孔探针的高速列车侧风测量终端
KR102052022B1 (ko) * 2018-10-29 2019-12-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수의 전압력 프로브를 이용한 전방향 유동측정장치 세팅방법
CN113125800A (zh) * 2021-04-19 2021-07-16 重庆地格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皮托管的风速风向测量方法
CN113686536A (zh) * 2021-08-23 2021-11-23 西安鑫源锴泽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精度三维复杂流场九孔探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9341B2 (ja) * 1988-10-19 1995-07-26 本田工業株式会社 流体速度測定用プローブ
JPH10197549A (ja) * 1996-12-27 1998-07-31 Kaijo Corp フエーズドアレイ型ドップラー風速計による風速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9341B2 (ja) * 1988-10-19 1995-07-26 本田工業株式会社 流体速度測定用プローブ
JPH10197549A (ja) * 1996-12-27 1998-07-31 Kaijo Corp フエーズドアレイ型ドップラー風速計による風速測定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1056A (zh) * 2017-12-26 2018-05-04 北京航天益森风洞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五孔探针的高速列车侧风测量终端
KR102052022B1 (ko) * 2018-10-29 2019-12-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수의 전압력 프로브를 이용한 전방향 유동측정장치 세팅방법
CN113125800A (zh) * 2021-04-19 2021-07-16 重庆地格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皮托管的风速风向测量方法
CN113125800B (zh) * 2021-04-19 2023-01-06 重庆地格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皮托管的风速风向测量方法
CN113686536A (zh) * 2021-08-23 2021-11-23 西安鑫源锴泽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精度三维复杂流场九孔探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670B1 (ko) 유체 속도 측정 프로브
CN102692310B (zh) 一种风洞试验用三孔探针式测压尾耙
Beselt et al. Three dimensional flow field in a highly loaded compressor cascade
KR101820545B1 (ko) 유체의 다중지점 수득/분배를 위한 장치, 특히 터보머신 공기 유입구에서의 압력 태핑용 프로브
JP6148364B1 (ja) 風車翼用ボルテックスジェネレータ、風車翼、風力発電装置、及びボルテックスジェネレータの取付方法
EP2700952A1 (en) Moisture resistant air data probes
JP6835493B2 (ja) 固定ブレード用冷却構造体
CN111238711B (zh) 转子轴向力测试方法
RU2542791C1 (ru) Приемник воздушного давления
CN108896211A (zh) 温度传感器
CN104340354B (zh) 球形或近球形复合耐压舱壁的自然路径撕扯条带和加强筋
EP2775310A1 (en) Air data probes
CN111156980A (zh) Mems陀螺仪
BR102014025514A2 (pt) sensor de temperatura total do ar
US10371554B2 (en) Coriolis mass flowmet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riolis mass flowmeter
JP5107209B2 (ja) 風量計及び風速センサ
CN108139421B (zh) 风传感器壳体和包括这种壳体的风传感器
CN103306820A (zh) 超声速进气道及其壁面的三维确定方法
CN106918410B (zh) 一种总温叶型探针
CN204694444U (zh) 一种探针组件及具有其的装置
CN106093460B (zh) 一种流速测量装置
CN105184008A (zh) 一种叶片阻尼台曲线生成方法
CN106840272B (zh) 一种测量跨音三维非定常流场的动态温度压力组合探针
CN106885683B (zh) 一种测量三维复杂流场的半球头十二孔稳态压力探针
CN107084654A (zh) 一种雷达罩静力试验加载点确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