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519B1 - 정전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전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519B1
KR101394519B1 KR1020120056240A KR20120056240A KR101394519B1 KR 101394519 B1 KR101394519 B1 KR 101394519B1 KR 1020120056240 A KR1020120056240 A KR 1020120056240A KR 20120056240 A KR20120056240 A KR 20120056240A KR 101394519 B1 KR101394519 B1 KR 101394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mpensation voltage
compensation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2113A (ko
Inventor
정호연
이완범
소병구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 탑엘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 탑엘이디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6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519B1/ko
Publication of KR20130132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압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에 정전류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발광 다이오드와, 궤환단자로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구동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 정전류가 흐르게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 제한용 저항과, 상기 전류 제한용 저항의 전압을 상기 궤환단자로 입력시키는 궤환용 저항과, 상기 전류 제한용 저항의 오차 값에 따른 보상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궤환단자로 입력시키는 보상전압 출력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류 제한용 저항의 오차 값에 관계없이 발광 다이오드로 정전류가 흐르게 하는 정전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전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CONSTANT CURRENT CIRCUIT AND ILLUMIN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압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에 정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정전류 회로와, 정전류 회로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 다이오드에 정전류가 흘러 점등시키고자 할 경우에 통상적으로 전압 레귤레이터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과전류가 흐를 경우에 쉽게 손상된다.
그러므로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는 전류 제한용 저항이 직렬 연결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고 있다.
상기 전류 제한용 저항의 값이 높을 경우에 상기 전류 제한용 저항으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열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통상적으로 1Ω 이하의 매우 낮은 값의 저항을 사용하여 발광 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고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 정전류가 흐르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류 제한용 저항으로 오차 값이 거의 없는 정밀한 저항을 사용해야 된다.
그러나 오차 값이 거의 없는 정밀한 저항은 일반 저항에 비하여 약 10배 이상의 고가이다. 특히 1Ω 이하의 매우 낮은 정밀 저항의 가격은 매우 고가이며, 다양한 종류의 저항도 생산하지 않아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 정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예를 들면,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가 1V의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 1A의 전류가 흐르도록 할 경우에 상기 전류 제한용 저항은 1Ω으로 설정해야 된다.
그러나 상기 전류 제한용 저항의 오차 값이 1%라고 가정할 경우에 발광 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류는 990∼1010㎃로서 ±10㎃의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류 제한용 저항의 오차 값이 5%라고 가정할 경우에 발광 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류는 950∼1050㎃로서 ±50㎃의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류의 오차는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가 출력하는 전압의 오차 및 인쇄회로기판의 패턴 변화 등에 의해 더욱 커지게 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류에 오차가 발생하게 되면,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할 경우에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출력하는 광의 밝기가 각기 상이하게 되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오차 값이 높은 저렴한 저항을 전류 제한용 저항으로 사용하더라고 발광 다이오드에는 정확한 레벨의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차 값이 높은 저항을 전류 제한용 저항으로 사용하더라도 발광 다이오드에는 정전류를 공급하여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광의 밝기가 일정하도록 하는 정전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정전류 회로는 발광 다이오드와, 궤환단자로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구동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 정전류가 흐르게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 제한용 저항과, 상기 전류 제한용 저항의 전압을 상기 궤환단자로 입력시키는 궤환용 저항과, 상기 전류 제한용 저항의 오차 값에 따른 보상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궤환단자로 입력시키는 보상전압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전압 출력부는, 보상전압이 저장되는 보상전압 저장부와, 상기 보상전압 저장부에 저장된 보상전압을 아날로그 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궤환단자로 입력시키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사이에,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구동전압을 필터링하기 위한 인덕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단자에,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구동전압을 필터링하기 위한 커패시터와, 상기 구동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한 정전압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보상전압 저장부는, 내장된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보상전압을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일 수 있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와 상기 궤환단자의 사이에, 상기 아날로그 보상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보상전압 전달용 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전류 회로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은 정전류로 구동되는 발광 다이오드와, 궤환단자로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구동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 정전류가 흐르게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 제한용 저항과, 상기 전류 제한용 저항의 전압을 상기 궤환단자로 입력시키는 궤환용 저항과, 상기 전류 제한용 저항의 오차 값에 따른 보상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궤환단자로 입력시키는 보상전압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전압 출력부는, 보상전압이 저장되는 보상전압 저장부와, 상기 보상전압 저장부에 저장된 보상전압을 아날로그 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궤환단자로 입력시키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사이에,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구동전압을 필터링하기 위한 인덕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단자에,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구동전압을 필터링하기 위한 커패시터와, 상기 구동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한 정전압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보상전압 저장부는, 내장된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보상전압을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일 수 있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와 상기 궤환단자의 사이에, 상기 아날로그 보상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보상전압 전달용 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전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은 전류 제한용 저항의 오차 값에 따른 보상전압을 실험적으로 미리 검출하여 저장하고,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킬 경우에 상기 보상전압으로 발광 다이오드의 밝기를 보상한다.
그러므로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킬 경우에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광의 밝기가 모두 일정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일부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로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로도이다. 여기서, 부호 100은 발광 다이오드(LED)로 정전류가 흐르도록 정전압을 공급하는 정전압 공급부이다. 상기 정전압 공급부(100)는 전압 레귤레이터(110)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110)의 전원 입력단자(VIN)에는 전원단자(Vcc) 및 접지 커패시터(C1)가 접속된다.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110)의 단자(SS)에는 접지 저항(R1)이 접속된다.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110)의 공통단자(COM)에는 접지 커패시터(C2)가 접속됨과 아울러 커패시터(C3) 및 접지 저항(R2)이 직렬 접속된다. 이러한 전압 레귤레이터(110)는 궤환단자(FB)로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LED)로 정전류가 흐르도록 하기 위한 정전압을 출력단자(SW)로 출력한다.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110)의 출력단자(SW)와 단자(BS)의 사이에 커패시터(C4)가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110)의 출력단자(SW)에 정전압 다이오드(ZD)의 캐소드가 접속됨과 아울러 인덕터(L)를 통해 발광 다이오드(LED)의 애노드에 접속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의 캐소드에는 전류 제한용 저항(R3)이 접속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의 캐소드와 상기 접지 저항(R3)의 접속점이 궤환용 저항(R4)을 통해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110)의 궤환단자(FB)에 접속된다.
부호 200은 보상전압 출력부이다. 상기 보상전압 출력부(200)는 보상전압 저장부(210),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20) 및 보상전압 전달용 저항(R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상전압 저장부(210)는 상기 전류 제한용 저항(R3)의 오차 값에 따른 보상전압이 미리 저장되고, 저장된 보상전압을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보상전압 저장부(210)는 중앙처리장치로서 내부의 메모리에 미리 보상전압이 저장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보상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20)는 상기 보상전압 저장부(210)가 출력하는 디지털 보상전압을 아날로그 보상전압으로 변환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20)가 변환한 아날로그 보상전압은 상기 보상전압 전달용 저항(R5)을 통해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110)의 궤환단자(FB)로 궤환된다.
이러한 구성은 가지는 본 발명은 전원단자(Vcc)에 동작전력이 인가될 경우에 인가된 동작전력은 커패시터(C1)에 의해 안정화된 후 전압 레귤레이터(110)의 전원 입력단자(VIN)로 입력되어 전압 레귤레이터(110)가 정상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110)는 궤환단자(FB)로 궤환되는 전압 레벨에 따른 소정 레벨의 구동전압을 출력단자(SW)로 출력한다.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110)가 출력하는 구동전압은 커패시터(C4)에 의해 필터링되고, 정전압 다이오드(ZD)에 의해 안정화된다.
상기 정전압 다이오드(ZD)에 의해 안정화된 정전압은 인덕터(L)를 통해 필터링된 후 발광 다이오드(LED)에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 및 전류 제한용 저항(R3)을 통해 정전류가 흐르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가 점등된다.
이 때, 상기 전류 제한용 저항(R3)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로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가 과전류로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보상전압 출력부(200)의 보상전압 저장부(210)는 저장되어 있는 보상전압을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보상전압 저장부(210)는 중앙처리장치로서 중앙처리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미리 보상전압을 저장하고,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보상전압을 중앙처리장치가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보상전압은 전압 레귤레이터를 이용한 정전류 회로를 제조할 경우에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로 정확한 레벨의 정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상전압을 실험적으로 검출하고, 검출한 보상전압을 보상전압 저장부(210)에 미리 저장하여 둔다.
보상전압 저장부(210)가 출력하는 보상전압은 디지털 보상전압으로서 이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20)가 아날로그 보상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한 아날로그 보상전압은 보상전압 전달용 저항(R5)을 통해 전압 레귤레이터(110)의 궤환단자(FB)로 입력된다.
그러므로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110)는 전류 제한용 저항(R3)의 오차 값에 관계없이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로 정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구동전압을 발생하고, 발생한 구동전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커패시터(C4)에 의해 필터링되고, 정전압 다이오드(ZD)에 의해 안정화되며, 인덕터(L)를 통해 필터링된 후 발광 다이오드(LED)에 인가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는 요구되는 밝기의 광을 출력한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정전압 공급부 110 : 전압 레귤레이터
200 : 보상전압 출력부 210 : 보상전압 저장부
220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C1∼C4 : 커패시터
R1∼R5 : 저항 L : 인덕터
LED : 발광 다이오드 ZD : 정전압 다이오드

Claims (12)

  1. 궤환단자로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구동전압을 발생하여 발광 다이오드로 정전류가 흐르게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 제한용 저항;
    상기 전류 제한용 저항의 전압을 상기 궤환단자로 입력시키는 궤환용 저항; 및
    상기 전류 제한용 저항의 오차 값에 따른 보상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궤환단자로 입력시키는 보상전압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전압 출력부는,
    보상전압이 저장되는 보상전압 저장부; 및
    상기 보상전압 저장부에 저장된 보상전압을 아날로그 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궤환단자로 입력시키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하는 정전류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사이에,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구동전압을 필터링하기 위한 인덕터;를 더 포함하는 정전류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단자에,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구동전압을 필터링하기 위한 커패시터; 및
    상기 구동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한 정전압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정전류 회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전압 저장부는,
    내장된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보상전압을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인, 정전류 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와 상기 궤환단자의 사이에,
    상기 아날로그 보상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보상전압 전달용 저항;을 더 포함하는 정전류 회로.
  7. 정전류로 구동되는 발광 다이오드;
    궤환단자로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구동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 정전류가 흐르게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 제한용 저항;
    상기 전류 제한용 저항의 전압을 상기 궤환단자로 입력시키는 궤환용 저항; 및
    상기 전류 제한용 저항의 오차 값에 따른 보상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궤환단자로 입력시키는 보상전압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전압 출력부는,
    보상전압이 저장되는 보상전압 저장부; 및
    상기 보상전압 저장부에 저장된 보상전압을 아날로그 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궤환단자로 입력시키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하는 정전류 회로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사이에,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구동전압을 필터링하기 위한 인덕터;를 더 포함하는 정전류 회로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단자에,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구동전압을 필터링하기 위한 커패시터; 및
    상기 구동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한 정전압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정전류 회로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10. 삭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전압 저장부는,
    내장된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보상전압을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인, 정전류 회로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와 상기 궤환단자의 사이에,
    상기 아날로그 보상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보상전압 전달용 저항;을 더 포함하는 정전류 회로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20120056240A 2012-05-25 2012-05-25 정전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394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240A KR101394519B1 (ko) 2012-05-25 2012-05-25 정전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240A KR101394519B1 (ko) 2012-05-25 2012-05-25 정전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113A KR20130132113A (ko) 2013-12-04
KR101394519B1 true KR101394519B1 (ko) 2014-05-14

Family

ID=49981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240A KR101394519B1 (ko) 2012-05-25 2012-05-25 정전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5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2979A (ja) 2003-10-15 2005-05-12 Matsumura Denki Seisakusho:Kk 照明装置
KR20080034316A (ko) * 2006-10-16 2008-04-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20100113710A (ko) * 2009-04-14 2010-10-22 김근식 볼트 레귤레이터를 이용한 정전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방법
JP2011109750A (ja) 2009-11-13 2011-06-02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負荷の電流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2979A (ja) 2003-10-15 2005-05-12 Matsumura Denki Seisakusho:Kk 照明装置
KR20080034316A (ko) * 2006-10-16 2008-04-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20100113710A (ko) * 2009-04-14 2010-10-22 김근식 볼트 레귤레이터를 이용한 정전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방법
JP2011109750A (ja) 2009-11-13 2011-06-02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負荷の電流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113A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9888B2 (en)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for a plurality of LED strings
US7471287B2 (en) Light source driving circuit for driving light emitting diode component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445466B2 (en) Lighting system with an interface having a power supply unit and at least one light source module
CN101043773B (zh) Led驱动电路
US20160286614A1 (en) Multichannel constant current led driving circuit, driving method and led driving power
US7459866B2 (en) DC to DC conversion circuit with variable output voltage
US20100164403A1 (en) Circuit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LCD backlights
US8664893B2 (en) Feedback control circuit and LED driving circuit
US20100102756A1 (en) Apparatus for driving light emitting device
JP6578126B2 (ja) 光源の駆動回路およびその制御回路、照明装置、電子機器
JP2008300208A (ja) 照明装置
US9210750B2 (en) LED lighting system
WO2013053532A1 (en) An led control circuit and a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9560702B2 (en) Light source module, power supply unit for operating a light source module of this kind, and lighting system
KR20040084729A (ko) 조명장치와 그것에 사용하는 조명헤드 및 전원장치
KR102162292B1 (ko)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3254566A (ja) 光源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KR101247506B1 (ko) 엘이디 스트링의 구동 장치
KR101394519B1 (ko) 정전류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CN112351551A (zh) 调光电路
CN102469665B (zh) 发光二极管驱动系统及驱动方法
JP2009231580A (ja) Led駆動モジュール
US20120105024A1 (en) Feedback Regulating Circuit
JP2009016460A (ja) 駆動装置及び照明装置
US20170251531A1 (en) Control circuit for ligh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