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501B1 - 소켓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소켓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501B1
KR101394501B1 KR1020120120442A KR20120120442A KR101394501B1 KR 101394501 B1 KR101394501 B1 KR 101394501B1 KR 1020120120442 A KR1020120120442 A KR 1020120120442A KR 20120120442 A KR20120120442 A KR 20120120442A KR 101394501 B1 KR101394501 B1 KR 101394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clamp
pipe
fixing
fixing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4672A (ko
Inventor
이남훈
Original Assignee
이남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훈 filed Critical 이남훈
Priority to KR1020120120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501B1/ko
Publication of KR20140054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켓 융착기의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받침대에 고정되고 소켓을 잡아주는 고정클램프의 내면에 일측 또는 타측을 절단하여 소켓의 일측과 타측 선단면및 선단 외주면을 잡아 고정하는 파지부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소켓에 결합되는 파이프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소켓이 고정클램프로부터 밀리거나 이탈되지 않게 하면서 고정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며, 또한 상기 고정클램프의 내면에 형성되는 파지부는 소켓의 일측과 타측 선단외면이 삽입 지지되는 지지단을 소켓의 일측과 타측의 선단 외주면과 같은 경사로 형성되는 경사단으로 형성함으로써 소켓이 파지할 때, 소켓의 외면의 흠집이나 손상을 방지하면서 잡아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고, 아울러 상기 고정클램프의 내면에 형성되는 파지부는 소켓의 일측과 타측 선단 외면과 맞닿는 지지단은 소켓이 유동 가능하게 형성하여 상기 소켓에 결합되는 파이프에 의해 소켓의 중심과 맞추어지도록 함으로써, 양질의 소켓과 파이프를 융착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소켓 클램핑 장치{SOCKET CLAMPING APPARATUS}
본 발명은 소켓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재질의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할 때 결합하여 사용되는 소켓 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재질의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소켓을 사용하여 연결하게 되고, 이때 상기 소켓과 파이프의 결합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융착기(H)를 이용하여 소켓(1)의 일단 내경과 파이프(2)의 일단 외경을 열용융한 후, 상기 열융착기(H)를 제거한 후, 상기 열 용융된 파이프(2)의 외경을 소켓(1)의 내경으로 삽입하는 것으로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소켓(1)에 파이프(2)를 삽입 결합하는 과정에서 소켓(1)과 파이프(2)의 결합부위는 열에 의해 유연한 상태이므로 상기 소켓(1)의 내경으로 상기 파이프(2)의 외경을 삽입 결합시, 소켓(1)의 결합부위, 즉 소켓(1)의 내경은 삽입 결합되는 파이프(2)의 외경에 의해 외향으로 벌어지면서 소켓(1)의 외경이 볼록하게 부풀어나거나, 결합되는 힘에 의해 외경이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소켓(1)과 파이프(2)간에 결합부위가 매끄럽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파이프(2)가 삽입 결합되는 소켓(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2)가 결합되는 일측과 타측 결합부위의 외경을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그 결합부위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소켓(1)의 내경에 파이프(2)의 외경에 삽입시, 상기 파이프(2)의 외경에 의해 소켓(1)의 내경이 벌어지면서 외경이 부풀어나더라고 상기 부풀어난 외경은 상기 하향 경사진 결합부위를 상향시켜 주게 되어 가능한 한 상기 소켓(1)의 결합부위를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소켓(1)과 파이프(2)를 결합할 때에는 서로가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준 상태에서 결합하여야 원활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소켓(1)에 파이프(2)를 결합할 때, 소켓(1)과 파이프(2)가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클램핑 장치를 사용하여 결합하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 장치는 제1 받침대(11)와 제2 받침대(12)의 상부에 결합하고자 하는 소켓(1)과 파이프(2) 각각이 내측으로 물리도록 내측에 곡면을 형성하는 상, 하로 이루어지는 소켓클램프(21)(22)와 이동클램프(31)로 각각 형성하고, 상기 이동클램프(31)에 상기 소켓클램프(21)(22)를 향하여 실린더(도시되지않음)를 이용한 작동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소켓(1)이 물리는 소켓클램프(21)(22)에 파이프(2)가 물리는 이동클램프(31)를 작동수단으로 이동시켜 상기 소켓(1)에 파이프(2)를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클램핑 장치로 소켓(1)과 파이프(2)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클램프(31)에 의해 고정되는 파이프(2)의 경우, 상기 이동클램프(31)의 내면이 파이프(2)의 외주면과 평면적으로 접촉되면서 잡아주게 되므로 고정에 별문제가 없으나, 상기 소켓클램프(21)(22)에 의해 고정되는 소켓(1)은 일측과 타측 선단으로 가면서 외주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평면적으로 형성된 상기 소켓클램프(21)(22)의 내면이 소켓(1)의 경사진 외주면에 한 곳만을 잡아주는 불안정 상태로 고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소켓(1)과 파이프(2)를 결합하기 위해 소켓클램프(21)(22)에 고정된 소켓(1)에 이동클램프(31)에 물려 고정된 파이프(2)를 이동하여 결합하게 되면, 상기 소켓(1)은 파이프(2)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소켓(1)은 힘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때 소켓(1)은 소켓클램프(21)(22)에 의해 점접합으로 한 곳만을 고정한 상태이므로 쉽게 힘의 한계를 벗어나게 되면서 소켓(1)은 힘의 반대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소켓클램프(21)(22)로부터 빠져 나오거나 이탈되어 정상적인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설령, 상기 소켓(1)은 파이프(2)가 삽입 될 때 가해지는 힘에 의해 이탈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불안정한 고정에 의해 상기 소켓(1)에 움직임이 발생하여 소켓(1)의 중심과 파이프(2)의 중심이 어긋나는 현상이 발생되어 결합 중심이 맞지 않는 왜곡된 결합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며, 소켓(1)과 파이프(2)의 중심점이 클램프들에 의하여 고정되게 되므로 중심점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치되지 않은 중심점 상태에서 이동클램프(31), (32)가 고정클램프(21), (22)에 대하여 이동되기 때문에 한쪽으로 기울어진 결합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탈 방지와 결합 중심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소켓클램프(21)(22)로 소켓(1)을 단단하게 고정하게 되면, 상기 소켓(1)은 소켓클램프(21)(22)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소켓(1)의 경사진 외경에는 흠집이 발생되거나, 용융된 상태의 소켓(10)의 경우, 내, 외주면이 축소되거나 찌그러짐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클램프에 고정되고 파이프가 결합되는 소켓에 열융착기 삽입 또는 파이프 결합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밀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 고정할 수 있는 소켓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클램프에 고정되고 파이프가 결합되는 소켓의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고 결합할 수 있는 소켓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클램프에 고정되고 파이프가 결합되는 소켓이 파이프와의 결합 중심이 맞추어지면서 결합 될 수 있는 소켓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소켓의 단부와 상기 소켓에 결합되는 파이프 단부를 용융시킨 후 상기 소켓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클램프와 상기 파이프 단부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클램프로 상기 소켓과 상기 파이프를 융착 결합시킬 때 상기 소켓을 클램핑하는 소켓 클램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일측단부을 지지하도록 내면의 외측에 파지부가 형성된 제1 고정클램프, 상기 소켓의 타측단부를 지지하도록 내면의 외측에 파지부가 형성된 제2 고정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클램프의 파지부의 내측면이 상기 소켓의 일측단부에 접촉되고 상기 제2 고정클램프의 파지부의 내측면이 상기 소켓의 타측단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고정클램프의 파지부와 상기 제2 고정클램프의 파지부의 내면에 외측으로 일부 남겨 놓고 직각으로 절단하여 내측으로 소켓의 일측과 타측 선단면을 고정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의 내측으로 소켓의 일측과 타측 선단 외주면을 삽입 지지하는 지지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수단에서 상기 지지단은 소켓의 외주면이 상하 좌우로 유동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서 상기 지지단은 상기 소켓의 일측과 타측 선단 외주면과 동일하게 경사지는 경사단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서 상기 고정클램프는 이동클램프에 대응하는 제1 고정클램프와, 상기 제1 고정클램프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제2 고정클램프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서 상기 고정클램프와 이동클램프는 상부클램프와 하부클램프로 각각 분리 형성하되, 상기 상부클램프의 일측에 상기 하부클램프와 가이드봉을 축으로 힌지되고 개폐되는 개폐볼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받침대에 고정되고 소켓을 잡아주는 소켓클램프의 내면에 일측 또는 타측을 절단하여 소켓의 일측과 타측 선단면및 선단 외주면을 잡아 고정하는 파지부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소켓에 결합되는 파이프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소켓이 소켓클램프로부터 밀리거나 이탈되지 않게 하면서 고정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소켓클램프의 내면에 형성되는 파지부는 소켓의 일측과 타측 선단외면이 삽입 지지되는 지지단을 소켓의 일측과 타측의 선단 외주면과 같은 경사로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소켓이 파지할 때, 소켓의 외면의 흠집이나 손상을 방지하면서 잡아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소켓클램프의 내면에 형성되는 파지부는 소켓의 일측과 타측 선단 외면과 맞닿는 지지단은 소켓이 유동 가능하게 형성하여 상기 소켓에 결합되는 파이프에 의해 소켓의 중심과 맞추어지도록 함으로써, 양질의 소켓과 파이프를 융착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소켓과 파이프의 결합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소켓과 파이프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소켓 클램핑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소켓 클램핑 장치의 구성 원리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소켓 클램핑 장치가 적용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소켓 클램핑 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소켓 클램핑 장치의 다른 실시예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소켓 클램핑 장치의 구성 원리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소켓(1)을 잡아 고정하는 소켓클램프(120)가 형성되고, 타측에 파이프(2)를 잡아 고정하는 이동클램프(130)가 형성되며, 상기 소켓클램프(120)에는 상기 소켓(1)의 일측선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각각 잡아주는 파지부(210)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소켓(1)은 소켓클램프(120)에 형성된 파지부(210)에 의해 일측선단부와 타측선단부를 파지한 상태로 고정하게 되므로, 소켓(1)에 파이프(2)를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삽입 결합시, 상기 소켓(1)은 파이프(2)에서 가해지면서 힘에 대하여 파지부(210)에 의해 막고 잡아주게 되어 상기 소켓(1)은 힘의 반대방향으로 밀리지 않게 되므로 상기 소켓(1)은 파지부(210)에 의해 소켓클램프(120)로부터 밀리거나 이탈됨이 없이 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소켓 클램핑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소켓 클램핑 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핑 장치(100)는 제1 받침대(111)와 제2 받침대(112)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제1 받침대(111)와 제2 받침대(112)의 상부에는 용융하여 결합하고자 하는 소켓(1)을 잡아 고정하도록 내측에 곡면을 형성하는 고정클램프(120)와, 파이프(2)를 잡아 고정하는 내측에 곡면을 형성하는 이동클램프(13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클램프(120)와 이동클램프(130)는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동작하도록 형성하게 되며, 상기 고정클램프(120)는 제1 고정클램프(121)과 제2 고정클램프(122)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클램프(130) 역시 제1 이동클램프(131)와 제 2 이동클램프(132)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클램프(120)의 제1 고정클램프(121)는 소켓(1)의 일측단부을 지지하도록 내면의 외측에 파지부(210)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클램프(120)의 제2 고정클램프(122) 역시 상기 소켓(1)의 타측단부를 지지하도록 내면의 외측에 파지부(210)를 형성하게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210)는 제1 고정클램프(121)와 제2 고정클램프(122)의 내면에 서로 마주 보도록 형성하여, 상기 제1 고정클램프(121)의 파지부(210)는 내측벽면이 상기 소켓(1)의 일측선단면(1-1)에 접촉되고, 상기 제2 고정클램프(122)의 파지부(210)는 내측벽면이 상기 소켓(1)의 타측 선단면(1-1)에 접촉되어 상기 소켓(1)의 일측과 타측을 외측에서 감싸서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파지부(210)는 제1 고정클램프(121)의 상부클램프(121-1), 하부클램프(121-2)와, 제2 고정클램프(122)의 상부클램프(122-1), 하부클램프(122-2)의 내면에 외측으로 일부 남겨 놓고 내측을 직각으로 절단하여 외측으로 상기 소켓(1)의 일측과 타측 선단면(1-1)을 각각 고정하는 고정단(21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단(211)의 내측으로 상기 소켓(1)의 일측과 타측 선단 외주면(1-2)을 감싸서 지지하는 지지단(212)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단(212)은 삽입 지지되는 소켓(1)의 외주면과 이격되는 깊이로 형성하여 상기 소켓(1)이 상기 파지부(210)의 내측에서 상하 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 고정클램프(121)와 제2 고정클램프(122)에 형성된 파지부(210)의 고정단(211)과 지지단(212)은 내측으로 상기 소켓(1)의 일측과 타측 선단면(1-1)을 고정함과 아울러, 소켓(1)의 일측과 타측 선단 외주면(1-2)이 삽입된 채 지지되게 되는바, 이때 상기 소켓(1)의 일측과 타측 선단 외주면(1-2)은 지지단(212)과 상하, 좌우로 유동 가능한 상태로 잡아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파지부(210)는 소켓(1)을 제1 고정클램프(121)와 제2 고정클램프(122)로 파지하여 고정할 때, 고정단(211)이 소켓(1)의 일측과 타측 선단면(1-1)을 외측 방향에서 잡아주고, 지지단(212)으로 소켓(1)의 일측과 타측 선단 외주면(1-2)을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소켓(1)은 어느 일방향으로부터 힘이 가해지더라도 파지부(210)의 고정단(211)에 의해 소켓(1)의 일측과 타측 선단면(1-1)을 각각 고정되게 되므로 상기 소켓(1)에 파이프(2)를 결합하기 위해 힘을 가하더라도 고정클램프(120)로부터 소켓(1)이 밀리거나 이탈됨이 없이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파지부(210)의 지지단(212)은 삽입된 소켓(1)의 선단 외주면(1-2)과 유동가능하게 형성하고 있어, 가령 결합되는 파이프(2)와 소켓(1)의 결합 중심에 다소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파이프(2)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소켓(1)은 지지단(212)의 유동가능 범위 내에서 상하 좌우로 유동하면서 중심을 찾아 결합되게 되어 상기 소켓(1)에 파이프(2)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휨 없는 양질의 결합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클램프(120) 중 이동클램프(130)에 인접되는 제1 클램프(121)의 하부 양측면과 상기 이동클램프(130)의 하부 양측면에는 실린더 로드(140)가 고정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로드(140)를 중심으로 왕복 동작하는 실린더(150)가 고정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150)는 유압으로 동작하게 되며, 상기 고정클램프(120)와 이동클램프(130)는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제1 고정클램프(121)과 제2 고정클램프(122)와 파이프(2)를 고정하여 이동하는 제1 이동클램프(131)와 제2 이동클램프(132)는 상,하로 분리 결합되는 상부클램프(121-1),(122-1),(131-1),(132-1)와 하부클램프(121-2),(122-2),(131-2),(132-2)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 고정클램프(121), 제2 고정클램프(122)와 제1 이동클램프(131),제2 이동클램프(132)는 하부클램프(121-2)(122-2),(131-2),(132-2)의 양측 상부에 일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타단이 고정된 가이드봉(160)이 관통하여 형성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실린더(150)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이동클램프(130)는 상기 가이드봉(160)에 안내 지지되면서 유동 없이 이동될 뿐만 아니라, 상기 실린더로드(140)에 걸리는 상기 이동클램프(130)의 하중을 상기 가이드봉(160)에서 분담하게 되어 더욱더 안정된 왕복운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클램프(120)와 이동클램프(130)의 상부클램프(121-1),(122-1), (131-1),(132-1)와 상기 하부클램프(121-2),(122-2),(131-2),(132-2) 각각에는 상부클램프(121-1),(122-1),(131-1),(132-1)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클램프(121-2),(122-2), (131-2),(132-2)와 체결 고정하는 개폐볼트(170)를 형성하여, 상기 개폐볼트(170)로 하부클램프(121-2),(122-2),(131-2),(132-2)로부터 상부클램프(121-1),(122-1), (131-1),(132-1)를 개폐하면서 소켓(1)과 파이프(2)를 고정하거나 빼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볼트(170)를 풀어 상부클램프(121-1),(122-1),(131-1),(132-1) 개방시, 상부클램프(121-1),(122-1),(131-1),(132-1)는 가이드봉(160)을 축으로 회동하면서 개방하게 되어 이탈 분리되지 않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 소켓 클램핑 장치의 다른 실시예도이다.
도 6에서 고정클램프(120)의 제1 고정클램프(121)와 제2 고정클램프(122)의 내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고, 소켓(1)의 일측과 타측 선단 외주면(1-2)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파지부(210)의 지지단(212)을, 소켓(1)의 일측과 타측 선단 외주면(1-2)과 동일하게 경사지는 경사단(213)으로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고정클램프(120)의 제1 고정크램프(121)과 제2 고정클램프(122)로 소켓(1)을 고정할 때, 소켓(1)의 일측과 타측 선단 외주면(1-2)은 상기 파지부(210)로부터 가해지는 고정 압력을 받더라도 상기 파지부(210)의 경사단(213)과 상기 소켓(1)의 일측과 타측 선단 외주면(1-2)과의 대면하는 면상 압력을 받게 되므로 상기 소켓(1)의 일측과 타측 선단 외주면(1-2)은 흠집이나 찌그러짐과 같은 손상이 없이 양질의 융착 결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소켓 1-1; 선단면
1-2; 외주면 2; 파이프
100; 클램핑장치 111; 제1 받침대
112; 제2 받침대 120; 고정클램프
121; 제1 고정클램프 122; 제2 고정클램프
121-1, 122-1; 상부클램프 121-2, 122-2; 하부클램프
130; 이동클램프 131; 제1 이동클램프
132; 제2 이동클램프 131-1, 132-1; 상부클램프
131-2, 132-2; 하부클램프 140; 실린더 로드
150; 실린더 160; 가이드봉
170; 개폐볼트 210; 파지부
211; 고정단 212; 지지단
213; 경사단

Claims (6)

  1. 소켓의 단부와 상기 소켓에 결합되는 파이프 단부를 용융시킨 후 상기 소켓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클램프와 상기 파이프 단부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클램프로 상기 소켓과 상기 파이프를 융착 결합시킬 때 상기 소켓을 클램핑하는 소켓 클램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일측단부을 지지하도록 내면의 외측에 파지부가 형성된 제1 고정클램프, 상기 소켓의 타측단부를 지지하도록 내면의 외측에 파지부가 형성된 제2 고정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클램프의 파지부의 내측면이 상기 소켓의 일측단부에 접촉되고 상기 제2 고정클램프의 파지부의 내측면이 상기 소켓의 타측단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고정클램프의 파지부와 상기 제2 고정클램프의 파지부의 내면에 외측으로 일부 남겨 놓고 직각으로 절단하여 내측으로 소켓의 일측과 타측 선단면을 고정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의 내측으로 소켓의 일측과 타측 선단 외주면을 삽입 지지하는 지지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클램핑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은 소켓의 외주면이 상하 좌우로 유동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클램핑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은 상기 소켓의 일측과 타측 선단 외주면과 동일하게 경사지는 경사단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클램핑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램프는 이동클램프에 대응하는 제1 고정클램프와, 상기 제1 고정클램프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제2 고정클램프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클램핑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램프는 상부클램프와 하부클램프로 각각 분리 형성하되, 상기 상부클램프의 일측에 상기 하부클램프와 가이드봉을 축으로 힌지되고 개폐되는 개폐볼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클램핑 장치.
KR1020120120442A 2012-10-29 2012-10-29 소켓 클램핑 장치 KR101394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442A KR101394501B1 (ko) 2012-10-29 2012-10-29 소켓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442A KR101394501B1 (ko) 2012-10-29 2012-10-29 소켓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672A KR20140054672A (ko) 2014-05-09
KR101394501B1 true KR101394501B1 (ko) 2014-05-13

Family

ID=50886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442A KR101394501B1 (ko) 2012-10-29 2012-10-29 소켓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5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502B1 (ko) * 2019-11-27 2021-03-10 이관민 융착대상의 중심조절이 가능한 열융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911B1 (ko) * 2020-06-24 2021-03-22 이관민 비드 생성을 감소시키는 열융착기
KR102302121B1 (ko) * 2020-06-29 2021-09-13 이관민 통풍구가 형성된 히터 및 이를 구비한 열융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7337A (ja) * 1999-08-05 2001-02-20 Honda Motor Co Ltd 内面加工治具
KR20030072690A (ko) * 2002-03-06 2003-09-19 이남훈 파이프 융착기의 파이프 클램핑 장치
KR20090087761A (ko) * 2008-02-13 2009-08-18 이남훈 합성수지관 융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7337A (ja) * 1999-08-05 2001-02-20 Honda Motor Co Ltd 内面加工治具
KR20030072690A (ko) * 2002-03-06 2003-09-19 이남훈 파이프 융착기의 파이프 클램핑 장치
KR20090087761A (ko) * 2008-02-13 2009-08-18 이남훈 합성수지관 융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502B1 (ko) * 2019-11-27 2021-03-10 이관민 융착대상의 중심조절이 가능한 열융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672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4774B2 (en) Welding joint and welding method for same, welding device, welding joint, resin pipe welding device and welding method
KR101394501B1 (ko) 소켓 클램핑 장치
US6994766B2 (en) Beveled cutter
JP2016105357A (ja) 電線接続具
KR101703523B1 (ko) 이음관 고정용 지그
KR101697517B1 (ko) 철근 연결장치
KR20170072909A (ko) 수지제 관이음 및 클램프 지그
KR101397983B1 (ko)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
KR101427224B1 (ko) 타이 클램프
TW202013845A (zh) 緊線器及使用此之活線排序工具
CN106002074A (zh) 一种建筑施工中活动式管路焊接用固定装置
KR101912483B1 (ko) 천공된 블록과 천공된 블록을 체결하기 위한 장치
FR2374463A1 (fr) Procede de fermeture et pince pour sa mise en oeuvre
JP2008292523A (ja) ルースチューブ光ファイバ把持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融着接続機
JPH06300177A (ja) パイプクランプ付電気融着継手
WO2017072886A1 (ja) 樹脂製配管部材、樹脂製管継手及び、配管の製造方法
KR100709144B1 (ko) 합성수지관 융착기의 클램핑장치
JP2020063819A (ja) 管の接合器、受口側係合部材用のアタッチメント、挿し口側係合部材用の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管の接合方法
KR100456615B1 (ko) 히터 분리수단이 구비된 파이프 클램핑 장치
RU2348856C1 (ru)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нагревательн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из зоны контактной сварки пластмассовых тру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041086B1 (ko) 셀프 후크를 구비한 보스
KR200402229Y1 (ko) 합성수지관 융착기의 클램핑장치
CN214685064U (zh) 一种管道直角焊接夹具
KR102298524B1 (ko) 카울 크로스 체결용 가이드 핀을 구비하는 가이드 핀 체결장치
JP5456301B2 (ja) ク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