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495B1 - Bridge bearing having movable stopper - Google Patents

Bridge bearing having movable stop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495B1
KR101393495B1 KR1020140014635A KR20140014635A KR101393495B1 KR 101393495 B1 KR101393495 B1 KR 101393495B1 KR 1020140014635 A KR1020140014635 A KR 1020140014635A KR 20140014635 A KR20140014635 A KR 20140014635A KR 101393495 B1 KR101393495 B1 KR 101393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stopper
stopper
lower plate
plate
elastic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6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현기환
Original Assignee
포엠 주식회사
매이크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엠 주식회사, 매이크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4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49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4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6Bearings or like supports allowing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40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bearing having a movable stopper which prevents damage to a stopper or an elastic pad by moving the location of the stopper of the bridge bearing in response to the excessive slip of an elastic pad. The bridge bearing having a movable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bearing which is installed between a pier and a girder of a bridge, which comprises a lower plate which is to be fixed to an upper part of the bridge; an upper plate which is to be coupled to a lower part of the girder and separ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lower plate; an elastic pad which is prepared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nd a movable stopper which is arranged o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part of the lower plate, respectively,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elastic pa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bridge of the elastic pad. The movable stopper comprises a coupling unit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or the lower plate for moving; and a stopper unit which is protruded from the coupling unit.

Description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BRIDGE BEARING HAVING MOVABLE STOPPER}[0001] BRIDGE BEARING HAVING MOVABLE STOPPER [0002]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3]

본 발명은 탄성패드의 과도한 미끄러짐에 대응하여 교좌 장치의 스토퍼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스토퍼나 탄성패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asi-apparatus having a movable stopper capable of preventing the stopper or the elastic pad from being damaged by varying the stopper position of the quasi-system in response to excessive slippage of the elastic pad.

교좌 장치란 교량의 상부구조인 상판과 하부구조인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을 지지하면서 교량 상부구조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교량 부속시설로, 지진, 바람 또는 온도 변화 등에 따른 교량 상판의 변위를 흡수한다.It is a bridge accessory facility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top plate, which is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and the bridge pier, which supports the upper plate and mitigates the impact applied to the bridge overhead structure. Absorbed.

종래 교좌 장치의 일례로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교각 상부(P) 및 거더(G)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하부플레이트(1)와 상부플레이트(2), 그리고 상하부플레이트(1, 2)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패드(3)로 구성되는 교좌 장치를 들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re are a lower plate 1 and an upper plate 2 and a lower plate 1 and a lower plate 2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pillar and the lower part of the girder G, And an elastic pad 3 placed on the elastic pad 3.

상기 교좌 장치는 교량 상판의 유동시 거더(G)의 이동을 제한하여 거더(G)를 교각 상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부플레이트(1, 2)의 대면하는 면에서 각각 돌출된 스토퍼(4)가 구비되며, 스토퍼(4)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된바 있다(특허 제10-1292012호 등).The above-mentioned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includes a stopper 4 protruding from the facing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1 and 2 so as to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girder G when the bridge top plate is moving and to stably support the girder G on the pier, And various techniques related to the stopper 4 have been proposed (for example, Japanese Patent No. 10-1292012).

즉, 상기 스토퍼는 교량의 폭 방향, 즉 교축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교량 상판의 교축 방향 유동은 자유롭게 허용하면서 교량의 수직 방향 유동을 제한한다.That is, the stopper is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dge, that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idge, so as to freely permit the throttling flow of the bridge top plate and restrict the vertical flow of the bridge.

그러나 거더의 폭 방향 유동이 스토퍼와의 거리 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 스토퍼와 탄성패드의 접촉에 의해 탄성패드나 스토퍼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탄성패드의 과도한 미끄러짐 등으로 유발되는 탄성패드의 마모, 박락 등에 의하여 상부 하중이 교각으로 원활하게 전달되지 못하고 교량의 사용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the widthwise flow of the girder occurs beyond the distance from the stopper, the elastic pad or the stopper may be damag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stopper and the elastic pa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pper load can not be smoothly transmitted to the pier due to abrasion or peeling of the elastic pad caused by excessive slippage of the elastic pad over time, and the usability of the bridge may be deteriorate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탄성패드의 과도한 미끄러짐에 대응하여 교좌 장치의 스토퍼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스토퍼나 탄성패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0008]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quasi-static device having a movable stopper that can prevent damage to a stopper or an elastic pad by varying a position of a stopper of a quasi-static device in response to an excessive slip of the elastic pad .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교량의 교각과 거더 사이에 설치되는 교좌 장치에서, 교각 상부에 고정되기 위한 것으로, 상면에 복수의 볼트결합공이 교축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하부플레이트; 거더 하부에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하면에 복수의 볼트결합공이 교축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 상부에 하부플레이트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패드; 및 상기 탄성패드의 교축 수직 방향 양측으로 탄성패드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부플레이트의 하부면 및 하부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각각 구비되는 가동형 스토퍼; 로 구성되되, 상기 가동형 스토퍼는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볼트관통공이 형성되어 볼트가 볼트관통공을 관통하여 복수의 볼트결합공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가동형 스토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서 돌출 형성된 스토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rdinate system installed between a pier and a girder of a bridge for fixing the pier to an upper part of a pier, wherein a plurality of bolt- A lower plate formed to be spaced apart; An upper plate disposed on the lower plat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bolt coupling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hrottling axis; An elastic pad provided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nd a movable stopper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respectivel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lastic pad by a certain distance on both s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ie axis of the elastic pad. Wherein the movable stopper is movab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or the lower plate and is formed with a bolt through hole so that the bolt penetrates the bolt through hole and is selectively coupl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olt engagement holes, And a stopper portion protruding from the engaging portion. The movable stopper includes a movable stopper.

삭제delet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의 가동형 스토퍼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스토퍼의 결합부가 수납되어 교축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groove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where the movable stopper is engaged, Thereby providing a query devic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의 폭은 스토퍼부의 폭보다 넓고, 스토퍼부의 양측으로 가이드홈의 상부를 덮어 가동형 스토퍼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cover member for preventing the movable stopper from being detached by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groove to both sides of the stopper portion, the width of the engaging portion being wider than the width of the stopper portion. And provides a seat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stopper.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교량의 교각과 거더 사이에 설치되는 교좌 장치에서, 교각 상부에 고정되기 위한 하부플레이트; 거더 하부에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플레이트 상부에 하부플레이트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패드; 및 상기 탄성패드의 교축 수직 방향 양측으로 탄성패드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부플레이트의 하부면 및 하부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각각 구비되는 가동형 스토퍼; 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형 스토퍼는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서 돌출 형성된 것으로 결합부의 폭보다 폭이 넓은 스토퍼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의 가동형 스토퍼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가동형 스토퍼의 결합부가 수납되어 교축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의 양측으로 가이드홈의 상부를 덮어 가동형 스토퍼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가동형 스토퍼의 결합부와 면하는 커버부재의 면에는 제1톱니부가 가동형 스토퍼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상기 제1톱니부와 대응되는 면에는 상기 제1톱니부에 걸리도록 제1톱니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톱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rdinate system installed between a bridge pier and a girder, comprising: a lower plate to be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a pier; An upper plat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elastic pad provided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nd a movable stopper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respectivel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lastic pad by a certain distance on both s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ie axis of the elastic pad. Wherein the movable stopper is composed of an engaging portion movably engaged with the upper plate or the lower plate and a stopper portion protruding from the engaging portion and having a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engaging portion, A cover member for preventing the movable stopper from being detached by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groove to both sides of the stopper portion is provided Wherein a first toothed portion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cover member facing the engaging portion of the movable stopper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movable stopper and a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othed portion, And a second toothed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first toothed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toothed portion And provides a seat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stopper.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교량의 교각과 거더 사이에 설치되는 교좌 장치에서, 교각 상부에 고정되기 위한 하부플레이트; 거더 하부에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플레이트 상부에 하부플레이트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패드; 및 상기 탄성패드의 교축 수직 방향 양측으로 탄성패드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부플레이트의 하부면 및 하부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각각 구비되는 가동형 스토퍼; 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형 스토퍼는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서 돌출 형성된 것으로 결합부의 폭보다 폭이 넓은 스토퍼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의 가동형 스토퍼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가동형 스토퍼의 결합부가 수납되어 교축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의 양측으로 가이드홈의 상부를 덮어 가동형 스토퍼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홈의 저면 또는 양측면에는 제1톱니부가 가동형 스토퍼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톱니부와 대응되는 결합부의 면에는 상기 제1톱니부에 걸리도록 제1톱니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톱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rdinate system installed between a bridge pier and a girder, comprising: a lower plate to be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a pier; An upper plat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elastic pad provided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nd a movable stopper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respectivel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lastic pad by a certain distance on both s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ie axis of the elastic pad. Wherein the movable stopper is composed of an engaging portion movably engaged with the upper plate or the lower plate and a stopper portion protruding from the engaging portion and having a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engaging portion, A cover member for preventing the movable stopper from being detached by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groove to both sides of the stopper portion is provided Wherein a first toothed portion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r both side surfaces of the guide groove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movable stopper and a first toothed portion and a second toothed portion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othed portion, And a second toothed portion of a corresponding shap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able stopper ≪ / RTI >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패드의 과도한 미끄러짐에 대응하여 교좌 장치의 스토퍼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스토퍼나 탄성패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opper and the elastic pad from being damaged by varying the stopper position of the calibration device in response to excessive slippage of the elastic pad.

이로써, 스토퍼와 탄성패드의 접촉에 의한 마모, 탈락 등의 손상 방지 및 내구성 증가로 상부 하중을 교량 하부 구조로 원활하게 전달시킬 수 있어 교량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Thus, it is possible to smoothly transfer the upper load to the bridge lower structure by preventing damage such as abrasion and dropping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 stopper and the elastic pad and increasing the durability, so that the bridge can be stably supported.

도 1은 종래 교각과 거더 사이에 설치된 교좌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가동형 스토퍼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가동형 스토퍼의 작동 과정을 도시하는 본 발명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가동형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가동형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가동형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가동형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ordinate system installed between a conventional pier and a girder.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ordinate system equipped with a movable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vable stopper.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libration device with a movable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stopper.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quasi-apparatus equipped with a movable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ovable stopper.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ordinate system provided with a movable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ovable stopper.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ordinate system equipped with a movable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ovable stopper;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movable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ovable stopper.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2는 본 발명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가동형 스토퍼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가동형 스토퍼의 작동 과정을 도시하는 본 발명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의 단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movable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vable stopper,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stopper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quasi-stationary device with an inventive movable stopper.

도 2 내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는 교량의 교각(P)과 거더(G) 사이에 설치되는 교좌 장치에서, 교각(P) 상부에 고정되기 위한 것으로, 상면에 복수의 볼트결합공(113)이 교축 수직 방향(y)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하부플레이트(11); 거더(G) 하부에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하면에 복수의 볼트결합공(123)이 교축 수직 방향(y)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11) 상부에 하부플레이트(11)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상부플레이트(12); 상기 하부플레이트(11)와 상부플레이트(1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패드(13); 및 상기 탄성패드(13)의 교축 수직 방향(y) 양측으로 탄성패드(13)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부플레이트(12)의 하부면 및 하부플레이트(11)의 상부면에 각각 구비되는 가동형 스토퍼(14); 로 구성되되, 상기 가동형 스토퍼(14)는 상부플레이트(12) 또는 하부플레이트(11)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볼트관통공(144)이 형성되어 볼트(B)가 볼트관통공(144)을 관통하여 복수의 볼트결합공(113, 123)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가동형 스토퍼(14)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결합부(141) 및 상기 결합부(141)에서 돌출 형성된 스토퍼부(1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to 4, a coordinate system equipped with a movable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a pierceway P in a coordinate system installed between a pier P of the bridge and the girder G, A lower plate 11 having a plurality of bolt coupling holes 113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axis y; A plurality of bolt coupling holes 123 are formed at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y of the throttle. An upper plate 12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An elastic pad 13 provided between the lower plate 11 and the upper plate 12; And a movable stopper which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lastic pad 13 by a certain distance on both s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y of the elastic pad 13, (14); The movable stopper 14 is movab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12 or the lower plate 11 so that a bolt through hole 144 is formed so that the bolt B is inserted into the bolt through hole 144, A stopper portion 141 protruding from the engaging portion 141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ovable stopper 14 by being selectively coupl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olt engagement holes 113, (142).

상기 하부플레이트(11)는 평판을 이용할 수 있으며, 교각(P) 상부에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수평 고정될 수 있다. The lower plate 11 may be a flat plate and may be horizontally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pier using an anchor bolt or the like.

상기 상부플레이트(12)는 거더(G) 하부에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플레이트(11) 상부에서 하부플레이트(11)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수평 고정될 수 있다.
The upper plate 12 may be horizontally fixed to the lower plate 11 by an anchor bolt or the lik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late 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탄성패드(13)는 하부플레이트(11)와 상부플레이트(12) 사이에 구비되어, 교량의 압축력과 변형력을 지지한다. 특히, 풍하중이나 지진하중 또는 온도변화에 의한 교량의 수축·이완 등으로 인한 하중 작용시 탄성패드(13)는 도 4의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교축 수직 방향(y)으로 변형될 수 있다. The elastic pad 13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plate 11 and the upper plate 12 to support a compressive force and a deforming force of the bridge. Particularly, as shown in Fig. 4 (b), the elastic pad 13 is deformed in the throttling vertical direction y when the load acts due to the shrinkage and relaxation of the bridge due to wind load, seismic load or temperature change .

상기 탄성패드(13)는 고무판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고무판을 여러 개 적층하여 사용하거나 이들 사이에 강도 보완을 위한 철판이나 납기둥 등을 위치시킬 수도 있다.
The elastic pad 13 may be a rubber plate or the like, and a plurality of rubber plates may be stacked, or an iron plate, a lead column, or the like may be positioned therebetween to reinforce the strength.

상기 가동형 스토퍼(14)는 탄성패드(13)의 교축 수직 방향(y) 양측으로 탄성패드(13)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부플레이트(12)의 하부면 및 하부플레이트(11)의 상부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교축 수직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부플레이트(12)의 하부면 및 하부플레이트(11)의 상부면에 결합된다. The movable stopper 14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lastic pad 1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both s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y of the elastic pad 13 And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 so as to be movable in the throttling vertical direction y.

즉, 가동형 스토퍼(14)는 교축 수직 방향(y)으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부플레이트(12)의 하부면에 한 쌍, 하부플레이트(11)의 상부면에 한 쌍 위치된다. 그리고 이들 인접 가동형 스토퍼(14) 사이에 탄성패드(13)가 위치된다.That is, the movable stoppers 14 are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2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 so that the movable stoppers 1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axis y in the throttling direction. The elastic pads 13 are positioned between these adjacent movable stoppers 14. [

이로써, 교축 수직 방향(y)의 유동에 의한 거더(G)의 수평 변위를 흡수하여 거더(G)가 교축 수직 방향(y)으로 일정 범위 이상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거더(G)가 인접 가동형 스토퍼(14) 사이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한다. Thereby, the girder G is moved to the adjacent movable type (Y) so as to absorb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girder G due to the flow in the vertical axis y of the throttling axis so that the girder G does not flow over a certain range in the vertical axis y And the stopper (14).

이때, 거더(G)의 수평 변위를 적절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도 4의 (a) 내지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플레이트(12)의 하부면에 형성된 한 쌍의 가동형 스토퍼(14)는 하부플레이트(11)의 상부면에 형성된 한 쌍의 가동형 스토퍼(14) 내측에 위치되거나, 반대로 상부플레이트(12)의 하부면에 형성된 한 쌍의 가동형 스토퍼(14)는 하부플레이트(11)의 상부면에 형성된 한 쌍의 가동형 스토퍼(14) 외측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4 (a) to 4 (b), a pair of movable stoppers 14 (see FIG. 4)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2 are provided so that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girder G can be appropriately absorbed. A pair of movable stoppers 14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2 ar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 The movable stoppers 14 may be located outside the pair of movable stoppers 1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

상기 가동형 스토퍼(14)는 상부플레이트(12) 또는 하부플레이트(11)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41) 및 상기 결합부(141)에서 돌출 형성된 스토퍼부(142)로 구성된다. The movable stopper 14 is composed of a coupling portion 141 movably coupled with the upper plate 12 or the lower plate 11 and a stopper portion 142 protru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141.

상기 결합부(141)와 스토퍼부(142)는 별개의 부재로 상호 결합하거나 상호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The engaging portion 141 and the stopper portion 142 may be mutually coupled or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이때, 상부플레이트(12)의 하부로 돌출된 스토퍼부(142)와 하부플레이트(11)의 상부로 돌출된 스토퍼부(142)는 도 4의 (a) 내지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정 높이에서 상호 일정 길이만큼 길이가 중복되어 거더(G)의 변위를 제한하도록 하여야 한다.
At this time, the stopper portion 142 protru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2 and the stopper portion 142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11, as shown in FIGS. 4 (a) to 4 (b) , So that the length of the girder G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limit the displacement of the girder G.

본 발명에서는 가동형 스토퍼(14)를 상부플레이트(12) 또는 하부플레이트(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를 상정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 도 5 내지 도 6의 실시예, 도 7 내지 도 8의 실시예, 도 9 내지 도 10의 실시예, 도 11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서 이들에 대하여 차례대로 살펴보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mbodiments for movably coupling the movable stopper 14 to the upper plate 12 or the lower plate 11 can be envisaged and representatively represent the embodiment of Figs. 2 to 4, Fig. 5 The embodiments of FIGS. 7 to 8, the embodiments of FIGS. 9 to 10, and the embodiments of FIGS. 11 to 12 will be described in order.

우선, 도 2 내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부(141)에는 볼트관통공(144)이 형성되고 상부플레이트(12) 및 하부플레이트(11)에는 복수의 볼트결합공(113, 123)이 형성되어, 볼트(B)가 상기 결합부(141)의 볼트관통공(144)을 관통하여 복수의 볼트결합공(113, 123)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가동형 스토퍼(14)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2 to 4, a bolt through hole 144 is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14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lurality of bolt coupling holes 144 are formed in the upper plate 12 and the lower plate 11, The bolts B ar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bolt holes 113 and 123 through the bolt through holes 144 of the engaging portion 141 so that the movable stopper 14 ) Can be adjusted.

따라서 거더(G)의 교축 수직 방향(y) 유동에 대응하여 탄성패드(13)의 과도한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등의 이유로 가동형 스토퍼(14)의 위치를 변경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도 4의 (b)에서와 같이 결합부(141)의 볼트관통공(144)과 상부플레이트(12) 및 하부플레이트(11)의 볼트결합공(113, 123)을 관통하는 볼트(B)를 풀어 가동형 스토퍼(14)를 해체하고 다른 볼트결합공(113, 123)에 볼트(B)를 결합하여 작업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가동형 스토퍼(14)를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탄성패드(13) 및 가동형 스토퍼(14)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movable stopper 14 because of excessive slippage of the elastic pad 13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he girder G in the vertical direction y of the throttling axis, the bolts B passing through the bolt through holes 144 of the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bolt coupling holes 113 and 123 of the upper plate 12 and the lower plate 11 are loosened as shown in FIG. The movable stopper 14 can be disengaged and the bolt B can be coupled to the other bolt coupling holes 113 and 123 so that the movable stopper 14 can be moved to another position according to the manual operation of the operator.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astic pad 13 and the movable stopper 14 from being damaged by the contact.

이때, 상기 스토퍼부(142)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부(141) 중앙 상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동형 스토퍼(14)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볼트관통공(144)은 스토퍼부(142) 좌우에 위치한 결합부(141) 부분에 각각 한 쌍씩 형성할 수 있다.
3, the stopper portion 142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coupling portion 141 and may include a bolt through hole 144 for securely fixing the movable stopper 14, One pair may be formed on each of the engaging portions 141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stopper portion 142, respectively.

특히, 상기 상부플레이트(12) 및 하부플레이트(11)의 가동형 스토퍼(14)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가동형 스토퍼(14)의 결합부(141)가 수납되어 교축 수직 방향(y)으로 이동되는 가이드홈(111, 121)이 형성될 수 있다. Particularly, in the portion where the upper plate 12 and the movable plate 14 of the lower plate 11 are engaged, the engaging portion 141 of the movable stopper 14 is received and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y Guide grooves 111 and 121 may be formed.

상기 가이드홈(111, 121)은 가동형 스토퍼(14)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며, 결합부(141)가 상부플레이트(12) 또는 하부플레이트(11)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The guide grooves 111 and 121 guide the moving path of the movable stopper 14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141 does not protrude from the upper plate 12 or the lower plate 11.

상기 가이드홈(111, 121)은 상부플레이트(12) 및 하부플레이트(11)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홈으로 다양한 형상이 제시될 수 있으며,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부플레이트(12, 11)의 단부측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와 같은 가이드홈(111, 121)의 경우에는 상하부플레이트(12, 11)의 외측에서 가동형 스토퍼(14)의 결합부(141)를 가이드홈(111, 121)으로 밀어넣을 수 있다. The guide grooves 111 and 121 may be formed in the upper plate 12 and the lower plate 11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and may have various shapes. As shown in FIG. 2, the upper and lower plates 12 and 11, As shown in FIG. In the case of the guide grooves 111 and 121 as shown in FIG. 2, the engaging portion 141 of the movable stopper 14 can be pushed into the guide grooves 111 and 121 from the outside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12 and 11.

또한, 상기 가이드홈(111, 121)은 하나의 플레이트로 구성된 상하부플레이트(12, 11)를 각각 소정 깊이만큼 일부 제거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플레이트(11)를 상부판과 하부판의 복수의 플레이트로 구성하고, 단부 일부가 ㄷ자형으로 절취되어 가이드홈(111)을 구성하는 상부판을 하부판 상부에 결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부플레이트(12) 역시 하부플레이트(11)에서와 마찬가지로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구성하여 가이드홈(121)을 형성할 수 있다.
The guide grooves 111 and 121 may be formed by partially removing the upper and lower plates 12 and 11 each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However, as shown in FIG. 2, And a top plate constituting the guide groove 111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by cutting a part of the end portion into a U shape. The upper plate 12 may be formed of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as in the lower plate 11 to form the guide groove 121.

도 5는 본 발명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가동형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movable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ovable stopper.

도 5 내지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부(141)의 폭(L1)은 스토퍼부(142)의 폭(L2)보다 넓고, 스토퍼부(142)의 양측으로 가이드홈(111, 121)의 상부를 덮어 가동형 스토퍼(14)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부재(1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5 to 6,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L1 of the engaging portion 141 is wider than the width L2 of the stopper portion 142, And a cover member (15) for covering the upper portions of the movable stoppers (111, 121) so that the movable stopper (14) is not released.

이로써, 앞서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결합부(141)를 상부플레이트(12) 또는 하부플레이트(11)에 볼트(B) 결합하지 않는 경우, 상부플레이트(12) 또는 하부플레이트(11)로부터 가동형 스토퍼(14)가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부(141)의 하부플레이트(11) 양측 상면 또는 상부플레이트(12)의 양측 하면을 커버부재(15)로 고정할 수 있다. 2 to 4, when the bolt B is not coupled to the upper plate 12 or the lower plate 11, the upper plate 12 or the lower plate 11 Both side surfaces of the lower plate 11 of the engaging portion 141 or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12 can be fixed with the cover member 15 so that the movable stopper 14 is not released.

이를 위하여 커버부재(15)에는 볼트관통공(15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커버부재(15)의 볼트관통공(151)에 대응되는 가이드홈(111, 121)의 저면에는 볼트(B)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홈을 구비할 수 있다. A bolt through hole 151 may be formed in the cover member 15 and bolt B end portions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guide grooves 111 and 121 corresponding to the bolt through holes 151 of the cover member 15. [ And a groove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be inserted thereinto.

상기 볼트관통공(151)은 각 커버부재(15)마다 한 쌍씩 위치시켜 커버부재(15)의 양단이 상부플레이트(12) 또는 하부플레이트(11)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The bolt through-holes 151 are arranged for each cover member 15 so that both ends of the cover member 15 are firmly fixed to the upper plate 12 or the lower plate 11.

따라서 거더(G)의 교축 수직 방향(y) 유동에 대응하여 가동형 스토퍼(14)의 위치를 변경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커버부재(15)의 볼트관통공(151)에 결합된 볼트(B)를 풀어 가동형 스토퍼(14)를 해체하고 가동형 스토퍼(14)의 위치를 조절한 다음 다시 커버부재(15)를 체결하여 작업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가동형 스토퍼(14)를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Therefore, whe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movable stopper 14 in correspondence with the flow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rottle (y) of the girder G, the bolts B The movable stopper 14 is disengag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movable stopper 14 and then the cover member 15 is again tightened to move the movable stopper 14 to another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manual operation of the operator .

상기 결합부(141)의 폭(L1)과 스토퍼부(142)의 폭(L2)은 각각 교축 방향(x)에 따른 폭을 의미한다.
The width L1 of the engaging portion 141 and the width L2 of the stopper 142 mean the width along the diagonal direction x.

도 7은 본 발명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가동형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ordinate system equipped with the movable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ovable stopper.

도 7 내지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가동형 스토퍼(14)의 결합부(141)와 면하는 커버부재(15)의 면에는 제1톱니부(152)가 가동형 스토퍼(14)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41)의 상기 제1톱니부(152)와 대응되는 면에는 상기 제1톱니부(152)에 걸리도록 제1톱니부(152)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톱니부(1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7 to 8, a first toothed portion 152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cover member 15 facing the engaging portion 141 of the movable stopper 14, And a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141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othed portion 152 is formed with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othed portion 152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toothed portion 152 And the second toothed portion 143 is formed.

상기 제1톱니부(152)와 제2톱니부(143)를 구성하는 각각의 톱니는 각각 수평면과 소정 각도를 형성하는 경사부와 수직 방향의 걸림부로 구성할 수 있으며, 탄성패드(13)의 변형 시 탄성패드(13)가 가동형 스토퍼(14)에 접촉되면 탄성패드(13)의 변형에 의해 자동적으로 가동형 스토퍼(14)가 톱니부를 따라 밀려 가동형 스토퍼(14)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Each of the teeth constituting the first toothed portion 152 and the second toothed portion 143 can be constituted by an inclined portion which forms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horizontal plane and an engagement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elastic pad 1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ovable stopper 14 upon deformation, the movable stopper 14 is automatically pushed along the serrations by the deformation of the elastic pad 13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movable stopper 14 .

특히, 톱니의 경사부와 걸림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가동형 스토퍼(14)의 이동 방향을 한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7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탄성패드(13) 측으로부터 경사부와 걸림부가 차례대로 위치되도록 제1톱니부(152)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톱니의 경사부를 타고 탄성패드(13)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만 가동형 스토퍼(14)의 이동이 가능하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inclined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of the tee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able stopper 14 can be adjusted in one direction. 7, when the first toothed portion 152 is formed so that the inclined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are sequentially positioned from the side of the elastic pad 13, the first toothed portion 152 is formed so as to be away from the elastic pad 13 It is possible to move the movable stopper 14 only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도 9는 본 발명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가동형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가동형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movable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ovable stopper.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movable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ovable stopper.

본 발명에서는 도 9 내지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111, 121)의 저면에 제1톱니부(112)가 형성되거나 도 11 내지 도 1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111, 121)의 양측면에 제1톱니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9 to 10, the first toothed portion 11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guide grooves 111, 121, or the guide grooves 111, 111 and 121 may have first toothed portions 112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이때 상기 가이드홈(111, 121)의 저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된 제1톱니부(112)는 가동형 스토퍼(14)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톱니부(112)와 대응되는 결합부(141)의 면에는 상기 제1톱니부(112)에 걸리도록 제1톱니부(112)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톱니부(143)가 형성된다. The first toothed portion 11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r both side surfaces of the guide grooves 111 and 121 is form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able stopper 14 and the engag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othed portion 112 141 have a second toothed portion 143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first toothed portion 112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toothed portion 112.

여기에서 제1톱니부(112)와 제2톱니부(143)를 구성하는 각 톱니의 형상 및 가동형 스토퍼(14)의 톱니부를 따른 이동은 앞서 도 7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Here, the shape of each tooth constituting the first toothed portion 112 and the second toothed portion 143 and the movement along the toothed portion of the movable stopper 14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Figs. 7 to 8 .

1: 하부플레이트 2: 상부플레이트
3: 탄성패드 4: 스토퍼
11: 하부플레이트 111: 가이드홈
112: 제1톱니부 113: 볼트결합공
12: 상부플레이트 121: 가이드홈
123: 볼트결합공 13: 탄성패드
14: 가동형 스토퍼 141: 결합부
142: 스토퍼부 143: 제2톱니부
144: 볼트관통공 15: 커버부재
151: 볼트관통공 152: 제1톱니부
B: 볼트
G: 거더 P: 교각
L1: 결합부의 폭 L2: 스토퍼부의 폭
x: 교축 방향 y: 교축 수직 방향
1: lower plate 2: upper plate
3: elastic pad 4: stopper
11: lower plate 111: guide groove
112: first toothed portion 113: bolt coupling hole
12: upper plate 121: guide groove
123: Bolt joint hole 13: Elastic pad
14: movable stopper 141: engaging portion
142: stopper portion 143: second toothed portion
144: bolt through hole 15: cover member
151: bolt through hole 152: first toothed portion
B: Bolt
G: girder P: pier
L1: width of engagement portion L2: width of stopper portion
x: Throttling direction y: Throttling vertical direction

Claims (6)

교량의 교각(P)과 거더(G) 사이에 설치되는 교좌 장치에서,
교각(P) 상부에 고정되기 위한 것으로, 상면에 복수의 볼트결합공(113)이 교축 수직 방향(y)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하부플레이트(11);
거더(G) 하부에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하면에 복수의 볼트결합공(123)이 교축 수직 방향(y)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11) 상부에 하부플레이트(11)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상부플레이트(12);
상기 하부플레이트(11)와 상부플레이트(1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패드(13); 및
상기 탄성패드(13)의 교축 수직 방향(y) 양측으로 탄성패드(13)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부플레이트(12)의 하부면 및 하부플레이트(11)의 상부면에 각각 구비되는 가동형 스토퍼(14); 로 구성되되,
상기 가동형 스토퍼(14)는 상부플레이트(12) 또는 하부플레이트(11)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볼트관통공(144)이 형성되어 볼트(B)가 볼트관통공(144)을 관통하여 복수의 볼트결합공(113, 123)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가동형 스토퍼(14)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결합부(141) 및 상기 결합부(141)에서 돌출 형성된 스토퍼부(1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
In a coplanar apparatus installed between a bridge pier P and a girder G,
A lower plate 11 to be fixed on the upper part of the pier P and having a plurality of bolt holes 11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y;
A plurality of bolt coupling holes 123 are formed at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y of the throttle. An upper plate 12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An elastic pad 13 provided between the lower plate 11 and the upper plate 12; And
A movable stopper (not shown)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lastic pad 1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both s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y of the elastic pad 13 14); Respectively,
The movable stopper 14 is movab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12 or the lower plate 11 so that a bolt through hole 144 is formed to allow the bolt B to pass through the bolt through hole 144, A stopper portion 142 protruding from the engaging portion 14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141. The engaging portion 141 can be selectively engaged with any one of the bolt holes 113 and 123 of the movable stopper 14, And the movable stopper is provided with a movable stopper.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2) 및 하부플레이트(11)의 가동형 스토퍼(14)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스토퍼의 결합부(141)가 수납되어 교축 수직 방향(y)으로 이동되는 가이드홈(111, 1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Guide grooves 111 and 121 are formed at portions of the upper plate 12 and the lower plate 11 where the movable stoppers 14 are engaged to accommodate the engagement portions 141 of the stoppers and are moved in the vertical axis y, And the movable stopper is provided with a movable stopper.
제3항에서,
상기 결합부(141)의 폭(L1)은 스토퍼부(142)의 폭(L2)보다 넓고, 스토퍼부(142)의 양측으로 가이드홈(111, 121)의 상부를 덮어 가동형 스토퍼(14)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부재(1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width L1 of the engaging portion 141 is wider than the width L2 of the stopper portion 142 and the movable stopper 14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grooves 111 and 121 on both sides of the stopper portion 142, And a cover member (15) for preventing the movable stopper from coming off.
교량의 교각(P)과 거더(G) 사이에 설치되는 교좌 장치에서,
교각(P) 상부에 고정되기 위한 하부플레이트(11);
거더(G) 하부에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플레이트(11) 상부에 하부플레이트(11)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상부플레이트(12);
상기 하부플레이트(11)와 상부플레이트(1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패드(13); 및
상기 탄성패드(13)의 교축 수직 방향(y) 양측으로 탄성패드(13)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부플레이트(12)의 하부면 및 하부플레이트(11)의 상부면에 각각 구비되는 가동형 스토퍼(14); 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형 스토퍼(14)는 상부플레이트(12) 또는 하부플레이트(11)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41) 및 상기 결합부(141)에서 돌출 형성된 것으로 결합부(141)의 폭(L1)보다 폭(L2)이 넓은 스토퍼부(142)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12) 및 하부플레이트(11)의 가동형 스토퍼(14)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가동형 스토퍼(14)의 결합부(141)가 수납되어 교축 수직 방향(y)으로 이동되는 가이드홈(111, 121)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142)의 양측으로 가이드홈(111,121)의 상부를 덮어 가동형 스토퍼(14)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부재(15)가 더 구비되되,
상기 가동형 스토퍼(14)의 결합부(141)와 면하는 커버부재(15)의 면에는 제1톱니부(152)가 가동형 스토퍼(14)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41)의 상기 제1톱니부(152)와 대응되는 면에는 상기 제1톱니부(152)에 걸리도록 제1톱니부(152)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톱니부(1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
In a coplanar apparatus installed between a bridge pier P and a girder G,
A lower plate 11 to b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pier P;
An upper plate 12 provided on the lower plate 11 so as to b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girder G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late 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elastic pad 13 provided between the lower plate 11 and the upper plate 12; And
A movable stopper (not shown)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lastic pad 1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both s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y of the elastic pad 13 14); ≪ / RTI >
The movable stopper 14 includes an engaging portion 141 movably engaged with the upper plate 12 or the lower plate 11 and a protrusion formed at the engaging portion 141 and having a width L1 of the engaging portion 141 And a stopper portion 142 having a width L2 greater than that of the movable stopper 14. A portion of the upper plate 12 and the lower plate 11, The movable stopper 14 is form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grooves 111 and 121 to both sides of the stopper portion 142. The movable stopper 14 and the movable stopper 14, And a cover member (15)
A first toothed portion 152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ver member 15 facing the engaging portion 141 of the movable stopper 14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able stopper 14 and the engaging portion 141 And a second toothed portion 143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othed portion 152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first toothed portion 152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othed portion 152 so as to be caught by the first toothed portion 152 Wherein the movable stopper is provided with a movable stopper.
교량의 교각(P)과 거더(G) 사이에 설치되는 교좌 장치에서,
교각(P) 상부에 고정되기 위한 하부플레이트(11);
거더(G) 하부에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플레이트(11) 상부에 하부플레이트(11)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상부플레이트(12);
상기 하부플레이트(11)와 상부플레이트(1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패드(13); 및
상기 탄성패드(13)의 교축 수직 방향(y) 양측으로 탄성패드(13)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부플레이트(12)의 하부면 및 하부플레이트(11)의 상부면에 각각 구비되는 가동형 스토퍼(14); 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형 스토퍼(14)는 상부플레이트(12) 또는 하부플레이트(11)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41) 및 상기 결합부(141)에서 돌출 형성된 것으로 결합부(141)의 폭(L1)보다 폭(L2)이 넓은 스토퍼부(142)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12) 및 하부플레이트(11)의 가동형 스토퍼(14)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가동형 스토퍼(14)의 결합부(141)가 수납되어 교축 수직 방향(y)으로 이동되는 가이드홈(111, 121)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142)의 양측으로 가이드홈(111,121)의 상부를 덮어 가동형 스토퍼(14)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부재(15)가 더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홈(111, 121)의 저면 또는 양측면에는 제1톱니부(112)가 가동형 스토퍼(14)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톱니부(112)와 대응되는 결합부(141)의 면에는 상기 제1톱니부(112)에 걸리도록 제1톱니부(112)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톱니부(1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스토퍼가 구비된 교좌 장치.
In a coplanar apparatus installed between a bridge pier P and a girder G,
A lower plate 11 to b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pier P;
An upper plate 12 provided on the lower plate 11 so as to b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girder G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late 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elastic pad 13 provided between the lower plate 11 and the upper plate 12; And
A movable stopper (not shown)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lastic pad 1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both s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y of the elastic axis of the elastic pad 13 14); ≪ / RTI >
The movable stopper 14 includes an engaging portion 141 movably engaged with the upper plate 12 or the lower plate 11 and a protrusion formed at the engaging portion 141 and having a width L1 of the engaging portion 141 And a stopper portion 142 having a width L2 greater than that of the movable stopper 14. A portion of the upper plate 12 and the lower plate 11, The movable stopper 14 is form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grooves 111 and 121 to both sides of the stopper portion 142. The movable stopper 14 and the movable stopper 14, And a cover member (15)
A first toothed portion 112 is formed in a bottom surface or both side surfaces of the guide grooves 111 and 121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able stopper 14 and a coupling portion 141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othed portion 112, Wherein a second toothed portion (143)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othed portion (112)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first toothed portion (112)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toothed portion (112).
KR1020140014635A 2014-02-10 2014-02-10 Bridge bearing having movable stopper KR1013934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635A KR101393495B1 (en) 2014-02-10 2014-02-10 Bridge bearing having movable stop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635A KR101393495B1 (en) 2014-02-10 2014-02-10 Bridge bearing having movable stopp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495B1 true KR101393495B1 (en) 2014-05-13

Family

ID=50893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635A KR101393495B1 (en) 2014-02-10 2014-02-10 Bridge bearing having movable stopp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495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229B1 (en) * 2016-01-27 2016-05-04 진충한 Gauge for bridge bearing and bridge bearing with the same
KR101879072B1 (en) * 2016-12-20 2018-07-16 주식회사 포스코 Damper apparatus and building sturcture
KR20180126657A (en) * 2017-05-17 2018-11-2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 three dimension seismic isolator for maintaining easily
KR102523632B1 (en) * 2023-01-05 2023-04-19 씨에스글로벌 주식회사 Shear key for bridge capable of spacing adjustment and displacement measurement
KR102525039B1 (en) * 2023-01-17 2023-04-24 주식회사 씨엔알 Shear key for bridge capable of negative reaction resistance and displacement measurement
KR102665376B1 (en) * 2024-02-27 2024-05-10 백승현 Horizontal force reinfocement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500Y1 (en) * 2000-07-10 2000-12-15 주식회사케이.알 Bridge shoe for amending bias
KR20110009665U (en) * 2010-04-06 2011-10-12 (주)광성이엔씨 Bridge bea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500Y1 (en) * 2000-07-10 2000-12-15 주식회사케이.알 Bridge shoe for amending bias
KR20110009665U (en) * 2010-04-06 2011-10-12 (주)광성이엔씨 Bridge bearing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229B1 (en) * 2016-01-27 2016-05-04 진충한 Gauge for bridge bearing and bridge bearing with the same
KR101879072B1 (en) * 2016-12-20 2018-07-16 주식회사 포스코 Damper apparatus and building sturcture
KR20180126657A (en) * 2017-05-17 2018-11-2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 three dimension seismic isolator for maintaining easily
KR102085960B1 (en) * 2017-05-17 2020-03-0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 three dimension seismic isolator for maintaining easily
KR102523632B1 (en) * 2023-01-05 2023-04-19 씨에스글로벌 주식회사 Shear key for bridge capable of spacing adjustment and displacement measurement
KR102525039B1 (en) * 2023-01-17 2023-04-24 주식회사 씨엔알 Shear key for bridge capable of negative reaction resistance and displacement measurement
KR102665376B1 (en) * 2024-02-27 2024-05-10 백승현 Horizontal force reinfocement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495B1 (en) Bridge bearing having movable stopper
KR101561584B1 (en) Transformer
KR101665118B1 (en) Active type vibration isolation device
KR20090120753A (en) Lead rubber bearing of one way moving type
KR101510824B1 (en) Access floor installation device using plat pads
JP5695787B1 (en) Forced double-sided slide support device for structures
JP6267457B2 (en) Three-sided slide support device for structures
KR101639568B1 (en) height control device
KR20180127838A (en) Negative reaction control and displacement absorb device for noise barrier of bridges, girder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50115875A (en) A railway rail anchoring device
JP6678006B2 (en) Slide bearing device for structures
JP6827770B2 (en) Double-sided slide bearing device for structures
US11821159B2 (en) Reinforcement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KR20090024492A (en) Bridge bearing apparatus
JP7050553B2 (en) Supporting equipment for structures
KR100776249B1 (en) Expansion and turnout rail axis move prevention equipment and a method
KR101481029B1 (en) Expansion joints with six direction dof
KR101850608B1 (en) Extensable connecting device for contraction of abridge
KR101226006B1 (en) Support structural body of pipe
KR101062234B1 (en) Simultaneous dustproof joist
JP2013091957A (en) Rail projection preventing device and slab track
JP7051622B2 (en) Rail fastening device
KR200222439Y1 (en) Bridge Bearing equipped with deck restrainer
KR101774438B1 (en) a finger joint with a guide finger for seismic isolation control
KR200479970Y1 (en) Rail fastening apparatus for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