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442B1 - 문자 조각용 지그 - Google Patents

문자 조각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442B1
KR101393442B1 KR1020120118856A KR20120118856A KR101393442B1 KR 101393442 B1 KR101393442 B1 KR 101393442B1 KR 1020120118856 A KR1020120118856 A KR 1020120118856A KR 20120118856 A KR20120118856 A KR 20120118856A KR 101393442 B1 KR101393442 B1 KR 101393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lpted
jig
engraving
prese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2596A (ko
Inventor
김규영
Original Assignee
김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영 filed Critical 김규영
Priority to KR1020120118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442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3/00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substantially two- dimensionally for carving, engraving, or guilloching shallow ornamenting or markings
    • B44B3/06Accessories, e.g. tool or work holders
    • B44B3/065Work holder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인체에 무리가 없는 자세를 취하면서 글씨를 조각할 수 있고, 조각대상물체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수용 도구를 제시함과 동시에, 조각대상물체를 상하로 이동해 가면서 조각해 나갈 수 있는 지그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문자 조각용 지그{Apparatus for carving characters}
본 발명은 명패 등 각종 문자를 조각하기 위한 지그에 관한 기술 분야에 속한다.
본 발명은 문자를 명패 등에 조각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보조적인 도구인 문자 조각용 지그(jig)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마치 독서대와 같이 조각을 행하는 사람의 눈과 90도 각도를 이룰 수 있는 편평한 판에 명패 등 조각대상물체를 올려 두고 조각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조각대상물체의 폭에 따라 대응하여 조각대상물체를 수용, 고정 시킬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조각의 진행상황에 따라서 조각대상물체를 위, 아래로 옮겨 가면서 적절한 높이에 맞추어서 조각을 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도 5 참고)
이에 반해서, 종래에는 조각대상물체에 글씨를 새기기 위하여 책상면과 같이 수평한 판 위에 조각대상물체를 올려 두고, 조각자는 고개를 숙여서 글씨는 새기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조각 방법은 팔과 손목의 원활한 움직임을 방해하는 자세를 취하여야 하므로, 쉽게 피로해 짐과 동시에 조각되는 글씨체가 수려하게 형성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착안하여, 인체에 무리가 없는 자세를 취하면서 글씨를 조각할 수 있고, 조각대상물체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수용 도구를 제시함과 동시에, 조각대상물체를 상하로 이동해 가면서 조각해 나갈 수 있는 지그를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문자 조각용 지그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수직 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진 판상의 몸체(110);
상기 몸체의 전면에 경사지게 수용, 고정되는 조각대상물체(200)을 뒤에서 받치는 대상물체받침대(130);
상기 몸체의 전면에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조각자의 손부위를 거치할 수 있는 손받침대(400);
상기 조각대상물체(200)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따라 조각대상물체의 밑면을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며, 평행하게 형성된 다수의 수평이동받침대(140,14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조각용 지그가 제시된다.
기타 상세한 설명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서술토록 한다.
본 발명의 지그에 의하여, 인체에 무리가 없는 자세를 취하면서 글씨를 조각할 수 있고, 조각대상물체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조각대상물체를 상하로 이동해 가면서 조각해 나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
도 2는 도 1에서 손받침대(400)를 제거한 사시도
도 3은 좌우폭 조절을 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좌우폭 조절용 구성에 대한 지그 후면 및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장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기능 설명을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범위 내에서 파악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 도 2는 도 1에서 손받침대(400)를 제거한 사시도, 도 3은 좌우폭 조절을 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좌우폭 조절용 구성에 대한 지그의 후면 및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장면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도 5와 같은 독서대 타입의 조각용 지그라는 점이다.
즉,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마치 독서대와 같은 원리를 적용하여 인체에 무리가 없는 자세를 취하면서 글씨를 조각할 수 있다는 점과 조각대상물체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대응하여 이를 수용하여, 조각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조각대상물체를 상하로 이동해 가면서 글씨를 조각해 나갈 수 있다는 점이 주용한 특징들이다.
종래에는 수평한 테이블에 조각대상물체를 두고 조각하던 방식에 머물렀지만 본 발명에서는 보다 인체공학적인 조각용 지그를 제시하고자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성은 크게, 수직 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진 판상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의 전면에 경사지게 수용, 고정되는 조각대상물체(200)를 뒤에서 받치는 대상물체받침대(130);와, 상기 몸체의 전면에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조각자의 손부위를 거치할 수 있는 손받침대(400); 수용되는 조각대상물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들을 포함한다.
몸체(110)는 마치 독서대와 같이 뒤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뒤에서는 지그받침대(120)가 형성된다.
몸체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는 조각을 하기 위하여, 소정의 굴곡을 가진 홈인 안치부(41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오른손잡이를 위한 안치부이며, 왼손잡이를 위해서는 대상물체받침대 등을 도 1과는 대칭적으로 용이하게 변형 발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손받침대(400)와 몸체(110)의 사이공간은 손받침대공간부(415)가 형성되어져 조각대상물체(200)를 쉽게 인입,인출할 수 있다.
이하, 조각대상물체를 좌우에서 고정하는 수단과 조각대상물체의 아랫면을 받치는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조각대상물체(200)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따라 조각대상물체의 밑면을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수평이동받침대(140~143)는 몸체 전면의 좌측에 층을 달리하며 여러개가 형성된다.
이러한 수평이동받침대(140~143)들을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평고정대(150)가 몸체에 평행하게 고정되어, 수평이동받침의 좌우 이동을 안내한다.(도 2 참조)
수평고정대의 우측 단부에는 세로로 고정형성되고, 세로고정대(180)가 설치되어, 다수의 수평이동받침대(140~143)의 개수만큼 구멍들(미도시)이 형성되어, 이러한 구멍을 통과하며 수평이동받침대들이 출입한다.
수평이동받침대들의 양단부에는 걸림돌기들 (140a, 141a, 142a,143a,140b,141b,142b,143b)이 형성되어져 수평이동받침대가 이동하다가, 세로고정대(180)에 걸리게 되어져, 좌우이동폭이 제한된다.
도 1, 도 2에서는 위에서 세번째 수평이동받침대(142)가 우측으로 (A 방향) 이동하여, 그 위로 조각대상물체(200)를 떠받치고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조각대상물체는 그 폭(w1,w2)이 다양할 수 있으므로 조각대상물체를 수용할 때, 좌우폭에 따라 적절히 수용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도 2에서는 넓은 폭(w1)의 조각대상물체가 수용되어 있지만, 도 3에서는 좁은 폭(w2)의 조각대상물체가 수용되어 조각대기 상태로 있다.
다양한 조각대상물체의 폭에 대응하여 폭조절해가면서 수용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즉, 조각대상물체의 우측면에는 폭조절이동대(170)가 접촉된다. 폭조절이동대는 세로로 형성되며,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다. 도 2의 위치로부터, 도 3의 B 방향으로, 폭조절이동대가 이동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대상물체받침대(130)과 폭조절이동대(170)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을 통하여 볼트(302)가 관통되며, 볼트 단부에는 너트(301)가 형성되어, 볼트, 너트를 죄거나 풀 수 있어서, 폭조절이동대를 임의의 위치로 옮긴 후 이를 고정시킬 수 있게된다. 물론, 이러한 조각대상물체 수용을 위한 좌우폭 조정을 위한 다른 구성이 있을 수 있지만, 당업자 수준에서 용이하게 변형 가능한 발명은 본 발명 권리범위에 속한다.
한편, 가로홈(113,114,115)들의 개수는 가감 가능하며, 반드시 복수개일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지그의 효과를 요약하면, 인체에 무리가 없는 자세를 취하면서 글씨를 조각할 수 있고, 조각대상물체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조각대상물체를 상하로 이동해 가면서 조각해 나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0:지그
110:몸체
113,114,115:가로홈
120:지그받침대
130:대상물체받침대
140,141,142,143:수평이동받침대
142a:걸림돌기
170:폭조절이동대
180:세로고정대
200,210:조각대상물체
200a:상면
300:고정수단
301:너트
302:볼트 302a:볼트머리
400:손받침대
410:안치부
415:손받침대 공간부

Claims (2)

  1. 문자 조각용 지그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진 판상의 몸체(110);
    상기 몸체의 전면에 경사지게 수용, 고정되는 조각대상물체(200)을 뒤에서 받치는 대상물체받침대(130);
    상기 몸체의 전면에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조각자의 손부위를 거치할 수 있는 손받침대(400);
    상기 조각대상물체(200)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따라 조각대상물체의 밑면을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며, 평행하게 형성된 다수의 수평이동받침대(140,14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조각용 지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각대상물체를 대상물체받침대(130)에 거치시,
    조각대상물체의 폭(w1,w2)에 대응하여,
    조각대상물체를 수용 및 압착하고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300)을 형성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조각대상물체의 측면에 접촉되는 폭조절이동대(170)와, 몸체(110)에 가로로 형성된 홈(114)에 끼워지는 볼트(302)수단과, 상기 볼트수단에 결합되는 너트(3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조각용 지그.
KR1020120118856A 2012-10-25 2012-10-25 문자 조각용 지그 KR101393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856A KR101393442B1 (ko) 2012-10-25 2012-10-25 문자 조각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856A KR101393442B1 (ko) 2012-10-25 2012-10-25 문자 조각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596A KR20140052596A (ko) 2014-05-07
KR101393442B1 true KR101393442B1 (ko) 2014-05-12

Family

ID=50885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856A KR101393442B1 (ko) 2012-10-25 2012-10-25 문자 조각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4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1357A (zh) * 2019-07-09 2019-10-18 合肥裕和数控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雕刻机用循环上下料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0050A (en) * 1973-01-19 1975-01-14 Bellbanks Inc Sign-making method and apparatus
EP0291406B1 (fr) * 1987-05-13 1993-04-07 Didier Leclercq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établir et graver un motif lumineux
KR0132397Y1 (ko) * 1996-07-15 1998-12-15 박성길 인장조각기용 바이스
JP4405614B2 (ja) * 1998-04-03 2010-01-27 ザ・ヒルマン・グループ・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彫刻システム及びその被加工物位置合わせ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0050A (en) * 1973-01-19 1975-01-14 Bellbanks Inc Sign-making method and apparatus
EP0291406B1 (fr) * 1987-05-13 1993-04-07 Didier Leclercq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établir et graver un motif lumineux
KR0132397Y1 (ko) * 1996-07-15 1998-12-15 박성길 인장조각기용 바이스
JP4405614B2 (ja) * 1998-04-03 2010-01-27 ザ・ヒルマン・グループ・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彫刻システム及びその被加工物位置合わ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596A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442B1 (ko) 문자 조각용 지그
CN208374917U (zh) 一种篆刻石章磨平器
CN214448542U (zh) 3d打印机及其磁性打印平台
CN203844498U (zh) 一种雕刻字体或图案的加工装置
CN213167415U (zh) 一种新型包装盒手提袋数码无版烫金机
CN103465691A (zh) 一种白板
CN105437845B (zh) 带有直引导杆的简化雕刻机
CN207577680U (zh) 激光打标机
JP2014004661A (ja) 矩形中空ワーク用治具
CN219085589U (zh) 一种放置稳固的桌牌
CN219515832U (zh) 一种展览馆内金属支架展具
CN219235447U (zh) 一种卡片雕刻加工固定装置
CN203508668U (zh) 一种钣金折弯装置
CN205721072U (zh) 微结构立体浮雕图文制版装置
CN211277061U (zh) 用于镭雕机的固定装置
JP2012003736A (ja) タブレット型コンピュータ用保持装置
CN204991117U (zh) 一种钢琴用乐谱架
EP1366893A3 (en) Method and device for resetting the position of pins in trays with pins for supporting objects, such as panels for producing furniture components, to be clad inside presses
JP2013228351A5 (ko)
CN210026851U (zh) 一种模具钢材加工装置
CN210834616U (zh) 一种实验室用百格试验夹具
CN216802177U (zh) 一种滚轴支撑结构及应用其的激光雕刻机
CN215190602U (zh) 一种计算机软件演示板
CN215904043U (zh) 一种骑马钉联动线印后压痕装置
CN215826367U (zh) 一种美术设计插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