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283B1 - 건식 반신욕기 - Google Patents

건식 반신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283B1
KR101393283B1 KR1020130030072A KR20130030072A KR101393283B1 KR 101393283 B1 KR101393283 B1 KR 101393283B1 KR 1020130030072 A KR1020130030072 A KR 1020130030072A KR 20130030072 A KR20130030072 A KR 20130030072A KR 101393283 B1 KR101393283 B1 KR 101393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main body
tilting
sea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선
Original Assignee
이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선 filed Critical 이정선
Priority to KR1020130030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6Cabi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6Cabins therefor
    • A61H33/067Installations for the inside of such cabins, e.g. s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6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1Artificial hot-ai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열작용으로 전력소비가 적고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다량으로 방출하는 건식 반신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등받이의 경사각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반신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좌판과 등받이의 하단부를 힌지 이음으로 연결하는 틸팅힌지와, 상기 틸팅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좌판에 대한 상기 등받이의 경사각 조절을 안내하도록 상기 등받이의 양측에 형성된 호형의 가이드슬롯과, 상기 가이드슬롯들의 내주면 양쪽에 각각 연장 형성된 제1 및 제2걸림홈과,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승강안내공과, 상기 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승강안내공을 통해 상기 가이드슬롯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과 상기 승강안내공이 동일선상에 위치 시 상기 승강안내공을 따라 승강 조작 가능하고,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에 삽입 시 상기 등받이의 틸팅작동을 구속하는 걸림핀이 형성된 틸팅레버를 포함하는 건식 반신욕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건식 반신욕기{DRY TYPE HALF BATH APPARATUS}
본 발명은 반신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등받이의 경사각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아울러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다량으로 방출하는 건식 반신욕기에 대한 것이다.
반신욕은 하체를 따뜻하게 해서 체온의 균형을 맞춰주고 몸 안의 냉기를 제거하는 목욕법으로 복부의 체온을 따뜻하게 만들어 주어 가벼운 복통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인체 내에 쌓여 있는 각종 노폐물을 땀을 통해 체외로 배출함으로써 인체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고 혈액순환 및 피부 호흡을 촉진하여 피로를 풀어주며 경직된 근육을 이완시키는 등 건강 증진에 여러 가지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반신욕기 내의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의 이른바 건식 반신욕기는 물 등의 액체 매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폐수 처리의 불편함이 없고, 수증기가 발생하지 않아 사용 및 청소 등이 습식에 비해 훨씬 편리하고 위생적인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도 반신욕을 간편하고 자유롭게 즐기면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종류의 건식 반신욕기가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5913호, 등록특허공보 제10-0617988호, 등록특허공보 제10-0863609호와,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7378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6907호 등에 반신욕을 위한 장치 및 기구가 다양한 형태로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반신욕기는 그 가열원으로 대부분이 면상발열체와 같은 열선필름을 발열체로 사용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서로 합선되거나 단락될 위험성이 매우 높아 안전에 취약하며, 또 열선필름에서 발열되는 열기만으로 온열작용을 수행하므로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전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하고, 이로 인해 전력의 소비가 과도하게 높아 에너지 소비효율이 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열선필름은 발열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발생함으로 인해 자칫 사용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매우 높으며, 이는 웰빙(Well-being) 생활을 선호하는 현대인들의 패턴 및 소비경향과 배치되어 건식 반신욕기의 사용을 기피하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데다 상품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종래의 반신욕기는 사용자가 앉는 좌판과 등받이를 목재 등의 소재로 제작하여 반신욕기의 본체와 일체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저마다 원하는 편안한 자세를 취하기 매우 어려워 사용 시에 상당한 불편함이 따르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9079호(2012.03.1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7988호(2006.09.0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5913호(2011.05.23)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0029(2013.01.0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5402호(2013.02.18)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0797호(2009.01.3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8387호(2006.06.1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4533호(2005.05.1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0232호(2004.12.13)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에너지 소비효율이 높고, 아울러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 등이 다량으로 방출됨은 물론 등받이의 경사각을 자유로이 조절하여 편안한 자세로 앉아 반신욕을 즐길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반신욕기를 개발하고자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예의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은 등받이의 경사각을 간편하고 용이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건식 반신욕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은 에너지 소비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 등이 다량으로 방출되는 건식 반신욕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해결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상면의 일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반신욕을 위한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좌판과, 상기 좌판의 후방에 구비된 등받이 및 상기 본체의 내부벽면 및 좌판상에 설치되어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열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열판을 포함하는 반신욕기에 있어서, 상기 좌판과 상기 등받이의 하단부를 힌지 이음으로 연결하는 틸팅힌지와, 상기 틸팅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좌판에 대한 상기 등받이의 경사각 조절을 안내하도록 상기 등받이의 양측에 형성된 호형의 가이드슬롯과, 상기 가이드슬롯들의 내주면 양쪽에 각각 연장 형성된 제1 및 제2걸림홈과,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승강안내공과, 상기 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승강안내공을 통해 상기 가이드슬롯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과 상기 승강안내공이 동일선상에 위치 시 상기 승강안내공을 따라 승강 조작 가능하고,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에 삽입 시 상기 등받이의 틸팅 작동을 구속하는 걸림핀이 형성된 틸팅레버 및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틸팅레버의 승강을 안내 및 이탈을 방지하는 레버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반신욕기를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등받이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편안한 자세로 앉아 반신욕을 즐길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발열판은,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발열체가 내장된 금속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커버하고 일정 패턴으로 결합구멍이 다수 형성된 목재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부에 충전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발산되는 열을 전달받아 축열 및 방열하는 숯알갱이층과, 상기 패널과 상기 숯알갱이층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패널의 결합구멍으로 상기 숯알갱이층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부직포 및 상기 패널의 결합구멍에 삽입 부착되고 통기공이 다수 형성된 세라믹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패널은 편백나무와 삼나무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숯알갱이층은 활성탄, 백탄, 죽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일정 비율로 섞어서, 상기 세라믹편은 맥반석 분말과 게르마늄 분말을 일정 비율로 섞은 것을 소성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등받이의 경사각이 틸팅레버의 승강 조작에 따라 일정각도로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체형 등에 따라 원하는 편안한 자세로 반신욕을 즐길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발열판의 발열체에 일정시간 동안만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더라도 숯알갱이층과 세라믹편 고유의 물리적 특성과 축열효과 및 방열작용에 의해 발열체에서 발산되는 열을 온전하면서 골고루 전달받아 축열한 후 가열 상태를 일정시간 이상 유지하여 오랫동안 방열하므로 전력소비가 적어 에너지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게다가 숯알갱이층과 맥반석 및 게르마늄 소재의 세라믹편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다량으로 방출하기 때문에 찜질효과 및 혈액순환 개선효과로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생리작용을 활성화시켜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줌은 물론 발열체에서 전원 인가 시 발생하는 전자파를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 및 차단하여 전자파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신욕기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신욕기의 등받이가 뒤로 젖혀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국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신욕기의 등받이가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국부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신욕기의 등받이가 뒤로 젖혀진 상태를 나타낸 국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신욕기에 장착되는 발열판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신욕기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자의 등 부위와 대향하는 등받이 쪽을 전방 또는 전면 방향으로, 이와 반대로 등받이의 바깥쪽이 향하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으로, 등받이의 전후방과 수직하는 양쪽 방향을 측방 또는 측면으로 정의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신욕기는 크게 본체(10), 좌판(20), 등받이(30) 및 발열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신욕기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힌지(50), 가이드슬롯(60), 제1걸림홈(61), 제2걸림홈(62), 승강안내공(70), 틸팅레버(80) 및 레버가이드(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체(10)는 반신욕기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사용자의 상체가 노출될 수 있도록 후방 상면이 개구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사용자가 들어가 발을 뻗고 앉을 수 있는 정도로 하반신을 수용하는 반신욕 공간이 마련된 마치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상면에는 그 개구부의 일부를 개폐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면판(11)이 레일 등에 의해 본체(10)의 양쪽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 상면판(11)의 등받이(30)와 대향하는 면은 오목하게 패여 사용자의 상체를 안정적으로 감싸면서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면판(11)이 본체(10)의 양쪽 측면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본체(10)의 상면을 완전히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출입이나 청소 등의 작업이 용이하고, 발열판(40)의 고장이나 유지보수 등 사용 중 이상 발생 시 내부에 설치된 구성부품을 쉽게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체(10)의 개구부와 상면판(11)의 주위에는 외력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사용자의 상체에 기밀하게 밀착되고, 이로 인해 사용 과정에서 본체(10) 내부의 가열된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별도의 보온커버(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체(10)의 양쪽 측면에는 사용자가 본체(10) 내부의 공간으로 용이하고 수월하게 드나들 수 있도록 출입구(미부호)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출입구를 개폐하면서 본체(10) 내부의 열기가 손실되지 않도록 본체(10)와 기밀하게 밀착되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도어(15)가 본체(100)와 힌지 이음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하부 또는 후면에는 발열판(40)에 외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접속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원접속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전원의 공급 및 차단 시 또는 발열판(40)의 설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될 경우 또는 온도센서에 의해 전기접속이 차단된 경우 혹은 가열이 완료된 경우 등 여러 상황에 따라 이를 각각 표시하는 램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여 공기의 예열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독서대 등으로 사용 가능한 덮개(12)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고, 아울러 본체(10)의 저면에는 수월한 이동을 위해 캐스터 등의 바퀴가 다수 개 장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체(10)의 후면 상부는 등받이(30)에 의해 폐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등받이(30)가 좌판(20)의 후방 상부에 위치되어 본체(10)의 후면 상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좌판(20)은 사용자가 반신욕 시 앉는 부분으로, 본체(10) 내부의 후방 바닥면에 일정 높이를 가지며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찜질하기 위한 발열판(40)이 구비되어 있다.
등받이(30)는 좌판(20)의 후방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여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받쳐주며, 그 하단부의 양쪽 측면은 틸팅힌지(50)에 의해 좌판(20)과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등받이(30)는 본체(10)의 후면 상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슬롯(60)은 등받이(30)의 좌판(20)에 대한 경사각 조절을 안내 및 그 조절 범위를 제한하도록 등받이(30)의 양측에 호형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슬롯(60)들의 내주면 양쪽에는 등받이(30)의 경사각 조절상태 및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1 및 제2걸림홈(61)(62)이 가이드슬롯(60)에 대해 각각 일정 각도로 꺾이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슬롯(60)들은 등받이(30)의 양측에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측면과 반대쪽 측면의 가이드슬롯(60)에는 제1 및 제2걸림홈(61)(62)이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승강안내공(70)은 제1 및 제2걸림홈(61)(62)에 대응하는 본체(10)의 양측 벽면에 틸팅레버(80)의 위치를 이동 및 조정 시 안내할 수 있도록 상하로 긴 장공(slot)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또는 제2걸림홈(61)(62)과 승강안내공(70)이 동일선상에 위치할 경우에는 틸팅레버(80)의 걸림핀(81)과 접촉간섭이 해제되어 틸팅레버(80)가 그 제1 또는 제2걸림홈(61)(62)과 승강안내공(70)을 따라 승강 조작 가능하게 되고, 틸팅레버(80)의 걸림핀(81)이 제1 또는 제2걸림홈(61)(62)에 삽입될 경우에는 서로 접촉간섭을 일으켜 등받이(30)의 틸팅작동을 구속하게 된다.
틸팅레버(80)는 본체(10)의 외측에서 승강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본체(10)의 승강안내공(70)과 대향하는 면에는 걸림핀(8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핀(81)은 그 단면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지름은 승강 작동 및 등받이(30)의 회전이 원활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슬롯(60), 제1 및 제2걸림홈(61)(62) 및 승강안내공(70)의 폭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틸팅레버(80)의 걸림핀(81)은 승강안내공(70)을 통해 가이드슬롯(60)으로 삽입되어 제1 또는 제2걸림홈(61)(62)과 승강안내공(70)이 동일선상에 위치 시에는 승강안내공(70)을 따라 승강 조작 가능하게 되고, 이때, 틸팅레버(80)를 상승 조작시키면 걸림핀(81)이 제1 또는 제2걸림홈(61)(62)을 이탈하여 가이드슬롯(60) 상에 위치되고, 이렇게 되면 등받이(30)의 틸팅힌지(50)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자유롭게 되며, 틸팅레버(80)를 하강 조작하여 걸림핀(81)이 제1 또는 제2걸림홈(61)(62)에 삽입 시에는 승강안내공(70)과의 접촉간섭으로 등받이(30)의 틸팅작동을 구속하게 된다.
여기서 틸팅레버(80)의 표면에는 승강 조작 시 안정적이고 용이한 파지가 가능하도록 손가락홈(미부호)을 형성할 수도 있다.
레버가이드(90)는 틸팅레버(80)의 승강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면서 가이드슬롯(60), 제1 및 제2걸림홈(61)(62) 및 승강안내공(70)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체(10)의 외측에서 틸팅레버(80)의 한쪽과 암수가 서로 대응하여 겹쳐지는 형태로 고정되어 있다.
즉, 레버가이드(90)와 틸팅레버(80)의 대향하는 면은 서로 엇갈려 맞물리는 형태의 턱이 형성되어 틸팅레버(80)의 승강 시 가이드 작용과 동시에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체(10), 상면판(11), 좌판(20) 및 등받이(30)는 피톤치드 성분이 함유된 목재로 형성되어 있다. 즉, 자연친화적이면서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고 강력한 항균작용을 하는 등 기능성이 뛰어난 피톤치드 성분이 함유된 편백나무, 삼나무, 잣나무, 소나무 등의 상록교목 중 어느 하나의 목재를 그 두께가 10~20mm 정도로 깎아 제재한 판재를 사용하여 조립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목재의 수분함량은 10~20% 범위인 것을, 바람직하게는 15% 수분함량을 갖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피톤치드의 방출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편백나무가 최적의 실시 예로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삼나무, 잣나무, 소나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그 중 선택된 둘 이상을 혼합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본체(10)의 내면에는 숯분말을 코팅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형성된 숯코팅층은 본체(10)의 부식을 방지 또는 지연시킴과 아울러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도록 하며, 습도 조절 및 냄새제거 등을 통해 세균의 발생을 억제함은 물론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정화하는 등 다양한 기능성을 얻을 수 있고, 내구성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체(10)의 외측면에는 발열판(40)의 작동 및 발열 온도를 조절하고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미부호)가 설치되어 있으며, 더불어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도 값 등을 A/D컨버터에 의해 디지털로 변환시켜 표시하거나 전원의 공급 및 차단 시 또는 발열판(40)이 설정 온도 이상으로 과열될 경우, 또는 온도센서(바이메탈)에 의해 전기접속이 차단된 경우 혹은 가열이 완료된 경우 등 상황에 따라 이를 각각 표시하는 램프 및 표시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바닥면 및 사방 측면과 발열판(40) 사이에는 우레탄폼과 같은 별도의 단열재를 개재함으로써 발열 시에 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발열판(40)은 전원 공급 시 가열되어 사용자의 신체 접촉부위를 찜질하는 역할과 동시에 원적외선 및 음이온 등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본체(10)의 내부 사방 벽면 및 바닥면과 좌판(20) 등에 다수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열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발열판(4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41), 패널(43), 숯알갱이층(44), 부직포(45) 및 세라믹판(4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41)의 내부에는 전원 공급 시 발열하는 발열체(미도시)가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안착 고정되어 있고, 그 발열체는 열이 골고루 전달되어 발열 온도의 분포가 균일하도록 열선의 양단이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본체(10)에 형성된 전원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하우징(41)은 내식성과 내열성을 가지며 열의 전달효율이 뛰어난 알루미늄과 아연을 혼합하여 도금한 갈바륨 철판 또는 동판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발열체로는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이 상쇄되어 전자파의 발생이 적은 일명 무자계열선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41)의 표면에는 특수한 용융 분사장치를 사용하여 용융성분을 산소아세틸렌불꽃으로 녹여 압착공기로 금속표면에 뿌려서 붙이는 방법 등으로 세라믹코팅 처리함으로써 내열성 등을 보강하고, 그 세라믹코팅층의 원적외선 방출로 인해 열 손실이 없이 짧은 시간에 가열할 수 있게 된다.
패널(43)은 장식 기능은 물론 엉덩이, 발바닥 등 사용자의 특정 신체부위가 하우징(41)과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해 화상 등의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본체(10)와 동일한 목재로 이루어지고, 그 중심부상에 상하로 타원형 결합구멍(42)이 일정 패턴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패널(43)의 결합구멍(42)에는 인체의 경혈 부위 등을 자극 및 지압하며 내부의 숯알갱이층(44)과 통하는 다수 개의 통기공(46)을 갖는 세라믹편(47)이 삽입 부착되어 있다.
또한, 결합구멍(42)의 하면 테두리 주위에는 숯알갱이층(44)이 세라믹편(47)의 통기공(42)을 통해 유출 및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직포(45)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패널(43)은 양측에 암수결합형 요부와 철부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다른 패널의 요부 또는 철부와 서로 대응하여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연결 결합되는 구조로 채용할 수 있다.
숯알갱이층(44)은 발열체에서 발산되는 열을 전달받아 축열 및 방열함과 동시에 발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41)과 패널(43) 사이에 조밀하게 충전되어 있다.
여기서 숯알갱이층(44)은 하우징(41)과 패널(43)의 테두리 사이 및 그 테두리들 안에 다수의 살편이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마치 세살문형으로 형성된 격판(48)에 의해 여러 칸으로 분할되도록 충전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충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동 시 자유로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숯알갱이층(44)은 발열체의 온열 및 발열에 따른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기능 이외에 탄소물질 고유의 특성상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출하며, 발열체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와 같은 유해파를 차단 및 흡수하는 효능뿐만 아니라 효소의 활성화작용을 통해 공기 중의 독소를 분해 및 정화하여 냄새 제거 등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키는 기능 및 역할을 한다.
아울러 숯 고유의 물질적 특성상 습도조절이 탁월하므로 수분이 함유된 따뜻한 공기가 본체(10)의 차가운 곳에서 포화 상태로 되어 결로현상을 일으키거나 그로 인해 곰팡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숯알갱이층(44)에는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인체의 생체리듬을 활성화시켜 혈액순환을 촉진하게 할 수 있는 황토 분말, 맥반석 분말 또는 게르마늄 분말을 소량으로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숯알갱이층(44)은 활성탄, 백탄, 죽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일정 비율로 섞은 숯 분말을 과립기 또는 볼 성형기를 이용하여 지름이 2~15mm 정도의 알갱이 형태로 성형 및 건조한 후, 고온에서 소성한 것이나 숯을 파쇄하여 구슬 또는 몽돌 형태로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부직포(45)는 패널(43)의 결합구멍(42) 주위 저면에 부착되어 숯알갱이층(44)으로 습기가 유통 및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방습 기능은 물론 패널의 결합구멍(42)을 커버하여 숯알갱이층(44)의 미세한 숯 분말이나 알갱이 등의 입자가 결합구멍(42) 및 세라믹편(47)의 통기공(46)을 통해 외부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면서 하우징(41)의 발열손실을 최소화하는 기능 및 구실을 동시에 수행한다.
세라믹편(47)은 패널의 결합구멍(42)에 삽입 부착되어 그 내측에 상하로 통하도록 형성된 다수 개의 통기공(46)을 통해 하우징(41) 내부에 충전된 숯알갱이층(44)으로부터 발산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방출되도록 함은 물론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 전달에 의해 가열되어 그 자체에서도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함께 발산되므로 찜질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세라믹편(47)은 맥반석 분말과 게르마늄 분말을 1 : 1의 비율로 혼합 및 약 1100~1200℃로 소성하여 형성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체 조성비를 100% 기준으로 할 때 맥반석 분말 50%에 게르마늄 분말 50%를 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신욕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판(20)에 앉아 허리를 꼿꼿이 편 상태로 반신욕을 즐길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판(20)에 앉아 등받이(30)에 편안한 자세로 등을 기대고 눕고 싶을 경우 틸팅레버(80)를 상승 조작하면 그 걸림핀(81)과 제1걸림홈(61) 간의 접촉간섭이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등 부위를 등받이(30)에 기대어 밀면 틸팅힌지(50)를 중심으로 가이드슬롯(60)과 걸림핀(81)의 안내에 따라 회전하면서 좌판(20)에 대한 경사각이 자연스럽게 조절되게 된다.
이후, 걸림핀(81)이 제2걸림홈(62)상에 위치되면 틸팅레버(80)를 하강 조작하여 걸림핀(81)을 제2걸림홈(62)에 삽입시킴으로써 등받이(30)의 틸팅작동을 구속하여 그 경사각이 설정되어 등받이(30)가 뒤로 젖혀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편안한 자세로 등받이(30)의 경사각도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전원코드 등을 전원접속부에 연결하여 발열판(40)에 일정시간 동안 외부 전원을 공급하면 그에 의해 발열판(40)에서 발산되는 열을 축열한 후 장시간 동안 방열하기 때문에 전력소비가 매우 적어 에너지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시에는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가 전자파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발열판(40)의 내부에 충전되는 숯알갱이층(44) 및 세라믹편(47)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5~6분 정도만 전원을 인가하여도 최대 3시간 정도 고온을 유지하는 축열작용이 가능하므로 전력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숯알갱이층(44) 및 세라믹편(47)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다량으로 방출하기 때문에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생리작용을 활성화시켜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줌은 물론 발열판(40)에 전원 인가 시 발생되는 전자파를 양호하게 흡수 및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체(10)와 상면판(11), 좌판(20) 및 등받이(30) 그리고 패널(43) 등이 편백나무, 삼나무, 잣나무, 소나무 등의 피톤치드가 다량으로 함유된 목재로 가공하여 형성됨으로써 원적외선 및 보온효과와 더불어 쾌적하면서 안락하고 포근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고유의 성분이 갖는 물성 및 활성작용에 의해 인체의 건강 증진은 물론 항균, 삼림욕, 숙면, 스트레스 해소 등의 효능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상면판
15: 도어 20: 좌판
30: 등받이
40: 발열판 41: 하우징
42: 결합구멍 43: 패널
44: 숯알갱이층 45: 부직포
46: 통기공 47: 세라믹편
50: 틸팅힌지 60: 가이드슬롯
61: 제1걸림홈 62: 제2걸림홈
70: 승강안내공 80: 틸팅레버
81: 걸림핀 90: 레버가이드

Claims (3)

  1. 상면의 일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좌판(20)과, 상기 좌판(20)의 후방에 구비된 등받이(30) 및 상기 본체(10)의 내부벽면 및 좌판(20)상에 설치되어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열판(40)을 포함하는 반신욕기에 있어서,
    상기 좌판(20)의 상단부와 상기 등받이(30)의 하단부를 힌지 이음으로 연결하도록 구비된 틸팅힌지(50)와;
    상기 틸팅힌지(50)를 중심으로 상기 좌판(20)에 대한 상기 등받이(30)의 경사각 조절을 안내하도록 상기 등받이(30)의 양측에 형성된 호형의 가이드슬롯(60)과;
    상기 가이드슬롯(60)들의 내주면 양쪽에 각각 연장 형성된 제1 및 제2걸림홈(61)(62)과;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61)(62)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형성된 승강안내공(70); 및
    상기 본체(10)의 외측에서 상기 승강안내공(70)을 통해 상기 가이드슬롯(60)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61)(62)과 상기 승강안내공(70)이 동일선상에 위치 시 상기 승강안내공(70)을 따라 승강 조작 가능하고, 상기 제1 및 제2걸림홈(61)(62)에 삽입 시 상기 등받이(30)의 틸팅 작동을 구속하는 걸림핀(81)이 형성된 틸팅레버(80)를; 더 포함하는 건식 반신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틸팅레버(80)의 승강을 안내 및 이탈을 방지하는 레버가이드(90)를; 더 포함하는 건식 반신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판(40)은,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발열체가 내장된 금속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41)을 커버하고 일정 패턴으로 결합구멍(42)이 다수 형성된 목재 패널(43)과;
    상기 패널(43)의 내부에 충전되어 상기 하우징(41)에서 발산되는 열을 전달받아 축열 및 방열하는 숯알갱이층(44)과;
    상기 패널(43)과 상기 숯알갱이층(44)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패널의 결합구멍(42)으로 상기 숯알갱이층(44)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부직포(45); 및
    상기 패널의 결합구멍(42)에 삽입 부착되고 통기공(46)이 다수 형성된 세라믹편(47)을; 포함하는 건식 반신욕기.
KR1020130030072A 2013-03-21 2013-03-21 건식 반신욕기 KR101393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072A KR101393283B1 (ko) 2013-03-21 2013-03-21 건식 반신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072A KR101393283B1 (ko) 2013-03-21 2013-03-21 건식 반신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283B1 true KR101393283B1 (ko) 2014-05-09

Family

ID=50893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072A KR101393283B1 (ko) 2013-03-21 2013-03-21 건식 반신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2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263A (ko) * 2014-10-15 2016-04-25 이정선 건식 반신욕기
KR101781405B1 (ko) 2017-07-21 2017-10-23 김종득 발열기 전선을 매립할 수 있는 힌지결합장치가 구비된 반신욕기
KR20220001180U (ko) 2020-11-18 2022-05-26 정창욱 건식 반신욕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831Y1 (ko) 2005-01-15 2005-04-07 이삭산업 주식회사 좌욕 겸용 반신 사우나 장치
KR200421951Y1 (ko) 2006-04-21 2006-07-20 이장훈 반신욕 사우나기
JP2008011996A (ja) 2006-07-04 2008-01-24 Jugen Hidaka 酸素富化空気吸引用ボック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831Y1 (ko) 2005-01-15 2005-04-07 이삭산업 주식회사 좌욕 겸용 반신 사우나 장치
KR200421951Y1 (ko) 2006-04-21 2006-07-20 이장훈 반신욕 사우나기
JP2008011996A (ja) 2006-07-04 2008-01-24 Jugen Hidaka 酸素富化空気吸引用ボックス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263A (ko) * 2014-10-15 2016-04-25 이정선 건식 반신욕기
KR101633508B1 (ko) * 2014-10-15 2016-06-24 이정선 건식 반신욕기
KR101781405B1 (ko) 2017-07-21 2017-10-23 김종득 발열기 전선을 매립할 수 있는 힌지결합장치가 구비된 반신욕기
KR20220001180U (ko) 2020-11-18 2022-05-26 정창욱 건식 반신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430B1 (ko) 족욕기
KR101393283B1 (ko) 건식 반신욕기
KR20150010488A (ko) 침대형 온열기
KR101567526B1 (ko) 온열매트
KR200461634Y1 (ko) 건식 족욕기
KR20120000994U (ko) 온열 찜질기
KR100842684B1 (ko) 근적외선 온열치료기
KR200459795Y1 (ko) 간편사용식 온구형 온열찜질기
KR200456157Y1 (ko) 휴대용 찜질기
KR20140088478A (ko) 온열 찜질기
KR20120005993U (ko) 찜질 기능을 갖는 축열식 의자
KR200236325Y1 (ko) 캡슐형 온열 찜질기
KR20130002686U (ko) 원적외선 반신욕기
KR101506209B1 (ko) 바이오 퀀텀 힐링 좌욕기
CN207928578U (zh) 温热理疗椅
KR101435097B1 (ko) 척추 조사 기능을 부가한 근육통 완화 및 혈행 개선 근적외선 온열 좌욕기
KR20130046979A (ko) 개인용 반신 사우나
CN109481291A (zh) 艾灸熏蒸罐
KR200440593Y1 (ko) 건강온열죽부인
KR102642781B1 (ko) 돌시트를 갖는 방석
CN217697266U (zh) 一种加热艾绒器件及艾灸理疗坐凳
CN218324121U (zh) 一种小型桑拿房
CN216305496U (zh) 一种新型光波房
KR101446169B1 (ko) 전열식 침대 상판
KR101465237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발산되는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