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243B1 - 수록어휘에 대한 자기평가 수행 및 휴대용 복습카드 생성이 가능한 양면식 어휘학습서 - Google Patents

수록어휘에 대한 자기평가 수행 및 휴대용 복습카드 생성이 가능한 양면식 어휘학습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243B1
KR101393243B1 KR1020120145180A KR20120145180A KR101393243B1 KR 101393243 B1 KR101393243 B1 KR 101393243B1 KR 1020120145180 A KR1020120145180 A KR 1020120145180A KR 20120145180 A KR20120145180 A KR 20120145180A KR 101393243 B1 KR101393243 B1 KR 101393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cabulary
table control
headword
control unit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주
Original Assignee
김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주 filed Critical 김성주
Priority to KR1020120145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3/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3/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3/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of chart form
    • G09B3/045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of chart form with invisibly printed correct answer; the answer being rendered visible by special optical means, e.g. filters;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록어휘에 대한 자기평가(self-assessment)의 수행(遂行)과 휴대용 어휘카드(portable review cards)의 생성(生成)이 가능한 양면식(double-sided) 어휘학습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1)과 배면(2)의 양면에 학습의 대상이 되는 어휘들이 수록되어 있는 고정표제어부(3), 고정표제어부에 수록된 표제어들에 대한 보충적 정보가 표기되어 있는 표제어보충부(4), 고정표제어부에 수록된 표제어들에 대한 학습성취도 평가를 가능하게 하는 표제어평가부(5) 그리고 고정표제어부에 수록된 표제어들이 임시적으로 수록되어 있어 초기학습을 도와주는 임시표제어부(6)가 제본측에서부터 반대측방향으로 순차로 각 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위치에 맞대어 배열된 형태를 갖고 있어, 별도의 도구나 종이의 사용 없이 단지 학습한 용지를 분리하거나 접는 방식으로 학습용지 자체를 이용한 학습과 성취도 평가를 가능하게 하고, 또 학습과 성취도 평가가 이루어진 부분을 절취선(8)(9)을 따라 분리하는 방식으로 학습한 어휘가 수록된 어휘복습카드를 생성하게 함으로써, 복합적인 학습과 더불어 반복적 평가까지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식 어휘학습서이다.

Description

수록어휘에 대한 자기평가 수행 및 휴대용 복습카드 생성이 가능한 양면식 어휘학습서{Double-sided vocabulary book with portable review cards and self-assessment tools}
본 발명은 수록어휘에 대한 자기평가(self-assessment tools)의 수행과 휴대용 복습카드(portable review cards) 생성이 가능한 양면식 어휘학습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국어(外國語)의 어휘학습은 다른 분야보다도 복합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즉, 눈으로 보는 학습뿐만 아니라 쓰면서 학습할 때 더욱 큰 학습효과가 나타난다.
그리고 이러한 보고, 쓰는 학습의 반복은 어휘학습의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따라서 어휘를 공부하는 학습자들은 이러한 반복적 학습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휴대가 용이한 교재를 선택하거나 별도의 단어장을 이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또한 학습이 이루어진 부분에 대한 평가를 통해 학습의 성취도를 진단함으로써 학습의 강약(强弱)과 방향을 점검하는 것은 어휘학습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대부분의 어휘학습 교재들은 이러한 복합적인 학습은 커녕 학습한 내용에 대한 성취도의 평가조차도 해당 교재 안에서 이루질 수 없게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복합적인 학습과 평가를 위해서는 학습자가 직접 단어장이나 시험지 등을 만들어 사용하거나 별도의 교재를 구입해야 하는 불편함과 부담이 있었다.
그나마 학습서 내에서 성취도 평가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기존의 교재들도 평가할 수 있는 부분이 학습한 부분과 따로 분리되어 있어, 수시로 교재를 앞뒤로 넘겨가면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과 비효율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어휘학습을 위한 복합적 학습과 그에 대한 평가 모두를 학습자가 학습에 사용한 학습용지를 이용하여 쉽고 정확하게 이뤄질 수 있게 함으로써 학습효율과 학습성취도를 향상시키게 한다.
종래의 외국어 어휘학습서는 각 학습용지의 일면에 수록어휘의 철자(spelling)와 함께 그 뜻(meaning)을 고정적으로 나열하는 방식으로 인쇄되어 있어 어휘의 철자와 뜻이 한눈에 들어오게 함으로써 시각적 효과에 의한 학습에만 집중된 것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수록어휘에 대한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평가가 곤란하였고, 이에 대한 당연한 결과로 학습자 스스로가 제대로 학습하지 못한 어휘를 제대로 학습하였다고 오판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나마 수록어휘에 대한 학습성취도 평가가 가능하도록 한 종래의 어휘 학습서들도 이를 위해서는 어휘가 수록된 용지와는 분리된 다른 페이지를 이용하거나 심지어는 별개의 교재나 도구를 이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어휘학습의 경우에는 이동하는 시간을 활용한 잠깐의 학습만으로도 높은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는 분야인데도 불구하고 학습한 부분에 대하여 반복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보통 200~300페이지에 달하는 책 전체를 가지고 다녀야 하거나 자신이 공부한 내용을 다른 용지 등에 옮겨 적는 식으로 별도의 단어장을 만들어 들고 다녀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초기의 일정한 학습 시점까지만 수록어휘의 철자와 뜻이 같은 일면에 배치되게 하여 기존의 어휘 학습서와 마찬가지로 시각적 효과를 통한 학습의 편의를 도모함과 동시에, 학습자 각자의 판단에 따라 학습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난 후에는 자신이 학습한 부분을 절취선을 따라 학습서로부터 쉽게 분리되게 함으로써 일면에서는 학습한 어휘의 철자를 반대의 일면에서는 학습한 어휘의 뜻을 동시에 제거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여 뜻이 제거된 일면에는 수록된 어휘의 철자만 남고 철자가 제거된 반대의 일면에는 뜻만 남게 됨으로써 학습자는 자신이 학습한 것을 바탕으로 각 면에 남은 철자 또는 뜻만 보고 해당 면에 준비된 공란에 반대로 뜻과 철자를 기입해 넣는 방식으로 스스로 학습한 것에 대한 시험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시험을 마친 후에는 그 시험 본 부분만을 접는선을 따라 반대면으로 접어 넘기는 방식으로 정답 확인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학습한 용지 내에서 채점까지 가능하게 하는데 특징이 있다.
또한 이렇게 평가가 이루어진 부분도 절취선을 따라 학습서로부터 쉽게 분리되게 함으로써 반복적인 학습이 가능하게 된다. 평가가 이루어진 부분이 학습서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다시 학습서의 일면에는 수록된 어휘의 철자만, 반대의 일면에는 뜻만이 남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학습서로부터 분리된 부분은 각각 휴대가 가능한 어휘복습카드로 기능하여, 휴대하며 반복적인 학습에 활용함으로써 학습의 능률을 높이는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어휘학습자가 학습한 부분에 대한 평가를 학습자 스스로 어떠한 다른 도구나 또는 별도의 용지 없이 학습에 사용한 용지 내에서 간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이 잘 이루어진 부분과 부족한 부분을 쉽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고, 이러한 학습과 평가의 반복을 통해 점차적인 학습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학습자가 직접 학습한 부분을 간편하게 분리해 내어 그 부분만을 휴대하고 다니며 부담 없이 반복적인 학습을 할 수 있어, 어휘학습 효과를 극대화한다.
이러한 양면의 용지로 구성된 하나의 어휘학습서만으로 보고 쓰는 정적(靜的)인 학습과 더불어 자신이 학습한 내용을 어휘복습카드로 쉽게 생성하여 동적(動的)인 학습까지 가능하게 함으로써 복합적인 학습을 통한 학습효과를 높일 뿐만 아니라 자신이 학습한 것에 대한 성취도 평가를 스스로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효율을 높여준다.
또한 이러한 복합적이고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 학습서의 크기가 점차 줄어드는 것을 학습자 스스로가 각자의 진도에 따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성취감과 아울러 학습의욕을 고취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학습용지의 전면 단면도
도 2는 학습용지의 배면 단면도
도 3은 임시표제어부를 본 학습서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시험 후 채점을 위해 전면의 표제어평가부를 배면으로 접어넘기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전면의 표제어평가부를 배면으로 넘겨 채점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시험 후 채점을 위해 배면의 표제어평가부를 전면으로 접어넘기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배면의 표제어평가부를 전면으로 넘겨 채점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평가가 마쳐진 표제어평가부를 본 학습서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배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양면식 학습용지의 전면(1)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배면(2)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학습서는 이처럼 전면(1)의 고정표제어부(3), 표제어보충부(4), 표제어평가부(5), 임시표제어부(6)와 배면(2)의 고정표제어부(3), 표제어보충부(4), 표제어평가부(5), 임시표제어부(6)로 구성된 양면이 하나의 어휘학습용지로 기능하는 양면식 어휘 학습서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용지의 양면 모두에 제본측(7)로부터 좌우측의 바깥방향으로 고정표제어부(3), 표제어보충부(4), 표제어평가부(5), 임시표제어부(6)의 순으로 각각 배열되어 있으며, 전면(1)의 고정표제어부(3), 표제어보충부(4), 표제어평가부(5), 임시표제어부(6)는 각각 배면(2)의 고정표제어부(3), 표제어보충부(4), 표제어평가부(5), 임시표제어부(6)와 동일한 위치에 면을 맞대어 배열되어 있다.
다만 양면 모두에 배열된 각각의 고정표제어부(3), 표제어보충부(4), 표제어평가부(5), 임시표제어부(6)는 서로 그 표기와 기능을 달리하면서 하나의 어휘 학습서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먼저 각 용지 양면의 양 측 끝에 위치하는 고정표제어부(3)와 임시표제어부(6)에는 모두 학습의 대상이 되는 어휘의 철자와 뜻이 수록되어 있다.
다만 전면(1)의 고정표제어부(3)에는 학습의 대상이 되는 수록어휘의 철자만, 배면(2)의 고정표제어부(3)에는 전면(1) 고정표제어부(3)에 수록된 어휘의 뜻만 인쇄되어 있다. 즉 학습의 대상이 되는 어휘들의 철자와 뜻이 전면(1)과 후면(2)의 고정표제어부(3)에 따로 나눠져 수록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전면의 임시표제어부(6)에는 해당용지의 고정표제어부에 수록된 해당어휘의 철자만, 배면(2)의 임시표제어부(6)에는 해당어휘의 뜻만 수록되어 있다.
이로써 전면(1)과 배면(2)의 각 면에는 수록어휘들의 철자와 뜻이 표제어보충부(4)와 표제어평가부(5)를 사이에 두고 모두 표기되어 있는 것이다. 다만 전면(1)은 제본측인 좌측에 위치한 고정표제어부(3)의 철자를 중심으로 우측에 임시표제어부(6)의 뜻이 보이게 되는 것이고, 배면(2)은 제본측인 우측의 고정표제어부(3)의 의미를 중심으로 좌측에 임시표제어부(6)의 뜻이 보이게 되는 것이다.
이는 기존의 학습서들과 마찬가지로 시각적 학습효과를 거두기 위함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임시표제어부(6)에 수록되는 어휘들의 철자와 뜻의 글꼴은 점선 등의 형태로 인쇄하거나, 실선으로 된 글꼴과 함께 수록하여 시각적 학습과 더불어 학습한 용지 자체에서 따라쓰기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임시표제어부(6)는 시각적 학습과 따라쓰기 학습이 이루어지고 난 후에 학습서와 분리되어 동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어휘복습카드로 활용되는데, 이러한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시표제어부절취선(8)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임시표제어부절취선(8)은 절취가 용이하도록 오시와 미싱 등의 인쇄 후 후가공(後加工)이 되어 있다.
표제어평가부(5)는 학습한 어휘에 대하여 시험 및 채점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으로, 학습한 어휘를 암기하여 쓸 수 있는 답안지로서 기능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답안이 가능한 공란과 더불어 채점 후 틀린 부분에 대한 정답의 기입이 가능한 공란을 구성한다.
전면(1)의 표제어평가부(5)는 학습한 해당표제어휘의 철자를 암기하여 씀으로써 철자에 대한 시험 및 채점을 할 수 있는 부분이며, 배면(2)의 표제어평가부(5)는 학습한 해당표제어휘의 뜻를 암기하여 씀으로써 뜻에 대한 시험 및 채점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학습어휘의 철자와 뜻에 관한 균형 있는 성취도 평가를 학습서 자체 내에서 어떠한 별도의 교재나 도구의 사용 없이 학습자 스스로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해 도와준다.
표제어보충부(4)에는 양면의 고정표제어부(3) 옆에 배치되어 표제어 학습에 도움을 주는 부분으로, 표제어휘에 관한 추가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다만 고정표제어부(3)와 마찬가지로 전면(1)과 배면(2)에 수록되는 추가정보는 다르다.
도 1을 보면, 전면(1)의 표제어보충부(4)에는 표제어휘들의 발음기호가 표기되어 있지만, 배면(2)의 표제어보충부(4)에는 해당 표제어휘들의 품사가 표기되어 있다.
이는 단시 실시예로서, 발음기호나 품사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학습어휘의 난이도, 기타 주요 뜻 등이 표기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을 이용한 바람직한 학습방법와 그 방법에 따른 구체적인 학습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첫 번째 단계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전면(1)의 좌측 끝에 위치한 고정표제어부(3)와 우측 끝에 위치한 임시표제어부(6)를 보면서 해당어휘에 대한 철자와 뜻을 학습한다. 임시표제어부(6)는 점선의 글꼴로 인쇄되거나, 점선의 글꼴이 실선의 글꼴과 함께 구성되어 그 점선을 따라 쓰며 학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배면(2)에 우측에 위치한 고정표제어부(3)와 좌측에 위치한 임시표제어부(6)를 보면서 한 번 더 해당어휘에 대한 철자와 뜻을 학습한다. 다만, 이번에는 배면(2)의 고정표제어부(3)에 인쇄된 해당어휘의 뜻를 보면서 해당어휘의 철자를 학습하는데 중점이 있으며, 임시표제어부(8)에 점선의 글꼴로 인쇄된 어휘의 철자를 직접 따라 쓰며 학습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학습함으로써 해당어휘의 철자와 뜻을 쉽고 빠르게 반복적으로 보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그 철자와 뜻을 학습서에 직접 따라 써봄으로서 단순히 시각적으로 학습하는 것보다 몇 배 큰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어휘의 철자만 보고 뜻을 아는 수준을 넘어, 뜻을 보고 그 어휘의 철자를 정확히 알고 쓸 수 있는 수준의 학습까지 할 수 있기 때문에 독해(reading)만을 위한 학습이 아니라 쓰기(writing)를 위한 학습의 효과까지도 얻을 수 있다.
다음 두 번째 단계는 첫 번째 단계를 통해 학습한 내용에 대한 효율적 반복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이다.
첫 번째 단계를 통해 보고 쓰며 학습한 임시표제어부(6)는 도 3에 도식된 것처럼 임시표제어부절취선(8)을 따라 용이하게 뜯어내어 본 학습서와 분리시킬 수 있고, 임시표제어부(6)는 분리되는 순간 하나의 휴대가 가능한 어휘 복습카드가 되어 장소에 제약 없이 학습을 가능하게 하여 학습의 능률을 높여준다.
분리된 임시표제어부(6)는 전면(1)과 배면(2)에 각각 어휘의 철자와 뜻이 각각 따로 분리되어 있어 양면을 이용한 복습이 용이하다. 따라서 학습서 전체를 직접 들고 다닐 필요 없이 자신이 학습한 부분만을 가지고 다니며 언제 어디서든 반복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언어학습은 자투리 시간의 활용으로도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는 부분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카드식 단어장은 학습에 큰 도움이 준다.
또한 이러한 어휘복습카드는 아래 설명 될 네 번째 단계서 볼 수 있듯이 1회 이상 재생(reproduction)이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 중 분실이나 파손에 대한 염려가 없다.
그리고 세 번째 단계는 첫 번째와 두 번째 단계를 통해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 이루어진 학습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는 단계이다.
도 4에 도식된 것처럼 학습자는 그동안 학습한 것을 바탕으로 고정표제어부(3)에 수록된 어휘의 철자를 보고 그 해당어휘의 뜻을 표제어평가부(5)에 암기해 써 넣는 방식으로 학습자 스스로 쉽고 정확하게 시험을 볼 수 있다.
이는 도 3에 도식된 것처럼 두 번째 단계를 통해 임시표제어부(6)가 학습서로부터 분리되었기 때문에 전면(1)의 고정표제어부(3)에는 해당어휘의 철자만 보이게 되어, 학습자는 이전 두 단계를 통해 학습한 것을 바탕으로 어휘의 철자만을 보고 같은 면의 우측 끝에 있는 첫 번째 표제어평가부(5)에 그 뜻을 암기하여 기입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시험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시험 후에는 학습자의 답의 적힌 전면(1)의 표제어평가부(5) 부분을 도 5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평가부 접는선 및 절취선(9)을 따라 뒤로 접어 넘기면 배면(2)의 고정표제어부(3)가 우측에 보이게 되어, 학습자의 답이 적힌 전면(1)의 표제어평가부(5)와 그에 대한 정답이 수록된 배면(2)의 고정표제어부(3)를 대조(對照)하여 봄으로써 즉각적으로 손쉽게 채점이 가능하다.
배면(2)도 전면(1)과 마찬가지고 도 5에 나타난 임시표제어부(6)가 분리되었기 때문에 배면(2)의 고정표제어부(3)에는 수록된 어휘의 뜻만 보이게 되고, 따라서 학습자는 해당어휘의 뜻만을 보고 해당 어휘의 철자를 같은 면의 좌측 끝에 있는 첫 번째 표제어평가부(5)에 기입함으로써 시험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한 채점과 확인 또한 도 7이 보여주는 것처럼 학습자의 답이 적인 배면(2)의 표제어평가부(5)만을 표제어평가부 접는선 및 절취선(9)을 따라 전면(2)으로 접어 넘겨, 전면(1)의 고정표제어부(3)에 표기된 철자부분과 대조함으로써 간단하게 이뤄진다.
즉, 첫 번째 단계에서 초기학습을 위한 학습에 활용되었던 전면(1)과 배면(2)의 고정표제어부(3)가 세 번째 단계인 학습성취도 평가단계에서는 평가를 위한 정답지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처럼 임시표제어부(6)가 분리된 학습서의 전면(1)과 배면(2)에는 각각 해당어휘의 철자와 뜻 가운데 하나씩만 보여지기 때문에 철자와 뜻에 대한 시험이 표제어평가부(5)를 통해 간단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곧바로 해당 표제어평가부(5)를 접는 방식으로 시험 본 것에 대한 정답확인과 채점이 가능하기 때문에 평가의 효율을 극대화 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학습서를 이용하여 단순히 수록어휘에 대한 학습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습의 성취도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평가, 진단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 네 번째 단계는 두 번째 단계에서 임시표제부(6)를 분리해 복습카드로 이용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도 8이 보여주는 것과 같이 평가를 마친 표제어평가부(5)를 표제어평가부 접는선 및 절취선(9)을 이용하여 학습서와 분리함으로써 어휘복습카드로 이용하는 것이다.
이는 채점을 통해 틀린 부분과 맞은 부분이 체크되어 있는 오답노트 기능이 가미된 복습카드로써, 두 번째 단계에서의 임시표제어부(6)를 활용한 학습과는 또 다른 한 차원 높은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표제어평가부(5)는 언어별, 학년별, 수준별 등에 따라 얼마든지 추가가 가능하여, 이를 통해 반복적인 학습 및 평가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반복적인 학습과 평가가 이루어진 후에도 고정표제어부(3)와 표제어보충부(4)를 포함한 학습서의 핵심부분은 남게 되어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학습서는 첨부된 도면과 같은 영어 어휘학습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중국어, 일본어 등 세계 각국의 표준어 어휘학습을 위한 학습서로 이용이 가능하다.
1: 용지의 전면
2: 용지의 배면
3: 고정표제어부
4: 표제어학습부
5: 표제어평가부
6: 임시표제어부
7: 제본측
8: 임시표제어부 절취선
9: 표제어학습부 접는선 및 절취선

Claims (7)

  1. 외국어 어휘학습의 대상이 되는 어휘들의 철자(spelling)와 뜻(meaning)이 수록되어 있는 고정표제어부(3), 고정표제어부(3)에 수록된 어휘들과 동일한 어휘들의 철자와 뜻이 임시적으로 수록되는 임시표제어부(6), 고정표제어부에 수록된 어휘들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담고 있는 표제어보충부(4), 고정표제어부에 수록된 어휘들의 학습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는 답안지 역할을 하는 표제어평가부(5)로 구성되어 있고,
    학습서 각 용지의 양면, 즉 전면(1)과 배면(2) 모두에 고정표제어부(3), 표제어보충부(4), 표제어평가부(5), 임시표제어부(6)의 순으로 제본측에서부터 그 반대측방향으로 각 병렬로 배치되어, 전면(1)의 고정표제어부(3)는 후면(2)의 고정표제어부(3)와 전면(1)의 표제어보충부(4)는 배면(2)의 표제어보충부(4)와 전면(1)의 표제어평가부(5)는 배면(2)의 표제어평가부(5)와 전면(1)의 임시표제어부(6)는 배면(2)의 임시표제어부(6)와 각각 서로 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위치에 맞대어 있는 형태로서 이 양면이 하나의 어휘학습용지를 이루며,
    양면으로 이루어진 임시표제어부(6)와 표제어평가부(5)는 점선을 따라 각 순차로 학습서와 분리가 가능하여, 분리된 부분은 휴대가 가능한 어휘복습카드로 활용하고 분리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반복적인 학습에 활용함으로써,
    영어뿐 아니라 중국어, 일본어 등의 세계 각국의 표준어 어휘학습을 위하여 이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식 어휘학습서.
  2. 제 1항에 있어서, 각 용지의 전면(1)에 배치된 고정표제어부(3)에는 학습대상어휘들의 철자만 수록되고, 배면(2)에 배치된 고정표제어부(3)에는 전면(1)의 고정표제어부(3)에 수록된 해당 어휘들의 뜻만 수록되며, 이와 반대로 전면(1)의 임시표제어부(6)에는 해당 고정표제어부(3)에 수록된 어휘들의 의미만 수록되며, 배면(2)의 임시표제어부(6)에는 해당 고정표제어부(3)에 수록된 어휘들의 철자만 수록되어 임시표제어부(6)가 학습서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전면(1)에는 수록어휘의 철자만 남고, 배면(2)에는 수록어휘의 뜻만 보이게 되어 학습자 스스로 표제어평가부(5)를 이용한 평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식 어휘학습서.
  3. 제 1항에 있어서, 각 용지의 고정표제어부(3)에 수록된 어휘의 수는 언어별, 학년별, 실력별, 종류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각 용지의 고정표제어부(3)에 수록된 어휘들과 동일한 수와 동일한 순서로 해당용지의 표제어보충부(4), 임시표제어부(6)의 어휘들이 구성되는 양면식 어휘학습서.
  4. 제 1항에 있어서, 각 용지 양면의 각 고정표제어부(3), 표제어보충부(4), 표제어평가부(5), 임시표제어부(6)는 각기 선의 형태로 구분되어 있으며, 임시어표제부(6)와 표제어평가부(5)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도와주는 임시표제어부 절취선(8)과 표제어평가부 접는선 및 절취선(9)은 오시(종이가 접히는 부분에 줄을 약하게 그어 종이가 잘 접히게 하는 가공법)나 미싱(종이 위에 점선으로 칼집을 내어 종이를 뜯기 쉽게 하는 가공법)과 같은 인쇄 후 후가공(後加工)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식 어휘 학습서.
  5. 제 1항에 있어서, 임시표제어부(6)가 분리된 후에는 학습서의 양면에 있는 표제어평가부(5)의 공란에 학습한 어휘에 대한 시험(test)이 가능하고, 시험을 본 후에는 전면(1)의 표제어평가부는 표제어평가부 접는선 및 절취선(8)을 따라 배면(2)으로 접어 넘기는 방법으로, 배면(2)의 표제어평가부(5)는 표제어평가부접는선 및 절취선(8)을 따라 전면(1)으로 접어 넘기는 방법으로 각각 배면(2)의 우측과 전면(1)의 좌측에 보이는 고정표제어부(3)와의 대조(對照)를 통한 정답확인 및 채점이 용이한 양면식 어휘학습서.
  6. 제 1항에 있어서, 양면에 구성된 표제어평가부(5)가 각 면에 1개 이상 구비되어 각 면에 수록된 어휘들을 1회 이상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게 하는 것과 각 표제어평가부(5)에는 답안지 역할을 하는 공란과 함께 채점 후 정답의 기입이 가능한 공란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식 어휘학습서.
  7. 삭제
KR1020120145180A 2012-12-13 2012-12-13 수록어휘에 대한 자기평가 수행 및 휴대용 복습카드 생성이 가능한 양면식 어휘학습서 KR101393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180A KR101393243B1 (ko) 2012-12-13 2012-12-13 수록어휘에 대한 자기평가 수행 및 휴대용 복습카드 생성이 가능한 양면식 어휘학습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180A KR101393243B1 (ko) 2012-12-13 2012-12-13 수록어휘에 대한 자기평가 수행 및 휴대용 복습카드 생성이 가능한 양면식 어휘학습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243B1 true KR101393243B1 (ko) 2014-05-08

Family

ID=50893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180A KR101393243B1 (ko) 2012-12-13 2012-12-13 수록어휘에 대한 자기평가 수행 및 휴대용 복습카드 생성이 가능한 양면식 어휘학습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2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584Y1 (ko) 2006-05-11 2006-07-27 성양환 접철식 언어 학습 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584Y1 (ko) 2006-05-11 2006-07-27 성양환 접철식 언어 학습 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361154A (en) Educational device
US20080206724A1 (en) Vowel based method of teaching the reading of English
Salend Classroom testing and assessment for all students: Beyond standardization
Hadi Significance of vocabulary in achieving efficient learning
Cimermanová Teach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o dyslexic learners
Salend Using technology to create and administer accessible tests
KR100920244B1 (ko) 외국어 학습교재
O'Carroll An exploratory study of early letter-sound knowledge in a low socio-economic context in South Africa
Essuman et al. Evaluation of selected textbooks from Ghanaian primary schools
KR101183591B1 (ko) 언어교육교재에 의한 언어교육방법
KR101393243B1 (ko) 수록어휘에 대한 자기평가 수행 및 휴대용 복습카드 생성이 가능한 양면식 어휘학습서
Benjamin Writing put to the test: Teaching for the high stakes essay
Hamiloğlu et al. A content analysis on the vocabulary presentation in EFL course books
Husanova COMMON PROBLEMS IN READING AND ITS STRATEGIES IN TEACHERS’OPINION.
Castilleja " Is That Your Final Answer?" Before, During, and After Reading Strategies to Improve Comprehension and Master Standardized Tests.
Gibree et al. An Investigation of English Spelling Achievement among Second Level Saudi Students at King Khalid University.
JP6963935B2 (ja) 授業のカリキュラム及び受講順序提案システム
Long et al. Learning vocabulary through morpheme word family object boxes
Sudharshana et al. Task-based language teaching and assessment: contemporary reflections from across the world
Smith How well do you spell? Spelling proficiency of foundation phase student educators
Alonzo The Alignment between easyCBM® Literacy Assessments and Ohio's Learning Standards.
Bhatti Investigating the condition of teaching reading skill at secondary level
Madhumathi et al. Role of Text Readability in Engineering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Shopiyana et al. SCRAPBOOK TO INTRODUCE ALPHABET: A DEVELOPMENT RESEARCH FOR PRESCHOOL LEARNERS
Pelani THE EFFECT OF PERSONAL PHOTOGRAPH ON STUDENTS’WRITING QUANTITY IN DESCRIPTIVE TEXT (A Quasi-Experimental Study on the Second Year Students of SMAN 8 Bengkulu in 2006/2007 Academic Y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