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912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912B1
KR101392912B1 KR1020070035721A KR20070035721A KR101392912B1 KR 101392912 B1 KR101392912 B1 KR 101392912B1 KR 1020070035721 A KR1020070035721 A KR 1020070035721A KR 20070035721 A KR20070035721 A KR 20070035721A KR 101392912 B1 KR101392912 B1 KR 101392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mode switching
slid
rot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7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92178A (en
Inventor
구경완
안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5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912B1/en
Publication of KR20080092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1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9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 다단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에 장착되며, 상기 제1바디가 제1단계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외부로 노출되는 모드전환부; 및 상기 제1바디가 슬라이드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바디가 제2단계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외부로 노출되는 키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providing a convenient interf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irst body having a display on a front surface thereof; A second body mounted on the first body so as to be slidable in multiple stages; A mode switching unit mounted on the second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first body is slid to the first step; And a keypad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first body is slid to the second step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is slid.

핸드폰, 휴대폰, 단말기, 방송, 인터페이스 Mobile phone, mobile phone, terminal, broadcasting, interface

Description

휴대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000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0002]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in a clos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제1바디가 제1단계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의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first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is slid to the first step;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제1바디가 제2단계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의 사시도,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first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2 is slid to the second step,

도 4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배면도,FIG. 4 is a rear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2;

도 5는 모드 전환을 위한 휠의 모습을 보인 전면도,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a wheel for mode switching,

도 6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제어 블럭도,6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도 7은 도 5의 휠과 그 주변 부분의 단면도,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heel of Fig. 5 and its peripheral portion,

도 8은 휠의 탄성 스토퍼를 보인 평면도,8 is a plan view showing an elastic stopper of the wheel,

도 9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도 10a 내지 도 10e는 도 9의 슬라이드 모듈의 작동 상태도,Figs. 10A to 10E are diagram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slide module of Fig. 9,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가 특정모드에서 거치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in a specific mode,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가 특정모드에서 거치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이다.FIG. 12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stationary in a specific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 휴대 단말기 10: 제1바디1: portable terminal 10: first body

11: 디스플레이 20: 스피커 유닛11: display 20: speaker unit

30: 제2바디 40: 모드전환부30: second body 40: mode switching section

41: 모드전환바디 42: 휠41: Mode switching body 42: Wheel

43: 방향키 43: Direction key

본 발명은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providing a convenient interface.

휴대 전화기나 피디에이(PDA)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중에 이를 이용하여 무선 송수신이나 정보를 열람 또는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기의 하나이다.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mobile phone or a PDA is one of electronic devices that allows a user to use the portable phone while reading or to receive information or to view or process information.

최근의 눈부신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는 단순한 통화 기능 외에 멀티 미디어를 직접 생산하거나 이를 송수신하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Recently,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the remark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stage of directly producing or transmitting multimedia in addition to the simple call function.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를 탑재하여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거나 전송하기도 하고, MP3나 VOD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기도 하며, 더 나아가 위성(satellite)이나 지상파(terrestrial wave)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한다)을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기도 한다. For example, a digital camera may be used to photograph or transmit a picture or a moving picture, to reproduce a multimedia file such as MP3 or VOD, and to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using a satellite or a terrestrial wave. Broadcast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DMB').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작고 제한된 장치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편리하도록 충분한 기구적인 뒷받침과 함께, 그러한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interface) 환경을 요한다. Such handheld terminals require an interface environment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use such complex and diverse functions, with sufficient mechanical backing for convenient implementation of various functions within a small and limited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easily implement one or more functions by a simple operat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 다단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에 장착되며, 상기 제1바디가 제1단계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외부로 노출되는 모드전환부; 및 상기 제1바디가 슬라이드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바디가 제2단계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외부로 노출되는 키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A second body mounted on the first body so as to be slidable in multiple stages; A mode switching unit mounted on the second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first body is slid to the first step; And a keypad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first body is slid to the second step in a state where the first body is slid.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모드전환부는, 상기 제2바디의 일측에 장착되는 모드전환바디 및, 상기 모드전환바디의 전면에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각에 따라 대응되는 모드로 전환시키는 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e switching unit includes a mode switching body moun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and a mode switching body installed to be rotatable about a rotational axis perpendicular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ode switching body, And a wheel for switching to a corresponding mod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휠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커서 또는 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향키가 더 구비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both sides of the wheel may further include a direction key for controlling movement of a cursor or a pointer.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바디 또는 제2바디에는 촬영을 위한 카메라 및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방송수신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d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broadcas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휠은 기준위치로부터 제1방향 회전시 상기 카메라를 조작하기 위한 모드들로 전환시키고,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 회전시 상기 방송수신모듈을 조작하기 위한 모드들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 is switched from a reference position to a mode for operating the camera in a first direction rotation, and when the wheel is rotat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o the modes for operating the < / RTI >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바디 또는 제2바디에는 음악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음악재생모듈이 더 구비되고, 상기 휠은 상기 음악재생모듈을 조작하기 위한 모드들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may further include a music playback module for playing a music file, and the wheel may be configured to switch to modes for operating the music playback module .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에는 상기 제2바디가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제2바디를 다단계로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바디가 상기 제1단계로 이동될 때 상기 제1바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제공부; 및 상기 제1바디가 상기 제2단계로 이동될 때 상기 제1바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lide module may include a slide module for guiding the second body in multiple stages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when the second body slides, A first elasticity providing unit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body when moved to a first step; And a second elasticity providing unit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body when the first body is moved to the second step.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관련된 공지 기능이나 부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mponent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1)는 제1바디(10)와 제1바디(10)의 후면에 제1바디(1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30)를 구비하고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in a clos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portable terminal 1 includes a first body 10 and a second body 30 slidabl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0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10 have.

제1바디(10)는 시각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1)를 구비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11)의 일측에는 음성을 출력하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21)가 장착된 스피커 유닛(20)이 구비된다.The first body 10 is provided with a display 11 for displaying time information and a speaker unit 20 having a receiver or a speaker 21 for outputting sou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11 Respectively.

디스플레이(11)는 장대화를 위하여 제1바디(10)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11)에서 출력되는 화면은 휴대 단말기(1)를 보는 방향에 맞게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가 뉘어져 있을 때 변환되어 가로 화면(landscape image)을 제공하고, 휴대 단말기(1)가 세워져 있을 때 변환되어 세로화면(portrait image)을 제공하도록 설정되는 것이다. 이는 휴대 단말기(1)의 상태를 센서수단 등에 의하여 감지하여 자동으로 변환시키거나, 특정한 스위칭 조작을 통하여 이룰 수 있다.The display 11 may have an area occupying mos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body 10 for long-term conversation. Furthermore,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11 can be set to be adjustable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 is viewed.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laid out, it is converted to provide a landscape image,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standing up, it is converted and provided to provide a portrait image. This can be achieved by detecting th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 by the sensor means and automatically converting the state, or by performing a specific switching operation.

스피커 유닛(20)은 디스플레이(11)에 대하여 구획된 별개의 몸체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것과 같이, 스피커 유닛(20)이 디스플레이(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스피커 유닛(2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방향을 조정하거나, 디스플레이(11)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대(prop)의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The speaker unit 20 may be a separate body partitioned with respect to the display 11. For example, as described later, by making the speaker unit 20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display 11, the direction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unit 20 can be adjusted, or the display 11 can be kept standing So that it can serve as a prop.

제1바디(10)의 하단에는 휴대 단말기(1)의 모드를 간단히 변환시킬 수 있는 모드전환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제1바디(10)가 제2바디(30)에 대하여 겹쳐져 있는 상태에서 모드전환부(40)는 대체로 제1바디(10)의 의하여 가려져 있으며, 제1바디(10)를 제1단계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모드전환부(40)가 노출된다.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10, there is provided a mode switching unit 40 which can easily change the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1. The mode switching unit 40 is generally hidden by the first body 10 in a state where the first body 10 overlaps the second body 30 and the first body 10 is slid to the first stage The mode switching unit 40 is exposed.

모드전환부(40)의 일측에는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4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44)는 입에 근접시키고 스피커 유닛(20)은 귀에 근접시켜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다. A microphone 44 for receiving voice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de switching unit 40. Accordingly, the microphone 44 can be brought close to the mouth, and the speaker unit 20 can be brought close to the ear to make a call with the other party.

도 1의 휴대 단말기(1)는 완전히 닫힌 상태로서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오거나 각종 메시지 등을 전송받기 위하여 대기하고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1)는 꺼져 있는 상태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 shown in Fig. 1 is in a completely closed state, and is waiting for receiving a call or receiving various messages from the other party. At this time, the display 11 can be set to be in the off state.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제1바디가 제1단계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being slid to the first step.

제1바디(10)는 제2바디(30)에 대하여 다단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제1바디(10)가 제1단계로 슬라이드 이동된 것을 보인 것으로, 모드전환부(40)가 휴대 단말기(1)의 일측으로 노출되고 있다. The first body 10 is configured to slide in multiple stag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30. FIG. 2 shows that the first body 10 is slid to the first step, and the mode switching unit 40 is exposed to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1.

도 4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배면을 보인 것으로, 스피커 유닛(20)의 배면에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22)가 설치될 수 있다. 모드전환부(40)가 제1바디(10)로부터 노출되는 것과 대응되어 카메라(22)도 제2바디(30)에 대하여 노출된다. 특히, 카메라(22)는 제1바디(10)가 닫혀 있는 때에는 함께 제2바디(30)에 대하여 닫히게 됨으로써 외부의 먼지나 충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FIG. 4 shows a rear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2. A camera 22 capable of photographing a picture or a moving picture may be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speaker unit 20. The camera 22 is also exposed to the second body 30 in correspondence with the exposure of the mode switching unit 40 from the first body 10. In particular, when the first body 10 is closed, the camera 22 is clos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30, so that the camera 22 can be protected from external dust or impact.

카메라(22)의 일측에는 촬영시 조명을 제공하는 플레시 장치(23)가 설치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camera 22 may be provided with a flash unit 23 for providing illumination at the time of shooting.

카메라(22)에 들어오는 이미지는 디스플레이(11)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스피커 유닛(20)은 디스플레이(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카메라(22)가 향하는 어느 방향에 있는 피사체라도 디스플레이(11)를 통하여 확인하며 촬영할 수 있다.The image input to the camera 22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display 11. In one embodiment, the speaker unit 2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display 11. [ Accordingly, a subject in any direction to which the camera 22 face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display 11 and taken.

모드전환부(40)는 제2바디(30)의 일측에 장착되는 모드전환바디(41)와 모드전환바디(41)의 전면에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각에 따라 대응되는 모드로 전환시키는 휠(42)을 구비하고 있다. 휠(42)은 그 회전에 의하여 특정 모드로 구현하기 위한 장치로서, '다이얼' 또는 '조그 다이얼' 등과 같은 다른 명칭으로 불려지는 것이 가능하다.The mode switching unit 40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ode switching body 41 and the mode switching body 41 moun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30, And a wheel 42 for switching to a corresponding mode. The wheel 42 is a device for implementing in a specific mode by its rotation, and can be called by other names such as 'dial' or 'jog dial'.

도 2에 의하면, 휠(42)의 가장자리의 일부는 모드전환바디(41)의 일측에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휠(42)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준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변경된 위치에 대응되는 모드로 전환된다. 2, a part of the edge of the wheel 42 may be partially protruded to one side of the mode switching body 41. [ When the wheel 42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the wheel 42 is mov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o another position, and the mode is switched to the mode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position.

휠(42)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커서 또는 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향키(43)가 구비되어 있다. 방향키(43)는 돔스위치를 사용하는 방식 또는 터치에 의하여 동작하는 방식 등이 될 수 있다. 후술하는 도 7에서는 그중 돔스위치를 사용하는 방식의 예를 들었다.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wheel 42, a direction key 43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cursor or the pointer is provided. The direction key 43 may be a method using a dome switch or a method using a touch. In Fig. 7 to be described later, an example of a method of using a dome switch has been described.

가능한 실시예로서, 휠(42)은 상/하 이동을 지시하는 키로, 방향키(43)는 좌/우 이동을 지시하는 키로도 할당이 가능하다. 이 경우, 휠(42)은 누름 가능하거나 터치에 의하여 동작 가능한 형태로 될 것을 요한다. 나아가 휠(42)은 선택된 위치나 메뉴에 대하여 실행시키는 '확인키'로서도 기능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s a possible embodiment, the wheel 42 is a key for instructing upward / downward movement, and the direction key 43 can also be assigned to a key for instructing the left / right movement. In this case, the wheel 42 needs to be in a form that can be pressed or operated by a touch. Further, the wheel 42 may also be configured to function as an " OK key " to be executed for the selected position or menu.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제1바디가 제2단계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2바디(30)의 모드전환부(40) 상측에는 문자나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들이 있는 키패드(31)가 구비되어 있다. 제1바디(10)가 제1단계로 슬라이드 이동된 도 2의 상태에서 제2단계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가려져 있던 키패드(31)가 노출되어 입력 또는 통화를 할 수 있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2 in a state where the first body is slid to the second step. As shown in FIG. 3, a keypad 31 having keys for inputting letters and numbers is provided on the mode switching unit 40 of the second body 30. When the first body 10 is slid to the second step in the state of FIG. 2 in which the first body 10 is slid to the first step, the hidden keypad 31 is exposed and can be input or communicated.

또한, 제1바디(10)가 제2단계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 모드전환부(40)의 휠(42)과 방향키(43)를 이용하여 파일을 탐색하거나 해당 메뉴로의 커서나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모드전환부(40)는 제2바디(3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게 되어 휴대 단말기(1)를 세로로 잡거나 가로로 잡은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손가락의 용이한 접근성을 가져다 준다.In the state where the first body 10 is slid to the second step, the user can navigate the file using the wheel 42 and the direction key 43 of the mode switching unit 40 or move the cursor or pointer to the menu . Particularly, the mode switching unit 40 is positioned at the edge of the second body 30, thereby allowing easy accessibility of the user's finger even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is held vertically or horizontally.

도 5는 모드 전환을 위한 휠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로서, 휠(42)의 전면에는 각 모드를 표시하는 모드표지(標識)들(45)이 형성되어 있다. 가능한 실시예로서, 휠(42)은 기준위치로부터 제1방향 회전시 카메라(22)를 조작하기 위한 모드들로 전환시키고, 기준위치로부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 회전시 방송수신모듈(82)을 조작하기 위한 모드들로 전환시키게 설정될 수 있다.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mode of the wheel for mode switching. Mode markers 45 indicating the respective modes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heel 42. FIG. As a possible embodiment, the wheel 42 switches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o the modes for operating the camera 22 in the first direction of rotation, and in the second direction of rotation from the reference position opposite the first direction, 82 to operate.

휠(42)의 외주면에는 모드전환바디(41)의 측면에서 휠(42)을 회전시킬 수 있게 복수의 마찰홈(46)이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friction grooves 46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42 so as to rotate the wheel 42 on the side surface of the mode switching body 41.

휠(42)이 특정 회전각에 이르게 되면, 해당되는 모드로의 이행과 함께 방향키(43)를 이용하여 하위에 해당하는 메뉴로 커서 또는 포인터가 위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When the wheel 42 reaches a specific rotation angle, the cursor or the pointer can be set to the lower menu by using the direction key 43, in addition to the transition to the corresponding mode.

도 6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6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1)는 일정 대역에서 무선 송수신을 담당하는 무선이동통신 모듈(81)과 함께 위에서 설명한 모드전환부(40), 카메라(23), 키패드(31), 방송수신모듈(82) 및 마이크(44)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11) 또는 스피커(21)에 출력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80)를 구비한다. 6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6, the mobile terminal 1 includes a mode switching unit 40, a camera 23, a keypad 31, a keypad 31, And a control unit 80 connected to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82 and the microphone 44 to provide an output signal to the display 11 or the speaker 21.

방송수신모듈(82)은 위성이나 지상파 DMB 또는 DAB(Digital Au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11)와 스피커(21)에 시각 또는 청각신호를 각각 제공한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82 receives satellite or terrestrial DMB or DAB signals and provides visual or auditory signals to the display 11 and the speaker 21, respectively.

제어부(80)는 모드전환바디(41)가 회전될 때 특정한 모드로 직접 이행시키기 위한 모드전환부 회전감지수단(33)에 연결됨으로써, 보다 빠른 모드의 전환으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모드전환바디(41)의 회전이 있으면, 제어부(80)는 곧바로 휴대 단말기(1)를 DMB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80 is connected to the mode switching unit rotation detecting means 33 for directly shifting the mode switching body 41 to a specific mode when the mode switching body 41 is rotated. For example, if there is a rotation of the mode switching body 41, the controller 80 can immediately switch the portable terminal 1 to the DMB mode.

또한, 제어부(80)는 모드전환바디(41)가 회전될 때 디스플레이(11)를 가로화면으로 전환시키는 화면전환부(84)를 포함함으로써, 방송이나 동영상의 감상에 적합한 모드로의 직접 이행을 기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80 includes a screen switching unit 84 for switching the display 11 to a landscape screen when the mode switching body 41 is rotated so that the direct transition to a mode suitable for listening to a broadcast or moving image You can expect.

휴대 단말기(1)는 또한, 음악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음악재생모듈(83)를 구비할 수 있다. 음악재생모듈(83)은 모드전환부(40)에서 보내어진 신호에 의해 조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드전환부(40)의 휠(41)은 재생될 파일의 선곡모드 또는 볼륨조절 모드 등으로 할당된 회전위치를 가질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 may further include a music playback module 83 for playing music files. The music reproduction module 83 can be set to be operated by a signal sent from the mode switching section 40. [ In this case, the wheel 41 of the mode switching unit 40 may have a rotation position assigned to a selection mode or a volume adjustment mode of a file to be reproduced.

휴대 단말기(1)는 제1바디(10)의 제1단계 슬라이드 이동을 감지하여 곧바로 특정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드 감지부(85)를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드 감지부(85)는 제1바디(10) 또는 제2바디(30)에 자기센서나 포토센서 또는 접촉센서 등을 설치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 may include a slide sensing unit 85 for sensing the first slide movement of the first body 10 and immediately switching to a specific mode. The slide sensing unit 85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magnetic sensor, a photosensor, a touch sensor, or the like on the first body 10 or the second body 30.

도 7은 도 5의 휠의 단면도이고, 도 8은 휠의 탄성 스토퍼 부분을 보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휠(42)은 모드전환바디(4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는 샤프트(51)에 결합되어 있다. 샤프트(51)는 모드전환바디(41)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47)에 지지된다. 기판(47)에는 샤프트(51)의 회전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각 모드로 전환되기 위한 다단 스위치(52)가 설치되어 있으며, 다단 스위치(52)는 샤프트(51)의 회전에 의하여 연동된다. 다단 스위치(52)는 알려진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heel of Fig. 5, and Fig. 8 is a plan view of the elastic stopper portion of the wheel. According to these drawings, the wheel 42 is coupled to the shaft 51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mode switching body 41. The shaft 51 is supported on a substrate 47 provided inside the mode switching body 41. The substrate 47 is provided with a multi-stage switch 52 for switching to each mode described abov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51. The multi-stage switch 52 is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51. The multi-stage switch 52 may be of a known type.

휠(42)과 모드전환바디(41) 사이에는 휠(42)의 회전시 각 모드에 따른 일정 회전각마다 휠(42)을 탄성적으로 정지시키는 탄성 스토퍼(53)가 구비되어 있다.Between the wheel 42 and the mode switching body 41 is provided an elastic stopper 53 for resiliently stopping the wheel 42 at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corresponding to each mode when the wheel 42 rotates.

휠(42)의 일측에는 모드전환바디(41)에 누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향키(43)가 구비되어 있다. 방향키(43)는 기판(47) 상에 설치되는 돔스위치(48)를 눌러 줌으로써 커서나 포인터를 이동시킨다. 다만, 방향키(43)는 터치방식에 의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 direction key 4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heel 42 so as to be pivotally mounted on the mode switching body 41. The direction key 43 moves the cursor or the pointer by pressing the dome switch 48 provided on the substrate 47. However, the direction key 43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by a touch method.

탄성 스토퍼(53)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7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샤프트(51)에 의하여 연동되며 외주면에 요철(54a)이 형성된 회전바디(54)와, 회전바디(54)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되며, 요철(54a)을 향하여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제공부재(55)를 구비한다.7, the elastic stopper 53 includes a rotating body 54 interlocked with the shaft 51 and having a concavo-convex surface 54a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n elasticity providing member 55 disposed on both sides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ward the unevenness 54a.

정확한 접촉을 위하여 탄성제공부재(55)에는 요철(54a)을 향하여 돌기(55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55a)는 요철(54a)의 내민 부분과 들어간 부분을 번갈아 접촉하면서 내민 부분을 넘어갈 때마다 탄성적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요철(54a)의 수는 휠(41)이 1회전에 의하여 제공할 수 있는 전체 모드의 수와 같도록 하거나 전체 모드의 수보다 많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elasticity providing member 55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55a toward the protrusion 54a so as to allow the protrusion 55a to move over the protrusion 55a while alternately touching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protrusion 54a Let it rotate elastically every time. The number of concavities and convexities 54a may be set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otal number of modes that the wheel 41 can provide by one rotation.

이와 같이 탄성 스토퍼(53)에 의하여 휠(42)의 회전시 클릭감과 함께 특정 모드로 변환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grasp whether the wheel 42 is being rotated by the elastic stopper 53 and whether it is being converted into the specific mode.

도 9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에 의하면, 제1바디(10)와 제2바디 사이에는 제1바디(10)가 제2바디(30)에 대해 다단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모듈(60)이 설치된다.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FIG. Referring to FIG. 9, a slide module 6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to guide the first body 10 to slide in multiple stag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30.

슬라이드 모듈(60)은 제1바디(10)에 고정되는 제1슬라이드 부재(61)와, 제1슬라이드 부재(6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바디(30)에 고정되는 제2슬라이드 부재(62)를 구비한다.The slide module 60 includes a first slide member 61 fixed to the first body 10, a second slide member 61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slide member 61 and fixed to the second body 30, Member (62).

제1슬라이드 부재(61)와 제2슬라이드 부재(62) 사이에는 제1바디(10)가 제1단계로 이동될 때 제1바디(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제공부와, 제1바디(10)가 제2단계로 이동될 때 제1바디(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제공부를 포함한다.A first elastic support provided between the first slide member 61 and the second slide member 62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body 10 when the first body 10 is moved to the first stage, And a second elasticity providing unit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body 10 when the body 10 is moved to the second step.

제1탄성제공부와 제2탄성제공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탄성제공부와 제2탄성제공부는, 제1슬라이드 부재(61)의 후면에 고정되며 그 폭이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63)와, 제2슬라이드 부재(62)의 전면에 고정되며 제1가이드(63)에 접촉하는 제2가이드(64)를 구비하고 있다.The first elastic support and the second elasticity providing unit are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slide member 61 and have a first guide And a second guide 64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slide member 62 and contacting the first guide 63.

제2가이드(64)는 제1슬라이드 부재(61)의 진행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가 이드 슬롯(67)에 구속되어 이동되는 무빙 가이드(66)와, 무빙 가이드(66)에 그 양단이 지지되어 있으며, 제1가이드(63) 방향으로 배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스프링(65)을 구비하고 있다.The second guide 64 is provided with a moving guide 66 which is constrained by the guiding slot 67 formed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slide member 61, And is provided with a pair of springs 65 which are oriented to be orient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63.

이에 따라, 스프링(65)이 제1가이드(63)와 접촉되며 오므라졌다 펴졌다 하는 동안 제1슬라이드 부재(61)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As a result, the spring 6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guide 63 and provides elastic force to the first slide member 61 while being unrolled and stretched.

도 9를 참조하면, 모드전환부(40)은 제2바디(30)에 제1힌지부(3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모드전환부(40)의 회전 여부는 모드전환부 회전감지수단(33)에 의하여 감지되도록 할 수 있다. 모드전환부 회전감지수단(33)은 자기센서나 포토센서 등과 같은 예가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9, it can be seen that the mode switching unit 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30 by the first hinge unit 32. The rotation of the mode switching unit 40 may be detected by the mode switching unit rotation sensing unit 33. [ The mode switching unit rotation detecting means 33 may be an example of a magnetic sensor, a photo sensor, or the like.

모드전환부(40)와 유사하게 스피커 유닛(20)도 제1바디(10)에 대하여 제2힌지부(1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스피커 유닛(20)은 모드전환부(40)와 함께, 특정 회전각으로 회전됨으로써 제1바디(10)와 제2바디(30)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지지부로서 활용될 수 있다.Similarly to the mode switching unit 40, the speaker unit 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10 by the second hinge unit 12. [ Accordingly, the speaker unit 20 can be used as a support for holding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30 in a standing state by being rotated at a specific rotation angle together with the mode switching unit 40.

나아가, 스피커 유닛(20)만이 회전되는 경우 그 스피커 유닛(20)의 회전을 감지하여 카메라(22)를 조작하는 카메라 모드로 곧바로 이행될 수 있도록 스피커 유닛 회전감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peaker unit rotation sensing means for sensing the rotation of the speaker unit 20 when only the speaker unit 20 is rotated so that it can be immediately shifted to a camera mode for operating the camera 22. [

도 10a 내지 도 10e는 도 8의 슬라이드 모듈의 작동 상태도이다. 제1가이드(63)는 제1바디(10)가 제1단계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동안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구간(S1)과 제1바디(10)가 제2단계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동안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구간(S2)을 포함하고 있다. 제1구간(S1)과 제2구간(S2)은 각각 그 폭 이 넓은 상태에서 점점 좁아졌다가 다시 넓어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제1가이드(63)는 제1바디(10)에 고정되어 있고, 제2가이드(64)는 제2바디(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가이드(63)와 제2가이드(64) 중 어느 것이 움직이는 것으로 해도 관계없으나 편의상 제1가이드(63)가 움직이는 것으로 해서 설명하기로 한다.Figs. 10A to 10E are operational states of the slide module of Fig. 8. Fig. The first guide 63 includes a first section S1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while the first body 10 slides to the first stage and a second section S1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dur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irst body 10 to the second stage. And a second section S2 for providing the second section S2. The first section S1 and the second section S2 are formed in such a shape that their width is gradually narrowed and then widens again. Since the first guide 63 is fixed to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guide 64 is fixed to the second body 30, any one of the first guide 63 and the second guide 64 But the first guide 63 is moved for convenience.

도 10a에 의하면, 제1바디(10)가 제2바디(30)에 대해 닫힌 상태에서 제1바디(1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제2가이드(64)는 제1구간(S1) 내에서 이동되면서 제1가이드(63)와 접촉하면서 이동된다(도 10a 내지 도 10c). 이 과정에서 제2가이드(64)가 제1구간(S1)의 가장 좁은 위치를 통과하는 순간 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하여 나머지 거리를 자동으로 이동시킨다.10A, when the first body 10 is slid in a state where the first body 10 is clos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30, the second guide 64 is moved in the first section S1 And moved in contact with the first guide 63 (Figs. 10A to 10C). In this process, as soon as the second guide 64 passes through the narrowest position of the first section S1, the remaining distance is automatically mo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65. [

도 10c와 같이, 제1바디(10)가 제1단계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 제2단계로 슬라이드업 시키면, 제2가이드(64)는 제2구간(S2) 내에서 이동되면서 제1가이드(63)와 접촉하면서 이동된다(도 10c 내지 도 10e). 이 과정에서 제2가이드(64)가 제2구간(S2)의 가장 좁은 위치를 통과하는 순간 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하여 나머지 거리를 자동으로 이동시킨다.10C, when the first body 10 is slid up to the second step in the state that the first body 10 is slid to the first step, the second guide 64 is moved in the second section S2, (Fig. 10C to Fig. 10E). In this process, as the second guide 64 passes through the narrowest position of the second section S2, the remaining distance is automatically mo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65.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가 특정모드에서 거치된 상태를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모드전환부(140) 및 스피커 유닛(120)은 각각 제2바디(130) 및 제1바디(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11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stationary in a specific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e switching unit 140 and the speaker unit 120 are rotatably mounted on the second body 130 and the first body 110, respectively.

도 11에서 보는 것과 같이, 모드전환부(140) 및 스피커 유닛(120)이 각각 제2바디(130) 및 제1바디(110)에 대하여 특정 회전각만큼 회전되었을 때, 모드전환부(140) 및 스피커 유닛(120)은 디스플레이(111)가 일정 경사각으로 세워지는 상태 를 유지할 수 있는 지지부(prop)로서 작용한다.11, when the mode switching unit 140 and the speaker unit 120 are rotated by a specific rot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130 and the first body 110, And the speaker unit 120 serve as a support capable of maintain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111 is erect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도 11에 의하면, 모드전환부(140) 및 스피커 유닛(120)은 각각 제2바디(130) 및 제1바디(110)의 중간 위치 정도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mode switching unit 140 and the speaker unit 120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about the middle position between the second body 130 and the first body 110.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가 특정모드에서 거치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이다. 도 12에 의하면, 모드전환부(240) 및 스피커 유닛(220)은 각각 제2바디(230) 및 제1바디(210)의 구석진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12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stationary in a specific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he mode switching unit 240 and the speaker unit 220 are rotatably coupled at the corner positions of the second body 230 and the first body 210, respectively.

이에 따라, 사용자는 모드전환부(240)와 스피커 유닛(220)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200)을 특정 각도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동안 방송을 시청하거나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maintain the portable terminal 200 at a specific angle by using the mode switching unit 240 and the speaker unit 220, so that the user can enjoy the broadcast or the moving picture for a long tim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제1바디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모드전환부가 노출되므로, 방송이나 멀티미디어 관련 기기를 감상 또는 처리하는데 있어서 인터페이스 환경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de switching unit capable of switching modes can be exposed by moving the first body step by step, the effect of improving the interface environment in viewing or processing a broadcast or multimedia related device hav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Claims (7)

다단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서로 결합되는 제1바디 및 제2바디;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slidable in a multistage manner; 상기 제2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제1바디가 제1단계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조작에 근거하여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모드를 전환시키는 모드전환부; 및A mode switching unit mounted on the second body and at least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first body is slid to the first step and switching a mode to be executed in the terminal based on the operation; And 상기 제2바디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바디가 상기 제1단계에서 제2단계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외부로 노출되는 키패드를 포함하고,And a keypa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first body is slid to the second step in the first step, 상기 모드전환부는,The mode switching unit, 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2바디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바디가 상기 제1단계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외부로 노출되고, 단말기의 길이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를 바닥면에 경사진 상태로 거치시키도록 상기 제2바디를 지지하는 모드전환바디;The first body is rotat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by a hinge portion so that the first body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first body is slid to the first step, A mode switching body for supporting the second body to mount the first body in an inclined state; 상기 제1바디가 상기 제1단계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모드전환바디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말기를 회전각에 대응되는 모드로 전환시키는 입력을 인가받는 휠;A wheel rotatably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ode switching body so that at least a part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first body is slid to the first step, 적어도 일부가 상기 휠과 연결되고, 상기 휠의 회전축을 형성하도록 단말기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A shaft at least partially connected to the wheel and extending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terminal to form a rotation axis of the wheel; 상기 모드전환바디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휠의 회전시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휠을 통해 인가되는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를 상기 회전각에 대응되는 모드로 전환시키는 다단 스위치; 및A mode switching body disposed within the mode switching body and coupled to the shaft to rotate about the shaft upon rotation of the wheel and configured to convert the terminal into a mod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ngle based on an input applied through the wheel Multistage switch; And 상기 휠과 상기 다단 스위치의 사이에 배치되어 기설정된 회전각들에서 상기 휠의 회전을 제한하는 탄성 스토퍼를 포함하고,And an elastic stopper disposed between the wheel and the multi-stage switch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wheel at predetermined rotation angles, 상기 탄성 스토퍼는,The elastic stopper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휠의 회전시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휠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는 회전바디; 및A rotating body having an uneven surfac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connected to the shaft to rotate together with the wheel about the shaft when the wheel rotates; And 상기 회전바디의 요철의 볼록한 부분과 접촉되는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돌기를 통해 상기 회전바디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회전바디를 기설정된 회전각에서 탄성적으로 정지시키는 탄성제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n elasticity providing member having a protrusion that is in contact with a convex portion of the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of the rotating body and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rotating body through the protrusion to resiliently stop the rotating body at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휠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커서 또는 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향키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one or both sides of the wheel further include a direction key for controlling movement of a cursor or a point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바디 또는 제2바디에는 촬영을 위한 카메라 및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방송수신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further comprises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d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broadcast.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휠은 기준위치로부터 제1방향 회전시 상기 카메라를 조작하기 위한 모드들로 전환시키고,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 회전시 상기 방송수신모듈을 조작하기 위한 모드들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wheel is switch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o the modes for operating the camera in the first direction of rotation an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o the modes for operating 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 in the second direction of rota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바디 또는 제2바디에는 음악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음악재생모듈이 더 구비되고,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may further include a music playing module for playing music files, 상기 휠은 상기 음악재생모듈을 조작하기 위한 모드들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wheel switches the modes for operating the music reproduction modu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에는 상기 제2바디가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제2바디를 다단계로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And a slide module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for guiding the second body in a multistage manner when the second body slides, 상기 제1바디가 상기 제1단계로 이동될 때 상기 제1바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제공부; 및A first elastic member provided on the first body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first body when the first body is moved to the first step; And 상기 제1바디가 상기 제2단계로 이동될 때 상기 제1바디에 탄성력을 제공하 는 제2탄성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And a second elasticity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body when the first body is moved to the second step.
KR1020070035721A 2007-04-11 2007-04-1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3929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721A KR101392912B1 (en) 2007-04-11 2007-04-1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721A KR101392912B1 (en) 2007-04-11 2007-04-1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178A KR20080092178A (en) 2008-10-15
KR101392912B1 true KR101392912B1 (en) 2014-05-12

Family

ID=40152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721A KR101392912B1 (en) 2007-04-11 2007-04-1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9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37172B1 (en) * 2010-02-15 2018-04-11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pad with keys having a ridged surface profi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018A (en) * 2001-02-12 2002-08-21 김민겸 Mobile terminal
JP2005117164A (en) * 2003-10-03 2005-04-28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Mobile phone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018A (en) * 2001-02-12 2002-08-21 김민겸 Mobile terminal
JP2005117164A (en) * 2003-10-03 2005-04-28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Mobile phon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178A (en)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7119B2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rotatable screen and qwerty keypad
US8160650B2 (en) Bidirectional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thereof
US8046033B2 (en) Mobile terminal
CN1319356C (en) Device and method for using a rotating key and controlling a display in a mobile terminal
US7889172B2 (en) Input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CN1949905A (en) Method for displaying multimedia contents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capable of implementing the same
JP5117032B2 (en) Mobile terminal and mode switching method thereof
CN101197861A (en) Portable device consisting of three movable housing parts
KR20060055375A (en)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20070275773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195252B2 (en) Input device for mobile terminal using scroll key
US2009006196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 panel capable of being hidden selectively
CN102257794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sliding display screen and screen-dividing member
KR10139291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00245234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Low Dexterity Requirement Input Means
JP5092951B2 (en) Portable device
KR100871248B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rotatable screen and qwerty keypad
KR101480453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63806B1 (en) 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thereof
KR100700590B1 (en) Display unit and mobile terminal equipped therewith
KR101161695B1 (en) Integrated cellular phone, digital camera, and pda, with swivel mechanism providing access to the interface elements of each function
JP2011221221A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0539876B1 (en) Device and method for using rotation key apparatus in wireless terminal
KR101122085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474415B1 (en)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