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869B1 - 보강재 공간을 갖는 제어기용 수납박스 - Google Patents

보강재 공간을 갖는 제어기용 수납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869B1
KR101392869B1 KR1020130065702A KR20130065702A KR101392869B1 KR 101392869 B1 KR101392869 B1 KR 101392869B1 KR 1020130065702 A KR1020130065702 A KR 1020130065702A KR 20130065702 A KR20130065702 A KR 20130065702A KR 101392869 B1 KR101392869 B1 KR 101392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tiffener
reinforcing
storage box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라
Original Assignee
박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라 filed Critical 박세라
Priority to KR1020130065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7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specific features for mounting the housing on an exter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91Housing specially adapted for small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몸체의 적어도 일부에 철근이 통과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의 둘레에 위치토록 금속성의 보강재가 수납박스의 일체로 성형되는 구성으로 벽체의 두께가 최소화 되는 건축물에 적용이 가능토록 되는 보강재 공간을 갖는 제어기용 수납박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강재 공간을 갖는 제어기용 수납박스{controller box having reinforced space}
본 발명은 박스몸체의 적어도 일부에 철근이 통과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의 둘레에 위치토록 금속성의 보강재가 수납박스의 일체로 성형되는 구성으로 벽체의 두께가 최소화 되는 건축물에 적용이 가능토록 되는 보강재 공간을 갖는 제어기용 수납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자동화는 집안에 있는 모든 가전제품과 전열기구를 비롯해 각 방의 창문이나 현관의 문까지 집 밖에서 전화를 통해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이러한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기능은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집안의 가전제품, 조명기기, 음향기기 등을 전화로 켜고 끌 수 있는 원격제어 기능과 가스 누출, 화재, 도난시에 경고음을 울려주는 방범 및 방재 자동감지 기능, 현관이나 대문의 상황을 알려주는 비디오 전화기능이다.
더하여, 컴퓨터와 통신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에 따라 가정자동화는 단지 이러한 기능에 국한되지 않고 더욱 확장되는 추세로 PC통신과 인터넷을 통하여 시장정보, 일기예보, 각종 경기, 전시회 등의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항공권, 열차표, 각종 문화행사의 입장권을 가정에서 예매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가정자동화를 위한 기기는 복수의 조작스위치나 스피커, 비디오, 폰등의 각종 장비가 일체로 구비되는 구성으로 단자박스의 내측에 일체로 내장 설치된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등록실용신안 제123176호에 통신기기 부착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매립박스(101)에 형성된 고정공(102)과 일치되도록 한 장공(103)을 형성한 베이스판(104)에 터미널보드(110)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104)에 형성된 고정홈(105)과, 상기 고정홈(105)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홈오토메이션장치(107)에 형성된 고정브라켓(106)과, 상기 베이스판(104)에 결합된 홈오토메이션장치(107)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판(104)에 형성된 고정돌기(108)에 고정나사(109)을 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부착장치는, 홈오토메이션장치(107)를 벽체에 부착코져 할 때는 벽체에 매립박스(101)를 매립하고, 벽체에 매립된 매립박스(101)에 형성된 고정공(102)에 베이스판(104)의 장공(103)이 일치되게 한 후 장공(103)과 고정공(102)에 고정나사를 결합하여 조이므로 베이스판(104)이 부착된다.
그리고, 홈오토메이션장치(107)에 형성된 고정브라켓(106)을 베이스판(104)에 형성된 고정홈(105)에 삽입하고, 상기 베이스판(104)에 형성된 고정돌기(108)에는 고정나사(109)를 결합하여 홈오토메이션장치(107)가 움직이지 아니하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부착장치는, 건축물의 벽체가 축소될 경우 매립박스(101)의 설치를 위하여 철근을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벽체의 강도를 저하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수납박스로서 수직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하며, 벽체의 두께가 최소화 되는 건축물에 적용이 가능토록 되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수직 또는 수평방향의 철근을 제거하지 않고도 수납박스의 장착이 가능토록 되어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철근과 수납박스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보강재 공간을 갖는 제어기용 수납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박스몸체의 적어도 일부에 철근이 통과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의 둘레에 위치토록 금속성의 보강재가 수납박스의 일체로 성형되는 보강재 공간을 갖는 제어기용 수납박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강재는, 지그재그의 요철이 구비되어 철근의 주위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수직방향의 굽힘을 방지토록 설치되는 보강재 공간을 갖는 제어기용 수납박스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보강재는, 철근을 지지토록 탄지편에 의해 형성되는 밀착요부를 갖는 위치결정브라켓이 연결되는 보강재 공간을 갖는 제어기용 수납박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박스몸체는, 적어도 일면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이동 및 복원토록 되는 철근지지편이 구비되는 보강재 공간을 갖는 제어기용 수납박스를 제공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보강재는, 일측면에 커버재가 연결되는 커버재 연결편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거나 피스로서 연결되는 보강재의 상부에 고정되는 구성중에서 선택되는 보강재 공간을 갖는 제어기용 수납박스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수납박스로서 수직 하중에 견디며, 벽체의 두께가 최소화 되는 건축물에 적용이 가능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이 손쉽게 이루어지며, 수직 또는 수평방향의 철근을 제거하지 않고도 수납박스의 장착이 가능하여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철근과 수납박스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제어기용 수납박스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용 수납박스를 도시한 장착상태 사시도이다.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수납박스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및 장착상태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7 내지 도10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를 도시한 사시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용 수납박스를 도시한 장착상태 사시도이고,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수납박스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및 장착상태 측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7 내지 도10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를 도시한 사시도도이다.
본 발명의 수납박스(100)는, 두께가 최소화 되는 건출물의 벽체(200)에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박스(100)는, 몸체(110)의 전방에 각종 제어기(130)가 삽입토록 수납홀(151)을 갖는 커버(150)가 연결되면서 내측에는 제어기가 수납토록 수납공간(S1)이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수납박스(100)는, 몸체(110)의 외측면 일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철근이 통과하는 철근공간(S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철근공간(S2)의 둘레에 위치토록 금속성의 보강재(170)가 프라스틱재의 몸체(110)에 일체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재(170)는, 지그재그의 요철(171)이 구비되어 철근의 주위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수직방향의 굽힘을 방지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보강재(170)는, 철근을 지지토록 탄지편(181)에 의해 형성되는 밀착요부(183)를 갖는 위치결정브라켓(180)이 일측면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는, 적어도 일면에 스프링(161)을 개재하여 이동 및 복원토록 되는 철근지지편(160)이 구비된다.
계속하여, 상기 보강재(170)는, 일측면에 커버(150)가 연결되는 커버연결편(173)이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분리 설치되어 피스로서 연결되는 구성중에서 선택된다.
한편, 상기 커버(150)에는 제어기(130)의 전면이 노출토록 수납홀(151)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확보재(400)가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10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수납박스(100)는, 수직방향에서 굽힘을 방지하는 강도를 갖도록 설치되어 두께가 최소화 되는 건출물의 벽체(200)에 적용토록 된다.
이때, 상기 수납박스(100)는 벽체(200)에 설치되는 철근(210)이 통과하는 철근공간(S2)을 갖도록 되어 철근(210)을 절단하지 않아도 철근과의 간섭이 방지토록 된다.
또한, 상기 수납박스(100)는 프라스틱재로 상대적으로 큰 두께로 형성되거나 금속재로 이루어진 구성중에서 선택되는 보강재(170)가 구비되어 별도의 철근이 위치하지 않는 곳에 설치되어도 수직방향의 하중을 지지토록 되어 두께가 최소화 되는 벽체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납박스(100)는, 몸체(110)의 전방에 각종 제어기(130)가 삽입토록 수납홀(151)을 갖는 커버(150)가 연결되어 커버의 개방시 수납공간(S1)의 내측에 각종 제어기의 장착이 가능토록 된다.
한편, 상기 보강재(170)는, 지그재그의 요철(171)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따른 대항력을 더욱 높이도록 한다.
더하여, 상기 보강재(170)는, 철근을 지지토록 탄지편(181)에 의해 형성되는 밀착요부(183)를 갖는 위치결정브라켓(180)이 일측면에 연결되어 수납박스를 벽체에 삽입시 철근에 수납박스가 용이하게 지지토록 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는, 적어도 일면에 스프링(161)을 개재하여 이동 및 복원토록 되는 철근지지편(160)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수직방향에 지지되는 철근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의 철근 위치가 일정하지 않아도 철근의 지지가 가능토록 된다.
계속하여, 상기 보강재(170)는, 일측면에 커버(150)가 연결되는 커버연결편(173)이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분리 설치되어 피스로서 연결되는 구성중에서 선택되어 커버의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150)에는 제어기(130)의 전면이 노출토록 수납홀(151)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확보재(400)가 회전가능토록 연결되어 작업시 커버 전체를 분리하지 않아도 충분한 작업공간이 형성되어 제어기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것이다.
100...수납박스 110...몸체
130...제어기 150...커버
170...보강재 173...커버연결편
180...위치결정브라켓

Claims (5)

  1. 두께가 최소화 되는 건축물의 벽체에 적용이 가능토록 프라스틱재의 몸체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에는 몸체를 벽체에 설치시 철근이 통과하는 철근공간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철근공간은, 프라스틱재로 이루어진 몸체의 성형시 금속성의 보강재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보강재는, 지그재그의 요철이 구비되어 철근의 주위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수직방향의 굽힘을 방지토록 설치되며,
    상기 몸체는, 적어도 일면에는 스프링을 개재하여 이동 및 복원토록 되는 철근지지편이 구비되면서 전방에는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는, 제어기의 전면이 노출토록 수납홀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확보재가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는 보강재 공간을 갖는 제어기용 수납박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철근을 지지토록 탄지편에 의해 형성되는 밀착요부를 갖는 위치결정브라켓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 공간을 갖는 제어기용 수납박스.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일측면에 커버재가 연결되는 커버재 연결편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거나 피스로서 연결되는 보강재의 상부에 고정되는 구성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 공간을 갖는 제어기용 수납박스.
KR1020130065702A 2013-06-10 2013-06-10 보강재 공간을 갖는 제어기용 수납박스 KR101392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702A KR101392869B1 (ko) 2013-06-10 2013-06-10 보강재 공간을 갖는 제어기용 수납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702A KR101392869B1 (ko) 2013-06-10 2013-06-10 보강재 공간을 갖는 제어기용 수납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2869B1 true KR101392869B1 (ko) 2014-05-08

Family

ID=50893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702A KR101392869B1 (ko) 2013-06-10 2013-06-10 보강재 공간을 갖는 제어기용 수납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8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555B1 (ko) 2014-11-05 2016-03-28 파워에이스 주식회사 벽체 매입형 통합분전반
KR20160054158A (ko) 2014-11-05 2016-05-16 파워에이스 주식회사 벽체 매입형 통합분전반용 박스
KR20160054159A (ko) 2014-11-05 2016-05-16 파워에이스 주식회사 벽체 매입형 통합분전반용 커버
KR102185184B1 (ko) 2020-09-07 2020-12-01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수직보강재를 갖는 정보통신용 가변수납박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517B1 (ko) * 2007-09-29 2007-12-21 (주)하나기연 공동주택용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KR100814721B1 (ko) * 2007-09-19 2008-03-19 (주)하나기연 각도 및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KR100863155B1 (ko) * 2007-06-14 2008-10-13 주식회사 피아이피 철근회피홈을 구비한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배관시공방법
JP2013017685A (ja) 2011-07-12 2013-01-31 Daiken Corp 収納部材の施工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155B1 (ko) * 2007-06-14 2008-10-13 주식회사 피아이피 철근회피홈을 구비한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배관시공방법
KR100814721B1 (ko) * 2007-09-19 2008-03-19 (주)하나기연 각도 및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KR100787517B1 (ko) * 2007-09-29 2007-12-21 (주)하나기연 공동주택용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JP2013017685A (ja) 2011-07-12 2013-01-31 Daiken Corp 収納部材の施工構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555B1 (ko) 2014-11-05 2016-03-28 파워에이스 주식회사 벽체 매입형 통합분전반
KR20160054158A (ko) 2014-11-05 2016-05-16 파워에이스 주식회사 벽체 매입형 통합분전반용 박스
KR20160054159A (ko) 2014-11-05 2016-05-16 파워에이스 주식회사 벽체 매입형 통합분전반용 커버
KR101648911B1 (ko) * 2014-11-05 2016-08-18 파워에이스 주식회사 벽체 매입형 통합분전반용 박스
KR102185184B1 (ko) 2020-09-07 2020-12-01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수직보강재를 갖는 정보통신용 가변수납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869B1 (ko) 보강재 공간을 갖는 제어기용 수납박스
KR101777405B1 (ko) 공동주택 통신선 보호박스
US20160017640A1 (en) Electronic Door Locking System
KR101606555B1 (ko) 벽체 매입형 통합분전반
US20130319752A1 (en) Mount Assembly
US9594294B2 (en) Mount for a wired device
KR200473168Y1 (ko) 개폐형 커버를 갖는 수납박스
CN105825563A (zh) 一种远程门禁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200460707Y1 (ko) 홈 오토메이션 제어기용 수납박스
KR101648911B1 (ko) 벽체 매입형 통합분전반용 박스
US9910344B2 (en) In-ceiling or in-wall retracting camera platform system
US7335886B2 (en) Recessed ceiling mounted passive infrared detector
US10648615B1 (en) Mounting system for wireless and sensing devices
GR1009665B (el) Θηκη μαγνητικης επαφης συναγερμου για ενσωματωση σε κουφωματα αλουμινιου
KR200467352Y1 (ko) 홈 오토메이션 제어기용 수납박스
KR102185184B1 (ko) 수직보강재를 갖는 정보통신용 가변수납박스
JP6236675B2 (ja) 管状部材端部の固定構造、取付部材及び管状部材端部の固定方法
KR101648912B1 (ko) 벽체 매입형 통합분전반용 커버
JP6201873B2 (ja) 通信制御装置
JP2007173563A (ja) ボックスユニット
CN217563669U (zh) 一种带金属边框的楼宇对讲机
JP6564220B2 (ja) 火災受信機
JPH0715170Y2 (ja) ロビーインターホン用防滴カバー
KR102486706B1 (ko) 내진기능을 가진 공동주택용 통합단자함
KR200448682Y1 (ko) 앤틱형 적외선 감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