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440B1 - 단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단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2440B1 KR101392440B1 KR1020120117056A KR20120117056A KR101392440B1 KR 101392440 B1 KR101392440 B1 KR 101392440B1 KR 1020120117056 A KR1020120117056 A KR 1020120117056A KR 20120117056 A KR20120117056 A KR 20120117056A KR 101392440 B1 KR101392440 B1 KR 1013924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onnector
- circuit board
- printed circuit
- solder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의 단자에서 인쇄회로기판과 납땜되는 납땜부의 면적을 크게하여 단자가 인쇄회로기판에 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단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단자는, 금속판재를 스탬핑 가공한 절단면이 인쇄회로기판의 접속부와 대면하여 납땜되도록 이루어진 납땜부와, 상대물과 접속하기 위한 접촉부가 일체로 구비된 단자에 있어서, 상기 납땜부는 납땜부의 높이방향 선을 따라 굽힘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의 단자에서 인쇄회로기판과 납땜되는 납땜부의 면적을 크게하여 단자가 인쇄회로기판에 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단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전기 또는 전기적 신호를 교환할 대상물들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와 커넥터의 결합에 의해 또는 커넥터와 커넥터 사이를 케이블로 연결한 형태의 결합 등에 의해 대상물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커넥터는 기본적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금속제 단자와 이러한 단자들을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며 단자간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합성수지제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하우징은 통상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며, 하우징에 단자를 끼우거나 하우징의 사출성형시 일체로 단자를 삽입해 사출성형함에 따라 커넥터가 제작되게 된다.
커넥터는 각종 신호를 동시에 전달하기 위해 여러 개의 단자를 채택하게 되며, 이러한 단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아래 예와 같이 하나의 금속판을 정해진 형상대로 스탬핑(Stamping)하여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
스탬핑 작업에 의해 제작되는 단자는 스탬핑 후의 공정에 따라 크게 2가지 형태로 나뉠 수 있다.
단자의 형태 중 하나로는 도 1과 같이 금속판재(10)에서 스탬핑 가공으로 절단한 다음, 요구되는 형상으로 구부려 제작하는 단자(20)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단자(20)는 하우징(30)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단자의 예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177716호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도 1과 같이 제작되는 형태의 단자를 '제 1 형태 단자'라 하기로 한다. 제 1 형태 단자는 금속판재를 스탬핑 가공할 때 형성된 절단면이 아닌 금속판재의 표면이 납땜부를 이루어 인쇄회로기판의 접속부와 대면하여 납땜되게 된다.
단자의 형태 중 다른 하나로는 도 2와 같이 제작하고자 단자(20)의 형상 그대로 스탬핑 가공으로 절단하여 제작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단자의 예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177716호의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것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도 2과 같이 제작되는 형태의 단자(20)를 '제 2 형태 단자'라 하기로 한다. 제 2 형태의 단자는 금속판재를 스탬핑 가공할 때 형성된 절단면이 납땜부를 이루어 인쇄회로기판의 접속부와 납땜되게 된다.
상기 제 1 형태 단자는 가공이 용이하지만, 접촉력이 약하고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구비하기 때문에 조밀한 배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지만,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될 납땜부의 면적이 넓기 때문에 장착 후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비의도적으로 분리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또한, 제 2 형태 단자는 원하는 형상을 임의로 가공할 수 있고 폭이 좁아 조밀한 배치가 가능하지만,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될 납땜부의 면적이 좁기 때문에 상대방 커넥터와 결합시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비의도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된 후 하우징 후방으로 빠져 버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금속판재를 스탬핑 가공할 때 형성된 절단면이 인쇄회로기판의 접속부와 대면하여 납땜되도록 이루어진 상기 제 2 형태의 단자가 인쇄회로기판에 보다 강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단자는,
금속판재를 스탬핑 가공한 절단면이 인쇄회로기판의 접속부와 대면하여 납땜되도록 이루어진 납땜부와, 상기 절단면과 직각을 이루는 면으로 상대물과 접속하기 위한 접촉부가 일체로 구비된 단자에 있어서,
상기 납땜부는 납땜부의 높이방향 선을 따라 굽힘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금속판재를 스탬핑 가공한 절단면이 인쇄회로기판의 접속부와 대면하여 납땜되도록 이루어진 납땜부와, 상기 절단면과 직각을 이루는 면으로 상대물과 접속하기 위한 접촉부가 일체로 구비된 단자와,
상기 단자를 삽입고정하는 합성수지제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납땜부는 납땜부의 높이방향 선을 따라 굽힘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판재를 스탬핑 가공할 때 형성된 절단면이 인쇄회로기판의 접속부와 대면하여 납땜되도록 이루어진 단자가 인쇄회로기판에 보다 강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넥터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단자 및 커넥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3 내지 도 6은 종래의 커넥터 및 단자를 나타낸 도.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단자 및 그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
도 8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커넥터를 나타낸 도.
도 3 내지 도 6은 종래의 커넥터 및 단자를 나타낸 도.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단자 및 그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
도 8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커넥터를 나타낸 도.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과 같이 엘이디 램프(LED LAMP, 도시하지 않음)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50)인 엘이디 바(LED BAR)에 장착되는 제 1 ,2 커넥터(101,102) 및 제 1,2 형태 단자(21,22)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제 1 형태 단자(21)가 삽입되는 하우징을 제 1 하우징(31)으로, 제 1 형태 단자(21)와 제 1 하우징(31)이 조립되어 이루어진 커넥터를 제 1 커넥터(101)로 칭하기로 한다. 또한 제 2 형태 단자(22)가 삽입되는 하우징을 제 2 하우징(32)으로, 제 2 형태 단자(22)와 제 2 하우징(32)이 조립되어 이루어진 커넥터를 제 2 커넥터(102)로 칭하기로 한다.
제 1, 2 하우징(31,32)에 설치되는 고정부재(60)에 의해 제 1,2 커넥터(101,102)는 인쇄회로기판(50)에 고정된다.
도 4에서는 제 2 커넥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인쇄회로기판에 납땜되는 납땜부(201)와 상대물 단자와 접촉될 접촉부(202)를 구비한 제 2 형태 단자가 제 2 하우징(32) 후방으로 삽입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제 1 커넥터(101)는 제 1 형태 단자(21)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 2 커넥터(102)는 제 2 형태 단자(22)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형태 단자(21) 역시 인쇄회로기판에 납땜되는 납땜부(201)와 상대물 단자(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형태 단자)와 접촉될 접촉부(202)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형태 단자(21)은 금속판재를 스탬핑 가공한 후, 스탬핑 가공에 의해 생긴 절단면이 아닌 원래 금속판재의 면이 납땜부로 형성되기 때문에, 납땜에 의해 결합되는 면적이 넓어 결합강도가 높고 이에 따라 상대방 커넥터와의 오삽입 등에 의해 단자가 충격을 받더라도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분리되거나 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제 2 형태 단자(22)는 금속판재의 스탬핑 가공에 의해 생긴 절단면이 인쇄회로기판의 접속부와 납땜이 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과의 결합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31)이 제 2 하우징(32)과 결합될 때 오삽입 등에 의해 제 1 하우징(31)이 제 2 단자의 접촉부(202)에 충격을 가하게 되면 제 2 단자의 납땜부(201)는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제 2 형태 단자(22)는, 도 7과 같이 상기 납땜부(201)가 납땜부(201)의 높이방향 선(300)을 따라 굽힘가공하여, 납땜부(201)가 인쇄회로기판의 접속부(51)과 대면하여 납땜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도 8과 같이 제 2 하우징(32)에 제 2 단자가 결합된 제 2 커넥터(102)는 인쇄회로기판(50)의 접속부(51)와 납땜부(201)가 넓은 납땜 면적을 가지며 인쇄회로기판(50)에 장착되게 되는 것이다.
인쇄회로기판(50)의 접속부(51)은 인쇄회로기판의 설계시 커넥터 장착 위치 오차를 고려하여 제 2 단자의 절단면보다 넓게 그 크기가 결정되므로, 본 실시예 단자를 사용하게 되면 이러한 접속부(51)의 잉여 면적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납땜부를 한번 굽힘가공한 것을 예로 들었지만, 여러번 굽힘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따라 납땜 면적은 보다 크게 될 것이다.
접속부(51)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납땜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굽힘가공되어 접힐 부분을 감안하여 종래의 납땜부보다 납땜부의 길이를 길게 하여 스탬핑 가공하여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엘이디 바에 설치되는 커넥터를 예로 들었지만, 상기 종래 기술에 개시된 형태의 커넥터 등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구현된 단자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금속판재 20 : 단자 201 : 납땜부 202 : 접촉부
21 : 제 1 형태 단자 22 : 제 2 형태 단자
30 : 하우징 31 : 제 1 하우징 32 : 제 2 하우징
40 : 엘이디 바 50 : 인쇄회로기판 51 : 접속부
60 : 고정부재 101 : 제 1 커넥터 102 : 제 2 커넥터
300 : 납땜부의 높이방향 선
21 : 제 1 형태 단자 22 : 제 2 형태 단자
30 : 하우징 31 : 제 1 하우징 32 : 제 2 하우징
40 : 엘이디 바 50 : 인쇄회로기판 51 : 접속부
60 : 고정부재 101 : 제 1 커넥터 102 : 제 2 커넥터
300 : 납땜부의 높이방향 선
Claims (2)
- 금속판재를 스탬핑 가공한 절단면이 인쇄회로기판의 접속부와 대면하여 납땜되도록 이루어진 납땜부와, 상기 절단면과 직각을 이루는 면으로 상대물과 접속하기 위한 접촉부가 일체로 구비된 단자에 있어서,
상기 납땜부는 납땜부의 높이방향 선을 따라 굽힘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 금속판재를 스탬핑 가공한 절단면이 인쇄회로기판의 접속부와 대면하여 납땜되도록 이루어진 납땜부와, 상기 절단면과 직각을 이루는 면으로 상대물과 접속하기 위한 접촉부가 일체로 구비된 단자와,
상기 단자를 삽입고정하는 합성수지제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납땜부는 납땜부의 높이방향 선을 따라 굽힘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7056A KR101392440B1 (ko) | 2012-10-22 | 2012-10-22 | 단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7056A KR101392440B1 (ko) | 2012-10-22 | 2012-10-22 | 단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0801A KR20140050801A (ko) | 2014-04-30 |
KR101392440B1 true KR101392440B1 (ko) | 2014-05-07 |
Family
ID=50655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7056A KR101392440B1 (ko) | 2012-10-22 | 2012-10-22 | 단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2440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05078B1 (ko) * | 1992-08-27 | 2001-11-30 | 세이취크 제이 엘. | 표면장착형전기커넥터의시일딩쉘 |
-
2012
- 2012-10-22 KR KR1020120117056A patent/KR10139244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05078B1 (ko) * | 1992-08-27 | 2001-11-30 | 세이취크 제이 엘. | 표면장착형전기커넥터의시일딩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0801A (ko) | 2014-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253337B2 (ja) | コネクタ | |
US8113884B2 (en) | Connector | |
JP6007146B2 (ja) | コネクタ | |
KR101292360B1 (ko) | 커넥터 | |
US7731518B2 (en) | Stacking connector | |
US8092232B2 (en) | Board-to-board connector | |
JP5825477B2 (ja) | 接続コネクタ | |
JP5472272B2 (ja) | 同軸コネクタプラグ及びその製造方法 | |
US7377812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10498056B2 (en) | Mounting metal fitting, connector and connection system | |
KR101157672B1 (ko) | 커넥터 | |
US9502816B2 (en) | Connector terminal | |
KR101485837B1 (ko) | 커넥터 및 커넥터 제조방법 | |
JP5509915B2 (ja) | 電気コネクタとその成形方法 | |
US8790122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housing | |
JP2018142553A (ja) | コネクタ | |
JP2016173998A (ja) |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使用するコネクタ | |
US8861204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electrical connector and filter module | |
KR101452626B1 (ko) | 회로기판 수직 접속용 커넥터 조립체 | |
JP7353123B2 (ja)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 |
KR101859028B1 (ko) |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 및 이 연결 구조에 의해 형성된 쉘, 이 쉘을 구비하는 커넥터 | |
KR101392440B1 (ko) | 단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 |
US20100035469A1 (en) | Connector | |
JP2014010938A (ja) | 基板対基板用のコネクタ | |
JP2016184556A (ja) | 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