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211B1 - 배액 용기 - Google Patents

배액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211B1
KR101392211B1 KR1020130135328A KR20130135328A KR101392211B1 KR 101392211 B1 KR101392211 B1 KR 101392211B1 KR 1020130135328 A KR1020130135328 A KR 1020130135328A KR 20130135328 A KR20130135328 A KR 20130135328A KR 101392211 B1 KR101392211 B1 KR 101392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tainer
tube
cylinder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원현
천준환
민정식
Original Assignee
(주)상아프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아프론테크 filed Critical (주)상아프론테크
Priority to KR1020130135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용기의 진공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편리한 배액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액 용기는 상부 일측에 배액이 유입되도록 유입 포트가 구비되고, 타측에 조립 포트가 구비된 용기 본체; 상기 조립 포트에 끼워지는 실린더의 내측에 스프링과 피스톤이 설치되고, 이 피스톤이 눌러지는 위치에 따라 진공 압이 설정되는 진공 압 설정부; 상기 유입 포트에 끼워지는 튜브에 제1커넥터가 연결되고, 이 제1커넥터에 조립 또는 분리되는 제2커넥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카테터와 연결되어 배액이 용기 본체로 유입되도록 하는 커넥터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Description

배액 용기{drainage Bag}
본 발명은 배액 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 용기의 진공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편리한 배액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질병으로 인해 상태가 악화 되거나, 교통사고와 같은 각종 사고발생시 또는 폐렴, 암 등의 치료를 위한 수술을 시행한 후에 체내에는 혈액, 림프액, 농, 침출물 및 분비물 등과 같은 액체가 저류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내에 고이는 액체는 혈액의 순환을 저해하고, 체내에 압력을 증가시키는 등 신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데, 이러한 영향은 환자의 회복 속도를 더디게 하거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체내에 저류하는 액체는 신속히 체외로 배출시켜야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액체를 체외로 배출시키기 위해 인체 내부에 배액관을 삽입하고, 삽입된 배액관을 통해 삼출물이 흘러나오도록 유도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체내에 삽입된 배액관에는 배출된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저장용기 또는 저장주머니가 연결된다.
이러한 저장용기와 배액관은 별도의 튜브에 의해 연결되기도 하는데, 상기 튜브와 저장용기의 연결시 기밀성이 좋지 않아 저장용기로부터 삼출물이 누출되거나 삼출물에 의한 악취가 배출되어 환자의 자존감을 저하시키고, 주변의 다른 환자에게도 불편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다.
국내 실용신안 등록 20-0355714호의 밀폐형 흡입 배액 세트는, 탄성 복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프링과 실리콘을 이용하고, 용기와 튜브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즉, 환자로부터 배액되는 유체물을 수용하는 챔버를 갖는 배액통으로서, 상기 배액통은 탄력성있는 재질로 된 소정 두께의 외벽을 갖는데 상기 외벽의 내부를 따라 나선형을 이루며 삽입되는 탄성력을 주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배액통과; 상기 배액통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배액통을 밀폐시키는 뚜껑부로서, 환자의 수술부위에 삽입되는 튜브와 연결되는 튜브연결관과 상기 배액통의 내부를 외부와 연결시키는 외부연결관 및 상기 외부연결관을 막는 마개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국내 특허 공개 2013-0021372호의 배액 시스템은, 환자로부터 유체를 배액(drainage)하기 위한 신속한 신체 배액 시스템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opposite) 위치된 두개의 플레이트들; 상기 플레이트들 사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복원력 제공 수단;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원력 제공 수단이 압축되는 압축 모드에서 상기 플레이트들을 고정하기 위한 메커니즘;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원력 제공 수단이 연장되는 연장 모드에서 상기 두개의 플레이트들을 해제(release)하는 메커니즘; 상기 두개의 플레이트들과, 상기 플레이트들이 연장 모드일 때 진공이 가해지도록 이루어진 흡입구 포트 사이의 실(seal); 및 상기 흡입구 포트를 환자와 연결하는 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 포트 상에 가해진 진공이 환자로부터 유체를 배액하는 것으로, 환자는 물론이고, 제조 건설 조립 라인 등의 위험한 물질을 핸들링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배액 용기는, 진공 설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용기는 사용자(간호사)가 용기를 누르는 힘에 의해 압축되어 진공 압이 설정되는데, 누르는 사람에 따라 또는 가해지는 힘의 정도에 따라 편차가 발생함으로써, 사용이 불편하고, 환자 및 환부에 따른 정확한 진공압을 설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용기 내부에 스프링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심출물이 채워질수록 스프링 탄성력이 저하되는 것과 동시에 실리콘 용기의 탄성력도 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진공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환자에 따라 진공 압이 설정된 용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배액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 본체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분리-결합시켜, 용기 본체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하고, 진공 압 설정부가 심출물이 채워지는 용기 상부에 구비되어 심출물에 관계없이 진공 압을 유지할 수 있는 배액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은 커넥터와 튜브이 결속력을 강화시켜,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튜브의 재질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배액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배액 용기로써 상부 일측에 배액이 유입되도록 유입 포트가 구비되고, 타측에 조립 포트가 구비된 용기 본체; 상기 조립 포트에 끼워지는 실린더의 내측에 스프링과 피스톤이 설치되고, 이 피스톤이 눌러지는 위치에 따라 진공 압이 설정되는 진공 압 설정부; 상기 유입 포트에 끼워지는 튜브에 제1커넥터가 연결되고, 이 제1커넥터에 조립 또는 분리되는 제2커넥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카테터와 연결되어 배액이 용기 본체로 유입되도록 하는 커넥터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용기 본체의 유입 포트 외측면에 튜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돌출되고, 상기 조립 포트의 외측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이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캡에 의해 실린더가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린더의 중앙 부위에 결착 돌기가 돌출되며, 실린더의 조립 시 이 결착 돌기의 하부측은 조립 포트의 내측으로 끼워지고, 상기 결착 돌기는 조립 포트의 상면에 얹혀지도록 하되, 조립 포트와 결착 돌기 사이에 기밀을 유지시키는 O-링이 개재되며, 실린더에 끼워진 상태로 조립 포트에 나사 결합되는 상기 캡의 상판이 결착 돌기를 눌러 고정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첫째, 진공 압 설정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진공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암수로 형태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커넥터를 구비하여 용기 본체의 교체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사용자 즉 간호사가 진공 압이 설정된 배액 용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공 압이 과다하거나 또는 부족한 일이 없도록 하며, 그에 따라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발명이다.
셋째, 본 발명은 진공 압 설정부가 심출물이 채워지는 용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심출물에 영향을 받지 않고, 진공 압으로 심출물을 유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튜브의 결합은 물론 결착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튜브가 끼워지는 튜브 연결구와 일체로 날개부를 구비하고, 이 날개부가 튜브 연결구 측으로 오므려지면서 튜브를 압압하여, 튜브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액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액 용기의 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액 용기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액 용기에 적용되는 잠금부의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액 용기에 적용되는 커넥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액 용기에 적용되는 커넥터의 사시도,
도 7a,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요부 확대도.
본 발명을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중복되거나 발명의 의미를 한정적으로 해석되게 할 수 있는 부가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생략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상에 비록 단수적 표현으로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국어 사용에 있어서 단수/복수를 명확하게 구분짓지 않고 사용되는 환경과 당해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용어 사용 환경에 비추어, 발명의 개념에 반하지 않고 해석상 모순되거나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었거나 기재될 수 있는 '포함한다', '갖는다', '구비한다',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등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구성요소 또는 그들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액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액 용기의 전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액 용기의 요부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액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액 용기에 적용되는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것이며, 도 7a, 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요부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배액 용기(100)는 용기 본체(200)와, 진공 압 설정부(300)와, 커넥터(400)로 구성된다.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200)는, 내부에 수용 공간(202)을 가지며,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도면과 같이 대략 사각 봉지 형상으로 제작된다. 물론 용기 본체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여러 형태 및 색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200)의 상부에는 커넥터(400)가 끼워지며 배액(심출물)이 유입되는 유입 포트(210)가 돌출되고, 대향측에는 진공 압 설정부(300)가 조립되는 조립 포트(220)가 구비된다.
상기 유입 포트(210)는 외측면에, 걸림 돌기(212)가 구비되어 커넥터 튜브의 이탈을 방지하고, 조립 포트(220)의 외측면에는 나사부(222)가 형성되어 상기 진공 압 설정부를 고정하는 캡(230)이 나사 결합 방식으로 씌워지도록 한다.
진공 압 설정부
상기 진공 압 설정부(300)는, 용기 본체 내부에 진공 압이 발생하도록 하고, 아울러 진공 압이 설정되어 있는가 육안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실린더(310)와 스프링(320) 그리고 피스톤(3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31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으로, 저면 바닥에 구멍(312)이 형성되고, 상부 개방부(314)를 통해 스프링(320)과 피스톤(330)이 순차적으로 끼워지며, 외측면 중앙 부위에는 결착 돌기(316)가 외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조립 포트(220)에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실린더(310)는 결착 돌기(316)를 중심으로 하부측이 조립 포트(220)의 안쪽으로 끼워져 용기 본체의 수용 공간(202)에 위치하고, 결착 돌기(316)는 조립 포트(220)의 상면에 얹히는 형태로, 이 결착 돌기(316)와 조립 포트(220) 사이에 기밀 유지를 위한 O-링(240)이 끼워지는 구성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캡(230)을 끼워 밀착 조립하는 것이다.
상기 캡(230)은 상판 중앙에 끼움공(232)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실린더(310)에 끼워지고, 내측면에 형성된 암나사부가 상기 나사부(222)에 나사 결합되는 구성으로, 도면과 같이 상기 상판이 결착 돌기(316)를 눌러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320)은 실린더에 끼워진 상태로 피스톤(330)을 복원시키며, 상기 피스톤(330)은 가스켓(332)과 진공 압을 표시하는 이동체(334)로 구성된다.
상기 가스켓(332)은 실린더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진공 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동체(334)는 어느 정도의 진공 압으로 설정되어 있는가를 알 수 있도록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린더(310)의 외측면에 눈금이 표시되어, 이동체(334)의 위치에 따라 어느 정도의 진공 압이 걸려 있는가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320)은 상기 이동체(334)를 탄력 지지하는 것으로, 배액 유입 시 진공 압이 발생하면, 이동체를 상부로 밀어 올린다.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340은 덮개로써, 실린더의 상부에 덮어져, 실린더를 보호하고, 이물질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커넥터
상기 커넥터(400)는 용기 본체와, 카테터(catheter)를 연결하여 배액을 용기 본체의 수용 공간(202)에 유입시키는 것으로, 분리-결합이 가능한 제1커넥터(420)와 제2커넥터(430) 그리고, Y형 커넥터(440)로 구성되며, 이들을 연결하는 튜브(450)가 갖추어진 구성이다. 도면 부호 410은 진공 유지 패널(410)이다.
먼저, 상기 진공 유지 패널(410)은 첨부된 도 4와 같이 판상으로 중앙에 조절 장공(412)이 형성되고, 이 조절 장공(412)은 일측은 좁고 타측은 넓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이를 이동시켜 진공 상태를 유지 또는 해지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커넥터(420)와 제2커넥터(430)는 암수 형태로 분리 - 결합되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제1커넥터(420)는 튜브(450)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의 유입 포트(210)에 연결 고정된 구성으로, 이 제1커넥터(420)의 상부에는 절개홈(422)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홈(422)는 대략 "ㄴ" 형상이다.
상기 제2커넥터(430)는 상부측에 튜브(450)가 연결되고, 이 튜브에 상기 Y형 커넥터(440)가 위치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2커넥터의 외측면에는 끼움 돌기(432)가 갖추어진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제1, 2커넥터(420)(430)는 제2커넥터(430)의 하부를 제1커넥터(420)의 안쪽으로 끼워 조립하되, 절개홈(422)에 맞춰 끼움 돌기(432)가 끼워진다.
끼움 돌기(432)가 절개홈(422)의 하단에 도달하면, 제2커넥터(430)를 회전시켜, 끼움 돌기(432)가 절개홈(422)의 수평부 측으로 끼워지도록 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물론, 분리- 교체 시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끼움 돌기가 분리되도록 한다.
첨부된 도 7a,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 구성은 튜브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체결력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튜브의 재질에 관계없이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는 선택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전에는 신축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의 튜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튜브 안쪽으로 커넥터가 끼워지고, PVC 튜브의 경우에는 커넥터의 내측으로 튜브가 끼워지는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신축성이 저하되면 빠질 우려가 있고, 재사용이 불가능하며, 체결 및 결속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같이, 커넥터(400)에 튜브 체결부를 갖는 것으로, 커넥터의 상부에 튜브(450)가 연결되는 튜브 연결구(462)를 마련하되, 이 튜브 연결구(462)의 두께 중 일부를 절개하여 외향으로 벌어지는 날개부(464)가 구비되며, 상기 날개부를 오므려 튜브 연결구(462)에 끼워진 튜브(450)를 조여 결합시키는 결착관(466)이 갖추어진 구성이다.
상기 결착관(466)은 커넥터 외주연에 구비된 나사부(468)에 나사 결합되어, 이동하며 날개부(464)를 누르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튜브 연결구(462)에 튜브(450)를 끼운 다음, 결착관(466)을 회전시켜, 이 결착관(466)이 이동하며 날개부(464)가 튜브 방향으로 오므려지도록 하고, 결착관(466)이 튜브 연결구(462) 상단까지 완전히 이동하며, 날개부(464)의 단부에 튜브를 압압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알림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 기능은 배액이 용기 본체에 완전히 유입되었을 때, 또는 완전히 채워지기 이전에 이를 간호사에게 인식시키는 것이다.
여기에는 음성 또는 조명 등의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즉 실린더에 씌워지는 덮개(340)의 상면에 LED 램프 또는 음식 출력부를 설치하고, 캠에 회로 기판을 내장 또는 설치한 다음, 저면에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감지 센서를 설치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은 배액 용기에 유입되는 배액이 채워질수록 상승하는 이동체(334)가 상기 감지 센서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에 도달하면 접점이 이루어져 램프가 발광 되도록 하거나 또는 음악, 소리 또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액 용기(100)는 사용자가 이동체(334)를 눌러 진공 압을 설정할 수도 있지만, 진공 압이 설정된 상태로 출시될 수 있다, 즉 제작 과정에서 상, 중, 하 또는 규격화된 일정한 등급에 따라 진공 압이 설정된 상태로 제작되며, 사용자는 실린더(310)에 구비된 이동체(334)와, 실린더 표면에 표시된 눈금을 확인하여 환자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2커넥터를 이용하여 배액 용기를 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튜브 체결구를 이용하여 튜브의 결합이 용이하고, 체결력이 향상되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100 : 배액 용기 200 : 용기 본체
202 : 수용 공간 220 : 조립 포트
300 : 진공 압 설정부 310 : 실린더
320 : 스프링

Claims (5)

  1. 배액 용기로써,
    상부 일측에 배액이 유입되도록 유입 포트가 구비되고, 타측에 조립 포트가 구비된 용기 본체;
    원통형의 실린더를 구비하고, 이 실린더가 상기 조립 포트에 끼워진 상태로 그 내부에 스프링과 피스톤이 설치되며, 이 피스톤이 눌러지는 위치에 따라 진공 압이 설정되는 진공 압 설정부;
    상기 유입 포트에 연결된 튜브에 제1커넥터가 연결되고, 이 제1커넥터에 연결 또는 분리되는 제2커넥터가 갖추어지며, 상기 제2커넥터는 카테터와 연결되어 배액이 용기 본체로 유입되도록 하는 커넥터;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배액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유입 포트 외측면에 튜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돌출되고, 상기 조립 포트의 외측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이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캡에 의해 실린더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배액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중앙 부위에 결착 돌기가 구비되고, 조립 포트에 실린더를 끼우면, 이 결착 돌기의 하부측은 조립 포트의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하되, 상기 결착 돌기는 조립 포트의 상면에 얹혀지도록 하며, 이 조립 포트와 결착 돌기 사이에 기밀을 유지시키는 O-링이 개재되고, 이 실린더가 조립 포트에 끼워진 상태에서 캡이 조립 포트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결착 돌기를 눌러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배액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의 상부에 절개홈이 형성되고, 제2커넥터의 외측면에 상기 절개홈에 끼워지는 끼움 돌기가 구비되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배액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실린더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가스켓과 이 가스켓의 상부에 조립되는 이동체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배액 용기.
KR1020130135328A 2013-11-08 2013-11-08 배액 용기 KR101392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328A KR101392211B1 (ko) 2013-11-08 2013-11-08 배액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328A KR101392211B1 (ko) 2013-11-08 2013-11-08 배액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2211B1 true KR101392211B1 (ko) 2014-05-08

Family

ID=5089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328A KR101392211B1 (ko) 2013-11-08 2013-11-08 배액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2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087B1 (ko) 2015-02-05 2015-10-01 (주)상아프론테크 배액 용기
KR20190000135U (ko) * 2017-07-06 2019-01-16 이현우 의료용 흡입기의 배액세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360B1 (ko) 2007-07-20 2008-11-12 이지메디케어(주) 의료용 흡인기
KR200449049Y1 (ko) 2010-01-26 2010-06-09 조대희 수동 진공흡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360B1 (ko) 2007-07-20 2008-11-12 이지메디케어(주) 의료용 흡인기
KR200449049Y1 (ko) 2010-01-26 2010-06-09 조대희 수동 진공흡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087B1 (ko) 2015-02-05 2015-10-01 (주)상아프론테크 배액 용기
KR20190000135U (ko) * 2017-07-06 2019-01-16 이현우 의료용 흡입기의 배액세트
KR200488954Y1 (ko) 2017-07-06 2019-04-09 이현우 의료용 흡입기의 배액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8546A (en) Bulb evacuator for closed wound suction
US6880404B2 (en) System elements for measuring pressure in extracorporeal circuits
KR101787707B1 (ko) 배수 튜브 유닛의 결합부
US1143283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lot aspiration
US4444548A (en) Suction apparatus
RU2391045C1 (ru) Датчик давления для экстракорпорального контура циркуляции
KR101367004B1 (ko) 의료용 흡인기
US8814840B2 (en) Medical apparatus for collecting fluid
RU2607165C2 (ru) Грудная насадка
US8226620B2 (en) Drainage pump unit with a coupling element having a capacitive filling level sensor embedded therein
US20090277276A1 (en) Pressure measurement unit for determining fluid pressure within medical disposables
AU2011221397B2 (en) Needleless sampling port
US9421319B2 (en) Blood separation container for extracting self-platelet
EP2429605B1 (en) Pressure monitoring within a fluid cassette
KR101360194B1 (ko) 의료용 흡인기
US20120264229A1 (en) Collection device with double output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20022880A (ko) 배출관 장치 및 커플링 유닛
KR101392211B1 (ko) 배액 용기
KR101556087B1 (ko) 배액 용기
KR20200020430A (ko) 배액주머니
TW202300186A (zh) 吸乳器及操作該吸乳器的方法
EP3326684B1 (en) Multi-cap for connecting catheter
US20200386600A1 (en) Pressure based volume sensor for liquid receptacle
KR101496209B1 (ko) 전자식 흡인기
KR101771227B1 (ko) 의료용 흡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