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029B1 - The dust collector for meat roasters - Google Patents

The dust collector for meat roast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029B1
KR101392029B1 KR1020130021640A KR20130021640A KR101392029B1 KR 101392029 B1 KR101392029 B1 KR 101392029B1 KR 1020130021640 A KR1020130021640 A KR 1020130021640A KR 20130021640 A KR20130021640 A KR 20130021640A KR 101392029 B1 KR101392029 B1 KR 101392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dissolving
filter
spac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6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연호
Original Assignee
정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호 filed Critical 정연호
Priority to KR1020130021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02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0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or for a meat roaster. The dust collector for a meat roas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 having spaces (15, 16, 17); a melting unit (20) having a melting channel (25); a filter unit (30) having at least one dehumidifying filter (31) and suction filter (35); and a power unit having a blower (40).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purification efficiency.

Description

고기 구이기용 집진기{The dust collector for meat roasters}{The dust collector for meat roasters}

본 발명은 고기를 구우면서 발생하는 연기를 포집하고, 연기에 포함하는 불순물과 악취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기를 구우면서 발생한 연기를 용해액에 침지하면서 와류로 비산시켜 연기에 포함되는 유류를 최소화 되도록 용해하고, 제습필터와 흡착필터가 유류와 세균을 분리함과 동시에 각종 유해가스와 악취를 흡착함에 따라 연기를 상시 청정한 상태로 배출할 수 있는 우수한 정화성과, 제습필터와 흡착필터를 비교적 간단한 세척만으로 재 사용이 가능한 사용성과 교체성을 지닌 것은 물론, 연기가 통과하면서 격벽과 충돌할 수 있는 미로형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전반적인 정화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고기 구이기용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or for collecting smoke generated while brewing meat and purifying impurities and odors contained in the smoke and discharging i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or, The dehumidifying filter and the adsorption filter separate the oil and the bacteria and at the same time absorb the harmful gas and the odor, the smoke can be discharged in a clean state at all times, The filter and the adsorption filter can be reused by a comparatively simple washing and have a replaceable property as well as a mezzanine structure that can collide with the partition wall while passing through the smoke, Dust collector.

통상, 음식점 등과 같이 고기를 구워먹는 경우에는 테이블에 구이기를 일체로 구비한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이기에서 육류나 생선 등을 굽게 되면, 다량의 연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구이기가 실내에 배치된 경우에는 내부공기를 오염시키게 되므로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해야 된다.BACKGROUND ART Generally, in the case of eating and eating meat such as a restaurant, it is widely used that a grill is integrally provided on a table. In such a roaster, when a meat or fish is bent, a large amount of smoke is generated. When the roaster is placed in the room, the inside air is contaminated.

주지된 바와 같이, 기존에는 육류나 생선을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일환으로 구이기의 상부에 연통을 배치하고, 연통은 천정에 마련된 덕트와 연결되며, 덕트는 블로워로 연기를 흡입(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여기서 연기 상에는 유류(기름)와 함께 수분이 기화된 상태를 지니고 있는 것은 물론, 그으름과 같은 불순물이 존재하고 있으며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 등의 인체에 유해한 가스를 다량 포함하고 있다.As is well known, in the prior art, a communicating pipe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king compartment as a part for quickly discharging the smok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aking meat or fish, the communicating pipe is connected to a duct provided on the ceiling, The smoke is sucked (collect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Here, not only does the smoke have a vaporized state together with oil (oil), but also impurities such as dust are present and contain a large amount of harmful gases such as carbon monoxide and carbon dioxide.

하지만, 기존에는 단순히 연통과 덕트 및 블로워의 구조를 지니고 있으므로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즉, 고온의 연기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점차 냉각되므로 유류가 연통과 덕트 상에 침적되어 세균을 증식하는 등의 각종 오염을 발생시키는 것은 물론, 블로워의 수명을 현저히 단축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또, 인체에 유해한 불순물과 유해가스를 별도의 여과과정을 거치지 않고 외부로 배출함에 따라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시급한 개선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However, in the past, various problems have arisen due to the simple structure of the duct, the duct and the blower. In other words, since it is gradually cooled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high-temperature smoke, it becomes a major cause of shortening the life time of the blower as well as generating various kinds of pollution such that the oil is immersed in the communication and duct to proliferate bacteria.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environmental pollution is caused by discharging harmful impurities and noxious gas to the outside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filtration process. Therefore, urgent improvement measures are needed to solve these problems.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기를 구우면서 발생한 연기를 용해액에 침지하면서 와류로 비산시켜 연기에 포함되는 유류를 최소화 되도록 용해하고, 제습필터와 흡착필터가 유류와 세균을 분리함과 동시에 각종 유해가스와 악취를 흡착함에 따라 연기를 상시 청정한 상태로 배출할 수 있는 우수한 정화성과, 제습필터와 흡착필터를 비교적 간단한 세척만으로 재 사용이 가능한 사용성과 교체성을 지닌 것은 물론, 연기가 통과하면서 격벽과 충돌할 수 있는 미로형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전반적인 정화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고기 구이기용 집진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undamentally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by dissolving smoke generated while brewing meat into a dissolving liquid and scattering it with vortex to minimize the oil contained in the smoke, As the filter separates oil and bacteria and absorbs various harmful gases and odors, it has excellent purification ability to discharge smoke in a clean state at all times. Replacement of the dehumidification filter and the adsorption filter can be reused by a relatively simple washing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collector for a meat grinder capable of maximizing the overall purification efficiency by forming a labyrinth structure that can collide with a partition wall while passing smok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기를 구우면서 발생하는 연기를 포집하고, 연기에 포함하는 불순물과 악취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연기를 흡입ㆍ배출하는 흡입유로와 배출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유로와 배출유로 사이에 격벽으로 분할되면서 연통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동체; 상기 동체의 공간 상에 용해액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유로와 공간 사이에 용해액과 연동하여 연기에 포함하는 유류를 제거하도록 용해유로를 구비하는 용해부; 상기 동체의 공간 상에 각각 내장되고, 상기 용해부를 통과한 연기에 포함하는 불순물을 정화하도록 하나 이상의 제습필터와 흡착필터를 구비하는 필터부; 및 상기 동체의 배출유로 상에 내장되고, 연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송풍하는 블로워를 구비하는 동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or for collecting smoke generated while brewing meat and purifying impurities and odors contained in the smoke and discharging the same, the dust collector comprising: a suction flow path for sucking and discharging the smoke; And a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flow path and the discharge flow path while being divided into barrier ribs; A dissolving unit provided with a dissolving liquid on a space of the body and having a dissolving flow path interposed between the suction path and the space so as to remove the oil contained in the mist; A filter unit which is respectively embedded in the space of the body and has at least one dehumidifying filter and an adsorption filter for purifying impurities contained in the smoke passing through the dissolving unit; And a power unit including a blower incorporated in the discharge passage of the moving body and blowing air to suck and discharge the smoke.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용해부는 공간 상에 용해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와, 용해액 상에 용해된 유류의 응고를 방지하도록 40~45℃로 가열하는 히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dissol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water level sensor for sensing the level of the dissolving liquid on the space, and a heater for heating the mixed oil dissolved in the dissolving liquid to 40 to 45 ° C do.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용해부의 용해액은 순수 수돗물을 이용하되, 사용하지 않는 겨울철에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동액과, 용해된 유류를 묽게 희석하는 세정제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solving solution of the dissolutio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pure water is used, and further, an antifreeze liquid which prevents freezing in the winter season and a detergent which dilutes the dissolved oil are further add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용해부의 용해유로는 연기를 용해액 상에 침지되도록 유도하면서 용해액을 와류시켜 연기에 비산하도록 격벽에 의해 지그재그로 연통되게 분할되는 제1ㆍ2유로를 구비하는 특징으로 한다.The dissolution path of the dissolutio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are di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 staggered manner by the partition wall so as to disperse the dissolution solution into the smoke by inducing the solution to be immersed in the dissolution solution do.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필터부의 제습필터는 그물형으로 짜여진 와이어 상에 폴리프로필렌 또는 스테인레스강이 미세하게 직조되어 연기에 포함하는 불순물과 수분을 분리하고, 흡착필터는 케이스 상에 미세한 활성탄소 또는 제오라이트 알갱이가 내장되어 연기에 포함하는 불순물과 세균을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dehumidification filter of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finely woven polypropylene or stainless steel on a wire formed into a net shape so as to separate impurities contained in the smoke from moisture, and the adsorption filter is made of fine activated carbon The zeolite particles are incorporated to adsorb impurities and bacteria contained in the smoke.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rminology or word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n ordinary sense or in a dictionary, and that the inventors shall not be limited to the concept of a term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properly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기를 구우면서 발생한 연기를 용해액에 침지하면서 와류로 비산시켜 연기에 포함되는 유류를 최소화 되도록 용해하고, 제습필터와 흡착필터가 유류와 세균을 분리함과 동시에 각종 유해가스와 악취를 흡착함에 따라 연기를 상시 청정한 상태로 배출할 수 있는 우수한 정화성과, 제습필터와 흡착필터를 비교적 간단한 세척만으로 재 사용이 가능한 사용성과 교체성을 지닌 것은 물론, 연기가 통과하면서 격벽과 충돌할 수 있는 미로형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전반적인 정화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constitu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oke generated while brewing meat is dipped in a dissolving liquid and dispersed by a vortex to dissolve the oil contained in the smoke so as to be minimized, and the dehumidifying filter and the adsorption filter separate the oil and the bacteria As well as being able to adsorb various noxious gases and odors, it is capable of discharging the smoke in a clean state at all times. It has good usability and replaceability that can be reused by relatively simple washing by dehumidifying filter and adsorption filter, Shaped structure that can collide with the partition wall while passing through the partition wall,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maximizing the overall purification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를 전체적으로 투영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를 절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를 통과하는 연기의 경로를 나타내는 흐름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incis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ath of smoke passing through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고기를 구우면서 발생하는 연기를 포집하고, 연기에 포함하는 불순물과 악취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집진기와 관련되며, 동체(10)와 용해부(20) 및 필터부(30) 그리고 동력부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고기 구이기용 집진기에 관 한다. 본 발명의 집진기는 별도의 도면을 통해 도시하지 않았지만, 구이기를 겸비하는 테이블의 상부에 배치되는 연통과, 천장 또는 벽면에 배치되어 다수의 연통과 연결되는 덕트와 연결되어 연기를 신속하게 흡입하고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or for collecting smoke generated while brewing meat and purifying and discharging impurities and odors contained in the smoke and includes a body 10, a dissolution part 20, a filter part 30, and a power part It mainly deals with the dust collector for meat grill.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dust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duct disposed on a ceiling or a wall and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ucts to quickly suck and purify smoke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즉, 본 발명은 고기를 구우면서 발생하는 연기에 포함하는 각종 불순물과 함께 유류와 세균 및 악취를 효율적으로 정화하는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집진기는 고기 구이용으로만 한정하고 있지만,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대형 건물용이나 공장용 등에서도 충분히 적용할 수가 있으므로 특정 용도에 국한하지 않는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iciently purify oil, bacteria, and odors along with various impurities contained in fumes generated when meat is roasted. Here, the dust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be used for grilling meat, but i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use because it can be sufficiently applied to a large building or a factory for a demand of a consumer.

본 발명에 따른 동체(10)는 상기 연기를 흡입ㆍ배출하는 흡입유로(11)와 배출유로(12)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유로(11)와 배출유로(12) 사이에 격벽(13)으로 분할되면서 연통하는 공간(15)(16)(17)을 구비한다. 동체(10)는 도 1 및 도 2처럼 다수의 프레임이 결합되는 박스형으로, 후술하는 용해부(20)와 필터부(30) 및 동력부를 내장한다. 즉, 동체(10)는 일측과 타측에 내ㆍ외부로 연통하는 흡입유로(11)와 배출유로(12)를 각각 구비하고, 내부에는 격벽(13)으로 분할되는 미로형의 공간(15)(16)(17)을 구비한다.The moving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passage 11 and a discharge passage 12 for sucking and discharging the smoke and a partition wall 13 between the suction passage 11 and the discharge passage 12 (15), (16) and (17)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ody 10 is a box-shaped body to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re coupled, and includes a dissolving unit 20, a filter unit 30, and a power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moving body 10 is provided with a suction passage 11 and a discharge passage 12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and a labyrinth-shaped space 15 16) < / RTI >

흡입유로(11)는 고기를 구우면서 발생하는 연기를 포집하도록 흡입하는 것으로, 실내에 천장 또는 벽면으로 배치되는 덕트와 연결되도록 일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배출유로(12)는 공간(15)(16)(17)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연기를 배출하는 것으로, 외부와 연결된 연통과 연결되도록 타측으로 돌출된다. 즉, 실내의 포집된 연기가 흡입유로(11)를 통해 유입(이송)되면, 연기는 공간(15)(16)(17)을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정화된 연기는 배출유로(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The suction flow path 11 is sucked to collect smoke generated while brewing meat, and is projected to one side so as to be connected to a duct arranged in a ceiling or a wall in a room. The discharge passage 12 discharges the purified smoke while passing through the spaces 15, 16 and 17, and is protruded to the other side to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onnected to the outside. That is, when the collected smoke is introduced (transferred)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1, the smoke is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paces 15, 16 and 17, and the purified smoke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12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때, 흡입유로(11)와 배출유로(12)의 돌출선단에는 덕트 및 연통과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체결공을 지닌 플랜지(11a)(12a)를 각각 구비한다. 물론, 흡입유로(11)와 배출유로(12)는 덕트 및 연통의 형상에 따라 플랜지(11a)(12a)를 생략하고 조임밴드를 통해 상호 연결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당업자는 흡입유로(11)와 배출유로(12)에 맞물려 연결되는 덕트 및 연통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At this time, flanges 11a and 12a having fastening holes are provided on the projecting ends of the suction flow path 11 and the discharge flow path 12, respectively, so as to facilitate connection between the duct and the communication. Of course, the suction flow path 11 and the discharge flow path 12 may be interconnected through a tightening band by omitting the flanges 11a and 12a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duct and the communication. In any cas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adopt various structure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duct and the communication which are engaged with the suction flow path 11 and the discharge flow path 12.

공간(15)(16)(17)은 동체(10)의 내부로 통과하는 연기를 정화하도록 용해부(20)와 필터부(30)를 각각 내장되게 유도하는 것으로, 다수의 격벽(13)으로 상호 연통하면서 분할되게 구비한다. 즉, 공간(15)은 동체(10)의 하부에 용해부(20)의 용해액(21)을 수용하고, 공간(16)은 동체(10)의 중앙에 필터부(30)의 제습필터(31)를 내장하며, 공간(17)은 동체(10)의 상부에 필터부(30)의 흡착필터(35)를 내장한다. 이러한 공간(15)에는 별도의 도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용해액(21)을 유입하고 배출하는 유입구와 배출구를 각각 구비하며, 공간(16)(17)에는 제습필터(31)와 흡착필터(35)가 교체 가능하도록 슬라이드형 또는 삽입형의 결합턱을 구비한다.The spaces 15, 16 and 17 guide the dissolving section 20 and the filter section 30 in order to purify the smok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moving body 10, So that they can be divided while being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at is, the space 15 accommodates the dissolving liquid 21 of the dissolving section 20 in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body 10, and the space 16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moving body 10 in the dehumidifying filter And the space 17 houses the adsorption filter 35 of the filter unit 30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10. Each of the spaces 16 and 17 is provided with a dehumidifying filter 31 and an adsorption filter (not shown) through which the solution 21 flows 35 are interchangeable with each other.

이때, 공간(15)(16)(17)은 연기가 통과되면서 격벽(13)과 충돌할 수 있도록 미로형으로 형성된다. 즉, 도 4처럼 흡입유로(11)로부터 흡입되는 연기를 격벽(13)에 지속적으로 충돌시키도록 통과경로를 지그재로 형성하여 연기에 포함하는 유류와 함께 각종 불순물을 분리할 수가 있다. At this time, the spaces 15, 16 and 17 are formed in a maze shape so that the smoke may collide with the partition wall 13 while passing through the smoke.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passage passing through the partition wall 13 may be formed of a jig material so as to separate various impurities together with the oil contained in the smoke.

한편, 동체(10)는 연기를 하단에서 흡입하여 상단으로 배출하는 구조를 기본으로 하지만, 경우에 따라 상단에서 흡입하여 하단으로 배출하거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흡입하여 타측으로 배출하는 구조로도 할 수 있다. 그리고 동체(1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고정형과 이동형으로 구분되게 형성할 수 있는데, 고정형은 바닥이나 벽면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체결부를 구비하고, 이동형은 하부에 조향이 가능한 캐스터를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10 basicall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moke is sucked from the lower end and is discharged to the upper part. However, in some cases, it may be sucked from the upper end and discharged to the lower end, or may be sucked from the left or right side and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have. The moving body 10 may be divided into a fixed type and a moving type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he fixed type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for easy coupling to a floor or a wall surface, and a movable type includes a caster capable of steering at a lower portion thereof.

또, 본 발명에 따른 용해부(20)는 상기 동체(10)의 공간(15)상에 용해액(21)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유로(11)와 공간(16) 사이에 용해액(21)과 연동하여 연기에 포함하는 유류를 제거하도록 용해유로(25)을 구비한다. 용해부(20)는 도 2 및 도 3처럼 흡입유로(11)로부터 공간(16)으로 통과하는 연기에 포함하는 유류(기름)를 제거하는 것으로, 동체(10)의 공간(15)에 용해액(21)과 용해유로(25)를 구비한다.The dissolving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solving liquid 21 is provided on the space 15 of the moving body 10 and the dissolving liquid 21 To remove the oil contained in the smoke. The dissolving unit 20 removes the oil (oil) contained in the smoke passing from the suction passage 11 to the space 16 as shown in Figs. 2 and 3, (21) and a dissolving channel (25).

용해액(21)은 동체(10)의 공간(15)에 수용되고, 용해유로(25)는 흡입유로(11)와 공간(16) 사이에 용해액(21)의 수면과 일치되는 높이에서 상부로 연장되게 구비한다. 이러한 용해액(21)은 흡입유로(11)로부터 공간(16)으로 통과하는 연기를 침지시켜 유류가 용해되도록 유도하고, 용해유로(25)는 연기를 흡입유로(11)로부터 공간(16)으로 전달하면서 유류가 침지되게 유도한다. 즉, 고기를 구우면서 발생하는 고온의 연기는 수분과 함께 유류가 기화된 상태로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연기가 용해유로(25)에 유입되면서 용해액(21)으로 침지되고, 침지된 연기는 온도가 급격히 떨어져 액화현상(liquefaction)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연기에 포함하는 수분과 유류가 연기로부터 분리되어 용해액(21)상에 용해된다.The dissolving liquid 21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15 of the moving body 10 and the dissolving passage 25 is formed between the suction passage 11 and the space 16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water surface of the dissolving liquid 21, Respectively. The dissolving liquid 21 immerses the smoke passing from the suction passage 11 into the space 16 to induce the dissolution of the oil and the dissolving passage 25 moves the smoke from the suction passage 11 to the space 16 Thereby inducing the oil to be immersed. That is, the high-temperature smoke generated while brewing meat contains water in a vaporized state together with water. Such smoke is introduced into the dissolving channel 25 and is immersed in the dissolving liquid 21, The liquefaction phenomenon occurs. Therefore, the water and the oil contained in the smoke are separated from the smoke and dissolved on the solution 21.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용해부(20)는 공간(15)상에 용해액(21)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22)와, 용해액(21)상에 용해된 유류의 응고를 방지하도록 40~45℃로 가열하는 히터(23)를 더 구비한다. 용해부(20)는 도 2 및 도 3처럼 흡입유로(11)로부터 공간(16)으로 통과하는 연기에 포함하는 유류(기름)를 제거하는 것으로, 수위센서(22)와 히터(23)를 구비한다.The dissolution par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level sensor 22 for sensing the level of the dissolution liquid 21 on the space 15 and a water level sensor 22 for preventing the dissolution of the dissolved oil on the dissolution liquid 21 The heater 23 is heated to 40 to 45 캜. The dissolving unit 20 removes the oil (oil) contained in the smoke passing from the suction passage 11 to the space 16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includes a water level sensor 22 and a heater 23 do.

수위센서(22)는 공간(15)상에 용해액(21)이 충진(유입)되는 수위를 감지하는 것으로, 용해유로(25)의 선단과 일치되는 높이로만 충진 되도록 신호를 발생한다. 즉, 용해액(21)이 용해유로(25)의 선단보다 낮은 수위를 지니도록 충진 하면, 통과하는 연기를 침지하지 못해 용해 역할이 완전히 상실하게 되고, 높은 수위를 지니도록 충진 하면, 연기를 통과하는 흡입력이 배가되어 후술하는 동력부의 에너지를 증가시키고 과부하를 발생시켜 고장을 유발한다.The water level sensor 22 senses the water level at which the solution 21 is filled in the space 15 and generates a signal to be filled only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ip of the solution passage 25. In other words, if the solution 21 is filled so as to have a lower water level than the tip of the dissolving channel 25, the solution can not be immersed in the passing smoke to completely dissolve the solution. If the solution is filled to have a high water level, The energy of the power section to be described later is increased and an overload is generated to cause a failure.

따라서 수위센서(22)는 공간(15)에 충진 되는 용해액(21)의 수위가 용해유로(25)의 선단과 일치되는 수위로만 충진 되도록 한다. 여기서 수위센서(22)는 용해된 유류로 인해 수위가 높아진 것을 감지하여 용해액(21)의 교환 시기를 알려주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이러한 수위센서(22)는 연기의 영향으로 감지력이 상실되지 않도록 격벽(13)으로 밀폐된 상태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water level sensor 22 allows the water level of the solution 21 filled in the space 15 to be filled only to a number that matches the tip of the dissolving channel 25. Here, the water level sensor 22 senses that the water level has increased due to the dissolved oil, and simultaneously notifies the replacement time of the dissolving liquid 21.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level sensor 22 is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hermetically sealed by the partition 13 so as not to lose the sensing force due to the effect of smoke.

히터(23)는 용해액(21)상에 용해된 유류의 응고를 방지하는 것으로, 용해액(21)을 40~45℃로 가열하도록 용해액(21)상에 상시 침지된 상태로 하나 이상 구비한다. 즉, 유류는 용해액(21)보다 비중이 가벼워 상시 떠 있을려는 성질을 지니고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쉽게 응고하게 되므로, 용해액(21)상에 용해된 유류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 침지와 용해 역할이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용해액(21)을 40~45℃로 가열함에 따라 용해된 유류의 응고를 방지하여 유류의 양에 관계없이 침지와 용해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heater 23 prevents the coagulation of the dissolved oil on the dissolving liquid 21. The heater 23 is provided so as to heat the dissolving liquid 21 to 40 to 45 캜 and to be immersed in the molten liquid 21 at all times do. That is, since the oil has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the dissolving liquid 21 and has a property of being always floating, it easily solidifies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Therefore, when the amount of dissolved oil on the dissolving liquid 21 increases, It is lost. Therefore, by heating the solution 21 to 40 to 45 캜,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agulation of the dissolved oil and to continuously perform the role of immersion and dissolution regardless of the amount of the oil.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용해부(20)의 용해액(21)은 순수 수돗물을 이용하되, 사용하지 않는 겨울철에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동액과, 용해된 유류를 묽게 희석하는 세정제를 더 첨가한다. 용해액(21)은 연기에 포함하는 유류를 용해되도록 촉매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값이 싸고 쉽게 취급할 수 있는 순수 수돗물만을 그대로 이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수돗물 상에 부동액 또는 세정제를 더 첨가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즉,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는 겨울철에는 수돗물이 동결되어 용해 역할이 완전히 상실되는 것은 물론, 동체(10)를 동파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수돗물 상에 부동액을 소정의 비율로 첨가한다. 따라서 계절에 의한 온도에 관계없이 용해 역할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The dissolving liquid 21 of the dissolution par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added with an antifreeze liquid which uses pure tap water to prevent freezing in the winter when it is not in use and a detergent which dilutes the dissolved oil in a small amount . The dissolving liquid (21) serves as a catalyst to dissolve the oil contained in the smoke. It is possible to use only pure tap water which is cheap and easily handled, but the antifreeze or detergent is further added to the tap water It is possible. That is, in the winter when the temperature falls below freezing, the tap water is frozen to completely lose its dissolving role, and it causes the body 10 to be frozen. Therefore, the antifreeze is added to the tap water at a predetermined ratio. As a result, the melting function can be maintained regardless of seasonal temperature.

또, 용해액(21)상에 용해된 유류는 온도에 따라 응고하게 되는데, 히터(23)가 가열하여 이를 방지한다 하더라도 용해액(21) 표면에 유막을 형성함과 함께 점성이 높아짐에 따라 용해 역할이 상실하게 되므로 수돗물 상에 계면활성제를 주요 성분으로 하는 세정제를 소정의 비율로 첨가한다. 따라서 용해된 유류를 묽은 상태로 희석함에 따라 용해 역할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이러한 부동액과 세정제는 계절과 상황에 따라 각각 첨가하여도 무방하며 부동액과 세정제를 함께 첨가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경우에나 당업자는 용해부(20)의 용해 효율과 취급성 및 환경오염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il dissolved on the dissolving liquid 21 solidifie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Even if the heater 23 heats it, it forms an oil film on the surface of the dissolving liquid 21, So that a cleaning agent containing a surfactant as a main component is added to the tap water at a predetermined ratio.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dissolving function by diluting the dissolved oil in a diluted state. These antifreeze and detergent may be added according to the season and the situation, and it is also possible to add antifreeze and detergent together. In any cas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selectively use it considering the dissolution efficiency of the dissolving section 20, handleability and environmental pollution.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용해부(20)의 용해유로(25)는 연기를 용해액(21)상에 침지되도록 유도하면서 용해액(21)을 와류시켜 연기에 비산하도록 격벽(13)에 의해 지그재그로 연통되게 분할되는 제1ㆍ2유로(25a)(25b)를 구비한다. 용해유로(25)는 도 4처럼 흡입유로(11)로부터 공간(16)으로 전달하면서 유류를 용해액(21)상에 침지되게 유도하는 것으로, 제1유로(25a)와 제2유로(25b)를 지그재그로 분할되게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ssolution channel 25 of the dissolution par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13 for dispersing the dissolution solution 21 into the smoke while inducing the smoke to be immersed on the dissolution solution 21 And first and second flow paths 25a and 25b which are divided in a zigzag manner. The dissolving channel 25 is adapted to induce the oil to be immersed on the dissolving liquid 21 while transferring the oil from the suction channel 11 to the space 16 and the first channel 25a and the second channel 25b, In a zigzag manner.

제1유로(25a)는 흡입유로(11)와 인접하는 위치에 구비하고, 제2유로(25b)는 공간(16)과 인접하는 위치에 구비하는데, 이러한 제1ㆍ2유로(25a)(25b)는 연기를 용해액(21)상에 침지함과 동시에 용해액(21)을 와류시켜 연기에 비산시켜 준다. 즉, 연기가 제1유로(25a)에 유입되는 시점에서 용해액(21)으로 침지되고, 침지된 연기가 제1유로(25a)에 공급되는 시점에서 용해액(21)을 공급방향으로 와류(소용돌이)를 발생시키게 된다. 무엇보다 제1유로(25a)를 통과한 연기는 제2유로(25b)에서 동일한 작용으로 침지와 와류를 반복 발생시켜 준다. 따라서 용해액(21)의 와류로 공급되는 연기에 비산시킴에 따라 연기에 포함된 유류의 용해력을 배가시켜 준다. 여기서 와류 현상은 유체의 흐름을 교축 시켜 유량을 측정하는 오리피스 작용과 동일한 것으로 별도의 역학적인 설명은 배제한다.The first flow path 25a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uction flow path 11 and the second flow path 25b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pace 16.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25a and 25b ) Immerses the smoke on the dissolving liquid (21), and at the same time, the dissolving liquid (21) is swirled and scattered in the smoke. That is, when the smoke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flow path 25a, the solution is immersed in the solution 21, and at the time when the immersed smoke is supplied to the first flow path 25a, Vortex). In particular, the smoke pass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25a causes the second flow path 25b to repeatedly generate the immersion and vortex with the same action. Therefore, the dissolving power of the oil contained in the smoke is doubled by scattering the smoke supplied to the vortex of the dissolving liquid 21. Here, the vortex phenomenon is the same as the orifice action of measuring the flow rate by throttling the flow of the fluid, which excludes a separate ephemeral explanation.

또,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30)는 상기 동체(10)의 공간(16)(17)상에 각각 내장되고, 상기 용해부(20)를 통과한 연기에 포함하는 불순물을 정화하도록 하나 이상의 제습필터(31)와 흡착필터(35)를 구비한다. 필터부(30)는 도 2 및 도 3처럼 용해부(20)를 통과하는 연기에 포함하는 각종 불순물(이물질)과 유해가스 및 세균을 정화하는 것으로, 동체(10)의 공간(16)(17)에 제습필터(31)와 흡착필터(35)를 교체 가능하게 구비한다.The filter un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corporated in the spaces 16 and 17 of the body 10 and is configured to purify impurities contained in the smoke passing through the dissolving unit 20, A dehumidifying filter 31 and an adsorption filter 35. The filter unit 30 purifies various impurities (foreign substances), noxious gases and bacteria contained in the smoke passing through the dissolving unit 20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dehumidifying filter 31 and the adsorption filter 35 are replaceable.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필터부(30)의 제습필터(31)는 그물형으로 짜여진 와이어 상에 폴리프로필렌 또는 스테인레스강이 미세하게 직조되어 연기에 포함하는 불순물과 수분을 분리하고, 흡착필터(35)는 케이스 상에 미세한 활성탄소 또는 제오라이트 알갱이가 내장되어 연기에 포함하는 불순물과 세균을 흡착한다.At this time, the dehumidifying filter 31 of the filter un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finely woven polypropylene or stainless steel on a net-woven wire, separating impurities contained in the smoke from moisture, 35) contains fine activated carbon or zeolite particles on the case to adsorb impurities and bacteria contained in the smoke.

제습필터(31)는 동체(10)의 공간(16)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하고, 연기에 포함하는 유류와 수분을 분리한다. 이러한 제습필터(31)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스테인레스강이 수세미처럼 미세하고 무수한 가변 방향의 통공을 지니도록 직조되어 통과하는 연기에 포함된 유류와 수분을 여과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유류와 수분을 포함한 연기가 제습필터(31)를 통과할 때, 연기(가스)는 통공을 자유롭게 통과하여 빠져나가지만, 유류와 수분은 높은 밀도로 인한 관성력 때문에 연기처럼 통공의 방향대로 빠르게 바꾸지 못한다. 따라서 무거운 유류와 수분은 직조물의 표면에 충돌과 함께 머물게 되고, 지속적으로 충돌되는 유류와 수분의 사이즈가 점점 커져 결국, 중력에 의해 용해액(21)으로 떨어지거나 흘러내리게 된다.The dehumidifying filter 31 is detachably provided in the space 16 of the moving body 10 and separates the oil and moisture contained in the smoke. The dehumidifying filter 31 is made of polypropylene or stainless steel to filter the oil and moisture contained in the smoke that is woven and passed through so as to have fine and numerous variable through holes like wool. That is, when the smoke including oil and moisture passes through the dehumidifying filter 31, the smoke (gas) freely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but the oil and the moisture are quickly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I can not change. Therefore, the heavy oil and moisture stay on the surface of the woven fabric with the collision, and the sizes of the oil and moisture that continuously collide with each other gradually increase and eventually fall or flow down to the solution 21 due to gravity.

이러한 제습필터(31)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스테인레스강(SUS) 중에서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데, 폴리프로필렌는 비교적 저렴한 원료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지만 재 사용이 불가능하고, 스테인레스강은 상대적으로 원료에 따른 제작비용은 증가되나 간단한 세척만으로 재 사용이 가능한 반영구적인 수명을 지니고 있다. 어느 경우에는 당업자는 교체성과 비용을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인 재질로 형성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The dehumidifying filter 31 can be selectively used from polypropylene (PP) or stainless steel (SUS). Polypropylene is a relatively inexpensive raw material, which can reduce costs but can not be reused. However, it has a semi-permanent life span that can be reused by simple cleaning. In any cas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use the most efficient material formed considering the replacement performance and cost.

흡착필터(35)는 동체(10)의 공간(17)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하고, 연기에 포함하는 불순물과 세균을 흡착한다. 이러한 흡착필터(35)는 케이스 상에 미세한 통공을 지닌 활성탄소 또는 제오라이트 알갱이가 내장되어 통과하는 연기에 포함된 불순물과 세균을 빨아들여 흡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불순물과 세균을 포함한 연기가 흡착필터(35)를 통과할 때, 미세한 통공으로 각종 불순물과 세균과 같은 유기물을 흡착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순수한 연기만을 배출되게 정화할 수가 있다.The adsorption filter 35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pace 17 of the moving body 10 to adsorb impurities contained in the smoke and bacteria. The adsorption filter 35 has activated carbon or zeolite particles having fine holes on the case, and sucks and adsorbs impurities and bacteria contained in the smoke. That is, when smoke including impurities and bacteria passes through the adsorption filter 35, organic substances such as various impurities and bacteria are adsorbed by fine holes, and as a result, only pure smoke can be purified.

이러한 흡착필터(35)는 활성탄소(activated carbon) 또는 제오라이트(zeolite) 중에서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데, 활성탄소는 숯, 소뼈, 야자수껍질 등을 특수방법으로 쪄서 구운 것으로 교체 주기가 비교적 짧고, 제오라이트는 규산알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광물질로 상대적으로 교체 주기가 길고 흡착 능력도 탁월하다. 어느 경우에는 당업자는 교체성과 비용을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인 재질로 형성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The adsorption filter 35 can be selectively used in activated carbon or zeolite. The activated carbon is steamed by a special method such as charcoal, bones, palm shell, etc., and the replacement cycle is relatively short. The zeolite It is a minerals mainly composed of aluminum silicate and has a long replacement period and excellent adsorption ability. In any cas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use the most efficient material formed considering the replacement performance and cost.

한편, 본 발명의 제습필터(31)와 흡착필터(35)는 1단형으로 각각 구비하고 있지만, 보다 향상된 정화 효율을 위해 2단형 내지 5단형으로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dehumidifying filter 31 and the adsorption filter 35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ach provided in a single stage, bu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two to five stages for further improved purification efficiency.

또, 본 발명에 따른 동력부는 상기 동체(10)의 배출유로(12)상에 내장되고, 연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송풍하는 블로워(40)를 구비한다. 동력부는 도 1 내지 도 4처럼 외부로부터 연기를 포집하도록 흡입력을 발생하고, 포집된 연기를 동체(10)를 통과시켜 외부로 배출하도록 송풍하는 것으로, 동체(10)의 배출유로(12)상에 블로워(40)를 구비한다. 즉, 블로워(40)는 바람을 유동하는 임펠러와, 임펠러를 회전하도록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모터를 배출유로(12)에 결합하는 케이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블로워(40)는 형태와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 pow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wer 40 built in the discharge flow passage 12 of the moving body 10 and blowing air to suck and discharge the smoke. The power unit generates a suction force so as to collect smoke from the outside as shown in Figs. 1 to 4, and blows the collected smoke through the moving body 10 to discharge it to the outside. And a blower (40). That is, the blower 40 is constituted by an impeller that flows in the wind, a motor that generates power to rotate the impeller, and a casing that couples the motor to the discharge passage 12. [ The blower 40 can be applied variously regardless of the type and kind of the blower 4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기를 구우면서 발생한 연기를 용해액에 침지하면서 와류로 비산시켜 연기에 포함되는 유류를 최소화 되도록 용해하고, 제습필터와 흡착필터가 유류와 세균을 분리함과 동시에 각종 유해가스와 악취를 흡착함에 따라 연기를 상시 청정한 상태로 배출할 수 있는 우수한 정화성과, 제습필터와 흡착필터를 비교적 간단한 세척만으로 재 사용이 가능한 사용성과 교체성을 지닌 것은 물론, 연기가 통과하면서 격벽과 충돌할 수 있는 미로형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전반적인 정화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oke generated while brewing meat is dipped in a dissolving liquid and dispersed in a vortex to dissolve the oil to minimize the oil contained in the smoke. The dehumidifying filter and the adsorption filter separate the oil and the bacteria, And it can be reused by relatively simple washing of the dehumidification filter and the adsorption filter, as well as the usability and the replaceability, and also, the smoke collides with the partition wall while passing through the smoke Thereby improving the overall efficiency of the purification.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동체 11: 흡입유로
12: 배출유로 11a, 12a: 플랜지
13: 격벽 15, 16, 17: 공간
20: 용해부 21: 용해액
22: 수위센서 23: 히터
25: 유로 25a: 제1유로
25b: 제2유로 30: 필터부
31: 제습필터 35: 흡착필터
40: 블로워
10: body 11:
12: discharge flow path 11a, 12a: flange
13: partition 15, 16, 17: space
20: dissolution part 21: dissolution solution
22: water level sensor 23: heater
25: Euro 25a: First Euro
25b: second flow path 30: filter portion
31: Dehumidification filter 35: Adsorption filter
40: Blower

Claims (5)

삭제delete 연기를 흡입ㆍ배출하는 흡입유로(11)와 배출유로(12)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유로(11)와 배출유로(12) 사이에 격벽(13)으로 분할되면서 연통하는 공간(15)(16)(17)을 구비하는 동체(10); 상기 동체(10)의 공간(15)상에 용해액(21)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유로(11)와 공간(16) 사이에 용해액(21)과 연동하여 연기에 포함하는 유류를 제거하도록 용해유로(25)을 구비하는 용해부(20); 상기 동체(10)의 공간(16)(17)상에 각각 내장되고, 상기 용해부(20)를 통과한 연기에 포함하는 불순물을 정화하도록 하나 이상의 제습필터(31)와 흡착필터(35)를 구비하는 필터부(30); 및 상기 동체(10)의 배출유로(12)상에 내장되고, 연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송풍하는 블로워(40)를 구비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고기 구이기용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용해부(20)는 공간(15)상에 용해액(21)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22)와, 용해액(21)상에 용해된 유류의 응고를 방지하도록 40~45℃로 가열하는 히터(23)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기용 집진기.
A space 15 (16) which communicates with the partition 13 between the suction passage 11 and the discharge passage 12 and includes a suction passage 11 and a discharge passage 12 for sucking and discharging the smoke, A body (10) having a body (17); A lysis solution 21 is provided on the space 15 of the body 10 and the oil contained in the smoke is removed between the suction passage 11 and the space 16 in cooperation with the lysis solution 21 A dissolution part (20) having a dissolution channel (25); And at least one dehumidification filter 31 and an adsorption filter 35 are disposed in the spaces 16 and 17 of the body 10 so as to purify impurities contained in the smoke passing through the dissolution part 20. [ A filter section (30) provided; And a blower (40) built in the discharge passage (12) of the moving body (10) and blowing air to suck and discharge the smoke, the dust collector for a meat grinder,
The dissolving unit 20 includes a water level sensor 22 for sensing the level of the dissolving liquid 21 on the space 15 and a water level sensor 22 for sensing the level of the dissolved liquid 21 at 40 to 45 캜 Further comprising a heater (23) for heating the meat grinder.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부(20)의 용해유로(25)는 연기를 용해액(21)상에 침지되도록 유도하면서 용해액(21)을 와류시켜 연기에 비산하도록 격벽(13)에 의해 지그재그로 연통되게 분할되는 제1ㆍ2유로(25a)(25b)를 구비하는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기용 집진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solving passage 25 of the dissolving section 20 is divided into communicating zigzags by the partition wall 13 so as to scatter the dissolving liquid 21 into the smoke while inducing the immersion of the smoke on the dissolving liquid 21 And a first and a second flow paths (25a, 25b).
삭제delete
KR1020130021640A 2013-02-28 2013-02-28 The dust collector for meat roasters KR1013920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640A KR101392029B1 (en) 2013-02-28 2013-02-28 The dust collector for meat roas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640A KR101392029B1 (en) 2013-02-28 2013-02-28 The dust collector for meat roast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2029B1 true KR101392029B1 (en) 2014-05-07

Family

ID=5089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640A KR101392029B1 (en) 2013-02-28 2013-02-28 The dust collector for meat roast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02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2437A (en) * 2020-01-17 2020-05-29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Method for monitoring water level of steam box
KR102454890B1 (en) * 2021-07-01 2022-10-14 주식회사 정우씨씨티 Large pot exhaust system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compatibilit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2437A (en) * 2020-01-17 2020-05-29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Method for monitoring water level of steam box
CN111202437B (en) * 2020-01-17 2022-02-1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Method for monitoring water level of steam box
KR102454890B1 (en) * 2021-07-01 2022-10-14 주식회사 정우씨씨티 Large pot exhaust system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compatib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480812U (en) Can purifying oil fume smokeless chafing dish table
KR20200107336A (en) Multi-functional air cleaning apparatus
JP2006150162A (en) Air cleaner and air conditioner
CN204678522U (en) A kind of can the air purifier of humidification
JP4833521B2 (en) Range hood fan deodorizing material and range hood fan comprising the deodorizing material
KR101392029B1 (en) The dust collector for meat roasters
KR100786782B1 (en) Air cleaning system for subwaystation
CN103933817A (en) Wet indoor dust remover
CN203744414U (en) Air washing purifier
JP2017020674A (en) Non-duct type smokeless roaster
JP2005069535A (en) Indoor circulation type range hood
KR101698318B1 (en) humidifier with air cleaning function
CN207262497U (en) A kind of fume purifying all-in-one machine energy saving for commercial kitchen
CN102008889B (en) Compound type exhaust gas purifica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CN102614734A (en) Smog purification device
RU2630446C2 (en) Air purifier
JP6367695B2 (en) Air cleaner
CN105987417B (en) A kind of purification system and integrated environment-friendly stove and range hood using purification system
CN204561885U (en) Non-smoke meat roaster
CN204421115U (en) A kind of integrated kitchen range of tool peculiar smell scavenge unit
KR102244493B1 (en) A air cleane
CN203964205U (en) A kind of toilet special-purpose air purifier
CN102228770B (en) Waste gas processing unit
KR20120002881U (en) The air circulating and cleanning instrument for an elevator
CN207865482U (en) A kind of integrated petticoat pipe of was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