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694B1 -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694B1
KR101391694B1 KR1020110141562A KR20110141562A KR101391694B1 KR 101391694 B1 KR101391694 B1 KR 101391694B1 KR 1020110141562 A KR1020110141562 A KR 1020110141562A KR 20110141562 A KR20110141562 A KR 20110141562A KR 101391694 B1 KR101391694 B1 KR 101391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ub
search
cont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3613A (ko
Inventor
이민정
김윤진
김일봉
김경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Priority to KR1020110141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694B1/ko
Priority to PCT/KR2012/000489 priority patent/WO2013094810A1/ko
Publication of KR20130073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6Use of more than one graphics processor to process data before displaying to one or more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각각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를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중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화면 분할 개수로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응되는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상기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METHOD,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TENTS SEARCH}
본 발명은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2225(2009.1.9)에 개시되어 있다.
최근에는, 미디어 파일을 포함하여 다양한 콘텐츠 파일을 재생하고 표시할 수 있는 장치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 터치 패드 방식으로 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을 이용하여 콘텐츠 파일들을 재생하거나 출력하는 사용자들은 그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보다 심미적인 효과를 요구하고 있으며, 또한 보다 직관적인 조작 방식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에게 다수의 콘텐츠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시되고 있으나, 많은 수의 콘텐츠 수와 작은 공간의 디스플레이 화면이라는 제한 사양으로 인해 효과적인 콘텐츠 검색 방식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텐츠를 검색하는 화면을 표시함에 있어서,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각각에 대한 화면 분할 및 분할된 서브 화면에 검색 키워드 또는 콘텐츠를 표시하여 심미적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화면에 콘텐츠 검색 과정 및 결과가 함께 표시되는 효과적인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단말기가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각각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를 저장하는 화면 분할 개수 저장 단계; 상기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중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콘텐츠 검색 단위 정보 입력 단계; 상기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화면 분할 개수로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을 출력하는 검색 화면 분할 단계; 및 상기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응되는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상기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각각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를 저장하는 화면 분할 개수 저장부; 상기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중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콘텐츠 검색 단위 정보 입력부; 상기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화면 분할 개수로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을 출력하는 검색 화면 분할부; 상기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응되는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상기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단말기가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각각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를 저장하는 화면 분할 개수 저장 기능과, 상기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중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콘텐츠 검색 단위 정보 입력 기능과, 상기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화면 분할 개수로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을 출력하는 검색 화면 분할 기능과, 상기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응되는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상기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츠를 검색하는 화면을 표시함에 있어서,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각각에 대한 화면 분할 및 분할된 서브 화면에 검색 키워드 또는 콘텐츠를 표시하여 심미적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화면에 콘텐츠 검색 과정 및 결과가 함께 표시되는 효과적인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단말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의 출력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의 출력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의 출력 예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앨범 식별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된 경우의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의 출력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콘텐츠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된 경우의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의 출력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의 출력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아티스트 식별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된 경우의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의 출력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앨범 식별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된 경우의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의 출력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콘텐츠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된 경우의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의 출력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될 콘텐츠(Contents)란, 내용, 요지 등을 뜻하는 말로, 컴퓨터와 같은 전자계산기에서는 유무선 전기 통신망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문자, 부호, 음성, 음향, 이미지, 영상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해 처리, 유통하는 각종 정보 또는 그 내용물을 통틀어 이르고 있다. 예를 들어, 음악, 비디오, TV 방송, 라디어 방송, 사진, 신문 등이 콘텐츠의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콘텐츠는 재생 가능한 콘텐츠로서, 음악 콘텐츠(음원 파일)이나 동영상 콘텐츠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100)은,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를 저장하고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단말기(120)로 전송함으로써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110)와, 서버(110)로부터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말기(120)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이용자의 단말기(120)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를 포함하고, 특히,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서버(11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Web Server)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PHP, .Net, Python, Ruby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한다.
또한, 콘텐츠 서버(110)는 일반적으로 인터넷 등의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130)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단말기(120)를 포함)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 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이다.
또한, 콘텐츠 서버(110)는, 전술한 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콘텐츠 서버(110)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 또는 외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콘텐츠 서버(110)는 콘텐츠,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콘텐츠 서버(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서버(11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 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Apache, Nginx, Light HTTP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30)는 콘텐츠 서버(110)와 단말기(120)를 연결해주는 망(Network)으로서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나,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단말기(120)가 이동통신 단말기이거나 스마트 폰 등인 경우, 네트워크(130)는 이동통신망이나 와이파이망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단말기(12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단말기(120)는,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각각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를 저장하는 화면 분할 개수 저장부(202)와,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중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콘텐츠 검색 단위 정보 입력부(206)과,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화면 분할 개수로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을 출력하는 검색 화면 분할부(208)와,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응되는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고,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검색 단위는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위로서, 도 5 내지 도 11에 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해당 콘텐츠가 음악 콘텐츠인 경우 앨범 단위 또는 아티스트 단위일 수 있다.
또한, 화면 분할 개수는 2개, 3개, 4개, …, n개(n은 자연수) 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각각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는 단말기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 개발된 정보에 의해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단말기(120)는, 검색 키워드에 대한 계층적 연계 정보를 미리 저장하거나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여 관리하고, 최하위의 검색 키워드(예를 들어, 앨범 식별 정보)는 해당 콘텐츠 리스트(예를 들어, 해당 앨범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음악 콘텐츠 리스트)와 직접 연계시키는 검색 키워드 연계 정보 관리부(2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단말기(120)는, 임의의 사용자 검색어를 입력받는 사용자 검색어 입력부(2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0)는 일 실시예로서,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응되고 사용자 검색어와 연계되는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고,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단말기(120)는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0)에 의해,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된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 중에서 특정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2)는 일 실시예로서, 특정 최상위보다 한 단계 낮은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파악 결과,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가 존재하면,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2)는 일 실시예로서, 존재하는 차상위 검색 키워드를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파악결과, 다음 상위 검색 키워드가 미존재하면,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2)는 일 실시예로서, 최상위 검색 키워드와 연계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가 표시되는 차상위 서브 화면은 최하위 서브 화면에 해당하고,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2)는 최하위 서브 화면으로서 미리 정의된 차상위 서브 화면에 추출된 해당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단말기(120)는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2)와 함께 차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2)의 일 실시예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2)가 특정 최상위보다 한 단계 낮은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한 결과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가 존재하여, 존재하는 차상위 검색 키워드를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한 경우에, 차상위 화면에 표시된 상기 차상위의 키워드 중에서 특정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차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4)는 일 실시예로서, 특정 차상위보다 한 단계 낮은 차차상위의 검색 키워드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파악 결과, 차차상위의 검색 키워드가 존재하면, 차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4)는 일 실시예로서, 존재하는 차차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파악 결과, 차차상위의 검색 키워드가 미 존재하면, 차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4)는 일 실시예로서,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와 연계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가 표시되는 차차상위 서브 화면은 최하위 서브 화면에 해당하고, 차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4)는 최하위 서브 화면으로 미리 정의된 차차상위 서브 화면에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20)는, 서브 화면에 표시된 특정 검색 키워드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한 단계 낮은 검색 키워드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고, 파악 결과, 존재한다면, 이를 미리 정의된 서브 화면에 표시하고, 파악 결과, 미 존재한다면, 해당 검색 키워드와 연계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여 미리 정의된 서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한 단계 낮은 검색 키워드가 미 존재할때까지 이러한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즉, 최종적으로 서브 화면에 표시될 정보는 최하위의 검색 키워드와 연계된 콘텐츠 리스트이다. 콘텐츠 리스트가 최하위 서브화면으로서 미리 정의된 서브 화면에 표시될때까지 이러한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판단(파악) 단계가 진행되는 횟수를 m 번 이라 하면, 콘텐츠 화면의 화면 분할 개수는 m+1 개에 해당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각각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를 저장하는 화면 분할 개수 저장부(202)는, 예를 들어, 콘텐츠 검색 단위로서 앨범 단위 또는 아티스트(Artist)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검색 단위 각각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는 단말기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 개발된 정보에 의해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검색 화면 분할부(208)가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화면 분할 개수로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300)의 출력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300)에는,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인 제1 콘텐츠 검색 단위(320)와 제2 콘텐츠 검색 단위(330)가 표시되어 있다.
화면 분할 개수 저장부(202)에는,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320,330) 각각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콘텐츠 검색 단위(320)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는 2개이고, 제2 콘텐츠 검색 단위(330)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는 3개인 것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콘텐츠 검색 단위 정보 입력부(206)가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320,330) 중 제1 콘텐츠 검색 단위(320)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 받으면, 검색 화면 분할부(208)는 제1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화면 분할 개수인 2개로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을 출력한다.
도 3을 참조할때, 2개로 분할된 서브 화면 중 좌측부는 최상위 서브 화면에 해당하고, 우측부는 차상위 서브화면이면서 최하위 서브 화면에 해당한다.
도 3을 참조할때, 좌측부에는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 리스트(예를 들어, 앨범 리스트)가 표시되고,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 리스트 내의 키워드(최상위의 검색 키워드이자 최하위의 검색 검색 키워드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앨범 식별 정보)는 전술한 검색 키워드 연계 정보 관리부(209)에 의해 해당 콘텐츠 리스트(예를 들어, 음악 콘텐츠 리스트)와 직접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2개로 분할된 서브 화면 중 좌측부에 해당하는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된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예를 들어, 앨범 식별 정보) 중에서 특정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2)는, 특정 최상위보다 한 단계 낮은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악 결과, 다음 상위 검색 키워드가 미존재하면, 최상위 검색 키워드와 연계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상위 서브 화면인 우측부에 표시할 수 있다. 서브 화면 중 우측부는 차상위 서브화면이면서 최하위 서브 화면에 해당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화면 분할 개수가 3개인 경우의 실시예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300)의 출력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300)에는,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인 제1 콘텐츠 검색 단위(320)와 제2 콘텐츠 검색 단위(330)가 표시되어 있다.
화면 분할 개수 저장부(202)에는,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320,330) 각각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콘텐츠 검색 단위(320)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는 2개이고, 제2 콘텐츠 검색 단위(330)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는 3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콘텐츠 검색 단위 정보 입력부(206)가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320,330) 중 제2 콘텐츠 검색 단위(330)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 받으면, 검색 화면 분할부(208)는 제1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화면 분할 개수인 3개로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을 출력한다.
도 4를 참조할때, 3개로 분할된 서브 화면 중 좌측부는 최상위 서브 화면에 해당하고, 중앙부는 차상위 서브화면에 해당하며, 우측부는 차차상위 서브화면이면서 최하위 서브 화면에 해당한다.
도 4를 참조할때, 좌측부에는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 리스트(예를 들어, 아티스트 리스트)가 표시되고, 중앙부에는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 리스트(예를 들어, 앨범 리스트)가 표시된다. 또한,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 리스트 내의 키워드에 해당하는 최하위의 검색 키워드(예를 들어, 앨범 식별 정보)는 전술한 검색 키워드 연계 정보 관리부(209)에 의해 해당 콘텐츠 리스트(예를 들어, 음악 콘텐츠 리스트)와 직접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3개로 분할된 서브 화면 중 좌측부에 해당하는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된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예를 들어, 앨범 식별 정보) 중에서 특정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2)는, 특정 최상위보다 한 단계 낮은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악 결과,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가 존재하면, 존재하는 차상위 검색 키워드를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상위 서브 화면인 중앙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차상위 화면에 표시된 차상위의 키워드 중에서 특정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차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4)는, 특정 차상위보다 한 단계 낮은 차차상위의 검색 키워드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악 결과, 차차상위의 검색 키워드가 미 존재하면,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와 연계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차상위 서브 화면인 우측부에 표시할 수 있다. 서브 화면 중 우측부는 차상위 서브화면이면서 최하위 서브 화면에 해당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단말기(120)는 일 실시예로서, 콘텐츠 검색 단위 정보 입력부(206)가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중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로서 앨범 단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검색 화면 분할부(208)는, 앨범 단위에 대하여 저장된 화면 분할 개수인 2개로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0)는,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인 앨범 단위에 대응되는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 하나 이상의 앨범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하나 이상의 앨범 식별 정보를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된 상기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의 하나 이상의 앨범 식별 정보 중에서 특정 앨범 식별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2)는 일 실시예로서, 특정 앨범 식별 정보와 연계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검색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가 표시되는 차상위 화면은 최하위 서브 화면에 해당하고,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2)는 최하위 서브 화면으로 미리 정의된 차상위 서브 화면에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단말기(120)는 다른 실시예로서, 콘텐츠 검색 단위 정보 입력부(206)가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중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로서 아티스트 단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검색 화면 분할부(208)는, 앨범 단위에 대하여 저장된 화면 분할 개수인 3개로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0)는,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인 아티스트 단위에 대응되는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 식별 정보를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된 상기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의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 식별 정보 중에서 특정 아티스트 식별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2)는 일 실시예로서, 최상위보다 한 단계 낮은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의 하나 이상의 앨범 식별 정보를 검색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4)는 일 실시예로서, 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된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의 하나 이상의 앨범 식별 정보 중에서 특정 앨범 식별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특정 앨범 식별 정보와 연계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검색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가 표시되는 차차상위 서브 화면은 최하위 서브 화면에 해당하고, 차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4)는 최하위 서브 화면으로 미리 정의된 차차상위 서브 화면에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단말기(120)는, 콘텐츠 재생 표시 제어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표시 제어부(250)는,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최하위 서브 화면(차상위 서브 화면 또는 차차상위 서브 화면일 수 있다)에 표시된 콘텐츠 리스트에서 특정 콘텐츠에 대한 재생 화면의 표시를 제어한다.
또한, 콘텐츠 재생 표시 제어부(250)는 일 실시예로서, 재생 화면이, 콘텐츠 검색 화면 중 콘텐츠 리스트가 표시된 최하위 서브 화면(차상위 서브 화면 또는 차차상위 서브 화면일 수 있다)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될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A,B,C는 서로 다른 앨범 커버 이미지를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300)의 출력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300)은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 검색어를 입력하는 사용자 검색어 입력란(310)과 제1 콘텐츠 검색 단위(320, 앨범 단위) 및 제2 콘텐츠 검색 단위(330, 아티스트 단위)에 대한 입력 버튼을 표시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20)는 일 실시예로, 사용자 검색어 입력부(205)가 사용자 검색어 입력란(310)을 통해 사용자 검색어(홍길동)를 입력받고, 콘텐츠 검색 단위 정보 입력부(206)가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중 앨범 단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검색 화면 분할부(208)는 앨범 단위에 대하여 저장된 화면 분할 개수인 2개로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을 출력하고,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0)는, 앨범 단위에 대응되고 사용자 검색어(홍길동)와 연계되는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 하나 이상의 앨범 식별 정보(홍길동 1집, 홍길동 2집, 홍길동 3집)를 추출하고, 하나 이상의 앨범 식별 정보를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최상위 서브 화면(3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차상위 서브 화면(360)에는 어떤 정보도 미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최상위 서브 화면(350)에 표시된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의 하나 이상의 앨범 식별 정보 중에서 특정 앨범 식별 정보(353)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된 경우의 콘텐츠 검색 화면(300)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앨범 식별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된 경우의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300)의 출력 예시도이다.
최상위 서브 화면(350)에 표시된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의 하나 이상의 앨범 식별 정보 중에서 특정 앨범 식별 정보(353, 홍길동 3집)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된 경우, 도 6을 참조하면,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2)는 특정 앨범 식별 정보(353)와 연계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검색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상위 서브 화면(36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상위 서브 화면(360)은 최하위 서브 화면으로서 미리 정의되어 있다.
이후, 차상위 서브 화면(360)에 표시된 콘텐츠 리스트(01.봄, 02.여름, 03.가을, 04.겨울)에서 특정 콘텐츠(364)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된 경우의 콘텐츠 검색 화면(300)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콘텐츠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된 경우의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300)의 출력 예시도이다.
차상위 서브 화면(360)에 표시된 콘텐츠 리스트에서 특정 콘텐츠(364, 04.겨울)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된 경우, 콘텐츠 재생 표시 제어부(250)는 특정 콘텐츠(364)에 대한 재생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되, 재생 화면이, 콘텐츠 검색 화면 중 콘텐츠 리스트가 표시된 차상위 서브 화면(36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35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재생 화면은, 현재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앨범 커버 이미지(C)와, 현재 재생 상태, 현재 재생 위치 등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될 도 9 내지 도 11의 A,B,C는 서로 다른 앨범 커버 이미지를 의미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300)의 출력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300)은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 검색어를 입력하는 사용자 검색어 입력란(310)과 제1 콘텐츠 검색 단위(320, 앨범 단위) 및 제2 콘텐츠 검색 단위(330, 아티스트 단위)에 대한 입력 버튼을 표시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20)는 일 실시예로, 사용자 검색어 입력부(205)가 사용자 검색어 입력란(310)을 통해 사용자 검색어(길동)을 입력받고, 콘텐츠 검색 단위 정보 입력부(206)가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중 아티스트 단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검색 화면 분할부(208)는 아티스트 단위에 대하여 저장된 화면 분할 개수인 3개로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을 출력하고,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0)는, 아티스트 단위에 대응되고 사용자 검색어(길동)과 연계되는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 식별 정보(김길동, 이길동, 박길동, 홍길동)를 추출하고,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 식별 정보를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최상위 서브 화면(4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차상위 서브 화면(460) 및 차차상위 서브 화면(470)에는 어떤 정보도 미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최상위 서브 화면(450)에 표시된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의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 식별 정보 중에서 특정 아티스트 식별 정보(454)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된 경우의 콘텐츠 검색 화면(300)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아티스트 식별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된 경우의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300)의 출력 예시도이다.
최상위 서브 화면(450)에 표시된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의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 식별 정보 중에서 특정 아티스트 식별 정보(454, 홍길동)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된 경우, 도 9를 참조하면,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2)는 최상위보다 한 단계 낮은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의 하나 이상의 앨범 식별 정보(홍길동 1집, 홍길동 2집, 홍길동 3집)를 검색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상위 서브 화면(460)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차상위 서브 화면(460)에 표시된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의 하나 이상의 앨범 식별 정보 중에서 특정 앨범 식별 정보(463, 홍길동 3집)에 대한 선택 저옵가 입력된 경우의 콘텐츠 검색 화면(300)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앨범 식별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된 경우의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300)의 출력 예시도이다.
차상위 서브 화면(460)에 표시된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의 하나 이상의 앨범 식별 정보 중에서 특정 앨범 식별 정보(463, 홍길동 3집)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도 10을 참조할때, 차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214)는 특정 앨범 식별 정보(463)와 연계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검색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차상위 서브 화면(47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차상위 서브 화면(470)은 최하위 서브 화면으로서 미리 정의되어 있다.
이후, 차차상위 서브 화면(470)에 표시된 콘텐츠 리스트(01.봄, 02.여름, 03.가을, 04.겨울)에서 특정 콘텐츠(474)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된 경우의 콘텐츠 검색 화면(300)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콘텐츠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된 경우의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300)의 출력 예시도이다.
차차상위 서브 화면(470)에 표시된 콘텐츠 리스트에서 특정 콘텐츠(474, 04.겨울)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된 경우, 콘텐츠 재생 표시 제어부(250)는 특정 콘텐츠(364)에 대한 재생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되, 재생 화면이, 콘텐츠 검색 화면 중 콘텐츠 리스트가 표시된 차차상위 서브 화면(47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49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재생 화면은, 현재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앨범 커버 이미지(C)와, 현재 재생 상태, 현재 재생 위치 등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단말기(12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20)가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하게 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20)에 의해 모두 수행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20)가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기가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예를 들어, 아티스트 단위 또는 앨범 단위) 각각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를 저장하는 화면 분할 개수 저장 단계(S502)와,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중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콘텐츠 검색 단위 정보 입력 단계(S506)와,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화면 분할 개수로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을 출력하는 검색 화면 분할 단계(S508) 및,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응되는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예를 들어, 앨범 식별 정보 또는 아티스트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S5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은, 일 실시예로서,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S510) 이전에, 검색 키워드에 대한 계층적 연계 정보를 미리 저장하거나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여 관리하고, 최하위의 검색 키워드는 해당 콘텐츠 리스트와 직접 연계시키는 검색 키워드 연계 정보 관리 단계(S5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은, 다른 실시예로서, 콘텐츠 검색 단위 정보 입력 단계(S506) 이전에, 사용자 검색어를 입력받는 사용자 검색어 입력 단계(S505)를 더 포함하고,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S510)는,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응되고 사용자 검색어와 연계되는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고,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S510) 이후,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된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 중에서 특정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특정 최상위보다 한 단계 낮은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고, 파악 결과,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가 존재하면, 존재하는 차상위 검색 키워드를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고, 파악결과, 다음 상위 검색 키워드가 미존재하면, 최상위 검색 키워드와 연계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S5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S512) 이후, 차상위 화면에 표시된 차상위의 키워드 중에서 특정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특정 차상위보다 한 단계 낮은 차차상위의 검색 키워드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고, 파악 결과, 차차상위의 검색 키워드가 존재하면, 존재하는 차차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고, 파악 결과, 차차상위의 검색 키워드가 미 존재하면,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와 연계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차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S5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20)는, 서브 화면에 표시된 특정 검색 키워드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한 단계 낮은 검색 키워드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고, 파악 결과, 존재한다면, 이를 미리 정의된 서브 화면에 표시하고, 파악 결과, 미 존재한다면, 해당 검색 키워드와 연계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여 미리 정의된 서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한 단계 낮은 검색 키워드가 미 존재할때까지 이러한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즉, 최종적으로 서브 화면에 표시될 정보는 최하위의 검색 키워드와 연계된 콘텐츠 리스트이다. 콘텐츠 리스트가 최하위 서브 화면으로서 미리 정의된 서브 화면에 표시될때까지 이러한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판단(파악) 단계가 진행되는 횟수를 m 번 이라 하면, 콘텐츠 화면의 화면 분할 개수는 m+1 개에 해당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화면 분할 개수 저장 단계(S502)에서, 상기 콘텐츠 검색 단위는, 앨범 단위 또는 아티스트 단위일 수 있다.
만약, 콘텐츠 검색 단위 정보 입력 단계(S506)에서,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중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로서 앨범 단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검색 화면 분할 단계(S508)는, 앨범 단위에 대하여 저장된 화면 분할 개수인 2개로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을 출력하고,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S510)는,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인 앨범 단위에 대응되는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 하나 이상의 앨범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하나 이상의 앨범 식별 정보를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최상위 서브화면 표시 단계(S510) 이후,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된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의 하나 이상의 앨범 식별 정보 중에서 특정 앨범 식별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특정 앨범 식별 정보와 연계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검색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S5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콘텐츠 검색 단위 정보 입력 단계(S506)에서,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중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로서 아티스트 단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검색 화면 분할 단계(S508)는, 앨범 단위에 대하여 저장된 화면 분할 개수인 3개로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을 출력하고,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S510)는,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인 아티스트 단위에 대응되는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 식별 정보를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S510) 이후,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된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의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 식별 정보 중에서 특정 아티스트 식별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최상위보다 한 단계 낮은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의 하나 이상의 앨범 식별 정보를 검색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S512)를 더 포함하고,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S512) 이후, 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된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의 하나 이상의 앨범 식별 정보 중에서 특정 앨범 식별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특정 앨범 식별 정보와 연계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검색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차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S5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최하위 서브 화면(차상위 서브 화면 또는 차상위 서브 화면일 수 있다)에 표시된 콘텐츠 리스트에서 특정 콘텐츠에 대한 재생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되, 재생 화면이, 콘텐츠 검색 화면 중 콘텐츠 리스트가 표시된 최하위 서브 화면(차상위 서브 화면 또는 차차상위 서브 화면일 수 있다)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재생 표시 제어 단계(S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이 도 12에서와 같은 절차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본질적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현 방식에 따라 각 단계의 수행 절차가 바뀌거나 둘 이상의 단계가 통합되거나 하나의 단계가 둘 이상의 단계로 분리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은, 단말기(120)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에 포함되거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되거나 호환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또한, 이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기(120)의 운영체제와 호환 가능하고 단말기(120)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단말기(120)의 운영체제는, 데스크탑 등의 일반 PC에 설치되는 윈도우(Window),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이거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iOS, 안드로이드(Android) 등의 모바일 전용 운영체제일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은 단말기(120)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이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120)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은,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각각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를 저장하는 화면 분할 개수 저장 기능과,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중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콘텐츠 검색 단위 정보 입력 기능과,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화면 분할 개수로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을 출력하는 검색 화면 분할 기능과,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응되는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고,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 기능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1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단말기가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각각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를 저장하는 화면 분할 개수 저장 단계;
    상기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중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콘텐츠 검색 단위 정보 입력 단계;
    상기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화면 분할 개수로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을 출력하는 검색 화면 분할 단계;
    상기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응되는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상기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 및
    상기 최상위 검색 키워드 중 선택된 검색 키워드와 연계된 차상위 검색 키워드를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 이전에,
    검색 키워드에 대한 계층적 연계 정보를 미리 저장하거나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여 관리하고, 최하위의 검색 키워드는 해당 콘텐츠 리스트와 직접 연계시키는 검색 키워드 연계 정보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검색 단위 정보 입력 단계 이전에,
    사용자 검색어를 입력받는 사용자 검색어 입력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응되고 상기 사용자 검색어와 연계되는 상기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상기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 이후,
    상기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된 상기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 중에서 특정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최상위보다 한 단계 낮은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고, 파악 결과, 상기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가 존재하면, 상기 존재하는 차상위 검색 키워드를 상기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고, 파악결과, 상기 차상위 검색 키워드가 미존재하면, 상기 최상위 검색 키워드와 연계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 이후,
    상기 차상위 화면에 표시된 상기 차상위의 키워드 중에서 특정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차상위보다 한 단계 낮은 차차상위의 검색 키워드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고, 파악 결과, 상기 차차상위의 검색 키워드가 존재하면, 상기 존재하는 차차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상기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고, 파악 결과, 상기 차차상위의 검색 키워드가 미존재하면, 상기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와 연계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차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분할 개수 저장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검색 단위는,
    앨범 단위 또는 아티스트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검색 단위 정보 입력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중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로서 앨범 단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검색 화면 분할 단계는,
    상기 앨범 단위에 대하여 저장된 화면 분할 개수인 2개로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인 앨범 단위에 대응되는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 하나 이상의 앨범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앨범 식별 정보를 상기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위 서브화면 표시 단계 이후,
    상기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된 상기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의 하나 이상의 앨범 식별 정보 중에서 특정 앨범 식별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앨범 식별 정보와 연계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검색 단위 정보 입력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중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로서 아티스트 단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검색 화면 분할 단계는,
    상기 앨범 단위에 대하여 저장된 화면 분할 개수인 3개로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인 아티스트 단위에 대응되는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 식별 정보를 상기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 이후,
    상기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된 상기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의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 식별 정보 중에서 특정 아티스트 식별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최상위보다 한 단계 낮은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의 하나 이상의 앨범 식별 정보를 상기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 이후,
    상기 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된 상기 차상위의 검색 키워드로서의 하나 이상의 앨범 식별 정보 중에서 특정 앨범 식별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앨범 식별 정보와 연계된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차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상기 차상위 서브 화면 또는 미리 정의된 상기 차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 리스트에서 특정 콘텐츠에 대한 재생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되,
    상기 재생 화면이, 상기 콘텐츠 검색 화면 중 상기 콘텐츠 리스트가 표시된 차상위 서브 화면 또는 차차상위 서브 화면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재생 표시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
  12.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각각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를 저장하는 화면 분할 개수 저장부;
    상기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중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콘텐츠 검색 단위 정보 입력부;
    상기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화면 분할 개수로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을 출력하는 검색 화면 분할부;
    상기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응되는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상기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 및
    상기 최상위 검색 키워드 중 선택된 검색 키워드와 연계된 차상위 검색 키워드를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부
    를 포함하는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단말기.
  13. 단말기가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각각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를 저장하는 화면 분할 개수 저장 기능과,
    상기 복수의 콘텐츠 검색 단위 중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콘텐츠 검색 단위 정보 입력 기능과,
    상기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한 화면 분할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화면 분할 개수로 분할된 콘텐츠 검색 화면을 출력하는 검색 화면 분할 기능과,
    상기 특정 콘텐츠 검색 단위에 대응되는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최상위의 검색 키워드를 상기 콘텐츠 검색 화면이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최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최상위 서브 화면 표시 기능과,
    상기 최상위 검색 키워드 중 선택된 검색 키워드와 연계된 차상위 검색 키워드를 분할된 복수의 서브 화면 중에서 미리 정의된 차상위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차상위 서브 화면 표시 기능
    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10141562A 2011-12-23 2011-12-23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KR101391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562A KR101391694B1 (ko) 2011-12-23 2011-12-23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PCT/KR2012/000489 WO2013094810A1 (ko) 2011-12-23 2012-01-19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562A KR101391694B1 (ko) 2011-12-23 2011-12-23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613A KR20130073613A (ko) 2013-07-03
KR101391694B1 true KR101391694B1 (ko) 2014-05-07

Family

ID=4866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562A KR101391694B1 (ko) 2011-12-23 2011-12-23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1694B1 (ko)
WO (1) WO20130948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965B1 (ko) 2014-07-15 2016-05-09 네이버 주식회사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기록 매체, 그리고 파일 배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5791A (ja) * 2007-01-30 2008-08-14 Xanavi Informatics Corp オーディオ装置
US20090063972A1 (en) * 2007-09-04 2009-03-05 Jeffrey Ma Multi-Pane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JP2018005791A (ja) * 2016-07-07 2018-01-1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1312B2 (en) * 2001-01-08 2004-05-04 Apple Computer, Inc. Media player interface
KR101320919B1 (ko) * 2008-01-29 2013-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분할 화면을 통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멀티미디어 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5791A (ja) * 2007-01-30 2008-08-14 Xanavi Informatics Corp オーディオ装置
US20090063972A1 (en) * 2007-09-04 2009-03-05 Jeffrey Ma Multi-Pane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JP2018005791A (ja) * 2016-07-07 2018-01-1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94810A1 (ko) 2013-06-27
KR20130073613A (ko)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32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web page resources
US8347231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isplaying tag words for selection by users engaged in social tagging of content
KR101343609B1 (ko) 증강 현실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자동 추천 장치 및 방법
EP256843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line advertisement
KR20170091142A (ko) 웹 콘텐츠 태깅 및 필터링
US201501543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CN103124968B (zh) 用于后仰式娱乐的内容转换
CN104144357B (zh) 视频播放方法和系统
US8972416B1 (en) Management of content items
KR100927732B1 (ko)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다운로드를 지원하기 위한 확장된패키지 구성 및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CN104462030B (zh) 字符转换装置、字符转换方法
CN110069738B (zh) 信息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服务器
US20170193059A1 (en) Searching For Applications Based On Application Usage
CN102624756A (zh) 数据下载终端以及数据下载方法
US9015607B2 (en) Virtual spa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US10902345B2 (en) Predicting user posting behavior in social media applications
CN103246501A (zh) 一种分享应用的方法以及客户端
KR101391694B1 (ko) 콘텐츠 검색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KR101184809B1 (ko)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CN104090878A (zh) 一种多媒体查找方法、终端、服务器及系统
Sasongko et al.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brary user interface by using responsive web design and user experience
CN109408679A (zh) 智能管理应用程序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U2020206120B2 (en) Visually indicating on a user interface lengths, types of content, structure and current user location within a corpus of electronic content
US20170192978A1 (en) Searching For Applications Based On Application Usage
CN103533009A (zh) 一种基于Web技术实现音视频推荐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