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397B1 - 부호량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부호량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397B1
KR101391397B1 KR1020127029013A KR20127029013A KR101391397B1 KR 101391397 B1 KR101391397 B1 KR 101391397B1 KR 1020127029013 A KR1020127029013 A KR 1020127029013A KR 20127029013 A KR20127029013 A KR 20127029013A KR 101391397 B1 KR101391397 B1 KR 101391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coded
code amount
estimating
fe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502A (ko
Inventor
아츠시 시미즈
나오키 오노
마사키 기타하라
Original Assignee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6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2Detection of scene cut or scene 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5Selection of the code volume for a coding unit prior to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호화 대상 픽처의 발생 부호량을 추정하고 부호량 제어를 행하는 영상 부호화 방식에서의 부호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부호량 제어 방법은 부호화 대상 픽처의 특징량을 산출하여 기억 장치에 기억하는 단계; 상기 기억 장치에 축적해 둔 발생 부호량 추정에 이용하는 부호화 완료 픽처의 특징량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부호화 대상 픽처의 특징량과 상기 부호화 완료 픽처의 특징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특징량의 비교 결과로부터 두 특징량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이용하지 않고 부호화 대상 픽처의 발생 부호량을 추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기초로 부호화 대상 픽처의 발생 부호량을 추정하는 단계;를 가진다.

Description

부호량 제어 방법 및 장치{Code amoun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 부호화의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의 성질이 크게 변화한 경우에서도 화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부호량 제어 방법, 부호량 제어 장치 및 부호량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0년 5월 12일에 출원된 특원 2010-109879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입력 영상을 정해진 비트 레이트로 부호화할 때, 부호화 대상 픽처의 목표 부호량을 결정한 후, 그 부호화 대상 픽처의 복잡으로부터 양자화 폭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텍스처가 많은(복잡한) 영상이나 움직임이 심한 영상은 부호화가 어려워 발생 부호량이 증가하기 쉽다. 반대로 휘도 변화가 적은 영상이나 움직임이 없는 영상은 부호화가 용이하는 등 영상마다 부호화의 복잡은 다르다.
대부분의 부호화 방법에서는, 부호화 대상 픽처의 복잡으로서 이미 부호화 완료 픽처의 발생 부호량 등의 부호화 결과로부터 복잡을 추정하고 양자화 폭을 결정하였다. 같은 성질의 영상이 연속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로부터 부호화 대상 픽처의 복잡을 추정한다.
그러나, 영상의 성질이 변화하는 영상에서는,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이용하면 예측 정밀도가 저하되어 부호화 제어가 불안정하게 되거나 부호량 할당이 올바르게 행해지지 않아 화질이 열화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서는, 부호화 완료 픽처와 부호화 대상 픽처의 화면 내 특징량을 이용하여 "복잡 지표"를 보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즉,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로부터 부호화 대상 픽처의 발생 부호량을 추정할 때, 추정에 이용하는 부호화 완료 픽처와 부호화 대상 픽처 각각에서 화면 내 특징량을 산출하고, 부호량 추정에 이용하는 복잡 지수를 화면 내 특징량을 이용하여 보정한다.
이에 의해, 페이드와 같은 서서히 복잡이 변화하는 영상에서도 안정된 부호량 제어를 실현하고 있다.
표준적인 동화상 부호화 방식에서는, 픽처 간 예측이나 픽처 내 예측 등의 차이에 의해 복수의 픽처 타입이 존재한다. 픽처 타입이 다르면 복잡도 다르기 때문에, 복잡의 추정에는 동일 픽처 타입의 부호화 결과를 이용한다.
특허문헌 1에서도 픽처 타입이 고려되어 있고, 픽처 타입마다 처리를 전환하는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도 4는 종래 방법에 의한 복잡 지표의 추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부호화 대상 픽처의 특징량을 산출한다(단계 S101).
다음에, 부호화 완료 픽처 중에서 부호화 대상 픽처와 동일 픽처 타입의 특징량을 추출한다(단계 S102).
또한, 동일 픽처 타입의 복잡 지표를 추출한다(단계 S103).
추출한 복잡 지표를 단계 S101, S102에서 취득한 특징량을 이용하여 보정한다(단계 S104).
보정한 복잡 지표를 이용하여 부호화 대상 픽처의 부호화에서 발생하는 부호량을 제어한다(단계 S105).
특허문헌 1: 일본특개 2009-55262호 공보
특허문헌 1에도 있는 바와 같이, 각 픽처 타입 중에서도 인트라 픽처(이하, I픽처)는 삽입 횟수가 적기 때문에 삽입 간격이 넓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복잡 지표를 보정하는 의미가 있다.
그러나, 영상의 변화가 빠른 경우나 상술한 바와 같이 I픽처의 삽입 간격이 긴 경우, 신 체인지와 같이 추정에 이용하는 부호화 완료 픽처와 부호화 대상 픽처가 완전히 다른 신이 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동일 픽처 타입이어도 복잡 지표의 경향이 다를 가능성이 있고, 부호화 완료 픽처의 정보를 참조해도 추정 정밀도는 향상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추정 정밀도가 악화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 5에 영상의 변화의 예를 나타낸다. 이중 선으로 둘러싸인 픽처가 I픽처이다.
도 5 중의 (A)에서는, 페이드 인의 영상에 대한 I픽처의 위치를 나타낸다. I픽처의 간격에 대해 페이드 인의 기간이 짧은 경우, 2개의 I픽처는 전혀 다른 영상이 된다.
도 5 중의 (B)는, 짧은 기간에 크로스 페이드가 발생하고 있는 영상이다. 이 예에서도 2개의 I픽처의 영상은 다른 신이 된다.
이와 같이, 영상은 서서히 변화해도 추정에 이용하는 부호화 완료 픽처와 부호화 대상 픽처의 픽처 간 거리에 따라서는 전혀 다른 신이 될 가능성이 있다. 전혀 다른 신에서는 양자화 폭과 발생 부호량의 관계도 크게 다를 가능성이 있고, 복잡의 추정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 이 과제는 I픽처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픽처 타입에서도 동일하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의 해결을 도모하여 영상의 성질이 크게 변화하는 경우에서도 적절한 부호량 제어에 의해 화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호화 대상 픽처의 발생 부호량을 추정하고 부호량 제어를 행하는 영상 부호화 방식에서의 부호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 대상 픽처의 특징량을 산출하여 기억 장치에 기억하는 단계; 상기 기억 장치에 축적해 둔 발생 부호량 추정에 이용하는 부호화 완료 픽처의 특징량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부호화 대상 픽처의 특징량과 상기 부호화 완료 픽처의 특징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특징량의 비교 결과로부터 두 특징량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보다 크다고 판단되면서 상기 부호화 완료 픽처에 비해 상기 부호화 대상 픽처가 복잡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이용하지 않고 부호화 대상 픽처의 발생 부호량을 추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기초로 부호화 대상 픽처의 발생 부호량을 추정하는 단계;를 갖는 부호량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부호화 대상 픽처 및 부호화 완료 픽처의 특징량으로서 영상 신호(휘도 신호 또는 색차 신호)의 분산, 평균값 또는 푸리에 변환 후의 계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부호화 대상 픽처의 발생 부호량을 추정하는 단계에서, 두 특징량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보다 큰지를 판단할 때 두 특징량의 비율에 대해 문턱값을 부여하여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또 상기 특징량의 크기에 대해서도 문턱값을 부여하여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발생 부호량의 추정에 이용하는 부호화 완료 픽처를 결정할 때에, 부호화 대상 픽처와 동일 픽처 타입의 부호화 완료 픽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이용하지 않고 부호화 대상 픽처의 발생 부호량을 추정할 때, 사전에 부호량 제어 파라미터를 초기화하도록 해도 된다.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이용하지 않고 부호화 대상 픽처의 발생 부호량을 추정할 때, 부호화 대상 픽처의 특징량으로부터 발생 부호량을 추정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은 또한 부호화 대상 픽처의 발생 부호량을 추정하고 부호량 제어를 행하는 영상 부호화 방식에서 이용되는 부호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 부호화 대상 픽처의 특징량을 산출하는 수단; 산출된 부호화 대상 픽처의 특징량을 기억하는 기억 장치; 상기 기억 장치에 축적해 둔 발생 부호량 추정에 이용하는 부호화 완료 픽처의 특징량을 추출하는 수단; 상기 부호화 대상 픽처의 특징량과 상기 부호화 완료 픽처의 특징량을 비교하는 수단; 상기 특징량의 비교 결과로부터 두 특징량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보다 크다고 판단되면서 상기 부호화 완료 픽처에 비해 상기 부호화 대상 픽처가 복잡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이용하지 않고 부호화 대상 픽처의 발생 부호량을 추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기초로 부호화 대상 픽처의 발생 부호량을 추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량 제어 장치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발생 부호량의 추정에 이용하는 부호화 완료 픽처와 부호화 대상 픽처 간의 영상의 성질 차이를 특징량을 사용하여 판별하고, 성질이 크게 다른 경우에는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부호량 제어에 이용하지 않는다. 성질이 크게 다른 영상에 한하여 부호화 결과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성질이 다른 부호화 결과로부터 부호량 추정을 하는 일이 없어져 부호량 제어시에서의 발생 부호량의 추정 오차가 적어지며 적절한 부호량 할당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성질이 크게 다른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이용하지 않고 부호화 대상 픽처의 부호량 제어가 가능하게 되고, 영상의 성질이 크게 다른 경우에서도 부호량 할당이 적정화됨으로써 부호량 제어가 일으키는 화질 열화를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본적인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방법에 의한 복잡 지표의 추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영상의 변화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서 본 발명에 의한 처리의 개요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은 서서히 변화해도 추정에 이용하는 부호화 완료 픽처와 부호화 대상 픽처의 픽처 간 거리에 따라서는 전혀 다른 신이 될 가능성이 있다. 전혀 다른 신에서는 양자화 폭과 발생 부호량의 관계도 크게 다를 가능성이 있고, 종래의 방법에서는 복잡의 추정 정밀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성질이 크게 다른 경우에는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이용하지 않고 부호량 제어를 행한다.
성질이 크게 다른 경우에서도 복잡이 늘어나는 경우와 줄어드는 경우가 있고, 복잡이 늘어나는 경우만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이용하지 않고 부호량 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 이는 복잡이 줄어드는 경우에서는 과잉으로 부호량이 발생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성질의 변화 정도는 각 픽처의 특징량을 이용한다. 이 특징량으로서는 휘도 신호 또는 색차 신호의 분산이나 평균값, 푸리에 변환 후의 계수 등 부호화 개시 전에 산출 가능한 값을 이용한다.
특징량의 비교 방법으로서는, 2개의 픽처 간의 차분이나 비율을 산출하여 문턱값과 비교한다. 예를 들면, 비교 결과가 문턱값을 넘는 경우, 부호량 제어 관련의 파라미터를 초기화한다.
덧붙여, 특징량의 절대적인 값도 조건에 추가해도 된다. 예를 들면, 휘도 분산의 비율로 비교하는 경우, 0.01과 1에서는 100배의 차이가 있지만, 모두 휘도 분산은 적고 반드시 성질이 다르다고는 할 수 없다. 같은 100배에서도 휘도 분산이 10과 1000에서는 성질이 크게 다를 가능성이 높다. 그 때문에, 특징량의 절대적인 값도 조건에 추가한다.
앞의 예에서는 「부호화 완료 픽처의 휘도 분산이 10 이상이고 비율이 100배인 경우」와 같이 할 수 있다.
또, 절대적인 값의 비교는 부호화 완료 픽처가 아니라 부호화 대상 픽처에서 비교해도 된다. 앞의 예에서는 「부호화 대상 픽처의 휘도 분산이 1000 이상이고 비율이 100배인 경우」와 같이 할 수 있다.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이용하지 않고 부호량 제어를 행할 때, 부호화 대상 픽처의 특징량으로부터 주지의 방법에 의해 발생 부호량을 추정해도 된다. 덧붙여, 부호량 제어에 관한 파라미터를 초기화해도 된다.
예를 들면, I픽처의 부호화 결과로부터 이어지는 P픽처나 B픽처의 발생 부호량을 결정하는 경우, I픽처의 성질이 크게 다른 경우, P픽처나 B픽처에 대해서도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이용하지 않고 초기화한 상태로 부호량 제어를 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본적인 처리의 흐름도이다.
처음에, 부호화 대상 픽처의 특징량을 산출한다(단계 S1).
이어서, 부호화시에 축적해 둔 부호화 완료 픽처의 특징량을 취출한다(단계 S2).
단계 S1과 단계 S2에서 구한 2개의 특징량을 비교하여(단계 S3), 성질이 크게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이용하지 않고 부호량 제어를 행하고(단계 S4), 유사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이용하여 부호량 제어를 행한다(단계 S5).
또, 산출한 특징량은 나중에 이용하기 위해 메모리에 유지해 둔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I픽처를 대상으로 하고, 특징량으로서 휘도 신호의 분산을 이용한다. 그리고, 비교 대상으로 하는 부호화 완료 픽처는 직전에 부호화된 부호화 완료 I픽처로 한다.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이용하지 않는 조건으로서,
·휘도 신호의 분산(이하, 휘도 분산)이 X배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
·부호화 완료 픽처의 휘도 분산이 TH 이상인 것,
의 2가지가 동시에 성립하는 경우로 한다.
여기서, X는 비율의 문턱값, TH는 휘도 분산의 문턱값이다.
또한, 성질이 크게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I픽처 뿐만 아니라 다른 픽처 타입에 대해서도 부호량 제어에 관한 정보를 초기화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흐름도를 도 2에 나타낸다.
처음에, 부호화 대상 픽처가 I픽처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10).
I픽처 이외의 경우에는 그대로 부호량 제어를 행한다(단계 S15).
I픽처인 경우에는 부호화 대상 픽처의 휘도 분산 Act(t)을 산출한다(단계 S11).
이어서, 직전에 부호화 완료한 I픽처에 대해 그 휘도 분산 Act(t-N)을 부호화 완료 픽처의 특징량을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로부터 취출한다(단계 S12).
2개의 휘도 분산 Act(t)와 Act(t-N)을 비교한다(단계 S13).
여기서는, 부호화 완료 픽처의 휘도 분산 Act(t-N)이 문턱값(TH)보다 크고, 또한 Act(t-N)을 X배한 값이 부호화 대상 픽처의 휘도 분산 Act(t)보다 작은지를 확인한다.
2가지 조건식이 동시에 만족된 경우, 부호화 대상인 I픽처의 발생 부호량은 휘도 분산으로부터 추정하고, 부호량 제어에 관한 파라미터를 초기화하며(단계 S14), 부호량 제어를 행한다(단계 S15).
그 이외의 경우에는 그대로 부호량 제어를 행한다(단계 S15).
또, 본 실시예에서는 I픽처만 휘도 분산을 산출하고 있는데, 휘도 분산을 양자화 제어 등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모든 픽처 타입으로 산출해도 된다.
또는, 다른 용도로 산출하고 있는 휘도 분산이나 색차 분산 등의 영상의 복잡을 나타내는 특징량이 있으면 유용해도 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관한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특히 본 실시예에서 종래의 일반적인 부호량 제어를 행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와 다른 특징적인 부분은 휘도 분산 산출부(101), 휘도 분산 메모리(102), 특징량 비교부(103), 부호량 제어부(104)의 부분이다.
휘도 분산 산출부(101)에서는, 입력된 영상의 휘도 분산을 산출하여 휘도 분산 메모리(102)에 기억함과 동시에 특징량 비교부(103)로 보낸다.
특징량 비교부(103)에서는, 부호화 대상 픽처의 휘도 분산과 휘도 분산 메모리(102)에 축적된 부호화 완료 픽처의 휘도 분산을 취출하여 양자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성질이 크게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초기화 정보를 출력하고 부호량 제어부(104)를 초기화한다.
부호량 제어부(104)는 비트 레이트와 발생 부호량으로부터 양자화 단계 크기를 결정하고 부호량을 제어하는데, 초기화 정보를 수신한 경우, 내부 상태를 초기화하고 나서 부호량 제어를 행한다.
도 3에서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 이외는 종래의 MPEG-2, H.264 그 밖의 영상 부호화를 행하는 장치와 거의 동일하다.
예측 잔차 신호 생성부(110)는, 입력한 영상 신호와 프레임 간 예측 신호의 차분으로부터 예측 잔차 신호를 생성한다. 이 예측 잔차 신호는 직교 변환부(111)에 입력되고, DCT변환 등의 직교 변환에 의한 변환 계수가 출력된다. 변환 계수는 양자화부(112)에 입력되고, 양자화부(112)에서 부호량 제어부(104)에 의해 설정된 양자화 단계 크기에 따라 양자화된다. 이 양자화된 변환 계수는 정보원 부호화부(113)에 입력되고, 정보원 부호화부(113)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된다.
한편, 양자화된 변환 계수는 역양자화부(114)에서 역양자화되고, 역직교 변환부(115)에서 역직교 변환되어 복호 예측 잔차 신호가 생성된다. 이 복호 예측 잔차 신호는 가산기(116)에서 프레임 간 예측 신호와 가산되어 복호 신호가 생성된다. 복호 신호는 클리핑부(117)에서 클리핑되고, 이어지는 프레임의 예측 부호화에서의 참조 화상으로서 이용하기 위해 프레임 메모리(118)에 저장된다.
움직임 검출부(119)는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해 움직임 탐색에 의해 움직임 검출을 행하고, 구해진 움직임 벡터를 움직임 보상부(120)와 정보원 부호화부(113)에 출력한다. 정보원 부호화부(113)에서는 움직임 벡터에 대해 엔트로피 부호화한다. 움직임 보상부(120)에서는, 움직임 벡터에 따라 프레임 메모리(118)를 참조하여 프레임 간 예측 신호를 생성한다.
이상의 부호량 제어의 처리는 컴퓨터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서도 실현할 수 있고, 그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호화 대상 픽처와 성질이 크게 다른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이용하지 않고 부호화 대상 픽처의 부호량 제어가 가능하게 되고, 영상의 성질이 크게 다른 경우에서도 부호량 할당이 적정화됨으로써 부호량 제어가 일으키는 화질 열화를 막을 수 있다.
101 휘도 분산 산출부
102 휘도 분산 메모리
103 특징량 비교부
104 부호량 제어부
110 예측 잔차 신호 생성부
111 직교 변환부
112 양자화부
113 정보원 부호화부
114 역양자화부
115 역직교 변환부
116 가산기
117 클리핑부
118 프레임 메모리
119 움직임 검출부
120 움직임 보상부

Claims (12)

  1. 부호화 대상 픽처의 발생 부호량을 추정하고 부호량 제어를 행하는 영상 부호화 방식에서의 부호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 대상 픽처의 특징량을 산출하여 기억 장치에 기억하는 단계;
    상기 기억 장치에 축적해 둔 발생 부호량 추정에 이용하는 부호화 완료 픽처의 특징량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부호화 대상 픽처의 특징량과 상기 부호화 완료 픽처의 특징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특징량의 비교 결과로부터 두 특징량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보다 크다고 판단되면서 상기 부호화 완료 픽처에 비해 상기 부호화 대상 픽처가 복잡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이용하지 않고 부호화 대상 픽처의 발생 부호량을 추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기초로 부호화 대상 픽처의 발생 부호량을 추정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량 제어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징량으로서 휘도 신호 또는 색차 신호의 분산, 평균값 및 푸리에 변환 후의 계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량 제어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대상 픽처의 발생 부호량을 추정하는 단계에서, 두 특징량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보다 큰지를 판단할 때 두 특징량의 비율에 대해 문턱값을 부여하여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량 제어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대상 픽처의 발생 부호량을 추정하는 단계에서, 또 상기 특징량의 크기에 대해서도 문턱값을 부여하여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량 제어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생 부호량의 추정에 이용하는 부호화 완료 픽처를 결정할 때, 상기 부호화 대상 픽처와 동일 픽처 타입의 부호화 완료 픽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량 제어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이용하지 않고 부호화 대상 픽처의 발생 부호량을 추정할 때, 사전에 부호량 제어 파라미터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량 제어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이용하지 않고 부호화 대상 픽처의 발생 부호량을 추정할 때, 상기 부호화 대상 픽처의 특징량으로부터 발생 부호량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량 제어 방법.
  9. 부호화 대상 픽처의 발생 부호량을 추정하고 부호량 제어를 행하는 영상 부호화 방식에서 이용되는 부호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
    부호화 대상 픽처의 특징량을 산출하는 수단;
    산출된 부호화 대상 픽처의 특징량을 기억하는 기억 장치;
    상기 기억 장치에 축적해 둔 발생 부호량 추정에 이용하는 부호화 완료 픽처의 특징량을 추출하는 수단;
    상기 부호화 대상 픽처의 특징량과 상기 부호화 완료 픽처의 특징량을 비교하는 수단;
    상기 특징량의 비교 결과로부터 두 특징량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보다 크다고 판단되면서 상기 부호화 완료 픽처에 비해 상기 부호화 대상 픽처가 복잡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이용하지 않고 부호화 대상 픽처의 발생 부호량을 추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 부호화 완료 픽처의 부호화 결과를 기초로 부호화 대상 픽처의 발생 부호량을 추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량 제어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기재된 부호량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부호량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7029013A 2010-05-12 2011-04-22 부호량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3913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09879 2010-05-12
JP2010109879 2010-05-12
PCT/JP2011/059953 WO2011142236A1 (ja) 2010-05-12 2011-04-22 符号量制御方法およ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502A KR20130006502A (ko) 2013-01-16
KR101391397B1 true KR101391397B1 (ko) 2014-05-07

Family

ID=44914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013A KR101391397B1 (ko) 2010-05-12 2011-04-22 부호량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131236B2 (ko)
EP (1) EP2571267B1 (ko)
JP (1) JP5580887B2 (ko)
KR (1) KR101391397B1 (ko)
CN (1) CN102893605B (ko)
BR (1) BR112012028568A2 (ko)
CA (1) CA2798349A1 (ko)
ES (1) ES2627431T3 (ko)
RU (1) RU2538285C2 (ko)
TW (1) TWI580256B (ko)
WO (1) WO20111422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8918B2 (en) * 2012-04-23 2016-09-06 Intel Corporation Frame level rate control using motion estimated distortions
CN110909737A (zh) * 2019-11-14 2020-03-24 武汉虹旭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图片文字识别方法及系统
CN111770330B (zh) * 2020-06-10 2022-11-04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图像压缩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CN112351252B (zh) * 2020-10-27 2023-10-20 重庆中星微人工智能芯片技术有限公司 监控视频编解码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8753A (ja) 1999-07-13 2001-01-30 Victor Co Of Japan Ltd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7318617A (ja) 2006-05-29 2007-12-06 Renesas Technology Corp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7680B2 (en) * 1997-03-12 2003-06-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signal coding method and coding device adapted to control code amou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s
US5978029A (en) * 1997-10-10 1999-1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al-time encoding of video sequence employing two encoders and statistical analysis
US6587506B1 (en) 1999-11-02 2003-07-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editing apparatus, video editing method, and data storage medium for a video editing program
JP2002010259A (ja) * 2000-06-21 2002-01-11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符号化方法及び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152759A (ja) * 2000-11-10 2002-05-24 Sony Corp 画像情報変換装置および画像情報変換方法
JP4228739B2 (ja) * 2002-04-05 2009-02-25 ソニー株式会社 符号化装置および符号化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7197072B1 (en) * 2002-05-30 2007-03-27 Intervide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setting rate control state variables upon the detection of a scene change within a group of pictures
JP2004266640A (ja) 2003-03-03 2004-09-24 Nec Corp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221655B2 (ja) * 2003-03-06 2009-02-12 ソニー株式会社 符号化装置および符号化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7453938B2 (en) * 2004-02-06 2008-11-18 Apple Inc. Target bitrate estimator, picture activity and buffer management in rate control for video coder
US7474701B2 (en) * 2004-09-23 2009-01-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ngle pass variable bit rate control strategy and encoder for processing a video frame of a sequence of video frames
JP4257655B2 (ja) * 2004-11-04 2009-04-22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装置
FI123739B (fi) 2007-04-04 2013-10-15 Sandvik Mining & Constr Oy Kallionporauslaitteen suojusrakenne melun vaimentamiseksi
US8396311B2 (en) 2007-05-21 2013-03-12 Nec Corporation Image encoding apparatus, image encoding method, and image encoding program
JP4527756B2 (ja) 2007-08-27 2010-08-1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映像符号化制御装置、映像符号化制御方法、映像符号化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9111691A (ja) 2007-10-30 2009-05-21 Hitachi Ltd 画像符号化装置及び符号化方法、画像復号化装置及び復号化方法
US8938005B2 (en) 2007-11-05 2015-01-2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encod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 progr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8753A (ja) 1999-07-13 2001-01-30 Victor Co Of Japan Ltd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7318617A (ja) 2006-05-29 2007-12-06 Renesas Technology Corp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2147241A (ru) 2014-10-20
CN102893605B (zh) 2015-07-08
KR20130006502A (ko) 2013-01-16
TWI580256B (zh) 2017-04-21
BR112012028568A2 (pt) 2016-08-02
EP2571267B1 (en) 2017-03-01
WO2011142236A1 (ja) 2011-11-17
US9131236B2 (en) 2015-09-08
TW201208385A (en) 2012-02-16
JP5580887B2 (ja) 2014-08-27
JPWO2011142236A1 (ja) 2013-07-22
EP2571267A4 (en) 2014-03-19
CA2798349A1 (en) 2011-11-17
EP2571267A1 (en) 2013-03-20
RU2538285C2 (ru) 2015-01-10
ES2627431T3 (es) 2017-07-28
CN102893605A (zh) 2013-01-23
US20130051460A1 (en)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7818B2 (ja) 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その装置
JP5422168B2 (ja) 動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動画像復号化方法
US8358692B2 (en) Image-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8130838B2 (en) Encoding device and dynamic image recording system using the encoding device
US20230239498A1 (en) Bit depth variable for high precision data in weighted prediction syntax and semantics
WO2012095466A1 (en) Video encoding and decoding with improved error resilience
JP2007267414A (ja) フレーム内画像符号化方法及びその装置
EP22508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ve frame selection supporting enhanced efficiency and subjective quality
EP2343901A1 (en) Method and device for video encoding using predicted residuals
KR101623064B1 (ko) 영상 부호화 장치,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영상 부호화 프로그램
KR101391397B1 (ko) 부호량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70070555A1 (en) Video data flow compression method
JP2006135557A (ja) 動画像符号化装置
US20240146904A1 (en) Simplified processing of weighted prediction syntax and semantics using a bit depth variable for high precision data
KR100517504B1 (ko) B-픽처의 움직임 보상 모드 결정방법 및 장치
JP2009188826A (ja) 動画像符号化装置
JP7001159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プログラム
JP2008283401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9284058A (ja) 動画像符号化装置
JP2007251996A (ja) 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9194474A (ja) 動画像符号化装置
JP4443940B2 (ja) 画像符号化装置
JP2007508770A (ja) ビデオエンコード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5252921A (ja) 画像符号化方法、画像符号化装置、記録媒体、および画像復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