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694B1 -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 - Google Patents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694B1
KR101390694B1 KR1020130155942A KR20130155942A KR101390694B1 KR 101390694 B1 KR101390694 B1 KR 101390694B1 KR 1020130155942 A KR1020130155942 A KR 1020130155942A KR 20130155942 A KR20130155942 A KR 20130155942A KR 101390694 B1 KR101390694 B1 KR 101390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top plate
waterproof
coupling
girder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남
방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우스
이창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우스, 이창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우스
Priority to KR1020130155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더교의 상판 구조물에 있어서, 일렬로 배열됨으로써 상기 상판 구조물을 이루고, 외측면에 방수층이 마련되는 다수의 상판분할모듈; 상기 상판분할모듈의 서로 마주보는 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상판분할모듈을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둘레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판분할모듈의 서로 마주보는 측을 감싸서 상기 방수층에 겹쳐지도록 마련되는 방수부를 포함하도록 한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더교의 상판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수의 단위 모듈로 제작되어 설치 및 조립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고, 다른 장소에 제작되어 현장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공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방수층과 방수부에 의해 수분으로 인한 강재 등의 내부 구성부재에 대한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분이 많은 장소나 강재 등의 부식을 유발하기 쉬운 장소 등에서도 제약없이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Waterproof top board structure for girder bridge and girder bridg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화에 의해 설치 및 조립 등의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고, 수분에 의한 강재 등의 내부 부식을 방지하는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형식 중에서 거더교는 거더로 하여금 교량의 바닥판을 지지하도록 하는데, 거더는 교량의 상부에서 작용하는 고정하중 및 차량하중 등의 적재하중을 교각 또는 교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교량의 요소로서, H 빔이나 I 빔 등의 많은 강재가 서로 용접 조립된 강재 거더와, 콘크리트가 타설된 콘크리트 거더와, 콘크리트가 충전된 충전강관 거더 등이 있다.
종래의 거더교에 대한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10695호의 "강관으로 보강한 중공 콘크리트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가 있다. 이는 바닥판과 그 하부를 지지하는 콘크리트 거더로 구성되는 거더교로서, 상기 콘크리트 거더는, 중앙에 강관이 배치되어 중공을 형성하되, 상기 강관의 최상부는 거더의 상면에 노출되며; 상기 노출된 강관의 최상부에는 전단연결부재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거더의 상부 좌우측으로는 소정 폭의 날개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종방향으로 긴장재가 배치되어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거더교는 콘크리트의 시공으로 인해 시공에 많은 인원과 시간이 소요되고, 현장에서 많은 공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시공이 복잡해지며, 콘크리트의 특성상 균열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의 무게로 인해 교량의 경제적인 설계 및 시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걸하기 위하여, 강재 거더를 이용한 거더교를 시공할 경우, 설치 내지 조립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특히 강재 거더를 이용함으로써 수분 등에 의해 부식이 쉽게 발생하여 내구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며, 강우나 강설로 인한 부식 발생이 필연적이어서 도색 작업 등의 유지 및 보수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수분이 많은 장소나 강재의 부식을 유발하기 쉬운 장소 등에서는 설치의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듈화에 의해 설치 및 조립 등의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고, 수분에 의한 강재 등의 내부 부식을 방지하며, 수분이 많은 장소나 강재 등의 부식을 유발하기 쉬운 장소 등에서도 제약없이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거더교의 상판 구조물에 있어서, 일렬로 배열됨으로써 상기 상판 구조물을 이루고, 외측면에 방수층이 마련되는 다수의 상판분할모듈; 상기 상판분할모듈의 서로 마주보는 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상판분할모듈을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둘레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판분할모듈의 서로 마주보는 측을 감싸서 상기 방수층에 겹쳐지도록 마련되는 방수부를 포함하는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분할모듈은 상기 상판 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상판 구조물의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다수로 설치되는 강재; 상기 강재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재; 및 상기 다수의 강재가 상기 연결재와 함께 내측에 고정되도록 상기 길이방향의 양단이 개방되는 사각형 단면의 중공을 가지고, 상기 방수층이 외측면에 마련되는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강재와 다른 상판분할모듈의 강재에 각각 고정되어 상하로 이격되어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결합편; 상기 결합편 사이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중공지지편; 상기 중공지지편과 그 상측과 하측에 접하는 상기 결합편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결합볼트; 및 상기 결합볼트에 나사체결됨으로써 상기 중공지지편과 상기 결합편을 결합시키는 결합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분할모듈 사이에 상기 상판 구조물의 폭방향을 따라 다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수부는 상기 상판분할모듈의 서로 마주보는 측을 감싸서 상기 방수층의 일부에 걸쳐서 겹쳐지도록 부착되는 방수재질의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거더교에 있어서, 교량의 하부 구조물에 지지되는 상판 구조물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거더교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에 의하면, 거더교의 상판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수의 단위 모듈로 제작되어 설치 및 조립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고, 다른 장소에 제작되어 현장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공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방수층과 방수부에 의해 수분으로 인한 강재 등의 내부 구성부재에 대한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분이 많은 장소나 강재 등의 부식을 유발하기 쉬운 장소 등에서도 제약없이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을 결합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을 결합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100)은 다수의 상판분할모듈(110), 결합부(120) 및 방수부(130; 도 5에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100)은 교량에서 교대나 교각 또는 교좌장치 등의 하부 구조물 상에 지지되어 거더교를 구성할 수 있다.
상판분할모듈(110)은 다수로 이루어지고, 일렬로 배열됨으로써 상판 구조물(100)을 이루고, 외측면에 방수층(114)이 마련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2개의 상판분할모듈(110)간의 결합을 나타내나, 상판 구조물(100)의 길이에 따라 상판분할모듈(110)의 결합 개수를 달리 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판분할모듈(110)이 길이방향으로 다수로 배열시, 일례로 양단의 외곽에 위치하는 상판분할모듈(110)에는 일측만이 결합부(120)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양단의 외곽을 제외한 내측에 위치하는 상판분할모듈(110)에는 양측이 결합부(120)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다른 예로서, 상판분할모듈(110) 모두는 양측이 결합부(120)로 각각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판분할모듈(110)은 거더교의 바닥판으로서 역할을 하도록 판상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적재하중에 견디기 위한 다양한 구조재의 연결 내지 조립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처럼 강재(111), 연결재(112) 및 케이싱(113)을 포함할 수 있다.
강재(111)는 상판 구조물(10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고, 상판 구조물(100)의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다수로 설치된다. 강재(111)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H 빔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달리 I 빔, 사각형의 각재나 강관을 비롯하여 다양한 길이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재(112)는 강재(111)를 서로 연결시키는데, 본 실시례에서처럼 강재(111) 사이에 수평되게 직교하도록 위치하여 양단이 용접이나 볼팅 등에 의해 강재(111)의 측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연결재(112)는 스틸 등의 각재나 빔 부재 또는 강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싱(113)은 다수의 강재(111)가 연결재(112)와 함께 내측에 용접이나 볼팅 등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판 구조물(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그 양단이 개방되는 사각형 단면의 중공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방수층(114)이 외측면에 마련된다. 또한 케이싱(113)은 강판의 절곡이나, 다수의 강판을 용접이나 볼팅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결합부(120)에 의한 결합을 위하여 양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례에서처럼 직사각형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케이싱(113)은 강재(111)가 연결재(112)에 의해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내측의 상면과 하면, 그리고 측면에 각각 밀착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좌굴이나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방수층(114)은 예컨대 고무나 합성수지 등의 방수재질로 이루어지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케이싱(113)의 외측면에 부착되거나, 액상 상태로 케이싱(113)의 외측면에 코팅되어 경화에 의해 방수를 위한 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방수층(114)은 상판분할모듈(110)이 배열시 외곽에 설치됨으로써 일단을 개방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 이러한 일단을 차단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수층(114)을 대신하여 후술하게 될 방수부(130)가 상판분할모듈(110)에서 차단이 필요한 일단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결합부(120)는 상판분할모듈(110)의 서로 마주보는 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판분할모듈(110)을 서로 결합시키는데, 이를 위해 브라켓이나 보강판 등을 매개로 하여 볼팅에 의해 상판분할모듈(110)을 서로 결합시키거나, 상판분할모듈(110)이 직접 볼팅이나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일례로 상판분할모듈(110)의 결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결합 강도를 유지하도록, 결합편(121), 중공지지편(122), 결합볼트(123) 및 결합너트(1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20)는 상판분할모듈(110) 사이에 상판 구조물(100)의 폭방향을 따라 다수, 예컨대 강재(111)에 각각 대응되도록 강재(111)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판분할모듈(110)간의 유격을 최소화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결합편(121)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각각이 강재(111)와 다른 상판분할모듈(110)의 강재(111)에 각각 고정되어 상하로 이격되어 대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결합편(121)은 강재(111)의 수직부분, 예컨대 웨브(web)에 끼워져서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결합볼트(123)의 체결을 위해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중공지지편(122)은 강재(111) 각각의 결합편(121) 사이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결합편(121)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결합편(121)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며, 결합볼트(123)의 체결을 위하여 중공으로 이루어진다.
결합볼트(123)는 중공지지편(122)과 그 상측과 하측에 접하는 결합편(121)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결합너트(124)는 결합볼트(123)에 나사체결됨으로써 중공지지편(122)과 결합편(121)을 서로 결합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방수부(130)는 결합부(120; 도 2에 도시)의 둘레에 위치하도록 상판분할모듈(110)의 서로 마주보는 측을 감싸서 방수층(114)에 겹쳐지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방수부(130)는 방수층(114)과 함께 상판분할모듈(110)의 조립체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도록 한다. 또한 방수부(130)는 상판분할모듈(110)의 서로 마주보는 측을 감싸서 방수층(114)의 일부에 걸쳐서 겹쳐지도록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고무나 합성수지 등과 같은 방수재질의 시트(sheet)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거더교는 교량의 하부 구조물, 예컨대 교대나 교각 또는 교좌 장치 등에 지지됨으로써 차량이나 보행자 등의 통행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데 이용되는 상판 구조물이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1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100)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판분할모듈(110)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설치 및 조립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판분할모듈(110)은 현장 이외의 다른 장소에서 제작되어 현장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공을 단순화하도록 하고, 상판분할모듈(110)이 결합부(120)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용이하게 조립됨으로써, 설치 뿐만 아니라 해체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
상판분할모듈(110)과 결합부(120)가 방수층(114)과 방수부(130)에 의해 외부로부터 격리됨으로써 수분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 차단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수분에 의한 강재 등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방수층(114)과 방수부(130)의 기밀성으로 인해 수분이 많은 장소 뿐만 아니라 강재 등의 부식을 유발하기 쉬운 해안, 해양 등의 장소에서도 제약없이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상판분할모듈 111 : 강재
112 : 연결재 113 : 케이싱
114 : 방수층 120 : 결합부
121 : 결합편 122 : 중공지지편
123 : 결합볼트 124 : 결합너트
130 : 방수부

Claims (5)

  1. 거더교의 상판 구조물에 있어서,
    일렬로 배열됨으로써 상기 상판 구조물을 이루고, 외측면에 방수층이 마련되는 다수의 상판분할모듈;
    상기 상판분할모듈의 서로 마주보는 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상판분할모듈을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둘레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판분할모듈의 서로 마주보는 측을 감싸서 상기 방수층에 겹쳐지도록 마련되는 방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분할모듈은,
    상기 상판 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상판 구조물의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다수로 설치되는 강재;
    상기 강재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재; 및
    상기 다수의 강재가 상기 연결재와 함께 내측에 고정되도록 상기 길이방향의 양단이 개방되는 사각형 단면의 중공을 가지고, 상기 방수층이 외측면에 마련되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강재와 다른 상판분할모듈의 강재에 각각 고정되어 상하로 이격되어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결합편;
    상기 결합편 사이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중공지지편;
    상기 중공지지편과 그 상측과 하측에 접하는 상기 결합편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결합볼트; 및
    상기 결합볼트에 나사체결됨으로써 상기 중공지지편과 상기 결합편을 결합시키는 결합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분할모듈 사이에 상기 상판 구조물의 폭방향을 따라 다수로 마련되는,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는,
    상기 상판분할모듈의 서로 마주보는 측을 감싸서 상기 방수층의 일부에 걸쳐서 겹쳐지도록 부착되는 방수재질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
  5. 거더교에 있어서,
    교량의 하부 구조물에 지지되는 상판 구조물이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거더교.
KR1020130155942A 2013-12-13 2013-12-13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 KR101390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942A KR101390694B1 (ko) 2013-12-13 2013-12-13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942A KR101390694B1 (ko) 2013-12-13 2013-12-13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694B1 true KR101390694B1 (ko) 2014-05-02

Family

ID=50892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942A KR101390694B1 (ko) 2013-12-13 2013-12-13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6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310B1 (ko) * 2016-01-14 2016-04-07 주식회사 성화씨앤비 교량의 상판을 형성하기 위한 플레이트 블럭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846B1 (ko) * 2012-04-04 2013-01-09 윤윤모 측면 체결형 방수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846B1 (ko) * 2012-04-04 2013-01-09 윤윤모 측면 체결형 방수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310B1 (ko) * 2016-01-14 2016-04-07 주식회사 성화씨앤비 교량의 상판을 형성하기 위한 플레이트 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3016B2 (ja) 波形鋼板ウエブを用いた桁構造
KR101066424B1 (ko) 목재데크 교량 구조물 및 그것의 시공 방법
KR101390169B1 (ko) 아치형 인도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45088B1 (ko) 스틸 교량의 외장재 설치구조
KR101390694B1 (ko) 거더교용 방수 상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
US10309068B2 (en) Prefabricated bridge including steel abutments
US6279281B1 (en) Concrete forming system
KR101129502B1 (ko) I 형 합성 거더
KR101390669B1 (ko) 거더교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
KR100977855B1 (ko) Pss 거더
KR100644081B1 (ko) 철골―콘크리트 샌드위치 합성보를 이용한 고강성메가트러스 구조 및 이를 적용한 공장건축물
US20200157752A1 (en) Transition construction for bridging a building joint
JP2006265976A (ja) 波形鋼板ウェブuコンポ橋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170107308A (ko) 캔틸레버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
GB2075080A (en) Reinforcement girder
JP5783278B2 (ja) 剛性防護柵の道路側側面への外装板の取り付け構造
JP2006336231A (ja) 複合床版
KR101204279B1 (ko) 프리스트레싱 강거더교
JP4252617B1 (ja) 複合床版橋
JP7032051B2 (ja) 床構造施工方法および床構造再利用方法
KR101786781B1 (ko) 콘크리트 가로보를 보강형 강재에 연결한 강아치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60115699A (ko) 복합 트러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슬래브교의 시공법
JP2021095792A (ja) 軽量覆工板の設置構造
KR102051320B1 (ko) Icc 거더
JP2024057463A (ja) 橋梁用常設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