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680B1 - 자동차 마운트 커링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마운트 커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680B1
KR101390680B1 KR1020120112946A KR20120112946A KR101390680B1 KR 101390680 B1 KR101390680 B1 KR 101390680B1 KR 1020120112946 A KR1020120112946 A KR 1020120112946A KR 20120112946 A KR20120112946 A KR 20120112946A KR 101390680 B1 KR101390680 B1 KR 101390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ce
divided
guide
curling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8388A (ko
Inventor
박교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Priority to KR1020120112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680B1/ko
Publication of KR20140048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12Edge-cur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1/00Other methods for working sheet metal, metal tubes, metal profiles
    • B21D31/005Incremental shaping or bending, e.g. stepwise moving a shaping tool along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2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마운트의 커링으로 인한 제품 변형과 제품 불량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도록 자동차 마운트의 외통의 1차 커링과 2차 커링을 순차적으로 하나의 장치에서 수행하는 자동차 마운트 커링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 마운트 커링 장치{CURLING APPARATUS FOR VEHICLE MOUN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마운트를 이루는 금속재의 외통을 커링(curling)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마운트는 자동차의 엔진 등과 같은 각종 장치의 중량을 지지하는 역할 외에도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자동차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자동차의 마운트는 엔진 등의 장치와 연결되는 금속재 코어와, 금속재 코어에 연결되어 액실을 형성하거나 혹은 직접 진동 및 소음을 절연하는 절연고무와, 액실과 오리피스 형성을 위하여 마련되는 금속재 내통과, 상기 금속재 내통을 감싸면서 오리피스를 형성하는 형성하는 금속재 외통과, 상기 금속재 외통에 결합되어 프레임과 연결되는 브라켓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금속재 외통은 금속재 내통에 대하여 통상 스웨이징 공정을 통하여 압입되며, 아울러 이와 같은 압입 후 외통의 일측으로 내부에 장착된 부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통의 일측 가장자리를 내측으로 구부리는 커링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브라켓 또한 금속재 외통에 대하여 커링 공정에 의하여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은 스웨이징 공정과 커링 고정은 통상 액중에서 실시된다.
한편 커링 고정의 경우 종래에는 방사상 외측으로부터 힘을 가함으로서 외통의 일측 가장자리를 내측으로 구부리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커링된 가장자리가 완전히 내부 부품에 대하여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과도한 충격을 받을 경우 내부에 장착된 부품이 이탈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1회의 공정에 의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굽혀진 부분의 형태가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과도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국내 특허등록 제10-0632491호 "엔진마운트 조립용 튜닝지그"(2006.9.28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품 변형과 제품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차 마운트의 외통의 1차 커링과 2차 커링을 순차적으로 하나의 장치에서 수행하는 자동차 마운트 커링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턴테이블 ;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턴테이블 구동원 ; 상기 턴테이블의 일측 상부에 마련되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마운트 삽입용 하부 중공이 형성되며, 상면에 분할다이스 지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분할다이스 지지면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하부로 오목하게 마우트 지지홈이 형성되는 하부 지그 ; 상기 턴테이블의 일측 상부에 마련되는 제1상하 구동원 ; 상기 제1상하 구동원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며, 하부에 상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제1분할다이스 수용부가 형성되는 제1안내 다이스 ; 상기 제1안내 다이스의 제1분할다이스 수용부에 배치되되 상부로 향하면서 상기 제1안내 다이스의 중심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안내핀 ; 상기 제1분할다이스 수용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안내핀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분할다이스 수용부의 하부에서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분할다이스 수용부의 상부에서 서로 조합되어 관 형태를 이루는 복수의 제1분할다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분할다이스 수용부의 상부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복수의 제1분할다이스가 서로 조합된 조립체는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제1마운트 삽입용 상부 중공이 형성되는 관 형태를 이루며 하면은 상기 분할다이스 지지면을 따라 지지되면서 슬라이딩 가능한 제1평활면을 이루며 상기 제1마운트 삽입용 상부 중공은 하부의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하부 원기둥면과 상기 제1하부 원기둥면으로부터 상부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커링 가공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분할다이스 세트 ; 상기 제1안내 다이스의 하부에 장착되며 중앙에 상기 하부 지그가 삽입되는 제1하부 지그 삽입공이 형성되는 제1하부 커버 ; 상기 턴테이블의 타측 상부에 마련되는 제2상하 구동원 ; 상기 제2상하 구동원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제2지지판 ; 상기 제2지지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지지판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하부에 상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제2분할다이스 수용부가 형성되며 중앙에 커링 펀치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안내 다이스 ; 상기 제2지지판의 하부에 고정마련되어 상기 커링 펀치 관통홀을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되며, 하단부 가장자리에 제2커링 펀치부가 형성되는 제2커링 펀치 ; 상기 제2안내 다이스의 제2분할다이스 수용부에 배치되되 상부로 향하면서 상기 제2안내 다이스의 중심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안내핀 ; 상기 제2분할다이스 수용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안내핀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2분할다이스 수용부의 하부에서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2분할다이스 수용부의 상부에서 서로 조합되어 관 형태를 이루는 복수의 제2분할다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분할다이스 수용부의 상부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복수의 제2분할다이스가 서로 조합된 조합체는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제2마운트 삽입용 상부 중공이 형성되는 관 형태를 이루며 하면은 상기 분할다이스 지지면을 따라 지지되면서 슬라이딩 가능한 제2평활면을 이루며 상기 제2마운트 삽입용 상부 중공은 상부의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1상부 원기둥면과 상기 제2-1상부 원기둥면의 하부에서 상기 제2-1상부 원기둥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2-2상부 원기둥면과 상기 제2-2상부 원기둥면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지지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분할다이스 세트 ; 상기 제2안내 다이스의 하부에 장착되며 중앙에 상기 하부 지그가 삽입되는 제2하부 지그 삽입공이 형성되는 제2하부 커버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2커링 펀치부는 제품의 커링되지 않는 부위의 외측면을 감싸는 외측면 지지부와 상기 외측면 지지부의 내측 상부에서 돌출되어 제품의 커링되는 부위에 하방향의 압력을 가하는 메인 커링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 마운트의 커링으로 인한 제품 변형과 제품 불량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도록 자동차 마운트의 외통의 1차 커링과 2차 커링을 순차적으로 하나의 장치에서 수행하는 자동차 마운트 커링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마운트 커링 장치의 개념도,
도 2a 내지 도 2h는 도 1의 작동 순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마운트 커링 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2a 내지 도 2h는 도 1의 작동 순서도이다.
본 장치의 하부에 턴테이블(110)이 마련되며, 턴테이블(110)은 본 장치에서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아울러 턴테이블(110)에는 턴테이블(110)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턴테이블 구동원(미도시)이 마련된다.
턴테이블(110)의 일측 상부에 하부 지그(120)가 마련된다.
하부 지그(120)는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마운트 삽입용 하부 중공(121)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분할다이스 지지면(122)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분할다이스 지지면(122)의 내측 가장자리(즉 마운트 삽입용 하부 중공(121)과 접하는 가장자리)에는 하부로 오목하게 마운트 지지홈(12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턴테이블(110)의 일측 상부에 제1상하 구동원(미도시)이 마련되며, 타측 상부에 제2상하 구동원(미도시)이 마련된다. 제1상하 구동원은 제1안내 다이스(13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유압실린더 등이 채택될 수 있다.
제2상하 구동원은 제2지지판(150)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유압실린더 등이 채택될 수 있다.
제1안내 다이스(130)는 제1상하 구동원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아울러 제1안내 다이스(130)의 하부에는 상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제1분할다이스 수용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안내 다이스(130)의 제1분할다이스 수용부(131)에는 복수의 제1안내핀(132)이 배치되며, 각각의 제1안내핀(132)은 제1안내 다이스(130)에 고정되어 상부로 향하면서 제1안내 다이스(130)의 중심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아울러 제1안내 다이스(130)의 제1분할다이스 수용부(131)에는 복수의 제1분할다이스(141)가 조합되어 이루어진 제1분할다이스 세트(140)가 마련된다.
제1분할다이스 세트(140)는 제1분할다이스 수용부(131)에 마련되어 제1안내핀(132)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각각의 제1분할다이스(141)는 제1안내핀(132)을 위한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각각의 제1분할다이스(141)의 외면은 제1분할다이스 수용부(131)의 안내를 따라 이동된다.
아울러 복수의 제1분할다이스(141)는 제1분할다이스 수용부(131)의 하부에서 서로 이격되는 한편, 제1분할다이스 수용부(131)의 상부에서 서로 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관 형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복수의 제1분할다이스(141)가 제1분할다이스 수용부(131)의 상부에 위치하였을 때 복수의 제1분할다이스(141)가 서로 조합된 조립체(140)는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제1마운트 삽입용 상부 중공이 형성되는 관 형태를 이루며 하면은 분할다이스 지지면(122)을 따라 지지되면서 슬라이딩 가능한 제1평활면(142)을 이룬다.
또한 제1마운트 삽입용 상부 중공은 하부의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하부 원기둥면(143)과, 제1하부 원기둥면(143)으로부터 상부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커링 가공면(1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제1안내 다이스(130)의 하부에는 제1하부 커버(133)가 장착된다.
제1하부 커버(133)는 중앙에 하부 지그(120)가 삽입되는 제1하부 지그 삽입공(133a)이 형성되며, 아울러 복수의 제1분할 다이스(141)가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제2상하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장치들을 설명한다.
제2지지판(150)은 제2상하 구동원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아울러 제2지지판(150)의 하부에 제2안내 다이스(160)가 마련된다.
제2안내 다이스(160)의 하부에는 상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제1분할다이스 수용부(161)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제2안내 다이스(160)의 중앙에 커링 펀치 관통홀(162)이 형성되어 있다.
제2안내 다이스(160)는 제2지지판(15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제2안내 다이스(160)의 상부에 복수의 안내기둥(163)이 수직으로 마련되며, 복수의 안내기둥(613)은 제2지지판(150)에 형성된 안내구(151)를 관통한 후 그 상단에 고정너트(614)가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2안내 다이스(160)는 통상의 경우 고정너트(614)가 제2지지판(150)의 상면에 접할 때까지 하부로 내려와있지만, 제2안내 다이스(160)에 상방향의 힘을 가하는 경우 제2안내 다이스(160)는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2안내 다이스(160)의 제2분할다이스 수용부(161)에는 복수의 제2안내핀(165)이 배치되며, 각각의 제2안내핀(165)은 제2안내 다이스(160)에 고정되어 상부로 향하면서 제2안내 다이스(160)의 중심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아울러 제2안내 다이스(160)의 제2분할다이스 수용부(161)에는 복수의 제2분할다이스(171)가 조합되어 이루어진 제2분할다이스 세트(170)가 마련된다.
제2분할다이스 세트(171)는 제1분할다이스 수용부(161)에 마련되어 제2안내핀(165)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각각의 제2분할다이스(171)는 제2안내핀(165)을 위한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각각의 제2분할다이스(171)의 외면은 제2분할다이스 수용부(161)의 안내를 따라 이동된다.
아울러 복수의 제2분할다이스(171)는 제2분할다이스 수용부(161)의 하부에서 서로 이격되는 한편, 제2분할다이스 수용부(161)의 상부에서 서로 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관 형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복수의 제2분할다이스(171)가 제2분할다이스 수용부(161)의 상부에 위치하였을 때 복수의 제2분할다이스(171)가 서로 조합된 조립체(170)는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제2마운트 삽입용 상부 중공이 형성되는 관 형태를 이루며 하면은 분할다이스 지지면(122)을 따라 지지되면서 슬라이딩 가능한 제2평활면(172)을 이룬다.
또한 제2마운트 삽입용 상부 중공은 상부의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1상부 원기둥면(173)과 제2-1상부 원기둥면(173)의 하부에서 상기 제2-1상부 원기둥면(173)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2-2상부 원기둥면(174)과 상기 제2-2상부 원기둥면(174)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지지턱(17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제2안내 다이스(160)의 하부에는 제2하부 커버(166)가 장착된다.
제2하부 커버(166)는 중앙에 하부 지그(120)가 삽입되는 제2하부 지그 삽입공(166a)이 형성되며, 아울러 복수의 제2분할 다이스(171)가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제2지지판(150)의 하부에는 제2커링 펀치(180)가 마련된다.
제2커링 펀치(180)는 제2지지판(150)의 하부에 고정마련되어 커링 펀치 관통홀(162)을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되며, 하단부 가장자리에 제2커링 펀치부(181)가 형성되어 있다. 제2커링 펀치부(181)는 외통(10)의 커링되지 않는 부위의 외측면을 감싸는 외측면 지지부(181a)와 상기 외측면 지지부(181a)의 내측 상부에서 돌출되어 외통(10)에 하방향의 압력을 가하는 메인 커링부(181b)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장치에 의하여 커링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a와 같이 하부 지그(120)가 제1안내 다이스(130)의 하부에 위치되며, 아울러 커링될 부위가 상부로 향하도록 자동차 마운트를 하부 지그(120)의 마운트 지지홈(123)에 안치시킨다.
이에 의하여 마운트의 코어는 마운트 삽입용 하부 중공(121)에 위치되며, 아울러 마운트의 외통(10)의 커링될 단부가 상부를 향하여 위치된다.
다음으로 제1상하 구동원이 작동하여 도 2b 상태를 거쳐 도 2c 상태가 될 때까지 제1안내 다이스(130)가 하부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제1하부 커버(133)의 제1하부 지그 삽입공(133a)으로 하부 지그(120)가 삽입되며, 이후 하부 지그(120)의 분할다이스 지지면(122)이 제1분할 다이스(141)의 제1평활면(142)과 접촉되며, 계속 제1안내 다이스(130)가 하부로 이동하면 제1분할다이스(141)는 제1안내핀(132)을 따라 제1분할다이스 수용부(131)의 상부로 이동하여 도 2c와 같은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1분할다이스(141)는 하부 지그(120)의 분할다이스 지지면(122)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1분할다이스 세트(140)가 방사상 외측에서 마운트의 외통(10) 상부 가장자리를 내측으로 굽히게 된다.
이때 제1마운트 삽입용 상부 중공의 제1하부 원기둥면(143)은 외통(10)의 커링되는 부위의 하부를 측면에서 지지하게 되며, 제1마운트 삽입용 상부 중공의 제1커링 가공면(144)은 외통(10)의 커링될 부위를 1차로 굽히게 된다.
이와 같이 커링될 부위가 완전히 커링되지 않고 일부만 커링됨으로서 전체적인 커링 형태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d와 같이 제1상하 구동원이 상부로 구동하여 제1안내 다이스(130)는 상부로 이동하며, 이후 턴테이블(110)이 회전하여 1차로 커링된 자동차 마운트 및 하부 지그(120)는 제2안내 다이스(160)의 하부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도 2e, 도 2f, 도 2g와 같이 제2상하 구동원이 작동하여 제2지지판(150)이 하부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제2안내 다이스(160)는 도 2f와 같이 제2분할다이스 세트(170)가 제2분할다이스 수용부(161)의 최상부에 위치할 때까지만 하부로 이동하고 그 이후에는 그 높이를 유지하는 한편, 제2지지판(150)은 도 2f 이후에도 계속 하부로 이동하여 도 2g와 같이 제2커링 펀치(180)의 제2커링 펀치부(181)가 외통(10)의 미리 1차로 굽혀진 부위를 2차로 커링 가공을 하여 완전한 제품 형태를 만들게 된다.
도 2d에서 도 2f의 과정에서 제2하부 커버(166)의 제2하부 지그 삽입공(166a)으로 하부 지그(120)가 삽입되며, 이후 하부 지그(120)의 분할다이스 지지면(122)이 제2분할 다이스(171)의 제2평활면(172)과 접촉되며, 계속 제2안내 다이스(160)가 하부로 이동하면 제2분할다이스(171)는 제2안내핀(165)을 따라 제2분할다이스 수용부(162)의 상부로 이동하여 도 2f와 같은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2분할다이스(171)는 하부 지그(120)의 분할다이스 지지면(122)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2f의 상태에서 제2마운트 삽입용 상부 중공의 제2-2상부 원기둥면(174)은 마운트의 외통(10)은 커링되는 부위의 하부의 측면을 지지하게 되며, 아울러 제2마운트 삽입용 상부 중공의 제2지지턱(175)은 커링되는 부위에 인가되는 하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아울러 도 2g의 상태에서 제2마운트 삽입용 상부 중공의 제2-1상부 원기둥면(173)은 제2커링 펀치(180)의 제2커링 펀치부(181)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제2커링 펀치부(181)는 1차로 커링된 부위를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인가하는 펀치력으로 완전한 제품 형태로 커링하게 된다.
아울러 제2커링 펀치부(181)는 외통(10)의 커링되지 않는 부위의 외측면을 감싸는 외측면 지지부(181a)와 상기 외측면 지지부(181a)의 내측 상부에서 돌출되어 외통(10)에 하방향의 압력을 가하는 메인 커링부(181b)로 이루어진다. 이때 2차 커링은 주로 메인 커링부(181b)에 의하여 발생하며 외측면 지지부(181a)는 메인 커링부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도 2g에서 커링 공정이 완료되면 제2상하 구동원의 구동에 의하여 제2지지판(150)이 상부로 이동하며, 자동차 마운트 제품을 하부 지그(120)로부터 이탈시킨 후 턴테이블(110)이 회전되어 도 2h의 상태로 되어 새로운 제품에 대한 커링 공정을 준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커링 공정은 액중에서 실시되거나 혹은 대기중에서 실시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턴테이블
120 : 하부 지그 121 : 마운트 삽입용 하부 중공
122 : 분할다이스 지지면 123 : 마운트 지지홈
130 : 제1안내 다이스 131 : 제1분할다이스 수용부
132 : 제1안내핀 133 : 제1하부 커버
133a : 제1하부 지그 삽입공
140 : 제1분할다이스 세트 141 : 제1분할다이스
142 : 제1평활면 143 : 제1하부 원기둥면
144 : 제1커링 가공면
150 : 제2지지판 151 : 안내구
160 : 제2안내 다이스 161 : 제2분할다이스 수용부
162 : 커링 펀치 관통홀 163 : 안내기둥
164 : 고정너트 165 : 제2안내핀
166 : 제2하부 커버 166a : 제2하부 지그 삽입공
170 : 제2분할다이스 세트 171 : 제2분할다이스
172 : 제2평활면 173 : 제2-1상부 원기둥면
174 : 제2-2상부 원기둥면 175 : 제2지지턱
180 : 제2커링 펀치 181 : 제2커링 펀치부
181a : 외측면 지지부 181b : 메인 커링부

Claims (2)

  1.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턴테이블 ;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턴테이블 구동원 ;
    상기 턴테이블의 일측 상부에 마련되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마운트 삽입용 하부 중공이 형성되며, 상면에 분할다이스 지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분할다이스 지지면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하부로 오목하게 마우트 지지홈이 형성되는 하부 지그 ;
    상기 턴테이블의 일측 상부에 마련되는 제1상하 구동원 ;
    상기 제1상하 구동원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며, 하부에 상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제1분할다이스 수용부가 형성되는 제1안내 다이스 ;
    상기 제1안내 다이스의 제1분할다이스 수용부에 배치되되 상부로 향하면서 상기 제1안내 다이스의 중심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안내핀 ;
    상기 제1분할다이스 수용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안내핀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분할다이스 수용부의 하부에서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분할다이스 수용부의 상부에서 서로 조합되어 관 형태를 이루는 복수의 제1분할다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분할다이스 수용부의 상부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복수의 제1분할다이스가 서로 조합된 조립체는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제1마운트 삽입용 상부 중공이 형성되는 관 형태를 이루며 하면은 상기 분할다이스 지지면을 따라 지지되면서 슬라이딩 가능한 제1평활면을 이루며 상기 제1마운트 삽입용 상부 중공은 하부의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하부 원기둥면과 상기 제1하부 원기둥면으로부터 상부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커링 가공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분할다이스 세트 ;
    상기 제1안내 다이스의 하부에 장착되며 중앙에 상기 하부 지그가 삽입되는 제1하부 지그 삽입공이 형성되는 제1하부 커버 ;
    상기 턴테이블의 타측 상부에 마련되는 제2상하 구동원 ;
    상기 제2상하 구동원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제2지지판 ;
    상기 제2지지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지지판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하부에 상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제2분할다이스 수용부가 형성되며 중앙에 커링 펀치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안내 다이스 ;
    상기 제2지지판의 하부에 고정마련되어 상기 커링 펀치 관통홀을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되며, 하단부 가장자리에 제2커링 펀치부가 형성되는 제2커링 펀치 ;
    상기 제2안내 다이스의 제2분할다이스 수용부에 배치되되 상부로 향하면서 상기 제2안내 다이스의 중심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안내핀 ;
    상기 제2분할다이스 수용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안내핀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2분할다이스 수용부의 하부에서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2분할다이스 수용부의 상부에서 서로 조합되어 관 형태를 이루는 복수의 제2분할다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분할다이스 수용부의 상부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복수의 제2분할다이스가 서로 조합된 조합체는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제2마운트 삽입용 상부 중공이 형성되는 관 형태를 이루며 하면은 상기 분할다이스 지지면을 따라 지지되면서 슬라이딩 가능한 제2평활면을 이루며 상기 제2마운트 삽입용 상부 중공은 상부의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1상부 원기둥면과 상기 제2-1상부 원기둥면의 하부에서 상기 제2-1상부 원기둥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2-2상부 원기둥면과 상기 제2-2상부 원기둥면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지지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분할다이스 세트 ;
    상기 제2안내 다이스의 하부에 장착되며 중앙에 상기 하부 지그가 삽입되는 제2하부 지그 삽입공이 형성되는 제2하부 커버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마운트 커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링 펀치부는 제품의 커링되지 않는 부위의 외측면을 감싸는 외측면 지지부와 상기 외측면 지지부의 내측 상부에서 돌출되어 제품의 커링되는 부위에 하방향의 압력을 가하는 메인 커링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마운트 커링 장치.
KR1020120112946A 2012-10-11 2012-10-11 자동차 마운트 커링 장치 KR101390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946A KR101390680B1 (ko) 2012-10-11 2012-10-11 자동차 마운트 커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946A KR101390680B1 (ko) 2012-10-11 2012-10-11 자동차 마운트 커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388A KR20140048388A (ko) 2014-04-24
KR101390680B1 true KR101390680B1 (ko) 2014-05-07

Family

ID=50654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946A KR101390680B1 (ko) 2012-10-11 2012-10-11 자동차 마운트 커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6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5724B (zh) * 2014-12-12 2017-09-15 贵州黎阳航空动力有限公司 一种多槽口偏心翻边模具
CN105750386B (zh) * 2016-04-30 2017-11-10 李家凌 一种灯杯压边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478Y1 (ko) 2013-08-13 2013-12-17 주정복 캔용기 상, 하판 커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478Y1 (ko) 2013-08-13 2013-12-17 주정복 캔용기 상, 하판 커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388A (ko) 201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680B1 (ko) 자동차 마운트 커링 장치
KR101550619B1 (ko) 프레스 장치
KR101134611B1 (ko)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
CN104210455B (zh) 安全气囊盖的组装装置
JP2009255175A5 (ko)
KR101668560B1 (ko) 오일링 조립 장치
JP2011194471A (ja) チューブ曲げプレスにおいて板材から成るスリット入りチューブ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とチューブ曲げプレス
JP2013099767A (ja) バーリング金型装置
JP2018079481A (ja) かしめ構造及びかしめ方法
KR101091517B1 (ko)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용 케이스의 성형장치
KR20160114546A (ko) 자동차 연료탱크의 필러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42839A (ko) 쇽업쇼버
JP2013027891A (ja) 鍔付円筒巻きブッシュ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固定方法
KR20090022148A (ko) 자동차 크랭크 풀리의 성형방법 및 장치
CN112809611A (zh) 一种压装工装
KR101772102B1 (ko) 일체형 부품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1811555B1 (ko) 압축 성형품의 버 제거장치
KR101168736B1 (ko) 자동차용 휠디스크 진원도 보정장치
KR101482396B1 (ko) 성형평가용 펀칭장치
KR101071659B1 (ko) 타이로드엔드 및 그 제작 금형
KR20140048389A (ko) 자동차 마운트 커링 장치
JP2013193103A (ja) 筒壁フランジの形成方法
KR102654143B1 (ko)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댐퍼풀리용 허브의 라운드 비드 성형장치
KR20090081947A (ko) 차량시동모터 기동용 솔레노이드스위치 케이스 제조방법
KR20120088160A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