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201B1 -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201B1
KR101390201B1 KR1020120048800A KR20120048800A KR101390201B1 KR 101390201 B1 KR101390201 B1 KR 101390201B1 KR 1020120048800 A KR1020120048800 A KR 1020120048800A KR 20120048800 A KR20120048800 A KR 20120048800A KR 101390201 B1 KR101390201 B1 KR 101390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or
user
dust
monitoring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5225A (ko
Inventor
이경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호씨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호씨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호씨에이
Priority to KR1020120048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201B1/ko
Publication of KR20130125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집진기의 동작상태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집진기에 문제가 발생되면 원격지에서 집진기를 제어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은, 집진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사용자 시스템; 상기 사용자 시스템에서 관리되고 있는 상기 집진기의 동작상태를 네트워크를 통해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어온 모니터링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집진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사용자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FOR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집진기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집진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또는 분진)을 제거한 후, 청정 공기만을 배출하는 장치이다.
집진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청정 공기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가정용이나 산업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제조 공장(라인)이나 액정 디스플레이 제조 공장(라인)과 같이 청정 환경이 매우 중요한 산업시설뿐만 아니라, 사무실 또는 가정과 같은 소형 공간에서도 청정 공기를 얻기 위해 집진기가 이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의 산업시설들은 대부분 자동화되어 있기 때문에, 산업시설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산업시설 내부에 상주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시설 내부에도 집진기를 관리할 수 있는 관리자가 상주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집진기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장착된 장치에 불과한 것으로서, 사용 중에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진기로 인가되는 부하전류가 기 설정된 부하전류 이상이 되어 문제가 발생되거나, 또는 집진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어 문제가 발생되거나, 또는, 집진기에 화재가 발생되는 현상 등은 언제, 어디서나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집진기의 동작상태를 항상 모니터링할 수 있고, 집진기에 문제가 발생되면 원격지에서도 이를 즉시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하나, 아직까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안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집진기의 동작상태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집진기에 문제가 발생되면 원격지에서 집진기를 제어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은, 집진기능을 수행하는 집진부가 구비되고, 집진기에 설치된 감지센서로서 집진기의 부하전류, 온도, 차압, 먼지량, 화재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감지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감지부 및 정보제공을 위한 통신부가 마련되며, 통신부를 통해 집진부의 구동제어 및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전송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집진기와,
상기 집진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집진기에 장착된 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되어온 감지정보의 출력 및 전송하는 집진기 관리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집진기로부터 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집진기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사용자 시스템;
상기 사용자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집진기 동작상의 감지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감지정보를 분석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감지정보 분석결과 집진기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에는 경보를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온 제어신호를 사용자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시스템에서 관리되고 있는 집진기의 동작상태를 네트워크를 통해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집진기의 동작상태를 원격지에서도 항상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으며, 집진기에서 발생된 문제를 원격지에서 바로 해결하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집진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집진기의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집진기(200)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사용자 시스템(100), 사용자 시스템에서 관리되고 있는 집진기의 동작상태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800) 및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모니터링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어온 모니터링 정보를 출력하며, 집진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9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사용자 시스템(100)은,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또는 분진)을 제거한 후, 청정 공기만을 배출하기 위한 집진기(200), 집진기에 장착된 감지센서들로부터 전송되어온 감지정보들을 출력하거나 감지정보들을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온 제어신호를 집진기로 전송하기 위한 집진기 관리장치(300),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집진기로부터 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집진기 관리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중계기(400) 및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집진기로부터 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집진기 관리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유선 중계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집진기(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집진부(210),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집진기의 부하전류, 집진기의 온도, 집진기의 차압, 집진기의 먼지량, 집진기의 화재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감지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감지부(220), 무선 중계기를 통해 집진기 관리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유선 중계기를 통해 집진기 관리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240) 및 집진부의 구동을 제어하며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집진기 관리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집진기(200)에 적용되는 집진부(210)는 집진기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즉, 집진부(210)는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또는 분진)을 제거한 후, 청정 공기만을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집진부(210)는 BODY, FILTER, BAG CASE, VENTURY, BLOW TUBE, DIAPHAGM VALVE, AIR HEADER, COMPRESSOR, TIMER, MANOMETER, ROTARY VALVE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구성들을 포함하고 있다.
집진기(200)에 적용되는 감지부(220)는 집진부(210)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집진기의 부하전류를 감지할 수 있는 부하전류 센서, 집진기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 센서, 집진기의 차압을 감지할 수 있는 차압 센서, 집진기의 먼지량을 감지할 수 있는 먼지량 센서, 집진기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 감지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집진부(210)의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집진기(200)에 적용되는 제어부(230)는 집진부(210)를 제어하여 집진부를 구동시키는 한편, 감지부(220)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를 통신부(240)를 통해 집진기 관리장치(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집진기 관리장치(300)로부터 전송되어온 제어신호에 따라 집진부(210)를 구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집진기(200)에 적용되는 통신부(24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중계기(400)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중계기(5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사용자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무선 중계기(4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집진기(200)로부터 전송되어온 감지정보들을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집진기 관리장치(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무선 중계기(400)는 사용자 시스템(100) 내부에 복잡한 선로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간단하게 복수의 집진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로는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유선 중계기(300)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집진기(200)로부터 전송되어온 감지정보들을 집진기 관리장치(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유선 중계기(400)는 무선 통신 장애가 있는 사용자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선 중계기는 RS485 및 기타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복수의 집진기(200)들과 집진기 관리장치(300) 간에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집진기 관리장치(300)는 무선 중계기(400) 또는 유선 중계기(500)를 통해 복수의 집진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집진기 관리장치(300)는 집진기로부터 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출력하거나, 또는 모니터링 시스템(8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집진기 관리장치(300)는 사용자 단말기(900)로부터 전송되어온 제어신호를 무선 중계기 또는 유선 중계기를 통해 집진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 시스템(100)은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개인용 컴퓨터(PC)가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사용자는 무선 중계기 또는 유선 중계기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집진기 관리장치(300)를 셋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감지정보를 모니터링 시스템(800)으로 전송하도록 하거나 또는 전송하지 않도록 하는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집진기 관리장치(300)를 셋팅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집진기 관리장치(300)의 각종 설정 메뉴를 셋팅함으로써, 집진기 관리장치의 기능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다음, 모니터링 시스템(800)은 집진기 관리장치(300)로부터 전송되어온 감지정보들을 수신하여 이상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감지정보를 사용자 단말기(9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니터링 시스템은 집진기 관리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모니터링 시스템(800)은 현재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서의 통신에 이용되고 있는 서버들이 적용될 수 있다.
모니터링 시스템(800)은 사용자 단말기(900)로 감지정보를 전송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기(900)로부터 전송되어온 제어신호를 집진기 관리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모니터링 시스템(800)은 사용자 단말기(90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시스템(100) 또는 집진기 관리장치(300)의 정보와 링크시켜 관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단말기(900)는 모니터링 시스템(800)으로부터 전송되어온 감지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집진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진기의 제어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모니터링 시스템(800)을 통해 집진기 관리장치(3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생성된 제어신호를 직접 집진기 관리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900)는 인터페이스, 입력부, 출력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모니터링 시스템(80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는 사용자가 각종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터치 스크린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기로 이용되는 스마트폰의 경우, 출력부의 크기를 늘리면서도 그 크기를 소형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을 입력부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입력부는 버튼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음성인식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출력부는 집진기 모니터링과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메뉴들을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LCD(Liquid Cristal Display) 또는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의 평판표시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입력부가 상기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입력부와 출력부는 외관상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는 원격지에서 집진기를 모니터링 또는 제어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제어부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구성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이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의 세부 종류 및 이용하고자 하는 통신 방법 등에 따라, 인터페이스, 입력부, 출력부, 저장부, 제어부의 세부 기능은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PC, PDA 등과 같은 무선 단말기가 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900)의 기능 및 동작 방법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은, 원격지에서 집진기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하거나, 원격지에서 직접 집진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원격지에서 집진기를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는 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뿐만 아니라, 집진기 관리장치(300)에서 직접 집진기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집진기(200)에서 무선 중계기(400) 또는 유선 중계기(500)를 통해 전송되어온 감지정보를 수신한 집진기 관리장치(300)는, 수신된 감지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집진기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집진기의 동작상태를 제어하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집진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들이 입력되면, 집진기 관리장치(300)는 해당 정보와 관련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집진기(200)로 전송함으로써, 집진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집진기 관리장치(300)는 집진기의 가동/정지/필터크리닝(에어펄스/바이브레이터) 등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무선 중계기(400) 또는 유선 중계기(500)를 통해 집진기(200)에 송신하여 집진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900)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9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이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음성통신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단말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앱스토어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집진기를 모니터링 또는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앱(이하, 간단히 '원격제어앱'이라 함)을 다운로드 받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앱스토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Application Store)'의 준말로 이용되는 용어로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휴대폰에 탑재되는 일정관리, 주소록, 알람, 계산기, 게임, 동영상, 인터넷접속, 음악재생, 내비게이션, 워드, 액셀 등의 콘텐츠 응용프로그램)(이하, 간단히 '앱'이라 함)을 자유롭게 사고 팔 수 있도록 한 온라인상의 '모바일 콘텐츠(소프트웨어) 장터'를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앱스토어 또는 모니터링 시스템(800)을 방문하여, 원격제어앱을 다운로드 받아 사용자 단말기에 인스톨시켜야 한다. 그러나, 태블릿PC와 같은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는 기타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900)에 운송서비스 앱을 설치할 필요없이, 사용자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바로 모니터링 시스템(800) 또는 집진기 관리장치(300)에 접속하여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무선 단말기들 중 특히 스마트폰을 사용자 단말기(900)의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그러나, 스마트폰 이외의 무선 단말기(예를 들어, 태블릿PC 등)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모니터링 시스템(800) 또는 집진기 관리장치(300)와의 통신 접속 방법 및 통신 수행 방법이 변경될 뿐, 이하에서 스마트폰을 일예로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이 그대로 적용되거나 또는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우선, 사용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들을 포함하고 있는 사용자 시스템(100)을 구축한다.
다음,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시스템(100)을 관리할 모니터링 시스템(800)을 선택하여, 모니터링 시스템(800)에 관리를 의뢰한다. 모니터링 시스템(800)은 모니터링 시스템과 집진기 관리장치(300) 또는 사용자 단말기(900)와 집진기 관리장치(300) 간의 통신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모니터링 시스템(800) 및 집진기 관리장치(300)에 인스톨한다. 또한, 모니터링 시스템(800)은 사용자 시스템(100) 또는 사용자 단말기(900)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다음, 사용자는 사용자 시스템(100)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설정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항상 사용자 시스템을 관리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집진기 관리장치(300)를 직접 관리모드로 설정함으로써, 집진기로부터 전송되어온 감지정보가 모니터링 시스템(800)으로 전송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의 관리 상태와 상관없이, 집진기로부터 전송되어온 감지정보가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9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집진기 관리장치(300)를 모니터링 관리모드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직접 사용자 시스템을 관리하지 못하는 경우, 즉, 자신이 사용자 시스템(100) 내부에 없는 경우에만, 모니터링 관리모드로 전환되도록 집진기 관리장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일정 시간, 예를 들어, 퇴근 시간 이후에는 자동적으로 모니터링 관리모드로 전환되도록 집진기 관리장치(300)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수신된 감지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문제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해당 감지정보를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되도록 집진기 관리장치(300)를 설정할 수도 있다.
직접 관리모드에 대하여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모니터링 관리모드에 대하여만 설명된다.
다음,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900)를 이용하여 집진기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900)에 상기한 바와 같은 원격제어앱을 설치한다.
다음, 집진기 관리장치(300)가 모니터링 관리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집진기(200)에서 발생된 감지정보가 무선 중계기(400) 또는 유선 중계기(500)를 통해 수신되면, 집진기 관리장치(300)는 수신된 감지정보를 모니터링 시스템(8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감지정보란 상기한 바와 같이, 집진부(210)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말하는 것으로서, 집진기의 부하전류를 감지할 수 있는 부하전류 센서, 집진기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 센서, 집진기의 차압을 감지할 수 있는 차압 센서, 집진기의 먼지량을 감지할 수 있는 먼지량 센서, 집진기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 감지 센서 또는 이 외에도 집진부(210)의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말한다.
다음, 모니터링 시스템(800)은 수신된 감지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900)로 전송한다.
이때, 모니터링 시스템(800)은 집진기 관리장치(300)로부터 전송되어온 감지정보들을 그대로 사용자 단말기(900)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또는 감지정보들을 분석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9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모니터링 시스템(800)은 감지정보의 분석결과, 집진기(200)에 문제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경보를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9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음, 사용자는 모니터링 시스템(800)으로부터 전송되어온 모니터링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9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900)에 인스톨되어 있는 모니터링앱(910)을 실행하여, 모니터링 시스템(800)에 접속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모니터링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일정 시간마다 모니터링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앱을 설정해 놓은 경우, 기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모니터링 시스템(800)으로부터 전송되어온 모니터링 정보가 자동적으로 사용자 단말기(900)에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발송한 상기한 바와 같은 경고 메시지는 문자메시지(SMS, MMS 또는 이메일 등)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900)에 출력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는 모니터링 시스템(800)으로부터 전송되어온 모니터링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모니터링 정보를 확인한 후 집진기(200)를 원격제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사용자는, 원격제어앱(910)에서 제공하는 원격제어메뉴를 이용하여 집진기(200)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집진기(200)의 가동/정지/필터크리닝(에어펄스/바이브레이터) 등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집진기(200)의 동작상태를 원격지에서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집진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는 모니터링 시스템(800)과 집진기 관리장치(300)를 통해 집진기(200)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900)에서 직접 집진기 관리장치(300)로 전송된 후 다시 집진기(2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격지에서도 집진기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진기의 동작상태를 원격지에서 직접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사용자 시스템 200 : 집진기
300 : 집진기 관리장치 400 : 무선 중계기
500 : 유선 중계기 800 : 모니터링 시스템
90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6)

  1. 집진기능을 수행하는 집진부가 구비되고 집진기에 설치된 감지센서로서 집진기에 대한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부 및 정보제공을 위한 통신부가 마련되며 통신부를 통해 집진부의 구동제어 및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전송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집진기와, 상기 집진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집진기에 장착된 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되어온 감지정보의 출력 및 전송하는 집진기 관리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집진기로부터 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집진기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사용자 시스템과, 상기 사용자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집진기 동작상의 감지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감지정보를 분석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감지정보 분석결과 집진기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에는 경보를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온 제어신호를 사용자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시스템에서 관리되고 있는 집진기의 동작상태를 네트워크를 통해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집진기 원격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에 대한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부는,
    집진기의 부하전류를 감지할 수 있는 부하전류센서, 집진기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 집진기의 차압을 감지할 수 있는 차압센서, 집진기의 먼지량을 감지할 수 있는 먼지량센서, 집진기의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진기 관리장치는,
    사용자가 항상 사용자 시스템을 관리하고 있는 경우 집진기로부터 전송되어온 감지정보가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되지 않도록 직접관리모드로 설정하거나,
    사용자의 관리상태와 상관없이 집진기로부터 전송되어온 감지정보가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 시스템을 관리하지 못하거나 또는 일정시간이 경과되거나 할 때 모니터링 관리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며,
    수신된 감지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문제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해당 감지정보를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20048800A 2012-05-08 2012-05-08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390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800A KR101390201B1 (ko) 2012-05-08 2012-05-08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800A KR101390201B1 (ko) 2012-05-08 2012-05-08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225A KR20130125225A (ko) 2013-11-18
KR101390201B1 true KR101390201B1 (ko) 2014-05-02

Family

ID=49853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800A KR101390201B1 (ko) 2012-05-08 2012-05-08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2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900B1 (ko) 2019-07-24 2019-10-16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씨 센서 데이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집진기 시스템
KR102523188B1 (ko) * 2022-09-07 2023-04-19 한국환경기계분석연구원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집진시설관리 모니터링 및 보상 시스템
US11925890B2 (en) 2018-10-25 2024-03-12 Donaldson Company, Inc. Monitoring devices for air filtration syste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103B1 (ko) * 2020-04-28 2021-10-14 주식회사 해밀 집진기용 필터의 분진 탈리장치
KR102268329B1 (ko) * 2020-04-28 2021-06-24 주식회사 해밀 원격제어가 가능한 집진기용 필터의 분진 탈리장치
KR20230174540A (ko) 2022-06-21 2023-12-28 주식회사 미플랫 전기집진기의 iot기반 지능형 스마트 집진 플랫폼 장치
KR20240029987A (ko) 2022-08-29 2024-03-07 주식회사 미플랫 실내 작업장들의 유해물질 확산 예측 모니터링장치
KR20240030003A (ko) 2022-08-29 2024-03-07 주식회사 미플랫 Wifi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해물질 확산 예측 모니터링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25890B2 (en) 2018-10-25 2024-03-12 Donaldson Company, Inc. Monitoring devices for air filtration systems
KR102032900B1 (ko) 2019-07-24 2019-10-16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씨 센서 데이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집진기 시스템
KR102523188B1 (ko) * 2022-09-07 2023-04-19 한국환경기계분석연구원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집진시설관리 모니터링 및 보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225A (ko) 2013-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201B1 (ko) 집진기 원격 제어 시스템
US11089458B2 (en) Smart communication device or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evaluating information about equipment distributed over a large area, e.g., over a large industrial plant or oil field
JP6186517B2 (ja) タスク設定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908676B2 (ja)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EP244822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mart appliances
US20170138626A1 (en) Controller, indoor environment adjustment system, and indoor environment adjustment method
US9285792B2 (en)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based control center and user interface for air sampling in controlled environments
US9760174B1 (en) Haptic feedback as accessibility mode in home automation systems
JP6602212B2 (ja) 電子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570647B2 (ja) 空気調和機
US20160004231A1 (en) Method of managing electrical device, managing system, electrical device, operation terminal, and program
EP3070883B1 (en) Diagnostic system for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diagnosing home appliance
JP2008033841A (ja) ガス機器又は防災・防犯関連機器、無線ユニット、及び、携帯端末装置
CN103575053A (zh) 一种远程操作酒柜的方法
US11725971B2 (en) Disaggregation of water consumption data
CN105042781A (zh) 智能空气监测装置及智能控制系统
JP2013175015A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KR20160051011A (ko) 집진기 제어 시스템
JP2013187737A (ja) 分析装置用携帯端末及びそれを用いた分析システム
JP2005174789A (ja) 加熱調理機器
JP6132870B2 (ja) 宅内コントローラ、宅内機器管理システム、通知メッセージ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292209A (ja) 換気装置ならびに換気装置を利用したネット家電システム
JP2011205596A (ja) 機器制御システム
CN206483230U (zh) 一种智能净水机系统
CN210222507U (zh) 一种基于互联网的智能管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