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926B1 - Stand type walker - Google Patents

Stand type wal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926B1
KR101389926B1 KR1020120050139A KR20120050139A KR101389926B1 KR 101389926 B1 KR101389926 B1 KR 101389926B1 KR 1020120050139 A KR1020120050139 A KR 1020120050139A KR 20120050139 A KR20120050139 A KR 20120050139A KR 101389926 B1 KR101389926 B1 KR 101389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ser
handle
walking device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1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26220A (en
Inventor
시남근
Original Assignee
시남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남근 filed Critical 시남근
Priority to KR1020120050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926B1/en
Publication of KR20130126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2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9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4Apparatus for helping babies to walk; Baby walkers or strollers
    • A47D13/043Baby walkers with a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4Apparatus for helping babies to walk; Baby walkers or strollers
    • A47D13/046Harnesses for helping babie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걸음마를 시작하는 유아들의 보행 요령 및 자세를 습득하도록 유도해주고, 유아들의 키가 크도록 보조해주며 재활치료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걸음마가 가능한 아이들이 그네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스탠드형 보행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스탠드형 보행장치는, 사용자가 보행시 또는 재활시 잡기 위한 손잡이가 구비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단과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고, 전후 및 좌우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놓친 경우에 상기 사용자를 안착시켜 상기 사용자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사용자 안착수단을 포함한다.
The stand-type walking device is designed to induce infants to learn walking tips and postures, to help infants grow taller, and to be used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to be used by children who can walk. Is initiated.
The disclosed stand type walking device includes a frame provided with a handle for holding by a user when walking or rehabilitation; Moving mean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rame to support the frame and mov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I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to the moving means, and includes a user sea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user from falling by mounting the user when the user misses the handle.

Description

스탠드형 보행장치{Stand type walker} Stand type walker {Stand type walker}

본 발명은 스탠드형(stand type) 보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걸음마를 시작하는 유아들의 보행 요령 및 자세를 습득하도록 유도해주고, 유아들의 키가 크도록 보조해주며 재활치료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걸음마가 가능한 아이들이 그네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스탠드형 보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 type walk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guide infants to learn walking tips and postures to start walking, assisting the height of infants, and using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 type walking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swing by children who can walk and walk.

일반적으로, 유아는 생후 1년 ~ 만6세에 속하는 어린아이를 말하며, 유아기는 영아기에 비해 성장속도가 느려지면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는 시기로, 영아기의 수평적 발달에서 수직적 발달로 변화하여 점차 하지가 빨리 자라게 되고, 무릎이 곧게 펴지게 된다.In general, an infant refers to a child belonging to 1 year to 6 years of age, and the infant is a period in which the growth rate is slower and maintains a constant rate compared to the infant period, and gradually changes from horizontal development to vertical development in infancy. Grows quickly, and the knees are straightened.

또한, 걸을 때 두발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균형을 유지하며 걷기 시작한다. 아울러 근골격, 소근육의 발달로 신체적 기능의 변화가 두드러져 걷고 뛰는 이동운동과 조작운동이 발달하게 된다.Also, as you walk, the gap between your feet narrows and you start to walk in balance. In addition, the changes in physical function are prominent due to the development of musculoskeletal and small muscles, so that walking and running movements and manipulation movements are developed.

따라서 이러한 유아기에 올바른 보행 자세를 습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acquire the correct walking posture in infancy.

유아기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보행기는 안장에 유아가 탄 상태에서 자유로이 걸어다니면서 걸음마를 배우도록 유도해주는 보행기로서, 유아가 안장에 앉은 상태에서 보행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앉은 상태에서의 보행장치이므로 척추 및 근력이 발달하지 않은 유아들의 보행 자세 및 척추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리가 벌어진 상태에서의 걸음마 연습으로 인해 다리가 휠 우려가 있으며, 나아가 고른 신체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A common walker used in infancy is a walker that induces infants to walk and learn to walk while riding in the saddle, but the infant can walk in the saddle, but it is a walking device in the sitting state, so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has an adverse effect on the walking posture and spine health of the infants who do not develop muscle strength. In addition, there is a concern that the leg is wheel due to the gait practice in the open stat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can inhibit even physical development.

이러한 일반적인 보행기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 본 발명자에 의해 제안된 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008805호(2011.01.27. 공개)(발명의 명칭: 스탠드형 유아용 보행기)(이하, "종래기술"이라 약칭함)에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all the problems that occur in such a common walker, the technology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ors in the prior art is publish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08805 (2011.01.27. Publication) (name of the invention: stand type infant Walker (hereinafter abbreviated as "prior art").

개시된 종래기술은 걸음마를 시작하는 유아들의 보행 요령 및 자세를 습득하도록 유도해주기 위해서, 원형 또는 다각형 링 형태의 손잡이부를 구비한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단과 연결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지하고, 전후 및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를 구비하고, 유아가 일어선 상태로 걸음마를 습득하도록 유도하고, 유아의 신체 각 부위의 스트레칭과 함께 근력을 키움으로써, 유아의 성장 발육을 도와주도록 한다.
The disclosed prior art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mainframe and the mainframe having a handle in the form of a circular or polygonal ring to induce the infant to start walking and learning the posture, supporting the mainframe, It is provided with a moving unit to move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and guide the infant to learn the walking in the standing state, and to help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infant by increasing the strength and strength of each part of the infant's body.

1.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008805호(2011.01.27. 공개)(발명의 명칭: 스탠드형 유아용 보행기)1. Korean Patent Office Publication No. 10-2011-0008805 (published Jan. 27, 2011) (name of the invention: stand type baby walk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유아가 일어선 상태로 걸음마를 습독하도록 유도해주어 보행 요령 및 자세를 습득하도록 도모해주는 장점은 있으나, 유아가 손잡이를 놓칠 경우 넘어지게 되어 부상을 당하는 등의 위험 요소를 초래하였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of inducing the infant to read the gait while standing up to help to learn the walking tips and posture, but if the infant misses the handle falls and causes injuries such as injury. It was.

이러한 위험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아를 돌보는 사람이 항상 보행기 근처에서 유아의 상황을 지켜보아야 하므로, 인력 낭비와 시간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dangerous situation, the caregiver of the infant should always watch the infant's situation near the walker, resulting in waste of manpower and loss of time.

아울러 종래기술은 재활치료자가 재활치료로 사용하기에도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특히, 재활치료자는 아직 스스로 거동하기가 불편한 환자를 의미하는 데, 종래기술은 재활치료자가 보행장치를 사용하는 도중에 균형을 잃거나 손잡이를 놓친 경우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없어, 혼자서 재활치료를 위한 보행장치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a disadvantage that the rehabilitation therapist is not suitable for use as a rehabilitation treatment. In particular, the rehabilitation therapist refers to a patient who is still inconvenient to behave on their own, and the prior art does not have a means to prevent falling if the rehabilitation therapist loses balance or misses a handle while using the walking device. Not suitable for use as a walking device.

또한, 종래기술은 유아가 어느 정도 성장하여 걸음마가 익숙해진 경우 그네와 같은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a disadvantage that it can not be used for a purpose such as a swing when the infant grows to some extent and become accustomed to walking.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걸음마를 시작하는 유아들의 보행 요령 및 자세를 습득하도록 유도해주는 스탠드형 보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nd-type walking device that induces to learn the walking tips and posture of infants starting to walk.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유아들의 근력발달을 도모하고 키가 크도록 보조해줄 수 있는 스탠드형 보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nd-type walking device that can assist the infant to increase the strength and heigh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재활치료자들이 재활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스탠드형 보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nd-type walking device that can be used by rehabilitation therapists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걸음마가 가능한 아이들이 그네와 같은 놀이기구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스탠드형 보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nd-type walking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playground equipment, such as children can walk.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장치는,Stand-type wal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사용자가 보행시 또는 재활시 잡기 위한 손잡이가 구비된 프레임;A frame having a handle for holding by the user when walking or rehabilitation;

상기 프레임의 양단과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고, 전후 및 좌우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Moving mean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rame to support the frame and mov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상기 이동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놓친 경우에 상기 사용자를 안착시켜 상기 사용자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사용자 안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to the mov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ser sea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user from falling by mounting the user when the user misses the handle.

또한, 상기 프레임은 양단에 구멍이 형성된 주 프레임;The frame may include a main frame having holes at both ends thereof;

상기 주 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길이 조절을 위한 보조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the holes formed on both ends of the main fram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as an auxiliary fram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rame.

또한, 상기 주 프레임에는 손잡이를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는 관통 공과, 상기 손잡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 공간에는 삽입된 손잡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끝단에는 일정 길이만 인출되도록 하기 위한 걸림 턱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경우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걸림 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ain frame includes a through hole for inserting and withdrawing a handle, and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handle, the receiving space includes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inserted handle, A locking jaw is formed at the end so that only a predetermined length is drawn out, and the locking jaw is provided to be fixed by the fixing means when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또한, 상기 사용자 안착수단은,In addition, the user seating means,

상기 이동수단의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벨트;A belt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of the moving unit;

상기 벨트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를 안착시키는 안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saddle connected to the belt to seat the user.

상기에서 안장은 상기 사용자의 양다리를 삽입시킬 수 있는 관통 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장을 놀이기구로 이용할 경우 전후 양단을 접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놀이기구 이용시 벨트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addle in the saddle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user's legs can be inserted, and when the saddle is used as a play equipment, includes a fixing means for folding the front and rear ends, and a connecting ring for connecting the belt when the play equipment is used.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본 발명에 따르면 걸음마를 시작하는 유아들의 보행 요령 및 자세를 습득하도록 유도해줄 수 있으며, 유아들의 근력발달을 도모하고 키가 크도록 보조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duced to learn the walking tips and posture of the infant starting the gai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help to promote the strength development and height of the infa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재활치료자들이 재활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활장비로서 역할이 가능하고, 걸음마가 가능한 아이들이 그네와 같은 놀이기구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lay a role as a rehabilitation equipment that rehabilitation therapists can use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as a playground equipment for children who can wal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손잡이 부분 상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장치를 놀이기구로 사용할 경우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장치를 놀이기구로 사용할 경우 다른 사용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nd-type wal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le portion of FIG.
Figure 3 is a state of use of the stand-type walk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of use when using the stand-type walk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a ride.
5 is another use state when using the stand-type wal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play equipmen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손잡이 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nd type wal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le portion, Figure 3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stand type wal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0), 이동수단(200) 및 사용자 안착수단(300)으로 구성된다.Stand type wal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frame 100, the moving means 200 and the user seating means 300, as shown in Figs.

상기 프레임(100)은 유아 보행시나 재활치료자의 재활치료시 붙잡기 위한 손잡이(101)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100)은 양단에 구멍이 형성된 주 프레임(102)과, 상기 주 프레임(102)의 양단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 조절을 위한 보조 프레임(10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주 프레임(102)의 내경보다 보조 프레임(103)의 외경을 작게 형성함으로써, 보조 프레임(103)을 주 프레임(102)에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게 된다.The frame 100 is provided with a handle 101 for holding the infant walking or rehabilitation of the rehabilitation therapist, the frame 100 has a main frame 102 with holes at both ends and the main frame 102 It is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the holes formed at both ends, and consists of an auxiliary frame 103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rame 100. Here, by form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auxiliary frame 103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main frame 102, the auxiliary frame 103 can be easily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main frame 102.

보행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보관 공간을 최소화하고 보관에 편이함을 위해 보조 프레임(103)을 주 프레임(102)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주 프레임(102)의 삽입 공간에 삽입하여 보관을 하게 된다. 보행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주 프레임(102)의 삽입 공간에 삽입된 보조 프레임(103)을 주 프레임(102)으로부터 인출한 후, 고정 부재인 나사(104)를 조여 인출한 보조 프레임(103)을 주 프레임(102)에 고정한다. 이때 보조 프레임(103)은 유아나 재활치료자의 사이즈에 맞게 적당한 길이로 인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walking device is not used, the auxiliary frame 103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main frame 102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main frame 102 to minimize the storage space and to facilitate the storage. In the case of using a walking device, the auxiliary frame 103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main frame 102 is taken out from the main frame 102, and then the auxiliary frame 103 which is taken out by tightening the screw 104, which is a fixing member, is taken out. Secure to main frame 102. At this time, the auxiliary frame 103 is preferably withdrawn to a suitable length to fit the size of the infant or rehabilitation therapist.

한편, 주 프레임(102)에는 사용시에만 손잡이(101)를 인출하고, 비 사용시에는 손잡이(10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105)이 형성되어, 보행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손잡이(101)를 수용 공간(105)에 수용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frame 102 withdraws the handle 101 only when in use, and when not in use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105 for accommodating the handle 101, the handle 101 when not using a walking device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5.

예컨대, 상기 주 프레임(102)에는 손잡이(101)가 자유롭게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관통 공(10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 공(106)을 통해 손잡이(101)를 수용 공간(105)에 수용할 경우에는 수용된 손잡이(101)가 인출되지 못하도록 손잡이(101)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107)이 구비된다. For example, a through hole 106 is formed in the main frame 102 so that the handle 101 can be freely inserted and withdrawn, and the handle 101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05 through the through hole 106. In the case of accommodating, fixing means 107 is provided to fix the handle 101 so that the handle 101 is not drawn out.

이러한 고정 수단(107)은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107a)과, 스프링(107a)의 끝단에 연결되어 스프링(107a)에 의한 탄성력으로 이동하는 돌기(107b)를 포함한다.The fixing means 107 includes a spring 107a having an elastic force, and a protrusion 107b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pring 107a to move with elastic force by the spring 107a.

그리고 손잡이(101)의 끝단에는 일정 길이만 인출되도록 하기 위한 걸림 턱(101a)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05)에 삽입될 경우 상기 고정 수단(107)에 의해 고정되도록 걸림 홈(101b)이 구비된다.A locking jaw 101a is formed at the end of the handle 101 so that only a predetermined length is drawn out, and when the locking jaw 101b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05, the locking groove 101b is fixed by the fixing means 107. It is provided.

따라서 손잡이(101)를 수용 공간(105)에 삽입할 경우에는 손잡이(101)를 강제로 수용 공간(105)에 밀어 넣는다. 이때 밀어 넣는 깊이는 손잡이(101)에 형성된 걸림 홈(101b)이 고정 수단(107)에 구비된 돌기(107b)에 의해 체결될 때까지의 깊이로 밀어넣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when the handle 101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05, the handle 101 is forcibly push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05. At this time, the pushing depth is preferably pushed to a depth until the engaging groove 101b formed in the handle 101 is fastened by the protrusion 107b provided in the fixing means 107.

여기서 손잡이의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 링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유아의 손에 충분히 수용될 수 있는 굵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유아나 재활치료자가 잡는 부분에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거나, 미끄럼 등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 패드를 부착한다.The shape of the handle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ircular or polygonal ring,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thickness to be sufficiently accommodated in the hand of the infant. More preferably, a non-slip pad is attached to form a groove into which a finger can be inserted into a portion held by the infant or the rehabilitation therapist, or to prevent slipping.

수용 공간(105)에 수용된 손잡이(101)를 인출할 경우에는, 손잡이(101)를 잡고 아래 방향으로 그대로 인출시킨다. 이때 인출 길이는 손잡이(101)의 끝단에 구비된 걸림 턱(101a)이 고정 수단(107)의 일면에 걸릴 때까지 인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인출한 손잡이(101)는 유아가 턱걸이 등의 근력 운동을 하거나, 스트레칭을 하는 데 하나의 기구로서 사용도 가능하다.When pulling out the handle 101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5, the handle 101 is grabbed and pulled out as it is. At this time, the withdrawal length is preferably withdrawn until the engaging jaw (101a) provided at the end of the handle 101 is caught on one surface of the fixing means (107). The handle 101 can be used as a mechanism for the infant to exercise strength or stretch, such as a chi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장치의 프레임(100)의 양단에는 유아나 재활치료자가 보행장치를 사용하고 이동할 때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수단(200)이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both ends of the frame 100 of the stand-type wal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moving means 200 so that the infant or rehabilitation therapist can move smoothly when using the walking device.

이동수단(200)은 중앙프레임(201), 지지프레임(201), 연결프레임(203) 및 캐스터(204)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이 한 쌍으로 프레임(10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다.The moving means 200 is composed of a center frame 201, a support frame 201, a connecting frame 203 and the caster 204, these configurations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rame 100 in pairs, respectively.

여기서 중앙프레임(201)은 일측이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지지프레임(201)의 상부 중심과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100)과 지지프레임(202) 간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Here, the central frame 201 has one sid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rame 100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support frame 201, thereby connecting the frame 100 and the support frame 202. Do it.

상기 지지프레임(202)은 안정감을 위해 상부가 좁고 하부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앙프레임(20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 frame 202 is preferably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the upper portion is narrower and gradually wider toward the lower side for a sense of stability, and serves to support the center frame 201.

상기 지지프레임(202)의 하단에는 이동수단(200)을 전후 및 좌우 이동시키기 위한 캐스터(204)가 구비된다.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202 is provided with a caster 204 for moving the moving means 200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상기 캐스터(204)를 구비함에 따라 사용자(유아나 재활치료자, 기타)의 보행 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스탠드형 보행장치가 자유자재로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As the caster 204 is provided, when the user (infant or rehabilitation therapist, etc.) walks, the stand type walking device may freely move back and forth or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02)의 상부에는 상기 중앙프레임(201)의 연결과 높이 조절을 위한 높이조절수단(205)을 구비한다. 이러한 높이조절수단(205)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실시 예로 볼트를 사용한다. 주지한 높이조절수단(205)에 의해 사용자의 키에 최적으로 프레임(100)의 높이를 맞출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202 is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ing means 205 for connecting and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enter frame 201. The height adjusting means 205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i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bolt as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fit the height of the frame 100 to the height of the user by the well-known height adjusting means 205.

한편, 상기와 같은 스탠드형 보행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만으로도 유아나 재활치료자의 보행에 충분히 도움이 되나,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추가로 사용자 안착수단(300)을 부가하여, 더욱 안전함을 고려하였다. 예컨대, 사용자 안착수단(300)은 유아나 재활치료자가 무심코 손잡이(101)를 놓치거나 놓았을 때 사용자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tand-type walk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is enough to help the walk of the infant or rehabilitation therapist alone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safer by adding a user seating means 300 for the user's safety Considered. For example, the user seating means 300 is to prevent the user from falling when the infant or rehabilitation therapist accidentally misses or releases the handle 101.

이러한 사용자 안착수단(300)은, 상기 이동수단(200)의 지지프레임(20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벨트(301)와; 상기 벨트(301)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를 안착시키는 안장(302)을 포함한다. 안장(302)에는 상기 사용자의 양다리를 삽입시킬 수 있는 2개의 관통 공(303)이 형성되어, 보행장치의 사용시 사용자가 각각의 다리를 관통 공(303)에 하나씩 삽입한다. 아울러 안장(302)의 일측에는 벨트(301)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고리(304)가 구비되는 데, 이러한 연결고리(304)는 정면을 기준으로 좌우 각각 2개씩 구성된다. 그리고 좌우 2개씩 구성된 연결 고리의 사이에는 각각 하나씩의 놀이기구용 연결고리(305)가 구비되는 데, 이러한 놀이기구용 연결고리(305)에 대해서는 추후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user seating means 300, the belt 30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202 of the moving means 200; It is connected to the belt 301 includes a saddle 302 for seating the user. The saddle 302 is formed with two through holes 303 through which the user's legs can be inserted, and the user inserts each leg into the through hole 303 one by one when using the walking device. In addition, one side of the saddle 302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ring 304 for connecting the belt 301, the connection ring 304 is composed of two each of the left and right relative to the front. And between the connecting ring consisting of two left and right, each one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ring 305 for the rides, the connection link 305 for the rid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그리고 지지프레임(202)의 내측에는 벨트(301)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고리(206)가 구비되는 데, 바람직하게 이러한 연결 고리(206)는 일정 각도만큼 회동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And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 frame 202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ring 206 for connecting the belt 301, preferably such a connecting ring 206 is implemented to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아울러 벨트(301)는 두 쌍의 지지프레임에 각각 연결하기 위해서 4개로 구현되며, 각각의 벨트(301)의 양단에는 체결 고리(306)(307)가 형성되어, 일단에 형성된 체결 고리(306)는 지지프레임(202)에 형성된 연결고리(206)에 체결하고, 다른 일단에 형성된 체결 고리(307)는 안장(302)에 형성된 연결 고리(304)에 체결된다.In addition, the belt 301 is implemented in four to connect to each of the two pairs of support frames, each of the belt 301 fastening ring 306, 307 is formed on both ends, fastening ring 306 formed at one end Is fastened to the connecting ring 206 formed on the support frame 202, the fastening ring 307 formed at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the connecting ring 304 formed on the saddle 302.

이러한 체결 과정을 통해 안장(302)을 지지프레임(202)에 벨트(301)로 체결하고, 사용시 사용자의 다리를 관통 공(303)에 각각 삽입시켜 사용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가 손잡이(101)를 놓치거나 놓았을 경우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장(302)에 안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rough the fastening process, the saddle 302 is fastened to the support frame 202 by the belt 301, and when used, the user's legs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303 to be used. After that, when the user misses or releases the handle 101, the user's hips are naturally seated on the saddle 302,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falling.

특히, 사용자 안착수단(300)에 의해 유아나 재활치료자를 돌보는 사람은 종래와 같이 유아나 재활치료자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일을 할 수 있으므로, 인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시간 손실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person who cares for the infant or rehabilitation therapist by the user seating means 300 can do their work without being bound to the infant or rehabilitation therapist as in the prior art, can prevent the waste of manpower, and also prevent time loss It will be possibl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스탠드형 보행장치가 놀이기구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유아가 걸음마를 어느 정도 할 경우에는 보행장치를 사용하지 않게 되는 데, 이러한 비사용 문제를 해결하고 보행장치의 기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보행장치를 그네와 같은 놀이기구로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tand type walking device can be used as a ride. For example, when the infant walks to some extent, the walking device is not u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non-use and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walking device, the walking device can be used as a playground equipment such as a swing. have.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네로 사용하기 위해서 안장(302)의 양단에 구비된 벨트(301)를 연결고리(304)로부터 해제한 후, 좌우 2개씩의 벨트(301)를 안장(302)의 좌우 중심부에 형성된 놀이기구용 연결고리(305)에 체결한다. 그리고 안장(302)의 전후 양단을 접어 고정수단(308)으로 고정을 하게 된다. 여기서 고정 수단(308)은 스냅 파스너(snap fastener)와 같은 똑딱단추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after releasing the belt 301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addle 302 from the connecting ring 304 for use as a swing, two belts of left and right sides are provided. 301 is fastened to the linkage 305 for the playground equipment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center of the saddle 302. And the front and rear both ends of the saddle 302 is fixed by the fixing means 308. The fastening means 308 here is preferably embodied with a snap button such as a snap fastener.

도 5는 도 4와 같이 보행장치를 그네로 사용하기 위한 다른 사용 상태도로서, 주 프레임(102)에 연결고리(108)를 4개 형성하고(주 프레임의 전,후에 각각 2개), 벨트(301)를 상기 연결고리(108)에 연결하여 그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FIG. 5 is another use state diagram for using the walking device as a swing as shown in FIG. 4, and four connecting rings 108 are formed on the main frame 102 (two before and after the main frame) and a belt ( 30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ing 108 to be used as a swing.

도 5는 도 4에 대비하여 회전 반경이 더욱 커져 아동이 그네로 사용하는 데 더욱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FIG. 5 shows that the turning radius is larger than that of FIG. 4, so that the child can use the swing more effectively.

이렇게 하여 보행장치를 그네와 같이 만들어, 걸음마가 가능한 아동이 놀이기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보행장치 1가지로 보행을 통한 유아의 성장발육은 물론 재활치료, 근력 운동, 놀이기구와 같은 다기능 기구로서의 역할이 가능해진다.In this way, the walking device is made like a swing so that the child who can walk can use it as a play equipm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lay a role as a multifunctional device such as rehabilitation treatment, strength exercise, and play equipment as well as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ants with one walking device.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프레임
101… 손잡이
102… 주 프레임
103… 보조 프레임
200… 이동수단
300… 사용자 안착수단
301… 벨트
302… 안장
100 ... frame
101 ... handle
102 ... Main frame
103 ... Auxiliary frame
200 ... transportation
300 ... User seating means
301 ... belt
302... saddle

Claims (6)

사용자가 보행시 또는 재활시 잡기 위한 손잡이가 구비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단과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고, 전후 및 좌우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놓친 경우에 상기 사용자를 안착시켜 상기 사용자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사용자 안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양단에 구멍이 형성된 주 프레임; 상기 주 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길이 조절을 위한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주 프레임에는 손잡이를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는 관통 공, 상기 손잡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 공간에는 삽입된 손잡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안착수단은 상기 이동수단의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벨트; 상기 벨트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를 안착시키는 안장을 포함하고, 상기 안장은 상기 사용자의 양다리를 삽입시킬 수 있는 관통 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장을 놀이기구로 이용할 경우 전후 양단을 접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놀이기구 이용시 벨트를 연결하기 위한 놀이기구용 연결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보행장치.
A frame having a handle for holding by the user when walking or rehabilitation;
Moving mean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rame to support the frame and mov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It is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moving means, and includes a user sea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user from falling by mounting the user when the user misses the handle;
The frame includes a main frame having holes at both ends; It is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the holes formed on both ends of the main frame, and includes an auxiliary fram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rame, the main frame is a through-hole for inserting and withdrawing a handle, which can accommodate the handle An accommodating space, the accommodating space including fixing means for fixing the inserted handle;
The user seating means is a belt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of the moving means; And a saddle connected to the belt to seat the user, wherein the saddle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user's legs can be inserted, and the fixing means for folding the front and rear ends when using the saddle as a play equipment. Includes, stand-type wal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ring for the ride for connecting the belt when using the r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50139A 2012-05-11 2012-05-11 Stand type walker KR1013899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139A KR101389926B1 (en) 2012-05-11 2012-05-11 Stand type wal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139A KR101389926B1 (en) 2012-05-11 2012-05-11 Stand type wal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220A KR20130126220A (en) 2013-11-20
KR101389926B1 true KR101389926B1 (en) 2014-04-29

Family

ID=49854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139A KR101389926B1 (en) 2012-05-11 2012-05-11 Stand type wal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92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421B1 (en) 2014-07-21 2015-12-15 (주)코니스 A riding play implement with sw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967B1 (en) 2013-10-22 2015-10-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riction compensation logic of motor driven power steering and method thereof
CN107242728A (en) * 2017-07-07 2017-10-13 胡小丽 A kind of beneficial to both intelligence and health baby toy
KR102176050B1 (en) * 2019-04-11 2020-11-06 한지훈 System for gait train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8594B1 (en) * 1999-08-20 2003-06-17 Wade Hawkes Mobile rehabilitative walker
KR20040001748A (en) * 2002-06-28 2004-01-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 Length Control Type Handle Element
JP2007503879A (en) * 2003-08-25 2007-03-01 レーバイン ユルク Baby carrier with enclosure system
JP2010017440A (en) * 2008-07-14 2010-01-28 Yuuba Sangyo Kk Walking assist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8594B1 (en) * 1999-08-20 2003-06-17 Wade Hawkes Mobile rehabilitative walker
KR20040001748A (en) * 2002-06-28 2004-01-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 Length Control Type Handle Element
JP2007503879A (en) * 2003-08-25 2007-03-01 レーバイン ユルク Baby carrier with enclosure system
JP2010017440A (en) * 2008-07-14 2010-01-28 Yuuba Sangyo Kk Walking assis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421B1 (en) 2014-07-21 2015-12-15 (주)코니스 A riding play implement with sw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220A (en)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5425B2 (en) Backpack with stabilizing handles
US9629477B2 (en) Hands-free shoulder carrier for children
US9144324B1 (en) Balancing baby walker
KR101389926B1 (en) Stand type walker
US20170079879A1 (en) Synergistic Posture System
CN101707926A (en) Baby walking stick
KR100742998B1 (en) Riding exercise bike for an old person
US9095227B2 (en) Hands-free shoulder carrier for children
JP2012192107A (en) Muscular force training device
US10426678B2 (en) Child support structure
KR101663074B1 (en) Sliding toy f0r infant
US20140053789A1 (en) Stroll Along
US20130111670A1 (en) Baby Support Arrangement
CN211215186U (en) Balance bar for rehabilitation training
KR100934193B1 (en) Infant gait aids
US20030207736A1 (en) Infant walker/trainer
US20060150921A1 (en) Adjustable harness tether
CN204520029U (en) A kind of baby walker
KR101947463B1 (en) Amusement apparatus to be put on foot for children and baby
CN204520027U (en) A kind of baby walker
CN204520028U (en) A kind of go-kart
CN204050826U (en) Portable multi-function walking aid chair
KR20140129627A (en) Comprehensive exercise equipment combination Chairs
KR200306451Y1 (en) Multi-function sports instrument
CA2848283A1 (en) Skating training a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