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588B1 -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확대 방법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확대 방법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588B1
KR101389588B1 KR1020070094955A KR20070094955A KR101389588B1 KR 101389588 B1 KR101389588 B1 KR 101389588B1 KR 1020070094955 A KR1020070094955 A KR 1020070094955A KR 20070094955 A KR20070094955 A KR 20070094955A KR 101389588 B1 KR101389588 B1 KR 101389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image
enlarged
display screen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9596A (ko
Inventor
원세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70094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588B1/ko
Publication of KR20090029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8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visually impaired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확대를 위한 방법은 소정의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일부를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로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소정의 확대 비율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시력이 좋지 않거나, 시력이 약한 노약자 또는 장애인들도 이미지/텍스트 확대 방법이 쉽고 간단하여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확대함으로써 정확한 확인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메일, 단문 메시지, 이미지, 텍스트, 확대

Description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확대 방법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METHOD OF ZOOMING-IN IMAGE OR/AND TEXT AND MOBILE TELEPHO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확대 방법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확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확대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확대 방법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처리 장치 중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종래에는 단순한 음성 통화 수단이었으나, 현재는 DMB, MP3, 카메라, 게임까지 다양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시 편리하기 위해 점점 소형화가 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에 따라 상대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 크기는 작아지고 있다.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는 작은 액정에 디스플레이된 내용을 확대하기 위해 ‘줌’기능을 도입하였지만, ‘줌’기능은 정지영상 및 동영상과 같은 영상파일의 확대에만 한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메뉴, 메일 또는 단문메시지와 같이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가 구비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경우, 제한된 액정 공간에 다수의 문자가 입력되므로 소형의 액정에 생성된 다수의 문자를 확인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더욱이 시력이 나쁜 사람, 노약자 또는 장애인들의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액정과 가까이 위치해야만 확인이 가능하여,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크기를 확대시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수 있는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확대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크기를 확대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확대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소정의 입력키들을 구비한 키입력부와, 사용자에게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일부를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로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소정의 확대 비율로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확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에서 일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키입력부는 확대 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대 기능키의 입력신호를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추출부와 상기 확대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대 기능키의 연속적인 입력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확대 비율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텍스트의 공백/새줄/탭을 기준으로 확대 대상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텍스트의 소정의 바이트 수를 기준으로 확대 대상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추출부는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변경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확대를 위한 방법은 소정의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상기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일부를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소정의 확대 비율로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확대를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상기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일부를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로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의 공백/새줄/ 탭을 기준으로 상기 확대 대상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상기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일부를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로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의 소정의 바이트 수를 기준으로 확대 대상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상기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일부를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로 추출하는 단계는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변경하여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추출된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소정의 확대 비율로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확대 비율이 변경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확대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이 소형화됨에 따라 이미지/텍스트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졌지만, 이미지/텍스트의 확대가 가능하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시력이 좋지 않거나, 시력이 약한 노약자 또는 장애인들도 이미지/텍스트를 확대함으로써 정확한 확인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화질이 좋지 않은 경우에도 확대하여 정확한 확인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이미지/텍스트의 확대 방법이 쉽고 간단하여, 노약자 또는 소인의 사용에도 유용하다.
또한, 사용자의 키 조작으로 확대 유무를 지정할 수 있고, 확대 비율을 지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처리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개인휴대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등과 같은 다른 휴대용 단말기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키입력부(110), 제어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키입력부(110)는 다수의 입력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입력키는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일부를 확대하기 위한 확인, 취소, 통화, 종료, 메뉴, Zomm 또는 확대등의 다수의 기능키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3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에서 일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 는 선택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는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향키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에 구비된 숫자와 상응하는 숫자키를 입력하여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과 프로그램 코트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추출부(122) 및 확대부(124)를 구비할 수 있으며, 확대 기능키의 입력신호를 키입력부(110)로부터 수신하여 추출부(122)와 제어부(120)의 동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추출부(122)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일부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데, 텍스트를 추출할 경우에는 공백/새줄/탭을 기준으로 확대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으며, 소정의 바이트 수를 기준으로 확대 텍스트를 추출할 수도 있다.
추출부(122)는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변화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이미지 형태로 추출하여 사용자가 직접 확대 비율을 조절 할 수도 있다.
확대부(124)는 추출부(122)로부터 추출된 확대용 텍스트를 소정의 비율로 확대하여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전계발광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와 같은 표시장치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멀티미디어의 컨텐츠를 이용할 때 현재의 상 태를 화면에 표시해준다.
또한, 소정의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부(122)로부터 추출된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가 소정의 비율로 확대된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송수신부, 저장부, 오디오 처리부,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송수신부는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고주파 신호를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20)에 제공하며, 저장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바이스 프로그램 및 운영 프로그램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무선송수신부로 제공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로 전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확대하기 위한 방법을 타나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텍스트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예를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텍스트외에도 이미지 또는 정지영상과 같은 영상파일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텍스트 및 이미지로 구성된 각 메뉴 또는 하위메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정의 텍스트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단계 S110). 상기 텍스트는 한글, 알파벳, 숫자, 한자 또는 특수문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의 텍스트로 구성된 단문 메시지, 메 일 또는 일정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기초하여 소정의 확대 대상 텍스트를 추출한다(단계 S120).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미지의 형태로 추출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응되는 스크린 버퍼에서 추출한 후에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할 수 있으며, 확대 텍스트의 일부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문자만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의 추출은 소정의 규칙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텍스트는 한줄에 16바이트(한글8자)를 표시하는 규정은 그대로 준수하지만 공백/새줄/탭을 기초하여 구분하며 상기 규정에 기초한 문자만을 추출할 수 있다. 공백으로 구분하는 경우에는 단어간 공백이 생성되기 전까지의 단어가 추출되며, 새줄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문장에서 화면의 줄이 바뀌기 전까지의 문장이 추출될 수 있다. 또한, 탭은 탭영역에 속하는 글자수만큼 추출될 수 있으며, 소정의 바이트 수를 기준으로 4~5글자씩 추출할 수도 있다.
도 3을 예를들면, 텍스트로 구성된 단문 메시지가 표시된 상태(S210)에서 공백을 기초로 하여 문자를 추출할 수 있다. 단문 메시지 내용이 “오늘도 좋은하루 항상 행복하길 바랍니다”일 경우, ‘오늘도’(S220),‘좋은하루’(S230),‘항상’(S240),‘행복하길’(S250), ‘바랍니다’(S260)와 같이 공백이 생성되기 전까지의 문자별로 추출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추출한 확대 대상 텍스트를 소정의 비율로 확대 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단계 S130).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확대 텍스트는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 간격으로 추출되는 텍스트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규칙은 공백/새줄/탭 또는 바이트 수에 상응하는 문자 추출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소정 시간 간격은 소정 규칙에 따라 추출되는 문자간 이동 시간이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응되는 스크린 버퍼에서 미리 추출하여 이미지 형태로 추출된 확대 텍스트의 경우, 키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확대 비율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조절한 확대 비율과 상응하는 크기로 텍스트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 텍스트를 확대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소정의 수신 단문메시지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키입력부(110)의 소정의 기능키가 선택될 수 있다(S410).
상기 기능키는 ‘Zoom’ 또는 ‘확대’키로 생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기능키가 선택되면, 현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확대 대상 텍스트가 이미지의 형태로 추출되어, 상기 확대 대상 텍스트를 확대할 수 있다. 상기 확대 대상 텍스트가 확대되는 크기는 상기 기능키의 입력수에 기초하여 초기에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텍스트의 두배 내지 세배 이상 확대될 수 있으며, 키입력부(110)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확대 텍스트의 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다(S42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가 확대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문 메시지가 표시된 상태(S210)에서 소정 시간에 따라 확대 텍스트 영역이 이동된다.
상기 소정 시간이 사용자에 의해 ‘0’초로 설정된 경우에는 쉼없이 전체 텍스트를 읽을 수 있으며, 키입력부(110)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확대 텍스트의 영역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확대 텍스트는 소정의 위치에 확대창으로 따로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단문 메시지의 경우, 한줄에 16바이트(한글8자)를 표시하는 규정은 그대로 준수하지만 공백/새줄/탭을 기초하여 단어로 구분하여 상기 규정에 기초한 문자만을 크게 확대창에 생성할 수도 있다.
수신된 메일 또는 단문메시지의 경우에는 띄어쓰기가 되지 않은 경우가 발생되기 때문에, 문자가 확대되여 확인할 수 있는 글자수는 4~5글자 이하로 영역을 제한 할 수 있다.
상기의 시간간격이 크게 설정되어 문자간 이동 시간이 느리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사용자는 방향키를 이용하여 문자간 이동을 빠르게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동으로 확대 기능을 진행시킬 수 있으며, 자동으로 확대 기능이 진행 중인 경우에도 수동으로 문자 확대 이동을 할 수 있다(S220~260).
또한,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확대 기능의 설정을 해제하고, 각 메뉴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별로 구비하고 있는 ‘확대’기능키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경우에만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확대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의 확대 방법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메뉴 리스트에 표시된 텍스트의 경우, 상기 도 3과 같이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구성된 확대 텍스트가 자동으로 확대되는 것과 달리, 사용자가 소정의 기능키를 선택함으로써 확대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기능키가 선택되면, 소정의 텍스트를 확대할 수 있다. 예를들어, 커서의 위치가 “MP3”에 위치할 때 기능키를 선택하면, “MP3” 텍스트를 추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S320).
현재 확대 기능이 실행 중인 확대 대상 텍스트 외의 텍스트를 확대하고자 하는 경우, 방향키를 이용하여 커서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커서의 위치에 상응하는 확대 대상 텍스트를 확대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시간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확대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확대하기 위한 방법을 타나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가 확대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의 확대 방법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 텍스트를 확대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키입력부 120: 제어부
122: 추출부 124: 확대부
130: 디스플레이부

Claims (13)

  1. 소정의 입력키들을 구비한 키입력부;
    사용자에게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신호의 연속적인 입력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확대 비율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일부를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로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상기 확대 비율로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확대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에서 일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확대 기능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대 기능키의 입력신호를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추출부와 상기 확대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텍스트의 공백/새줄/탭을 기준으로 확대 대상 텍스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텍스트의 소정의 바이트 수를 기준으로 확대 대상 텍스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변경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소정의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상기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일부를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확대 비율을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확대 비율은 사용자의 확대 요청 신호의 연속적인 입력횟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확대를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상기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일부를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로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의 공백/새줄/탭을 기준으로 상기 확대 대상 텍스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확대를 위한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상기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일부를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로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의 소정의 바이트 수를 기준으로 확대 대상 텍스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확대를 위한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상기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일부를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로 추출하는 단계는,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확대 대상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를 변경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확대를 위한 방법.
  13. 삭제
KR1020070094955A 2007-09-18 2007-09-18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확대 방법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 KR101389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955A KR101389588B1 (ko) 2007-09-18 2007-09-18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확대 방법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955A KR101389588B1 (ko) 2007-09-18 2007-09-18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확대 방법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596A KR20090029596A (ko) 2009-03-23
KR101389588B1 true KR101389588B1 (ko) 2014-04-29

Family

ID=40696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955A KR101389588B1 (ko) 2007-09-18 2007-09-18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확대 방법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5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5791B2 (en) 2010-06-18 2012-11-20 Nokia Co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mart zooming of a geographic represent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971B1 (ko) * 2006-01-20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미지 데이터 확대 표시방법
KR20070049262A (ko) * 2005-11-08 2007-05-1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확대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9262A (ko) * 2005-11-08 2007-05-1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확대 표시 방법
KR100691971B1 (ko) * 2006-01-20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미지 데이터 확대 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596A (ko) 2009-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59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font size of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09144924A1 (ja) 覗き見防止機能付き携帯端末
US20070004461A1 (en) Terminal with messaging application
EP2482171A1 (en) Input receiving device, input receiv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18530015A (ja) テキスト選択方法及び装置
TWI529600B (zh) 輸入裝置、輸入方法及相關聯電腦可讀媒體
JP2005339017A (ja) 電子機器
US200701566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60164398A1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JP2007312360A (ja) ディスプレイ機能を持つボタンを備えた端末機及びそのためのディスプレイ方法
US8188980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r numbers in mobile terminal
EP1838099A1 (en) Image-based communication methods and apparatus
KR20150119834A (ko) 웹페이지 조정 방법 및 장치와 전자 장치
KR101389588B1 (ko) 이미지 또는/및 텍스트의 확대 방법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
CN108536653A (zh) 一种输入方法、装置和用于输入的装置
KR10060595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 문자 디스플레이 방법
KR10075774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CN110580126B (zh) 一种虚拟键盘和基于虚拟键盘的输入方法
US20070049268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a character input in a portable terminal
JP2002051121A (ja) 移動体通信端末装置
KR2005001589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표시 방법
KR20030031737A (ko) 이동 통신 단말의 문자 디스플레이 방법
KR20030091069A (ko) 문자크기 조절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474414B1 (ko) 타임라인 기반의 대화 문자함 및 이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표시장치 및 방법
KR100761807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