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437B1 -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 - Google Patents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437B1
KR101389437B1 KR1020120073202A KR20120073202A KR101389437B1 KR 101389437 B1 KR101389437 B1 KR 101389437B1 KR 1020120073202 A KR1020120073202 A KR 1020120073202A KR 20120073202 A KR20120073202 A KR 20120073202A KR 101389437 B1 KR101389437 B1 KR 101389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let
heat collecting
pipe porti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586A (ko
Inventor
김범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강남에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강남에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강남에너텍
Priority to KR1020120073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437B1/ko
Publication of KR20140005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10/00Solar heat collectors using working fluids
    • F24S10/70Solar heat collectors using working fluids the working fluids being conveyed through tubular absorbing conduits
    • F24S10/74Solar heat collectors using working fluids the working fluids being conveyed through tubular absorbing conduits the tubular conduits are not fixed to heat absorbing plates and are not touching each other
    • F24S10/748Solar heat collectors using working fluids the working fluids being conveyed through tubular absorbing conduits the tubular conduits are not fixed to heat absorbing plates and are not touching each other the conduits being otherwise bent, e.g. zig-za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4Heat exchang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에 있어서, 출수관(30)과 입출관을 수평으로 형성하여 집열몸체(10)의 상부 측에 구비하고, 출수관(30)과 입출관 중 출수관(30)을 입수관(20)의 상측에 형성되게 구성하여서, 모든 집열관(40)에서의 열매체 순환이 고르게 이루어져 전체적이고 균일한 흡열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고온열매체의 출수가 원활하도록 한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1)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Flat solar panels}
본 발명은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에 있어서, 출수관과 입출관을 수평으로 형성하여 집열몸체의 상부 측에 구비하고, 출수관과 입출관 중 출수관을 입수관의 상측에 형성되게 구성하여서, 모든 집열관에서의 열매체 순환이 고르게 이루어져 전체적이고 균일한 흡열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고온열매체의 출수가 원활하도록 함을 목적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평 태양열 집열판은 평판형의 집열몸체에 집열관을 배열하고 상기 집열관에 물과 같은 열매체를 순환시켜 태양 복사열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은 판상의 집열몸체와, 상기 집열몸체에 상부측에 구비되는 출수관과 집열몸체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입수관과 상기 입수관과 출수관 사이에 등 간격으로 배열 구비되는 집열관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은 하부를 통하여 물과 같은 열매체를 공급하게 되면 태양 복사열에 의하여 상승 유동되어 상부측에 구비된 출수관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은 하부의 입수관에 유입된 열매체가 입구 측에 근접한 집열관을 통하여 모두 유입되어서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어 전체적이고 효율적인 집열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이 고른 집열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에 있어서, 출수관과 입출관을 수평으로 형성하여 집열몸체의 상부 측에 구비하고, 출수관과 입출관 중 입수관)의 상측에 형성되게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에 있어서, 출수관과 입출관을 수평을 이루어게 하여 집열몸체의 상부 측에 구비함으로써 각 입출관으로 유입된 열매체가 자중 하강 유동 되었다가 복사열에 의하여 대류 상승 배출되어 집열관에서의 열매체 유동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모든 집열관에서 전체적이고 균일하게 집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판상의 집열몸체(10)와, 상기 열매체가 입수되는 입수관(20)과, 열매체가 출수되는 출수관(30) 및 상기 입수관(20)과 출수관(30) 사이에 등 간격으로 배열 구비되는 집열관(40)으로 이루어진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1)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20)과 출수관(30)을 집열몸체(10)의 상부 측에 수평으로 구비하고, 상기 입수관(20)과 출수관(30) 중 출수관(30)이 입수관(20)의 상측에 위치되게 구성하며, 집열관(40)은 입수관(20)에서 하부 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입수하강관부(41)와, 상기 입수하강관부(41)의 단부 측에서 유자로 방향 전환되어 출수관(30)에 연결되는 가열대류상승관부(42)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집열몸체(10)는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도 4와 같이 가열대류상승관부(42)와 입수하강관부(41)를 교차반복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가열대류상승관부(42)는 입수관(20)에 상하로 관통 형성한 상승관 관통부(21)를 관통하여 출수관(30)에 결합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상기 입수하강관부(41)는 가열대류상승관부(42)보다 통수저항이 적게 입수하강관부(41)의 통수단면적이 가열대류상승관부(42)의 통수단면적보다 크게 형성한 것이다.
또한, 도 6와 같이 상기 가열대류상승관부(42)는 열매체가 대류 상승 유동되게 입수하강관부(41)보다 집열면적을 크게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입수하강관부(41)는 집열에 의한 대류 상승 유동을 최소화 할 수 있게 진원 또는 상하로 장직경부를 형성하는 수직타원관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열대류상승관부(42)는 집열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게 수평방향으로 장직경을 이루는 수평타원관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와 같이 상기 가열대류상승관부(42)는 상, 하부 측의 열매체가 믹싱 순환되게 트위스트관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1)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20)과 출수관(30)을 집열몸체(10)의 상부 측에 수평으로 구비하고, 상기 입수관(20)과 출수관(30) 중 출수관(30)이 입수관(20)의 상측에 위치되게 구성하며, 집열관(40)은 입수관(20)에서 하부 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입수하강관부(41)와, 상기 입수하강관부(41)의 단부 측에서 유자로 방향 전환되어 출수관(30)에 연결되는 가열대류상승관부(42)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입수관(20)을 통하여 유입된 열매체가 입수하강관부(41)를 통하여 하강 유동되며 태양 복사열에 의하여 서서히 가열이 이루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입수하강관부(41)를 통하여 유동된 열매체는 하부 유턴관에서 상부 측으로 연장되어 출수관(30)으로 연결된 가열대류상승관부(42)에서 태양 복사열에 의하여 가열되어서 상승 유동되어서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 상승되어 출수관(30)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입수관(20)에 상승관 관통부(21)를 형성하고, 상기 상승관 관통부(21)로 가열대류상승관부(42)이 관통되게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집열몸체(10)의 두께가 최소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입수하강관부(41)의 통수단면적으로 가열대류상승관부(42)보다 크게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입수관(20)으로 유입된 열매체가 집열관(40)의 입수하강관부(41)로 하강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열대류상승관부(42)의 집열면적을 입수하강관부(41)보다 크게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입수하강관부(41)에서 복사열 가열에 의하여 발생한 열매체의 대류 상승력보다 강려대류상승관부에서의 열매체 대류 상승력이 상대적으로 커 집열관(40)체에서의 열매체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열대류상승관부(42)를 트위스트관으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태양 복사열에 의하여 상승되는 열매체가 고르게 믹싱되어 상승 유동되게 되는 것이다.
1 : 태양열 집열판 10 : 집열몸체
20 : 입수관 21 : 상승관 관통부
30 : 출수관 40 : 집열관
41 : 입수하강관부 42 : 가열대류상승관부

Claims (5)

  1. 등 간격으로 배열 구비되는 집열관으로 이루어진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20)과 출수관(30)을 집열몸체(10)의 상부 측에 구비하고, 상기 입수관(20)과 출수관(30) 중 출수관(30)이 입수관(20)의 상측에 위치되게 구성하며,
    집열관(40)은 입수관(20)에서 하부 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입수하강관부(41)와, 상기 입수하강관부(41)의 단부 측에서 유자로 방향 전환되어 출수관(30)에 연결되는 가열대류상승관부(42)로 구성되는 집열몸체(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열몸체(10)는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가열대류상승관부(42)와 입수하강관부(41)를 일렬로 교차반복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가열대류상승관부(42)는 입수관(20)에 상하로 관통 형성한 상승관 관통부(21)를 관통하여 출수관(30)에 결합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하강관부(41)는 가열대류상승관부(42)보다 통수저항이 적게 입수하강관부(41)의 통수단면적이 가열대류상승관부(42)의 통수단면적보다 크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하강관부(41)는 집열에 의한 대류 상승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게 진원 또는 상하로 장직경부를 형성하는 수직타원관으로 형성하며,
    상기 가열대류상승관부(42)는 집열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게 수평방향으로 장직경을 이루는 수평타원관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대류상승관부(42)는 상, 하부 측의 열매체가 믹싱 순환되게 트위스트관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

KR1020120073202A 2012-07-05 2012-07-05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 KR101389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202A KR101389437B1 (ko) 2012-07-05 2012-07-05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202A KR101389437B1 (ko) 2012-07-05 2012-07-05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586A KR20140005586A (ko) 2014-01-15
KR101389437B1 true KR101389437B1 (ko) 2014-04-25

Family

ID=50140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202A KR101389437B1 (ko) 2012-07-05 2012-07-05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4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678B1 (ko) * 1987-11-05 1990-11-26 이유신 캐리어가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주행하는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
KR100704750B1 (ko) 2004-03-10 2007-04-10 학교법인 인하학원 복합식 진공관형 태양열 집열기
KR101216194B1 (ko) 2011-02-28 2012-12-27 제인상사(주) 창호일체형 태양열집열기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678B1 (ko) * 1987-11-05 1990-11-26 이유신 캐리어가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주행하는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
KR100704750B1 (ko) 2004-03-10 2007-04-10 학교법인 인하학원 복합식 진공관형 태양열 집열기
KR101216194B1 (ko) 2011-02-28 2012-12-27 제인상사(주) 창호일체형 태양열집열기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586A (ko)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45016B (zh) 一种可提高热水出水率的储水式热水器
US8474446B1 (en) Solar collector
KR101389437B1 (ko) 평판형 태양열 집열판
CN202598849U (zh) 热水器水箱用消能装置
CN104295058B (zh) 一种速热型地暖地板
CN202813786U (zh) 热水器水箱用消能装置
AT511289B1 (de) Wärmespeicher
KR101767152B1 (ko) 축열 탱크
CN201181114Y (zh) 循环式自然对流高效太阳能热水器
CN113550877B (zh) 一种颗粒吸热器及太阳能发电系统
CN205860813U (zh) 一种高效散热暖气片
KR101226630B1 (ko) 고효율 전기 보일러
CN107940737B (zh) 一种干式无翅片扰流热交换装置
KR102169394B1 (ko) 무공집열평판형 태양열 공기 가열기
KR101224229B1 (ko) 열매체 직접 가열식 이중 진공관 집열기
CN101070998A (zh) 一种集热器阵列流体流动均匀化的方法
CN205784481U (zh) 一种加热及烘烤装置
WO2014112791A1 (ko) 난방수 가열방식을 이용한 온수 겸용 전기보일러
KR102080600B1 (ko) 유체 흐름의 제어가 가능한 매니폴드
RU168720U1 (ru) Опорно-дистанционирующая решетка
KR101838011B1 (ko) 난방 시스템
CN201974071U (zh) 一种对流型散热器
CN203723915U (zh) 带防爆体的高传热分系数石英加热管
CN203964136U (zh) 成段式散热器及其分段
CN203980669U (zh) 一种带导流装置的联箱式真空管太阳能集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