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161B1 - 감자칼용 커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감자칼용 커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161B1
KR101389161B1 KR1020120138976A KR20120138976A KR101389161B1 KR 101389161 B1 KR101389161 B1 KR 101389161B1 KR 1020120138976 A KR1020120138976 A KR 1020120138976A KR 20120138976 A KR20120138976 A KR 20120138976A KR 101389161 B1 KR101389161 B1 KR 101389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potato
blade
discharge hol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6141A (ko
Inventor
정동환
Original Assignee
정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환 filed Critical 정동환
Priority to KR1020120138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161B1/ko
Publication of KR20130016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7/00Household peeling, stringing, or paring implements or machines
    • A47J17/02Hand devices for scraping or peeling veget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2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by peeling-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자칼용 커터의 제조방법에 관련된다.
구성의 특징으로는 감자칼의 Y형 자루 끝 양측 내부에 구비된 힌지요홈에 끼워져 스토퍼에 의해 약간의 회전 및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되는 커터를 제조함에 있어서,
얇은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되, 제1단계는 양측에 힌지편이, 그리고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사각장공 형태의 배출구멍이 구비됨과 동시에 선단에는 연장부가 구비되게끔 평판형 커터지지플레이트로 성형하고, 2단계에서는 상기 연장부 중앙에 날끝이 배출구멍 쪽을 향하도록 커터날을 놓고 연장부 끝 부분을 절첩시켜 커터날을 고정하며, 3단계에서는 상기 2단계에서 형성된 커터를 측면에서 볼 때 배출구멍의 중심을 기준으로 5∼15°정도 상향 절곡시킴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만곡진 형태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감자칼용 커터는 커터날 끝이 예리한데다가 전체적으로 둥글게 형성됨으로서 절삭면적이 커서 감자를 비롯한 둥근 야채나 과일을 깎을 때 매우 신속 간편하게 깎을 수 있음은 물론 껍질이 얇게 깎이게 되어 채소류의 손실을 줄이게 되는 등의 효과가 따른다.

Description

감자칼용 커터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utter for a potato knife}
본 발명은 감자칼용 커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터 날을 면도칼로 이용하되
Figure 112013501253857-pat00012
형으로 만곡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감자칼은 선단 내부 양측에 커터의 양끝을 지지하도록 된 Y형 자루와, 상기 Y형 자루의 선단에 유동이 가능하게끔 끼워지는 커터로 구성된다.
또, 상기 커터는 장방형의 사각판체로서 측면에서 볼 때 5∼25°정도 상향 절곡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절곡부위의 장공의 내부 일측에 날이 가공 형성된다.
특히 상기 장공은 감자 또는 고구마 등을 깎는 과정에서 껍질이 일정한 두께 이상으로 깎이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함과 장공을 통해 안정적으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감자칼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즉, 종래의 감자칼은 커터의 날 부분이 일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동시에 커터동체 자체를 가공하여 날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날끝을 세우기 위한 작업에 따른 시간과 번거로움이 과다하게 소요될 수밖에 없었으며, 또, 감자나 고구마 등을 비롯하여 둥근 야채나 과일의 껍질을 깎을 때 상대적으로 접촉면이 적어 시간이 과다 소요되는 폐단이 따르게 되고, 또, 껍질이 두껍게 깎이게 되는 등의 폐단이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또, 날이 쉽게 마모되어 오래 사용하지 않더라도 껍질을 깎을 때 힘이 많이 들게 되며, 깎인면 또한 깔끔하지 못한 폐단도 따르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칼날의 날 부분이 일직선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다가 오래 가지 않아 쉽게 날 끝이 무뎌지게 되고, 더불어 감자나 고구마 등의 야채가 둥근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인 것이며, 따라서 감자를 깎기 위해 칼질을 반복하는 횟수가 많아져서 노동력이 크게 손실되게 되고, 칼날이 감자 표면에 깊이 들어가게 되는 폐단이 따르게 되어 감자 등의 야채 손실도 많아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특히 감자칼용 커터를 제조 구성함에 있어서, 커터날을 면도칼과 같은 예리한 칼날로 이용함과 동시에 만곡 형성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껍질을 보다 더 얇고, 보다 더 신속정확하게 깎을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감자칼의 자루(1) 선단 양측 내부에 구비된 힌지요홈(13)에 끼워져 스토퍼(12)에 의해 약간의 회전 및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되는 커터를 제조함에 있어서,
삭제
제1단계 공정에서는 양측부에 힌지편(21)이, 그리고 일 측에 사각의 배출구멍(22)과 타 측에 연장부(23)가 구비되게끔 평판형의 지지플레이트(2")를 형성하고,
제2단계 공정에서는 상기 연장부(23)에 날 끝(24')이 배출구멍(22) 쪽을 향하도록 커터날(24)을 놓은 상태에서 연장부(23) 끝 부분을 절첩시켜 커터날(24)을 고정시켜 커터(2')를 형성하며,
제3단계 공정에서는 상기 2단계 공정에서 형성된 커터(2')를 측면에서 볼 때 배출구멍을 중심으로 "
Figure 112013501253857-pat00006
" 형으로 절곡시킴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하여 감자칼용 커터(2)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감자칼용 커터는 커터날 끝이 예리한데다가 전체적으로 둥글게 형성됨으로서 절삭면적이 커서 감자를 비롯한 둥근 야채나 과일을 깎을 때 매우 신속 간편하게 깎을 수 있음은 물론 껍질이 얇게 깎이게 되어 채소류의 손실을 줄이게 되는 등의 많은 효과가 따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커터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커터에 대한 종단면예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커터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4는 종 단면예시도이다.
도1∼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커터날을 공지의 면도칼로 구성함으로서 감자, 고구마 등의 야채나 사과 배 등의 과일의 껍질을 깎을 때 보다 더 원활하게 깎을 수 있게 하고, 더불어 절삭면적이 커서 신속하게 깎을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도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감자칼의 자루(1) 끝 양측 내부에 구비된 힌지요홈(13)에 끼워져 스토퍼(12)에 의해 약간의 회전 및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되는 커터를 제조함에 있어서,
삭제
양 측에 힌지편(21)이 그리고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사각장공으로 된 배출구멍(22)이 구비됨과 동시에 선단에는 연장부(23)가 구비되게끔 평판형으로 커터지지플레이트(2")를 성형하는 제1단계 공정과,
상기 커터지지플레이트(2")의 연장부(23) 중앙에 날 끝이 배출구멍(22) 쪽을 향하도록 커터날(24)을 놓고 연장부(23) 끝 부분을 절첩시켜 커터날(24)을 날 끝 부분만 노출되도록 고정시킴으로서 커터(2')를 형성하는 제2단계 공정,
그리고, 상기 2단계에서 형성된 커터(2')를 측면에서 볼 때 배출구멍 중심을 기준으로 "
Figure 112013503389815-pat00013
" 형으로 절곡 형성함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만곡진 형태인
Figure 112013503389815-pat00014
형으로 절곡시키는 제3단계 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고안은 커터날(24)을 공지의 면도칼을 이용함으로서 날끝(24')을 가공하는 공정이 전혀 불 필요함과 동시에 커터날(24)의 수명이 길어지면서 잘 들게 된다.
특히 연장부(23)는 커터날(24)을 감싸 지지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기에, 커터날(24)을 "
Figure 112013501253857-pat00009
"형으로 만곡 유지시키게 되며, 따라서 만곡 형성된 커터날(24)에 의해 깎고자 하는 야채류에 관계없이 매우 부드럽고 원활하게 또, 더욱 얇고 깔끔하게 깎을 수 있어 야채의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되는 등의 특징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효율성과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 자루 2, 2' : 커터 2" : 커터지지플레이트
12 : 스토퍼 13 : 힌지요홈 21 : 힌지편
22 : 배출구멍 23 : 연장부 24 : 커터날
24' : 날끝

Claims (1)

  1. 감자칼의 자루 선단 양측 내부에 구비된 힌지요홈에 끼워져 스토퍼에 의해 약간의 회전 및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되는 감자칼용 커터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감자칼용 커터를
    양측에 힌지편(21)이 그리고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사각장공으로 된 배출구멍(22)이 구비됨과 동시에 선단에는 연장부(23)가 구비되게끔 평판형으로 커터지지플레이트(2")를 성형하는 제1단계 공정과,
    상기 커터 지지플레이트(2")의 연장부 중앙에 날끝(24')이 배출구멍(22) 쪽을 향하도록 커터날(24)을 놓고 연장부(23) 끝 부분을 절첩시켜 커터날(24)을 지지 고정하게 함으로서 커터(2')를 형성하는 제2단계 공정과,
    상기 2단계 공정에서 형성된 커터(2')를 측면에서 볼 때 배출구멍(22) 중심을 기준으로 "
    Figure 112013501253857-pat00010
    " 형으로 절곡시킴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Figure 112013501253857-pat00011
    형으로 만곡 형성하여 커터(2)를 완성하는 제3단계 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칼용 커터의 제조방법.
KR1020120138976A 2012-11-30 2012-11-30 감자칼용 커터의 제조방법 KR101389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976A KR101389161B1 (ko) 2012-11-30 2012-11-30 감자칼용 커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976A KR101389161B1 (ko) 2012-11-30 2012-11-30 감자칼용 커터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7096U Division KR20100001447U (ko) 2009-12-29 2009-12-29 감자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141A KR20130016141A (ko) 2013-02-14
KR101389161B1 true KR101389161B1 (ko) 2014-04-24

Family

ID=4789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976A KR101389161B1 (ko) 2012-11-30 2012-11-30 감자칼용 커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1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386Y1 (ko) * 2005-12-26 2006-04-20 박승복 감자칼
KR200426623Y1 (ko) * 2006-06-12 2006-09-19 정동환 감자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386Y1 (ko) * 2005-12-26 2006-04-20 박승복 감자칼
KR200426623Y1 (ko) * 2006-06-12 2006-09-19 정동환 감자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141A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4559B2 (ja) 一体型かみそり刃及びこれを利用したカミソリカートリッジ
US8869408B2 (en) Bag cutter and piercer
CN203854021U (zh) 办公用剪刀
US9578991B2 (en) Open hole cutter/grater
US20170325615A1 (en) Kitchen utensil
CA2849834A1 (en) Anti-stick knife blade
KR20090007796U (ko) 다용도 칼
US9744681B2 (en) Knife and scissors provided with protection means
US10085583B2 (en) Cooking device with corrugated blade, cooking method, and food
KR101389161B1 (ko) 감자칼용 커터의 제조방법
CN105690431A (zh) 一种指套式刮胡刀
US20190255717A1 (en) Knife blade and method for making same
CN104108108B (zh) 一种双刃菜刀
JP3151055U (ja) 押し切り安全手動刃物
CN207448534U (zh) 一种多功能快速光头剪装置
KR200486301Y1 (ko) 식품 및 피혁 절단기용 절단칼
CN210139418U (zh) 斩切两用菜刀
US20150273707A1 (en) Filleting Knife Blade
CN219294033U (zh) 一种防割刀片以及剃刀
JP3191820U (ja) パン切用ナイフ
CN210610840U (zh) 切面刀具
KR20100001447U (ko) 감자칼
KR200426623Y1 (ko) 감자칼
CN209408756U (zh) 三刃刀具
CN208287056U (zh) 一种脐带分离用剪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