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510B1 -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자동 유로 전환 밸브 - Google Patents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자동 유로 전환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510B1
KR101388510B1 KR1020130058171A KR20130058171A KR101388510B1 KR 101388510 B1 KR101388510 B1 KR 101388510B1 KR 1020130058171 A KR1020130058171 A KR 1020130058171A KR 20130058171 A KR20130058171 A KR 20130058171A KR 101388510 B1 KR101388510 B1 KR 101388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valve body
storage tank
inle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승채
Original Assignee
전승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승채 filed Critical 전승채
Priority to KR1020130058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510B1/ko
Priority to PCT/KR2013/011775 priority patent/WO201410464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2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lique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6/00Methods and apparatus for filling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2Safety valves or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38Pressure reg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자동 유로 전환 밸브에 있어서 : 액상의 액화가스가 유입되는 제1액상 입구와, 상기 제1액상 입구와 연통되는 제1액상 입구실과, 기상의 액화가스가 유입되는 제2기상 입구와, 상기 제1액상 입구실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기화용 출구실과,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과 연통되는 제1기화용 출구와,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과 상기 제2기상 입구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과 연통되는 제2기상 입구실과, 상기 제1액상 입구실의 하부에 형성되는 보조통로실과, 상기 보조통로실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복귀용 출구실과, 상기 제2복귀용 출구실과 연통되는 제2복귀용 출구와,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과 연통되는 스프링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밸브 본체 ; 상기 스프링실에 마련되는 메인탄성체 ; 상기 스프링실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탄성체의 하방향 압력과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의 압력 차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압력 차이 감지부 ; 상단이 상기 압력 차이 감지부에 고정되되 하단이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까지 연장되며 상기 압력 차이 감지부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메인 로드 ; 상단이 상기 메인 로드에 고정되며 하단이 상기 보조통로실까지 연장되어 상기 메인 로드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되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과 상기 보조통로실을 연통시키는 보조 연통로가 내부를 따라 형성되는 한편 하부가 상기 제1액상 입구실과 상기 보조통로실간의 연통을 차단하게 되는 보조 로드 ; 상기 제1액상 입구실에 위치되며 상기 보조 로드에 고정되어 상기 보조 로드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액상 입구실과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간의 개폐를 조절하게 되는 제1밸브체 ; 상기 제1밸브체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스프링 ; 상기 제2복귀용 출구실에 위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제2스프링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탄성지지되며 상기 보조 로드의 하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보조 로드로부터 하방향의 압력을 받게 되어 상기 제2복귀용 출구실과 상기 보조통로실간의 개폐를 조절하게 되는 제2밸브체 ; 상기 제2기상 입구실에 위치되어 상기 제2기상 입구의 압력과 상기 제2기상 입구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제3스프링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상기 제2기상 입구실과 상기 제2기상 입구간의 개폐를 조절하게 되는 제3밸브체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자동 유로 전환 밸브{AUTO FLOW PATH SELECTOR VALVE FOR CRYOGENIC STORAGE TANK}
본 발명은 질소가스 혹은 천연가스와 같이 끓는점이 매우 낮은 가스를 보관할 수 있는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와 관련되는 기술이며, 특히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 내부의 기상 액화가스의 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자동 유로 전환 밸브에 관한 것이다.
끓는점이 지극히 낮은 가스는 수송이나 보관시에는 액화시킨 상태로 유지하게 되며, 이를 위해 초저온 저장탱크가 사용된다. 보통 초저온 저장탱크는 단열재로 둘러싸여져 열출입이 억제되도록 한다. 하지만 완벽하게 열출입을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초저온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는 부분적으로 기화되어 기상의 액화가스가 존재하게 되며, 이를 비오지(Boil-Off Gas, 이하 BOG라고 함)라고 한다.
초저온 저장탱크에 내부 상부에 발생되는 비오지의 압력은, 초저온 저장탱크에 채울 수 있는 액상 액화가스의 양과 반비례하는 관계이므로, 규정된 압력 이하로 유지되도록 적절히 제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보통 특정 압력 이상이 되면 기상의 액화가스를 배출시켜서 재 액화한 후 초저온 저장탱크로 되돌려 보내거나, 기상의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806569호의 "LNG BOG 재액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이 있으며, LNG 운반선의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BOG)를 재액화하도록 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첨부되는 도 1은 종래기술로서 초저온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로부터 발생되는 BOG의 처리장치를 보여준다.
상하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수직으로 세워진 초저온 저장탱크(10)가 마련되며, 초저온 저장탱크(10) 내부에 일정 수위 이하로 액상의 액화가스가 저장된다. 초저온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액화가스로는 N2 가스를 예로 들 수 있다.
액화질소는 대기 압력하에서 -196℃에서 액체로 존재하게 된다.
초저온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상의 액화가스를 필요시 배출시켜서 사용하기 위한 제1배출관(20)이 마련되며, 제1배출관(20)에는 기화기(40)가 연결된다.
아울러 기화된 기상의 액화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2배출관(30)이 마련된다.
제2배출관(30)에는 초저온 저장탱크(10)의 내부 압력이 규정치 이상이 될 때 자동적으로 기상의 액화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코노마이져(economizer)(31)가 마련된다.
이코노마이져(31)가 초저온 저장탱크(10)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개폐되기 위하여, 초저온 저장탱크(10) 측의 단부가 제1배출관(20)측의 단부보다 일정 압력 이상이 될 경우 이코노마이져(31)는 열리게 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이코노마이져(31)는 닫히게 된다.
이코노마이져(31)가 열리게 되면 기상의 액화가스가 제2배출관(30)을 통하여 유동하면서 제1배출관(20)을 거쳐 기화기(40)로 흘러나가게 된다.
한편 이코노마이져(31)가 초저온 저장탱크(10) 측의 단부와 제1배출관(20)측의 단부와의 압력차에 따라 작동하기 위하여는 제1배출관(20)이 액상 액화가스의 수위보다 높은 지점을 지나도록 하여 제1배출관(20) 내부에 액상 액화가스의 수위에 해당하는 지점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을 가진 부위가 나타나도록 설계하고 그 부위와 초저온 저장탱크(10) 측의 단부와의 압력차이에 의하여 이코노마이져(31)가 작동되도록 설계한다.
이와 같은 설계 기법에 의할 경우 이코노마이져(31)는 통상 초저온 저장탱크(10)의 상단부에 배치되어야 하나, 이는 이코노마이져(31)의 유지 보수를 어렵게 한다는 문제를 일으킨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와 같은 종래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도 2 또한 도 1과 마찬가지로 초저온 저장탱크(10), 제1배출관(20), 제2배출관(30), 이코노마이져(31), 기화기(40)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서 초저온 저장탱크(10), 제1배출관(20), 기화기(40)의 구성 및 배치는 도 1과 동일하다.
그러나 도 2에서 이코노마이져(31)는 유지 보수의 문제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지상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즉 도 1에서 이코노마이져(31)는 초저온 저장탱크(10)의 상단 위에 설치되나, 도 2에서 이코노마이져(31)는 초저온 저장탱크(10)의 하단 높이 부위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를 위하여 도 2에서 제2배출관(30)은 초저온 저장탱크(10)의 상단에서부터 시작하여 수직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후 이코노마이져(31)와 만난 후 다시 수직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1배출관(20)과 연결되는 구조이다.
도 2의 배치는 이코노마이져(31)의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배관이 매우 복잡하고 또한 길어진다는 문제를 발생시키며, 이로 인하여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 등의 잡자재가 매우 많이 설치되어야 한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초저온 저장탱크(10)의 높이를 10M라고 가정할 경우,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배관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제1배출관(20)은 초저온 저장탱크(10)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연장되는 길이 10M와, 초저온 저장탱크(1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는 길이 10M, 총 20M를 필요로 한다.
도 2에서 제1배출관(20)은 초저온 저장탱크(10)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연장되는 길이 10M와, 초저온 저장탱크(1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는 길이 10M, 총 20M를 필요로 하며, 아울러 제2배출관(30)은 초저온 저장탱크(1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는 길이 10M와, 초저온 저장탱크(10)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연장되는 길이 10M, 총 20M를 필요로 하여, 제1배출관(20)과 제2배출관(30)의 합은 40M가 된다.
즉 도 2의 배치 구조는 도 1의 배치 구조에 비하여 총 20M (40M - 20M)의 배관 길이가 더 필요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배관을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등의 잡자재 및 이를 위한 설치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아울러 도 1 및 도 2의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 이코노마이져(31)는 초저온 저장탱크(10) 측의 단부와 제1배출관(20)측의 단부와의 압력차에 따라 작동하게 되는데, 초저온 저장탱크(10) 내부에 액상 액화가스가 가득 차있을 경우 이때는 차압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어 기상 액화가스의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에도 이코노마이져(31)가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며, 또한 이코노마이져(31)가 작동하는 경우에도 기상 액화가스의 방출이 적어 압력 강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결국 안전밸브를 통하여 기상 액화가스를 대기에 배출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806569호(2008.02.18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지보수가 보다 편리하며 배관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 내부의 기상의 액화가스의 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자동 유로 전환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자동 유로 전환 밸브에 있어서 : 액상의 액화가스가 유입되는 제1액상 입구와, 상기 제1액상 입구와 연통되는 제1액상 입구실과, 기상의 액화가스가 유입되는 제2기상 입구와, 상기 제1액상 입구실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기화용 출구실과,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과 연통되는 제1기화용 출구와,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과 상기 제2기상 입구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과 연통되는 제2기상 입구실과, 상기 제1액상 입구실의 하부에 형성되는 보조통로실과, 상기 보조통로실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복귀용 출구실과, 상기 제2복귀용 출구실과 연통되는 제2복귀용 출구와,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과 연통되는 스프링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밸브 본체 ; 상기 스프링실에 마련되는 메인탄성체 ; 상기 스프링실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탄성체의 하방향 압력과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의 압력 차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압력 차이 감지부 ; 상단이 상기 압력 차이 감지부에 고정되되 하단이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까지 연장되며 상기 압력 차이 감지부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메인 로드 ; 상단이 상기 메인 로드에 고정되며 하단이 상기 보조통로실까지 연장되어 상기 메인 로드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되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과 상기 보조통로실을 연통시키는 보조 연통로가 내부를 따라 형성되는 한편 하부가 상기 제1액상 입구실과 상기 보조통로실간의 연통을 차단하게 되는 보조 로드 ; 상기 제1액상 입구실에 위치되며 상기 보조 로드에 고정되어 상기 보조 로드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액상 입구실과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간의 개폐를 조절하게 되는 제1밸브체 ; 상기 제1밸브체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스프링 ; 상기 제2복귀용 출구실에 위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제2스프링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탄성지지되며 상기 보조 로드의 하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보조 로드로부터 하방향의 압력을 받게 되어 상기 제2복귀용 출구실과 상기 보조통로실간의 개폐를 조절하게 되는 제2밸브체 ; 상기 제2기상 입구실에 위치되어 상기 제2기상 입구의 압력과 상기 제2기상 입구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제3스프링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상기 제2기상 입구실과 상기 제2기상 입구간의 개폐를 조절하게 되는 제3밸브체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3밸브체는, 제2기상 입구실의 압력과 상기 제2기상 입구의 반대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제4스프링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상기 제2기상 입구실과 상기 제2기상 입구간의 개폐를 조절하게 되는 제4밸브체 ;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체는, 상기 보조 로드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용 로드와, 상기 접촉용 로드를 상기 제2밸브체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접촉 간격 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 유로 전환 밸브가 지면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그 유지보수가 매우 편리하며, 또한 필요한 배관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배관의 길이가 최소화됨에 따라 이에 필요한 배관 지지대 등의 잡자재 및 그 설치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매우 경제적이며, 아울러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 내부의 기상의 액화가스의 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자동 유로 전환 밸브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순수하게 기상 액화가스의 압력 혹은 액상 액화가스의 압력에 따라 자동 유로 전환 밸브가 작동되며, 기상 액화가스와 액상 액화가스의 압력차이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액상 액화가스가 저장탱크에 가득 찬 경우에도 자동 유로 전환 밸브는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종래의 안전밸브를 통한 기상 액화가스의 배출 문제를 완벽히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로서 초저온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로부터 발생되는 BOG의 처리장치에 대한 개념도,
도 2는 다른 종래기술로서 초저온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로부터 발생되는 BOG의 처리장치에 대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 시스템의 개념도,
도 4는 도 3의 A-A 기준 자동 유로 전환 밸브의 개념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주요 부품 분리 단면도,
도 7은 도 3의 B-B 기준 자동 유로 전환 밸브의 개념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주요 부품 분리 단면도,
도 10은 도 5의 지시자의 평면도,
도 11은 도 3이 승압 모드인 경우의 작동도,
도 12는 도 11 상태에서의 자동 유로 전환 밸브의 A-A 기준 작동 단면도
도 13은 도 11 상태에서의 자동 유로 전환 밸브의 B-B 기준 작동 단면도
도 14는 도 3이 액상 배출 모드인 경우의 작동도,
도 15는 도 14 상태에서의 자동 유로 전환 밸브의 A-A 기준 작동 단면도
도 16은 도 14 상태에서의 자동 유로 전환 밸브의 B-B 기준 작동 단면도
도 17은 도 3이 감압 모드인 경우의 작동도,
도 18은 도 17 상태에서의 자동 유로 전환 밸브의 A-A 기준 작동 단면도,
도 19는 도 17 상태에서의 자동 유로 전환 밸브의 B-B 기준 작동 단면도,
도 20은 도 3이 내부 압력 배출 모드인 경우의 작동도,
도 21은 도 20 상태에서의 자동 유로 전환 밸브의 A-A 기준 작동 단면도,
도 22는 도 20 상태에서의 자동 유로 전환 밸브의 B-B 기준 작동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 시스템의 개념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 기준 자동 유로 전환 밸브의 개념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주요 부품 분리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B-B 기준 자동 유로 전환 밸브의 개념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주요 부품 분리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5의 지시자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패킹, 볼트, 너트 등과 같이 밸브 작동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며 매우 일반적인 부재들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저온 저장탱크 시스템은 기존의 기술보다 유지보수가 편리하며 배관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초저온 저장탱크(100)와, 제1배출관(110)과, 제2기상관(120)과, 제3배출관(130)과, 제4승압관(140)과, 자동 유로 전환 밸브(2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초저온 저장탱크(100)에 액화가스가 저장되며, 단열재로 감싸여져 있어 액화가스를 적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초저온 저장탱크(100)에 저장되는 액화가스로는 액화질소, 액화천연가스와 같은 것이며, 초저온 저장탱크(100)는 상하 방향으로 길다란 형상을 가지며, 아울러 수직으로 세워지게 배치된다.
초저온 저장탱크(100)에 액화가스는 소정의 수위만큼 저장되며, 초저온 저장탱크(100)에 저장되는 액화가스는 자연적으로 증발되어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상부에는 기상의 액화가스가 존재하게 된다. 초저온 저장탱크(100) 내부에 형성되는 기상의 액화가스에 의해 초저온 저장탱크(100)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되는데, 초저온 저장탱크 내부 압력은 적절하게 조절될 필요가 있다.
즉,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내부 압력이 제1기준값보다 높으면 감압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제2기준값보다 낮으면 승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이때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기상의 액화가스를 폐기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제1배출관(110), 제2기상관(120), 제3배출관(130), 제4승압관(140) 및 자동 유로 전환 밸브(200)를 이용하여 배관의 길이를 줄이면서도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기상의 액화가스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게 된다.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하부에 제1배출관(110)이 연결되며, 제1배출관(110)의 일단은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하부에 연결된 후 지면을 따라 연장되고, 제1배출관(110)을 통해서 액상의 액화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언급된 종래기술과 비교하면 제1배출관(110)의 길이는 획기적으로 짧아질 수 있다. 종래기술의 경우 초저온 저장탱크(100)에 저장된 액화가스의 수두압을 이용하여야 했기 때문에 제1배출관(110)을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상부로 연장한 후 다시 지면 근처로 내려야만 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하단 부위에 제1배출관(110)을 연결함으로써 제1배출관(110)이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상부로 연장된 후 다시 하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길이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내부 상측에 모이게 되는 기상의 액화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제2기상관(120) 및 제3배출관(130)이 마련된다.
제2기상관(120)의 일단이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상부에 연결된 후 지면 근처로 연장되게 배치되며, 제2기상관(120)의 타단에 제3배출관(130)의 일단이 연결된다.
제2기상관(120)은 기상의 액화가스의 유동로로서 기능하며, 아울러 제3배출관(130)은 기상의 액화가스가 배출되는 통로로서 이용된다.
한편 제2기상관(120)의 타단에 제4승압관(140)의 일단이 연결된다.
제4승압관(140)은 승압용 액화가스의 유동로로서 기능하며, 제4승압관(140)에는 보조 기화기(141)가 마련되어 액상의 액화가스를 기상의 액화가스로 기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제2기상관(120)의 타단은 분기되어 제3배출관(130)과 제4승압관(140)이 각각 연결되는 형태이다.
제1배출관(110)과 제3배출관(130)과 제4승압관(140)의 타단은 각각 자동 유로 전환 밸브(200)에 연결된다.
자동 유로 전환 밸브(200)는 두 개의 입구(201, 202)와 두 개의 출구(203, 204)를 갖는 밸브이며, 제1배출관(110)이 어느 하나의 입구인 제1액상 입구(201)와 연결되고 제3배출관(130)은 또 하나의 입구인 제2기상 입구(202)와 연결되며, 제4승압관(140)은 어느 하나의 출구인 제2복귀용 출구(204)와 연결된다.
한편 자동 유로 전환 밸브(200)의 제1기화용 출구(203)에는 메인 기화기(150)가 연결될 수 있다. 메인 기화기(150)는 저온인 액상 혹은 기상 액화가스를 적당한 온도로 가온시키기 위한 일종의 열교환기와 같은 것이다.
아울러 메인 기화기(150)의 전단에는 메인 기화기(150)로 액화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기화기용 밸브(151)가 마련된다. 기화기용 밸브(151)는 메인 기화기(150)의 유지 보수 등과 같이 메인 기화기(150)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닫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자동 유로 전환 밸브(200)는, 제1액상 입구(201)에 걸리는 압력 및 제2기상 입구(202)에 걸리는 압력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여, i) 제1액상 입구(201)와 제1기화용 출구(203)는 서로 연통되며 제1액상 입구(201)와 제2복귀용 출구(204)는 서로 연통되며 제2기상 입구(202)와 제1기화용 출구(203)는 서로간의 연통이 차단되는 승압 모드, ii) 제1액상 입구(201)와 제1기화용 출구(203)는 서로 연통되며 제1액상 입구(201)와 제2복귀용 출구(204)는 서로간의 연통이 차단되며 제2기상 입구(202)와 제1기화용 출구(203)는 서로간의 연통이 차단되는 액상 배출모드, iii) 제2기상 입구(202)와 제1기화용 출구(203)는 서로 연통되며 제1액상 입구(201)와 제1기화용 출구(203)는 서로간의 연통이 차단되며 제2복귀용 출구(204)와 제1기화용 출구(203)는 서로간의 연통이 차단되는 감압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또한 자동 유로 전환 밸브(200)의 밸브 본체에는, 제1액상 입구(201)와 연통되는 제1액상 입구실(210)과, 제1액상 입구실(2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1기화용 출구(203)와 연통되는 제1기화용 출구실(230)과, 제1액상 입구실(2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보조통로실(250)과, 보조통로실(25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복귀용 출구실(240)과, 제1기화용 출구실(230)과 제2기상 입구(202) 사이에 형성되며 제1기화용 출구실(230)과 연통되는 제2기상 입구실(220)과, 제1기화용 출구실(230)의 상부에 형성되되 제1기화용 출구실(230)과 연통되는 스프링실(270)이 형성된다.
또한 자동 유로 전환 밸브(200)의 밸브 본체에는 각종 유로전환부재들이 마련되어 그 유로를 전환하게 된다.
스프링실(270)에 메인탄성체(271)와 압력 차이 감지부(272)가 마련된다.
메인탄성체(271)는 압력차이 감지부(272)에 하방향 압력을 인가하게 되며, 압력 차이 감지부(272)는 메인탄성체(271)의 하방향 압력과 제1기화용 출구실(230)의 압력 차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력 차이 감지부(272)로서 벨로우즈(272a)와 감지판(272b)이 사용되었으며, 감지판(272b)은 메인탄성체(271)로부터 하방향의 압력을 받고 아울러 제1기화용 출구실(230)의 압력에 의하여 상방향의 압력을 받아 이들 압력의 차이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벨로우즈(272a)는 메인탄성체(271)가 위치한 공간과 감지판(272b)의 하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압력 차이 감지부(272)는 주지관용의 기술인 멤브레인 방식에 의하여도 구현될 수 있다.
물론 감지판(272b)의 하부 공간은 제1기화용 출구실(230)의 압력과 동일한 압력이 걸릴 수 있도록 제1기화용 출구실(230)과 연통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감지판(272b)의 하부에 메인 로드(281)가 마련된다.
메인 로드(281)는 상단이 감지판(272b)에 고정되며 하단이 제1기화용 출구실(230)까지 연장되며 감지판(272b)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메인 로드(281)에 보조 로드(282)가 연결된다.
보조 로드(282)는 그 상단이 메인 로드(281)의 하단에 고정되며 하단이 보조통로실(250)까지 연장되어 메인 로드(281)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보조 로드(282)에는 제1기화용 출구실(230)과 보조통로실(250)을 연통시키는 보조 연통로(282a)가 내부를 따라 형성된다.
아울러 보조 로드(282)의 하부는 제1액상 입구실(210)과 보조통로실(250)간의 연통을 차단하게 된다.
즉 보조 로드(282)에 의하여 제1기화용 출구실(230)과 보조통로실(250)이 서로 연통되는 한편 제1액상 입구실(210)과 보조통로실(250)은 그 연통이 차단된다.
상기와 같은 보조 로드(282)에 제1밸브체(283)가 고정 마련된다.
제1밸브체(283)는 제1액상 입구실(210)에 위치되며, 보조 로드(282)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제1액상 입구실(210)과 제1기화용 출구실(230)간의 개폐를 조절하게 된다.
아울러 제1액상 입구실(210)에는 제1밸브체(283)에 상방향의 탄성력을 인가하게 되는 제1스프링(284)이 마련된다.
제2복귀용 출구실(240)에 제2밸브체(285)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제2밸브체(285)는 제2복귀용 출구실(240)에 마련된 제2스프링(286)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2밸브체(286)는 외력이 없을 경우 보조통로실(250)과 제2복귀용 출구실(240)간의 연통을 차단하게 된다.
아울러 제2밸브체(285)는 보조 로드(282)의 하방향 이동에 따라 보조 로드(282)와 접촉하면서 보조 로드(282)로부터 하방향의 압력을 받게 되어 보조통로실(250)과 제2복귀용 출구실(240)이 서로 연통되도록 그 개폐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제2밸브체(285)에는 보조 로드(282)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용 로드(287)가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접촉용 로드(287)가 제2밸브체(285)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접촉용 로드(287)가 제2밸브체(285)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즉, 제2밸브체(285)에는 접촉용 로드(287)를 제2밸브체(285)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접촉 간격 조절부(288)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 간격 조절부(288)의 구조는, 상부에 접촉용 로드(287)가 형성되며, 상하방향 중간부에 제2밸브체(285)에 대하여 나사 결합되어 있는 암나사부(288a)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암나사부(288a)의 회전 정도, 즉 접촉용 로드(287)의 돌출 정도를 표시하는 지시자(288b, indicator)가 마련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암나사부(288a)를 회전시키면 암나사부(288a)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며 이에 의하여 접촉용 로드(287)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어, 결과적으로 접촉용 로드(287)와 보조 로드(282)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용 로드(287)는 접촉 간격 조절부(288)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접촉용 로드(287)와 접촉 간격 조절부(288)가 서로 독립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2기상 입구실(220)에 제3밸브체(289)가 마련된다.
제3밸브체(289)는 제3스프링(290)에 의하여 제2기상 입구(202)측으로 탄성지지된다.
따라서 제3밸브체(289)는 외력이 없을 경우 제2기상 입구실(220)과 제2기상 입구(202)간의 연통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제2기상 입구(202)의 압력이 기준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즉 제3스프링(290)의 탄성력보다 높아지게 되면 제3밸브체(289)는 열리게 된다.
또한 제3밸브체(289)에는 제4스프링(292)과 제4밸브체(291)가 마련된다.
제4스프링(292)은 제4밸브체(291)를 제2기상 입구(202)의 반대측으로 탄성지지하며, 제4밸브체(291)는 제4스프링(292)의 탄성력과 제2기상 입구실(220)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제2기상 입구실(220)과 제2기상 입구(202)간의 개폐를 조절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293은 필터이다.
이와 같은 자동 유로 전환 밸브(2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내부 압력이 제2기준값보다 낮은 경우를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내부 압력은 내부의 기상 액화가스의 압력에 따라 결정되며, 따라서 내부 압력이 낮을 경우 기상 액화가스의 압력을 승압시킬 필요가 있다.
기상 액화가스의 압력이 낮으므로 제2기상관(120) 및 제3배출관(130)과 연결된 자동 유로 전환 밸브(200)의 제2기상 입구(202)의 압력이 낮으므로 제3밸브체(289)는 열리지 않게 되며, 따라서 제2기상 입구(202)와 제2기상 입구실(220)간의 연통이 차단된다.
아울러 제1기화용 출구실(230)에 낮은 압력이 걸리므로 압력 차이 감지부(272)가 하부로 이동하며 이와 연동하여 메인 로드(281) 및 보조 로드(282)가 하부로 이동하며, 보조 로드(282)에 고정된 제1밸브체(283)가 하부로 이동하며, 아울러 보조 로드(282)의 하단부의 하방향 이동에 의하여 보조 로드(282)의 하단이 제2밸브체(285)의 접촉용 로드(287)를 하부로 밀어 제2밸브체(285)가 하부로 이동하여, 제1액상 입구실(210)은 제1기화용 출구실(230)과 연통되며, 아울러 보조통로실(250)은 제2복귀용 출구실(240)과 연통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자동 유로 전환 밸브(200)는, 제1액상 입구(201)와 제1기화용 출구(203)는 서로 연통되며 제1액상 입구(201)와 제2복귀용 출구(204)는 서로 연통되며 제2기상 입구(202)와 제1기화용 출구(203)는 서로간의 연통이 차단되는 승압 모드로 변환된다.
한편 제1액상 입구(201)와 제2복귀용 출구(204)간의 연통은, 제1액상 입구(201)와 제1액상 입구실(210)간의 연통, 제1액상 입구실(210)과 제1기화용 출구실(230)간의 연통, 보조 로드(282)의 보조 연통로(282a)를 통한 제1기화용 출구실(230)과 보조통로실(250)간의 연통, 보조통로실(250)과 제2복귀용 출구실(240)간의 연통, 제2복귀용 출구실(240)과 제2복귀용 출구(204)간의 연통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1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1배출관(110)으로 배출되는 액상의 액화가스의 일부는 제1기화용 출구(203)를 거쳐 메인 기화기(150)를 지나면서 기화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한편, 제1배출관(110)으로 배출되는 액상의 액화가스의 일부는 제2복귀용 출구(204)를 거쳐 제4승압관(140)의 보조 기화기(141)에서 기화된 후 제2기상관(120)을 거쳐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에 의하여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제2복귀용 출구(204)로 액상 액화가스가 배출되기 위하여는 먼저 제1밸브체(283)가 열린 후 다음으로 제2밸브체(285)가 열려야 하며, 만일 제2밸브체(285)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제2밸브체(285)가 제대로 닫히지 않은 경우에도 제1밸브체(283)가 열리지 않았다면 제2복귀용 출구(204)로 액상 액화가스가 배출되지 못하게 되어, 제2밸브체(285)의 오작동에 위험 부담을 감소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내부 압력이 제2기준값과 제1기준값 사이인 경우를 도 14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내부 압력은 제2기준값과 제1기준값 사이인 경우 액상의 액화가스가 메인 기화기(150)로 배출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기상 액화가스의 압력이 여전히 제1기준값보다 낮으므로 제2기상관(120) 및 제3배출관(130)과 연결된 자동 유로 전환 밸브(200)의 제2기상 입구(202)의 압력이 낮으므로 제3밸브체(268)는 열리지 않게 되며, 따라서 제2기상 입구(202)와 제2기상 입구실(220)간의 연통이 차단된다.
아울러 제1기화용 출구실(230)에 낮은 압력이 걸리므로 압력 차이 감지부(272)가 하부로 이동하려고 한다.
그러나 비교적 높은 압력의 액상의 액화가스가 제1액상 입구(201)로 유입되므로, 제1액상 입구실(210)의 압력이 상승하며 이에 따라 제1밸브체(283)가 액상의 액화가스로부터 상방향의 압력을 받게 되어 제1밸브체(283)가 고정된 보조 로드(282)는 상부로 이동하려고 한다.
이와 같이 압력 차이 감지부(272)가 받는 압력과 제1밸브체(283)가 받는 압력에 의하여 메인 로드(281) 및 보조 로드(282)는 중간 정도의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보조 로드(282)의 하단은 제2밸브체(285)의 접촉용 로드(287)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보조 로드(282)는 제2밸브체(285)에 하방향의 압력을 인가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2밸브체(285)는 제2스프링(286)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하여 보조통로실(250)과 제2복귀용 출구실(240)간의 연통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접촉 간격 조절부(288)에 의하여 접촉용 로드(287)의 돌출 높이가 조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접촉용 로드(287)의 상단과 보조 로드(282)의 하단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격 조절은 보조 로드(282)가 접촉용 로드(287)와 접촉되기 위한 높이를 설정하는 것으로, 현장 상황에 맞게끔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자동 유로 전환 밸브(200)는, 제1액상 입구(201)와 제1기화용 출구(203)는 서로 연통되며, 제1액상 입구(201)와 제2복귀용 출구(204)는 서로간의 연통이 차단되며, 제2기상 입구(202)와 제1기화용 출구(203)는 서로간의 연통이 차단되는 승압 모드로 변환된다.
따라서 도 1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1배출관(110)으로 배출되는 액상의 액화가스 전부는 제1기화용 출구(203)를 거쳐 메인 기화기(150)를 지나면서 기화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는 정상적인 작동 과정이다.
다음으로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내부 압력이 제1기준값보다 큰 경우를 도 17 내지 도 1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내부 압력이 제1기준값보다 큰 경우 기상의 액화가스가 메인 기화기(150)로 배출되면서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내부 압력을 낮출 수 있다.
기상 액화가스의 압력이 제1기준값보다 크면 제2기상관(120) 및 제3배출관(130)과 연결된 자동 유로 전환 밸브(200)의 제2기상 입구(202)의 압력이 높으므로 제3밸브체(289)가 열리게 되며, 따라서 제2기상 입구(202), 제2기상 입구실(220), 제2기화용 출구실(230)이 서로 연통되게 된다.
아울러 제1기화용 출구실(230)에 높은 압력이 걸리므로 압력 차이 감지부(272)가 상부로 이동되며, 이에 연결된 메인 로드(281) 및 보조 로드(282)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보조 로드(282)의 상부 이동에 따라 보조 로드(282)에 고정된 제1밸브체(283)가 상부로 이동하여 제1액상 입구실(210)과 제1기화용 출구실(230)간의 연통이 차단된다.
아울러 제2밸브체(285)는 제2스프링(286)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하여 보조통로실(250)과 제2복귀용 출구실(240)간의 연통이 차단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자동 유로 전환 밸브(200)는, 제2기상 입구(202)와 제1기화용 출구(203)는 서로 연통되며 제1액상 입구(201)는 제1기화용 출구(203) 및 제2복귀용 출구(204)와의 연통이 차단되는 감압 모드로 변환된다.
따라서 도 17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초저온 저장탱크(100) 내부의 기상의 액화가스는 제2기상관(120)과 제3배출관(130)을 거쳐 제2기상 입구(202)로 유입된 후 제1기화용 출구(203)를 거쳐 메인 기화기(150)를 지나면서 승온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내부 압력은 정상화되며, 아울러 기상의 액화가스는 연료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9는 메인 기화기(150)가 정상 가동이 된다는 전제하에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 메인 기화기(15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기화기용 밸브(151)가 닫히게 된다.
이 경우 제1기화용 출구실(230)과 기화기용 밸브(151) 사이에는 액상의 액화가스가 갇히게 되며, 이 상태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 액상의 액화가스는 기화하여 그 내부 압력이 급속히 상승할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이 제1기화용 출구실(230)과 기화기용 밸브(151) 사이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서의 본 실시예의 작동을 도 20 내지 도 2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1기화용 출구실(230) 및 제2기상 입구실(220)의 압력이 급격히 상승할 경우 이 상승된 압력에 의하여 제4밸브체(291)가 열리게 된다.
즉 제2기상 입구실(220)의 압력이 제4스프링(292)의 탄성력보다 높게 되면 제4밸브체(291)가 열리게 된다.
따라서 제1기화용 출구실(230)의 액화가스는 제2기상 입구실(220) 및 제2기상 입구(202)를 통하여 제3배출관(130)으로 배출되며, 이후 제2기상관(120)을 통하여 초저온 저장탱크(100) 내부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기화용 출구실(230)과 기화기용 밸브(151) 사이에서 액상 액화가스가 갇힌 후 기화하는 경우에도 제1기화용 출구실(230)과 기화기용 밸브(151) 사이의 압력은 안전한 압력값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압력치가 제1기준값을 초과하면 액상 액화가스가 배출되는 제1배출관(110)이 연결된 자동 유로 전환 밸브(200)의 제1액상 입구(201)가 닫히게 되어 액상의 액화가스는 더 이상 배출되지 않고 순수하게 제2기상관(120) 및 제3배출관(130)을 통해서 기상의 액화가스만이 배출되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게 초저온 저장탱크(100) 내부에 생성된 기상 액화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배관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자동 유로 전환 밸브를 지면 근처에 마련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장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의 구성을 컴팩트하게 설계하여 그 장점이 극대화될 수 있다.
즉 제1배출관(110)은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상단 높이보다 낮은 높이, 바람직하게는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중간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서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배출관(110)은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하부, 혹은 지면 인접한 높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또한 제2기상관(12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 연장부(122)와, 상하 연장부(122)와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단부(121)와, 상하 연장부(122)와 제3배출관(130) 및 제4승압관(140)을 연결하는 하단부(123)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단부(121)는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하단 높이보다 높은 높이, 바람직하게는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중간 높이보다 높은 높이에서만 배치되며, 하단부(123)는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상단 높이보다 낮은 높이, 바람직하게는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중간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서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는 상단부(121)는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상단부 높이에만 마련되며 하단부(123)은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하단부 높이에만 마련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배관 길이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나,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높이를 10M라고 가정할 경우,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배관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도 3에서 제2기상관(120)이 초저온 저장탱크(10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는 길이 10M만이 필요하다.
즉 도 1의 20M, 도 2의 40M에 비하여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배관의 길이가 50%, 혹은 75%가 절감되며, 이에 따라 필요한 배관 지지대의 숫자도 대폭 감소하게 되어, 자재비 및 설치비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초저온 저장탱크 110 : 제1배출관
120 : 제2기상관 130 : 제3배출관
140 : 제4승압관 141 : 보조 기화기
150 : 메인 기화기 151 : 기화기용 밸브
200 : 자동 유로 전환 밸브
201 : 제1액상 입구 202 : 제2기상 입구
203 : 제1기화용 출구 204 : 제2복귀용 출구
210 : 제1액상 입구실 220 : 제2기상 입구실
230 : 제1기화용 출구실 240 : 제2복귀용 출구실
250 : 보조통로실
270 : 스프링실 271 : 메인탄성체
272 : 압력 차이 감지부 272a : 벨로우즈
272b : 감지판
281 : 메인 로드
282 : 보조 로드 282a : 보조 연통로
283 : 제1밸브체 284 : 제1스프링
285 : 제2밸브체 286 : 제2스프링
287 : 접촉용 로드 288 : 접촉 간격 조절부
288a : 암나사부 288b : 지시자
289 : 제3밸브체 290 : 제3스프링
291 : 제4밸브체 292 : 제4스프링

Claims (3)

  1.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자동 유로 전환 밸브에 있어서 :
    액상의 액화가스가 유입되는 제1액상 입구와, 상기 제1액상 입구와 연통되는 제1액상 입구실과, 기상의 액화가스가 유입되는 제2기상 입구와, 상기 제1액상 입구실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기화용 출구실과,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과 연통되는 제1기화용 출구와,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과 상기 제2기상 입구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과 연통되는 제2기상 입구실과, 상기 제1액상 입구실의 하부에 형성되는 보조통로실과, 상기 보조통로실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복귀용 출구실과, 상기 제2복귀용 출구실과 연통되는 제2복귀용 출구와,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과 연통되는 스프링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밸브 본체 ;
    상기 스프링실에 마련되는 메인탄성체 ;
    상기 스프링실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탄성체의 하방향 압력과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의 압력 차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압력 차이 감지부 ;
    상단이 상기 압력 차이 감지부에 고정되되 하단이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까지 연장되며 상기 압력 차이 감지부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메인 로드 ;
    상단이 상기 메인 로드에 고정되며 하단이 상기 보조통로실까지 연장되어 상기 메인 로드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되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과 상기 보조통로실을 연통시키는 보조 연통로가 내부를 따라 형성되는 한편 하부가 상기 제1액상 입구실과 상기 보조통로실간의 연통을 차단하게 되는 보조 로드 ;
    상기 제1액상 입구실에 위치되며 상기 보조 로드에 고정되어 상기 보조 로드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액상 입구실과 상기 제1기화용 출구실간의 개폐를 조절하게 되는 제1밸브체 ;
    상기 제1밸브체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스프링 ;
    상기 제2복귀용 출구실에 위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제2스프링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탄성지지되며 상기 보조 로드의 하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보조 로드로부터 하방향의 압력을 받게 되어 상기 제2복귀용 출구실과 상기 보조통로실간의 개폐를 조절하게 되는 제2밸브체 ;
    상기 제2기상 입구실에 위치되어 상기 제2기상 입구의 압력과 상기 제2기상 입구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제3스프링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상기 제2기상 입구실과 상기 제2기상 입구간의 개폐를 조절하게 되는 제3밸브체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자동 유로 전환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밸브체는, 제2기상 입구실의 압력과 상기 제2기상 입구의 반대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제4스프링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상기 제2기상 입구실과 상기 제2기상 입구간의 개폐를 조절하게 되는 제4밸브체 ;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자동 유로 전환 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체는, 상기 보조 로드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용 로드와, 상기 접촉용 로드를 상기 제2밸브체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접촉 간격 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자동 유로 전환 밸브.
KR1020130058171A 2012-12-26 2013-05-23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자동 유로 전환 밸브 KR101388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171A KR101388510B1 (ko) 2013-05-23 2013-05-23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자동 유로 전환 밸브
PCT/KR2013/011775 WO2014104643A1 (ko) 2012-12-26 2013-12-18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 시스템 및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자동 유로 전환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171A KR101388510B1 (ko) 2013-05-23 2013-05-23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자동 유로 전환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510B1 true KR101388510B1 (ko) 2014-04-23

Family

ID=50658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171A KR101388510B1 (ko) 2012-12-26 2013-05-23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자동 유로 전환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5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0396A (zh) * 2017-12-28 2018-06-19 四川兴良川深冷科技有限公司 Lng角式气动加液枪
KR20230016726A (ko) 2021-07-26 2023-02-03 (주)수림테크 초저온 액화가스용 안전밸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600U (ko) * 1997-11-29 1999-06-25 이구택 초저온 액체아르곤의 기화가스회수장치
KR20070036027A (ko) * 2004-06-28 2007-04-02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초전도 전력기기용 냉각 시스템
JP2009168221A (ja) 2008-01-18 2009-07-3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液化天然ガスサテライト設備
KR101122763B1 (ko) 2011-09-19 2012-03-23 조진식 유량 연동형 비례제어식 감압 밸브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600U (ko) * 1997-11-29 1999-06-25 이구택 초저온 액체아르곤의 기화가스회수장치
KR20070036027A (ko) * 2004-06-28 2007-04-02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초전도 전력기기용 냉각 시스템
JP2009168221A (ja) 2008-01-18 2009-07-3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液化天然ガスサテライト設備
KR101122763B1 (ko) 2011-09-19 2012-03-23 조진식 유량 연동형 비례제어식 감압 밸브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0396A (zh) * 2017-12-28 2018-06-19 四川兴良川深冷科技有限公司 Lng角式气动加液枪
KR20230016726A (ko) 2021-07-26 2023-02-03 (주)수림테크 초저온 액화가스용 안전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3643C (en) Press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368379B1 (ko)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자동 유로 전환 밸브
KR20160055830A (ko) 극저온 탱크로부터 증기를 회수하기 위한 장치
KR101388510B1 (ko)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자동 유로 전환 밸브
KR101585825B1 (ko) 이중관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수소 액화 장치
KR20180135818A (ko)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선박
CN112154295A (zh) 用于储存和分配液化氢的方法和设施
KR101473214B1 (ko) 축냉식 유증기 액화 장비
CA2979324C (en) Bog processing apparatus
US20130327404A1 (en) Method for efficiently delivering liquid argon to a furnace
JP4816629B2 (ja) 液化高圧ガス貯蔵気化装置および液化高圧ガス貯蔵気化方法
US2346112A (en) Apparatus for vaporizing liquefied gases
US2463493A (en) Gas dispensing device
KR101575028B1 (ko) 액화석유가스용 대기식 기화 시스템
EP2372221B1 (en) Boil-off gas re-condenser
KR100777560B1 (ko) 예비 성능 시험이 가능한 증발가스 재액화 장치 및 방법
JP5056355B2 (ja) 高圧液化ガス貯蔵気化装置および高圧液化ガス貯蔵気化方法
CN204532592U (zh) 一种具有低温冷启动保护装置的lpg蒸发减压器
KR102393102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기화율 저감 시스템
KR102151725B1 (ko) 조아르곤액 이송장치 및 이를 갖춘 극저온 공기분리설비
KR20140065545A (ko) 액화천연가스 시스템의 연료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54934A (ko) 비오지 재활용을 위한 초저온 액화가스 저장탱크 시스템
KR20170044417A (ko) 기액 분리장치
KR102433264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물
CN212107873U (zh) 一种适用于液化天然气接收站的再冷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