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044B1 - 밸브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밸브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044B1
KR101388044B1 KR1020130090173A KR20130090173A KR101388044B1 KR 101388044 B1 KR101388044 B1 KR 101388044B1 KR 1020130090173 A KR1020130090173 A KR 1020130090173A KR 20130090173 A KR20130090173 A KR 20130090173A KR 101388044 B1 KR101388044 B1 KR 101388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valve
stem
opening degre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김병덕
홍성창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90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7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16K31/5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with pinion and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액추에이터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일면에 결합되는 스프링과, 내부에 상기 피스톤과 스프링이 수납되며 상기 피스톤의 타면에 대향하는 일면 및 피스톤 사이에 구동공간이 형성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공간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피스톤을 공압에 의해 구동시키는 공기공급부; 상기 피스톤의 구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실린더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의 타면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과 연동 이동되는 스템; 상기 스템을 상기 피스톤의 구동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터구동부; 및 상기 공기공급부와 모터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밸브 액추에이터{ACTUATOR FOR VALVE}
본 발명은 공압에 의해 실린더 내에서 왕복이동되는 피스톤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밸브와 일체를 이루는 스템을 회동시켜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 액추에이터란 발전소 또는 각종 산업플랜트에 설치되어, 물이나 공기와 같은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 밸브의 구동력은 밸브 상부에 설치된 공기구동기에서 발생한다. 공기구동기 내부는 피스톤을 중심으로 한쪽에서는 스프링의 압축력과 인장력이 작용하고, 그 반대편에서는 공압이 작용하며, 양 힘의 강약조절에 따라 밸브의 열림과 닫힘이 실행된다.
도 1은 종래의 대표적인 밸브 액추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밸브 보디(1) 내에 설치되어 있는 도시가 생략된 밸브는, 분기형 회동로드(2)의 기단 일체를 이루는 스템(3)에 의해, 밸브폐쇄방향인 우측과, 밸브개방방향인 좌측으로, 대략 90ㅀ의 범위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분기형 회동로드(2)에는, 좌측의 스프링이 부착된 실린더(4) 내의 피스톤(5)과, 우측의 스프링이 없는 실린더(6) 내의 피스톤(7)을 연결하는 연결로드(8)로부터 상방으로 돌출설치된 걸림고정핀(9)이 걸림결합되어 있다.
스프링이 부착된 실린더(4) 내의 피스톤(5)은, 압축코일 스프링(10)에 의해 우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각 실린더(4, 6)의 우측단부, 즉 각 피스톤(5, 6)의 우측에 형성된 공압 송입구(4a, 6a)에는 각각, 전환밸브의 일종인 솔레노이드 밸브(11)로부터 도출된 송기관(12, 13)이 접속되어 있다.
각 실린더(4, 6)의 좌측단부, 즉, 각 피스톤(5, 7)의 좌측에 형성된 배기구(4b, 6b)에는 각각 배기관(14, 15)이 접속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11)는, 평상시에는 스프링(16)에 의해 좌측으로 밀려, 상기 송기관(12, 13)을 대기에 대하여 개구시키며, 또한 전자석(17)에 의해, 스프링(16)에 대항하여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양 송기관(12, 13)을, 제습가압공기원(18)으로부터 나와 있는 공기유도관(19)과 접속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습가압공기원(18)과 솔레노이드 밸브(11) 사이의 공기유도관(19)에는 필터(20) 및 레귤레이터(21)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전자석(17)이 가압되어 있지 않아, 밸브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며, 솔레노이드 밸브(11)는 스프링(16)에 밀려 좌측에 있고, 양 실린더(4, 6)에서의 피스톤(5, 7) 우측의 공압는, 송기관(12, 13) 및 솔레노이드 밸브(11)의 배출구(11a)를 통해 대기중으로 방출되고 있다.
전자석(17)을 가압하여, 솔레노이드 밸브(11)를 스프링(16)에 대항하여 우측으로 움직이면, 제습가압공기는 송기관(12, 13)을 통해 양 실린더(4, 6) 우측의 공압 송입구(4a, 6a)로 보내지며, 연결로드(8)는 피스톤(5, 7)과 함께 좌측으로 이동하여 밸브가 개방된다. 각 실린더(4, 6) 내의 피스톤(5, 7)의 좌측공간에서의 공기는 배기관(14, 15)을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밸브 액추에이터는 상기 피스톤이 움직이는 거리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어서 밸브의 개도(밸브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높이)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종래의 밸브 액추에이터의 시간에 따른 밸브의 개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밸브 액추에이터는 실린더 내부의 공압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없어서 밸브의 개도의 시간에 따른 설정치와 목표치가 서로 다른 오차구간(a)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08-0078887호는 밸브에 연계되어 있는 피스톤을, 스프링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압력공기 송입구로부터 송입된 압력공기에 의해, 상기 스프링에 대항하여 역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실린더 내에 설치하고, 전환밸브에 의해, 상기 실린더에서의 압력공기 송입구와 가압공기원을 연통시키고 있을 때에는, 상기 실린더에서의 배기구에 접속된 환류관을 차단하며, 또한 전환밸브에 의해, 상기 실린더에서의 압력공기 송입구와 가압공기원간의 연통을 차단했을 때에는, 상기 압력공기 송입구와 상기 환류관을 도통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액추에이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역시 실린더 내부의 공압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없어서 밸브의 개도의 시간에 따른 설정치와 목표치가 서로 다른 오차구간(a)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밸브 액추에이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8-0078887호 (2008.08.2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구동기의 급격한 움직임과 모터구동기의 정밀한 제어성능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밸브의 개도를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밸브의 개도의 시간에 따른 설정치와 목표치가 동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밸브 액추에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액추에이터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일면에 결합되는 스프링과, 내부에 상기 피스톤과 스프링이 수납되며 상기 피스톤의 타면에 대향하는 일면 및 피스톤 사이에 구동공간이 형성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공간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피스톤을 공압에 의해 구동시키는 공기공급부; 상기 피스톤의 구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실린더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의 타면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과 연동 이동되는 스템; 상기 스템을 상기 피스톤의 구동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터구동부; 및 상기 공기공급부와 모터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의 개도설정치가 입력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밸브의 개도측정치가 입력되는 위치센서와, 상기 개도설정치와 개도측정치가 서로 차이가 있으면 상기 공기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이를 교정하는 제1제어모드로 작동되되, 상기 차이가 교정되지 않으면 상기 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이를 다시 교정하는 제2제어모드로 작동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구동부는 상기 스템을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서보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 액추에이터는 상기 스템의 외주면에 상기 피스톤의 구동방향으로 랙이 형성되며,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랙에 기어 결합되는 기어피니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 액추에이터는 상기 기어피니언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랙에 기어 결합되는 지지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 액추에이터는 상기 피스톤의 구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스템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랙기어; 및 상기 랙기어에 기어 결합되는 기어피니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액추에이터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일면에 결합되는 스프링과, 내부에 상기 피스톤과 스프링이 수납되며 상기 피스톤의 타면에 대향하는 일면 및 피스톤 사이에 구동공간이 형성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공간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피스톤을 공압에 의해 구동시키는 공기공급부; 상기 피스톤의 구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실린더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의 타면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과 연동 이동되는 스템; 상기 스템을 상기 피스톤의 구동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터구동부; 및 상기 공기공급부와 모터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스템과 연결된 모터구동부를 이용하여 밸브의 개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밸브의 개도설정치가 입력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밸브의 개도측정치가 입력되는 위치센서와, 상기 개도설정치와 개도측정치가 서로 차이가 있으면 상기 공기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이를 교정하는 제1제어모드로 작동되되, 상기 차이가 교정되지 않으면 상기 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이를 다시 교정하는 제2제어모드로 작동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밸브의 개도의 정밀한 제어가 필요할 경우에만 모터구동부가 작동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표적인 밸브 액추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밸브 액추에이터의 시간에 따른 밸브의 개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액추에이터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액추에이터의 실시예 1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액추에이터의 실시예 2의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액추에이터의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액추에이터(1000)는 구동부(100), 공기공급부(200), 스템(300), 모터구동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100)는 피스톤(110), 스프링(120), 실린더(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110)은 상기 실린더(130)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스프링(120)은 상기 피스톤(110)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1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110)의 왕복이동에 의해 각각 압축 또는 팽창된다.
상기 실린더(130)는 내부에 상기 피스톤(110)과 스프링(120)이 수납되며, 상기 피스톤(110)의 타면에 대향하는 일면 및 피스톤(110) 사이에 구동공간(135)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실린더(130)는 상기 구동공간(135)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미도시)과 그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입홀과 배출홀에는 각각 제1개폐막(미도시) 및 제2개폐막(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개폐막 및 제2개폐막은 각각 상기 유입홀 및 배출홀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공간(135)은 외부에서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공압이 발생하며, 그 공압에 의해 피스톤(110)이 구동되는 거리가 조절된다.
상기 공기공급부(200)는 상기 구동공간(135)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피스톤(110)을 공압에 의해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템(300)은 상기 피스톤(110)의 구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실린더(130)의 외면을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110)의 타면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110)의 구동에 따라 연동 이동된다.
또한, 상기 스템(300)의 타단에는 밸브(미도시)가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110)이 상기 구동공간(135)의 공압에 의해 구동되면 상기 밸브도 상기 스템과 함께 연동 이동된다.
상기 모터구동부(400)는 상기 스템(300)을 상기 피스톤(110)의 구동방향으로 이동시켜 밸브의 개도를 정밀하게 조절한다.
또한, 상기 모터구동부(400)는 상기 스템(300)을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공기공급부(200)와 모터구동부(400)를 제어하여, 밸브의 개도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액추에이터(1000)는 피스톤(110)과, 상기 피스톤(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스프링(120)과, 내부에 상기 피스톤(110)과 스프링(120)이 수납되며 상기 피스톤(110)의 타면에 대향하는 일면 및 피스톤(110) 사이에 구동공간(135)이 형성되는 실린더(130)를 포함하는 구동부(100); 상기 구동공간(135)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피스톤(110)을 공압에 의해 구동시키는 공기공급부(200); 상기 피스톤(110)의 구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실린더(130)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110)의 타면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110)과 연동 이동되는 스템(300); 상기 스템(300)을 상기 피스톤(110)의 구동방향으로 이동시켜 밸브의 개도를 정밀하게 조절하는 모터구동부(400); 및 상기 공기공급부(200)와 모터구동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스템(300)과 연결된 모터구동부(400)를 이용하여 밸브의 개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인터페이스, 위치센서,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밸브의 개도설정치가 입력되는 구성으로, 상기 개도설정치를 사용자가 입력하는 직접입력방식이나 상기 제어부(500)가 제어신호를 보내 입력하는 간접입력방식으로 각각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위치센서는 상기 스템(300)에 설치되어 밸브의 개도측정치가 입력된다.
상기 마이컴은 상기 인터페이스와 위치센서로부터 각각 개도설정치와 개도측정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개도설정치와 개도측정치가 서로 차이가 있으면 우선적으로 제1제어모드로 작동되고, 상기 차이가 제1제어모드에 의해 교정되지 않으면 제2제어모드로 작동된다.
상기 제1제어모드는 상기 공기공급부(200)가 상기 구동공간(135)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양을 제어한다.
상기 제2제어모드는 상기 모터구동부(400)가 상기 스템(300)을 상기 피스톤(110)의 구동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좀 더 상세하게, 상기 제1제어모드는 상기 구동공간(135)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급속하게 밸브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정밀하게 조절할 수 없으며,
상기 제2제어모드의 경우, 상기 모터구동부(400)에 의해 상기 스템(300)을 정밀하게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밸브의 개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500)는 밸브의 개도설정치가 입력되는 인터페이스와 밸브의 개도측정치가 입력되는 위치센서와, 상기 개도설정치와 개도측정치가 서로 차이가 있으면 상기 공기공급부(200)를 제어하여 상기 차이를 교정하는 제1제어모드로 작동되되, 상기 차이가 교정되지 않으면 상기 모터구동부(400)를 제어하여 상기 차이를 다시 교정하는 제2제어모드로 작동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밸브의 개도의 정밀한 제어가 필요할 경우에만 모터구동부(400)가 작동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액추에이터(1000)는 상기 모터구동부(400)가 상기 스템(300)을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서보모터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스템(300)의 외주면에 상기 피스톤(110)의 구동방향으로 랙(3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기어피니언(6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피니언(610)은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랙(310)에 기어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서보모터는 상기 기어피니언(610)을 회전시켜서 상기 스템(300)을 상기 피스톤(110)의 구동방향으로 정밀하게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액추에이터의 실시예 1의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액추에이터(1000)의 실시예 1은 지지기어(6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기어(620)는 상기 기어피니언(610)과 상기 피스톤(110)의 구동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랙(310)에 기어 결합된다.
상기 지지기어(620)는 상기 스템(300)에 형성된 랙(310)을 지지하여 상기 스템(300)이 상기 피스톤(110)의 구동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뒤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액추에이터(1000)의 실시예 1은 상기 스템(300)의 뒤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액추에이터의 실시예 2의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액추에이터(1000)의 실시예 2는 랙기어(630), 기어피니언(6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랙기어(630)는 상기 피스톤(110)의 구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스템(300)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종래의 밸브 액추에이터(1000)의 스템(300)에도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랙기어(630)는 상기 스템(300)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랙기어(630)가 파손될 경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기어피니언(610)은 상기 랙기어(630)에 기어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액추에이터(1000)의 실시예 2는 종래의 밸브 액추에이터(1000)에 상기 랙기어(630)와 기어피니언(610)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액추에이터
100 : 구동부
110 : 피스톤 120 : 스프링
130 : 실린더 135 : 구동공간
200 : 공기공급부
300 : 스템
310 : 랙
400 : 모터구동부
500 : 제어부
610 : 기어피니언 620 : 지지기어
630 : 랙기어

Claims (6)

  1.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일면에 결합되는 스프링과, 내부에 상기 피스톤과 스프링이 수납되며 상기 피스톤의 타면에 대향하는 일면 및 피스톤 사이에 구동공간이 형성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공간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피스톤을 공압에 의해 구동시키는 공기공급부;
    상기 피스톤의 구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실린더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의 타면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과 연동 이동되며, 타단에 밸브가 결합되는 스템;
    상기 스템을 상기 피스톤의 구동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터구동부; 및
    상기 공기공급부와 모터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구동부는 상기 스템을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서보모터이며,
    상기 스템의 외주면에 상기 피스톤의 구동방향으로 랙이 형성되며,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랙에 기어 결합되는 기어피니언; 및
    상기 기어피니언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랙에 기어 결합되는 지지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액추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의 개도설정치가 입력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밸브의 개도측정치가 입력되는 위치센서와,
    상기 개도설정치와 개도측정치가 서로 차이가 있으면 상기 공기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이를 교정하는 제1제어모드로 작동되되, 상기 차이가 교정되지 않으면 상기 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이를 다시 교정하는 제2제어모드로 작동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액추에이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30090173A 2013-07-30 2013-07-30 밸브 액추에이터 KR101388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173A KR101388044B1 (ko) 2013-07-30 2013-07-30 밸브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173A KR101388044B1 (ko) 2013-07-30 2013-07-30 밸브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044B1 true KR101388044B1 (ko) 2014-04-22

Family

ID=50658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173A KR101388044B1 (ko) 2013-07-30 2013-07-30 밸브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0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640A (ko) * 2021-02-17 2022-08-2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밸브 개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330B1 (ko) * 1995-10-09 1998-10-01 전성원 차량용 가속장치
KR20060045190A (ko) * 2004-11-12 2006-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냉장박스의 냉기공급장치
JP4369292B2 (ja) * 2004-05-06 2009-11-18 タイコ フローコントロールジャパン株式会社 緊急遮断弁装置
KR20100046150A (ko) * 2007-07-24 2010-05-06 배트 홀딩 아게 진공밸브를 제어 또는 조절하기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330B1 (ko) * 1995-10-09 1998-10-01 전성원 차량용 가속장치
JP4369292B2 (ja) * 2004-05-06 2009-11-18 タイコ フローコントロールジャパン株式会社 緊急遮断弁装置
KR20060045190A (ko) * 2004-11-12 2006-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냉장박스의 냉기공급장치
KR20100046150A (ko) * 2007-07-24 2010-05-06 배트 홀딩 아게 진공밸브를 제어 또는 조절하기 위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640A (ko) * 2021-02-17 2022-08-2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밸브 개폐 장치
KR102483113B1 (ko) * 2021-02-17 2022-12-2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밸브 개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494B1 (ko) 전기 공압식 위치 조절부가 통합된 공압식 작동 드라이브 및 그의 제어 방법
US6354327B1 (en) Automatic position-control valve assembly
US20210095702A1 (en) Pneumatic Control Device and Process Control Device Equipped Therewith
JP5864605B2 (ja) スライドステム制御バルブ組立体およびその作動方法
CN104769288A (zh) 受控的三通比例阀单元
WO2021002907A3 (en) Piezoelectric ring bender servo valve assembly for aircraft flight control actuation and fuel control systems
US8973890B2 (en) Fluid-operated actuating drive on a valve
RU2017134363A (ru) Узел клапана текучей среды и позиционер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клапана
ZA200900765B (en) Time pulse pilot for pressure regulating control valve
DE60318154D1 (de) Brennkraftmaschine mit elektronisch angesteuertem Hydrauliksystem für den Ventilbetrieb und Einrichtung zum Kompensieren von Änderungen der Betriebszustände der Hydraulikflüssigkeit
WO2005005802A3 (en) Control system regulating air flow to engine intake
KR101388044B1 (ko) 밸브 액추에이터
JP3814277B2 (ja) 比例電磁弁の制御装置
WO2007057927A1 (en) Pneumatic actuator with stroke regulator
KR20160146429A (ko) 라쳇을 이용한 다회전 구동기
EP3394489B1 (en) Apparatus for independently controlling seating forces in rotary valves
JP2009095775A (ja) サックバックバルブシステム及びその閉弁動作制御方法
CA2483109A1 (en) Control system for variable pitch fan
US8056466B2 (en) Pneumatic actuator, in particular for valves
CN1230244A (zh) 电动-气动位置调节器
CN112997012B (zh) 运动装置、轮胎操纵装置和用于运行流体的致动器的方法
CN103727285A (zh) 一种采用伺服阀控制驱动装置的阀门
US9201429B2 (en) Actuator for a gas valve
KR101505016B1 (ko) 복동식 왕복가능 압력 부스터용 자동 압력조절 제어 기구
RU2216762C1 (ru) Устройств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араметров газового пото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